KR101040334B1 -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334B1
KR101040334B1 KR1020090022698A KR20090022698A KR101040334B1 KR 101040334 B1 KR101040334 B1 KR 101040334B1 KR 1020090022698 A KR1020090022698 A KR 1020090022698A KR 20090022698 A KR20090022698 A KR 20090022698A KR 101040334 B1 KR101040334 B1 KR 10104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dustry
sales
index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339A (ko
Inventor
정란숙
이성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09002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업을 희망하는 사업자가 자신이 원하는 지역의 업종 현황 정보를 제공받기 원하면,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를 토대로 해당 지역에서의 업종 현황 야지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사업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소호, 업황 지수, 신규 사업, 성장 지수, 상대 지수, 개인 사업자

Description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aluation of business condition in SOHO}
본 발명은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규 소호 사업에 대한 현재 업종 현황을 평가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 소호(SOHO: Small Office Home Office)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집을 사무실 삼아 홀로 일하는 개인 사업자를 의미하였다. 그러나, 근래 들어 프리랜서, 자영업자, 재택 근무자, 인터넷 IP, CP 사업자 등 소호가 포함하는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금융권에서는 숙박업 또는 음식점업 등을 영위하는 개인 자영업자 등을 소호 업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소호 업종에 대한 신규 창업을 희망하는 개인 사업자 또는 개인 자영업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수의 증가에 따라 제한된 지역에 동일한 업종의 창업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개인 사업자 또는 개인 자영업자(이하, '창업자'라 지칭)들이 신규 창업을 원할 경우에 창업할 지역의 상권을 파악하거나 해당 상권에서 창업할 업종 의 경쟁력이 있는지 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나름대로의 분석을 통해 창업할 업종에 대한 사업 성공 여부의 평가를 수행한 후 창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특정 업종에 대한 사업 성공 여부의 평가를 '업황 평가'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창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정보를 수집하였다 하더라도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는 사업에 업황 평가를 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창업자가 쉽게 특정 지역에서 특정 업종의 사업을 창업하고자 할 경우, 특정 업종에 대한 사업 평가(업황 평가)를 하고 이를 알려주는 서비스나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가 원하는 지역과 해당 지역에서의 업황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에게 창업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은,
상기 창업자가 창업을 원하는 희망 업종에 대한 창업을 희망하는 희망 지역에서의 성장 정도를 파악하여 성장 지수를 출력하는 업체성장 파악부; 전체 지역에서의 전체 업종 대비 상기 희망 지역에서의 상기 희망 업종의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대 지수를 출력하는 업체성장 비교부; 상기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를 토대로 업종 현황 지수를 파악하고, 상기 업종 현황 지수에 대한 업황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업황상태 파악부; 및 상기 생성한 업황 평가 정보를 상기 창업자에게 제공하는 업황평가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에게 창업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은,
창업을 희망하는 희망 지역 정보 및 희망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희망 지역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 및 가맹점에 대한 성장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창업 희망 지역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 및 가맹점에 대한 상대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를 토대로 업황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업황 지수에 따른 업체 평가 정보를 상기 창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업자의 관심 지역과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상권의 기본 사항과 업종 현황, 업종 추이 정보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타겟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호 창업을 희망하는 서비스 사용자가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가맹점으로 창업을 할 경우 성공할지 여부를 알고 싶어할 때, 해당 지역의 해당 가맹점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매출액 상태, 가맹점 수 증감 상태 등을 포함)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창업 가능성 여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해당 지역의 경쟁 업체의 분포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업에 따른 비용과 수익성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안전한 창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업종 현황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창업자 단말(110), 영업자 단말(120),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 카드사 서버(300)와 전화 사업자 서버(400)를 포함한다.
창업자 단말(110)은 창업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IP망(예;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이다. 예컨대, 창업자 단말(110)은 휴대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PDA 등일 수 있다.
영업자 단말(120)은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을 운영하는 사업체에 관련된 영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IP망 또는 로컬망(또는 금융 공통망)에 연결 가능한 단말이다. 또한 영업자 단말(120)과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IP망 또는 로컬망을 통해 창업자 단말(110)과 영업자 단말(12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IP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300) 및 전화 사업자 서버(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상권이 형성된 각 지역에 분포된 업종의 종류 및 각 동종 업종의 수(이하 "가맹점수"라 한다), 그리고 업종별 각 가맹점의 매출액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업체(즉, 업종)에 대한 업황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창업자에게 제공한다.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각 업체의 매출액 정보를 취득하고, 전화 사업자 서버(400)로부터 상권에 위치한 각 업종의 가맹점수 정보를 취득한다.
카드사 서버(300)는 각 업체에 대하여 특정 기간 동안에 해당 카드사의 카드를 사용한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있으며,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의 요청 시에 저장하고 있는 각 업체별 사용 이력을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에 제공한다. 이때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각 업체별 사용 이력을 각 업체의 매출액 정보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114로 전화를 한 후 지역과 가게명 또는 업종명을 언급하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업종(가게)의 전화번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114 안내 서비스가 가능한 것은 114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시스템에는 지역별로 가게 또는 업종에 따른 전화번호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화 사업자 서버(400)는 114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같이 지역별로 가게 또는 업종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이하 "전화번호 관리정보"라 한다)를 저 장하고 관리하는 전화 사업자가 관리하는 서버이다. 전화 사업자 서버(400)는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의 요청 시에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에 제공한다. 이때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전화 사업자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 위치한 각 업종별 가맹점수를 파악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하나의 카드사로부터 각 업체의 매출액 정보를 제공받아 활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2 이상의 카드사로부터 업종별 각 가맹점의 매출액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체 현황 평가시스템(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부(210), 업체성장 파악부(220), 업체성장 비교부(230), 업황 상태 파악부(240), 업황 평가 제공부(250)와, 정보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창업자 단말(110) 또는 영업자 단말(12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화면을 통해 창업자 단말(110) 또는 영업자 단말(120)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창업자 단말(110) 또는 영업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에 대하여 먼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업자가 창업자 단말(110)을 통해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영업자 단말(120)을 통해 창업자가 희망하는 지역과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정보 입력 시 해당 지역의 업종을 '세세 업종명 찾기'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분석을 통해 창업할 업종에 대한 사업 성공 여부의 평가 즉, 업황 평가에 대한 정보를 도 4b와 같이 창업자 단말(110) 또는 영업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창업자 단말(110)로 제공되는 업황 평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2의 업체성장 파악부(220)는 창업자가 창업을 원하는 업종에 대한 특정 지역에서의 성장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업체성장 파악부(220)는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와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를 포함한다.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는 가맹점수 저장부(26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특정 업종의 가맹점수가 일정기간(예; 1년, 6개월, 2년, 3개월 등) 대비 얼마만큼 늘었는지 또는 줄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파악하는 일정기간을 1년 단위로 하며, 작년 특정 지역에서 특정 업종의 가맹점 수가 110개 이였고, 재작년 동일 지역에서 동일 업종의 가맹점 수가 100가 이였다고 한다. 이 경우에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는 특정 업종에 대한 가맹점수가 10%가 늘었다고 파악한다.
여기서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는 구체적인 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파악한 가맹점의 수에 대한 평가값인 10%를 가맹점수 성장지수로 변환한다. 가맹점수 성장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 가맹점수의 증감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자에 의해 정해진 값이다.
예컨대,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에서 계산된 평가값에 대한 지수 기준 값을 "평가값 ≥ +20%", "+2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20%" 및 "평가값 < -2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을 각각 "매우성장", "성장", "보통", "위축" 및 "매우위축" 이라고 정의한다. 즉, "평가값 ≥ +20%"로 구분된 영역은 "매우 성장", "+20% < 평가값 ≤ +10%"로 구분된 영역은 "성장", "+10 < 평가값 ≤ -10%"로 구분된 영역은 "보통", "-10% < 평가값 ≤ -20%"로 구분된 영역은 "위축", "평가값 < -20%"로 구분된 영역은 "매우위축" 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평가값을 5계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보통"으로 정의된 영역의 성장지수를 "100"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성장지수는 "140", "120", "100", "80" 및 "60"로 가정할 수 있다. 즉, "매우성장"에 대한 성장지수는 "140", "성장"에 대한 성장지수는 "120", "보통"에 대한 성장지수는 "100", "위축"에 대한 성장지수는 "80", "매우위축"에 대한 성장지수는 "60"으로 가정한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가맹점수에 대한 평가값이 10% 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성장지수는 "120"으로 계산된다.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는 창업자가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의 전체 업종 에 대한 매출액의 증감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매출액 저장부(26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 위치한 전체 업종에 대한 매출액이 일정기간(예를 들어 1년, 6개월, 2년, 3개월 등) 대비 얼마만큼 증가했는지 또는 감소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일정기간을 1년 단위로 하며, 작년에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전체 매출액이 10억이었고, 재작년 동일 지역에서 발생한 총 매출액이 11억이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는 창업을 원하는 지역의 총 매출액이 10% 감소했다고(즉, -10%) 파악한다.
여기서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는 구체적인 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파악한 총 매출액에 대한 평가값인 -10%를 총매출액 성장지수로 변환한다. 총매출액 성장지수는 일정기간 동안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전체 매출액의 증감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자에 의해 임의로 정해진 값이다.
예를 들어,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에서 계산된 평가값에 대한 지수 기준 값을 "평가값 ≥ +20%", "+2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20%" 및 "평가값 < -2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을 각각 "매우증가", "증가", "보통", "감소" 및 "매우감소"라고 정의한다. 그러면 "보통"으로 정의된 영역의 성장지수를 "100"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성장지수는 "140", "120", "100", "80" 및 "60"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전채 매출액에 대한 평가값이 -10%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성장지수는 "100"으로 계산된다.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는 창업자가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에 대한 매출액의 증감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매출액 저장부(26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 위치한 동일 업종에 대한 매출액이 일정기간(예를 들어 1년, 6개월, 2년, 3개월 등) 대비 얼마만큼 증가했는지 또는 감소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일정기간을 1년 단위로 하며, 작년에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의 매출액이 1억 3천이었고, 재작년 동일 지역에서 발생한 총 매출액이 1억이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는 창업을 원하는 지역의 총 매출액이 30% 증가했다고(즉, +30%) 파악한다.
여기서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는 구체적인 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파악한 총 매출액에 대한 평가값인 +30%를 총매출액 성장지수로 변환한다. 총매출액 성장지수는 일정기간 동안 창업을 원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전체 매출액의 증감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자에 의해 임의로 정해진 값이다.
예를 들어,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에서 계산된 평가값에 대한 지수 기준 값을 "평가값 ≥ +20%", "+2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10%", "-10% < 평가값 ≤ -20%" 및 "평가값 < -2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을 각각 "매우증가", "증가", "보통", "감소" 및 "매우감소”라고 정의한다. 그러면 "보통"으로 정의된 영역의 성장지수를 "100"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성장지수는 "140", "120", "100", "80ㅍ 및 "60"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점당 매출액에 대한 평가값이 +30%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성장지수는 "140"으 로 계산된다.
다음 업체 성장 비교부(230)는 창업자가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과 지역에 어느 정도 수의 가맹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대 수 대비 실제 가맹점이 있는 가맹점 수의 수준을 비교하고 전국의 동일 업종 평균 대비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점당 매출액 수준을 비교하여, 업종의 상대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업체 성장 비교부(230)는 가맹점수 비교부(231)와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를 포함한다.
가맹점수 비교부(231)는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기준 상권(예를 들어 창업 희망 지역에 상주하는 인구 수 등)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맹점수와 실제 존재하는 가맹점수를 비교하여, 가맹점 수가 기준 상권에 비해 부족한지 충분한지 혹은 적당한지 여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과거 수년 동안의 데이터를 토대로 인구 수가 5만명인 지역에 가맹점수가 10개 존재할 경우 가맹점수 대비 매출액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가정한다. 이들 정보는 미리 계산되어 평가기준 정보로 평가기준 저장부(264)에 저장되어 있다. 만약 현재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인구수가 5만명이고 현재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가맹점수가 가맹점수 저장부(262)에 8개라고 저장되어 있다면, 이는 이상적인 가맹점 수 대비 실제 가맹점 수가 20% 부족(즉, -20%)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가맹점수 비교부(231)는 구체적인 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파악한 상대값인 -20%를 가맹점수 상대지수로 변환한다. 가맹점수 상대지수는 상권 크기에 기대되는 가맹점 수 대비 실제 존재하는 가맹점수의 차이를 나타낸 값으로, 설정자에 의해 정해진 값이다.
예컨대, 가맹점수 비교부(231)에서 계산된 상대값에 대한 지수 기준 값을 "상대값 ≥ +20%", "+20% < 상대값 ≤ +10%", "+10 < 상대값 ≤ -10%", "-10% < 상대값 ≤ -20%" 및 "상대값 < -2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을 각각 "매우초과", "초과", "적합", "부족" 및 "매우부족"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 "보통"으로 정의된 영역의 상대지수를 "100"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성장지수는 "60", "80", "100", "120" 및 "140"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기대 대비 실제 가맹점 수준이 -20%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성장지수는 "120(부족)"으로 계산된다.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는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에 대한 전국의 매출액과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업종에 대한 매출액을 비교하여,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가맹점 매출액이 전국 혹은 타 지역에 비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한다. 이 경우, 창업을 희망하는 가맹점의 규모를 갖는 전국의 가맹점에서 발생한 매출액을 비교하는 등, 여러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업종에 대한 매출액이 천만원이고, 해당 업종의 전국 매출액 평균이 800만원이라고 한다면, 점당 매출액이 전국평균 대비 20% 이상(즉, +20%)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는 구체적인 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파악한 상대값인 +20%를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로 변환한다.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는 전국의 동일 업종 평균 대비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업종 매출액 수준을 비교한 값으로, 설정자에 의해 정해진 값이다.
예컨대,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에서 계산된 상대값에 대한 지수 기준 값을 "상대값 ≥ +20%", "+20% < 상대값 ≤ +10%", "+10 < 상대값 ≤ -10%", "-10% < 상대값 ≤ -20%" 및 "상대값 < -2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을 각각 "매우초과", "초과", "적합", "부족" 및 "매우부족"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 "보통"으로 정의된 영역의 상대지수를 "100"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성장지수는 "140", "120", "100", "80" 및 "60"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점당 매출액이 +20%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성장지수는 "120(초과)"으로 계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업체성장 파악부(220)와 업체성장 비교부(230)에서 계산된 각각의 성상지수들과 상대지수들은 업황 상태 파악부(240)로 입력되어,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에서의 업체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지수들 중에서 설정자가 중요시하는 지수에는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다. 만약 창업자가 매출액 성장정도에 관심을 보일 경우 설정자는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에서 파악된 총매출액 성장지수에 미리 설정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업황 상태 파악부(240)로 전달할수 있다.
이와 같이 업황 상태 파악부(240)는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41), 총 매출액 성장 파악부(222),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 가맹점수 비교부(231) 및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로부터 각각 파악된 가맹점수 성장지수, 총매출액 성장지수,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 가맹점수 상대지수 및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를 이용하여 성장 지수와 상대지수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업황 지수를 파악한다.
상기에서 계산한 바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에서의 업 종에 대한 가맹점 수 성장지수, 총매출액 성장지수,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 가맹점수 상대지수 및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가 각각 120, 100, 140, 120 및 120이며, 이들 값 중 어느 값에도 가중치를 두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성장 지수는 "(가맹점 수 성장지수 + 총매출액 성장지수 +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3"으로 계산되고 상대 지수는 "(가맹점수 상대지수 +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2"로 계산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는 각각 130과 120으로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업황 지수는 "(성장 지수 + 상대 지수)/2"로 계산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업황 지수는 125로 계산된다. 업황 지수를 토대로 업황 평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업황 지수도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업황 지수 ≥ 140", "140 < 업황 지수 ≤ 120", "120 < 상대값 ≤ 100", "100 < 상대값 ≤ 80" 및 "상대값 < 80"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에 대해 각각 "매우 적정", "적정", "용이", "보류" 및 "재고"라고 정의한다. 이 경우 계산된 업황 지수가 125이므로 해당 지역에서 해당 업종으로 창업이 용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업황 평가 제공부(250)는 업황 상태 파악부(240)에서 계산된 업황 지수를 전달 받아, 해당 업황 지수에 대한 업황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업황 평가정보는 업황 지수에 대응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업황 평가 제공부(250)에 저장되어 있으며, 업황 상태 파악부(240)에서 계산된 업황 지수에 따라 해당 업황 평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 업황 평가 정보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종 개요, 성장 단계, 현황 및 전망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제공된 업황 평가 정보는 정보 저장부(260)에 저장된다. 정보 저장 부(260)는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으로부터 평가된 업황 평가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업황 평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매출액 저장부(261), 가맹점수 저장부(262), 사용자 정보 저장부(263) 및 평가기준 저장부(264)를 포함한다.
매출액 저장부(261)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카드 사용 이력 즉, 업종별 매출액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매출액 정보는 총매출액 성장지수,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업종별 매출액 정보에는 업종 구분 정보, 업종 상호명, 가맹점의 월간 매출액 및 전체 매출액 등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가맹점수 저장부(262)는 전화 사업자 서버(400)로부터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정보는 가맹점수 성장지수, 가맹점수 상대지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전화번호 관리정보는 동일한 업종 구분 정보에 따른 지역별 가맹점 수 또는 동일한 지역에 따른 업종 수 및 가맹점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63)는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에 의해 입력된 창업자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름, 나이, 주소지 정보 등),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의 지역 정보,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 정보 및 업체 현황 평가 시스템(200)에서 평가된 업황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평가기준 저장부(264)는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 가맹점수 비교부(231) 및 점당 매출액 비 교부(232)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맹점 수 성장지수, 총매출액 성장지수,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 가맹점수 상대지수 및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를 구할 때, 설정자에의해 정해진 구간에 대한 정보나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은 도 2의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업종 현황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은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현황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200)은 IP 망 또는 로컬 망을 통해 접속한 창업자의 창업자 단말(110)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영업자 단말(120)을 이용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00). 창업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창업 희망 지역 정보와 업종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정보를 수신한 후(S110), 해당 지역과업종에 대한 성장지수와 상대지수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창업을 희망하는 지역(이하, 창업 희망 지역이라 지칭)으로는 '강남', 창업을 희망하는 업종(이하, 창업 희망 업종이라 지칭)으로는 '빵집'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221)는 가맹점수 저장부(262)에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토대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 강남 지역의 빵집의 수가 어느 정도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가맹점수 성장지수를 파악(S121)한다. 그리고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222)는 매출액 저장부(261)에 저장되어 있는 매출액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강남 지역의 총매출액이 어느 정도 증가 또는 감 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총매출액 성장지수를 파악한다(S122).
그리고 나서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223)는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 강남 지역의 빵집에 대한 매출액이 어느 정도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점당 매출액 성장지수를 파악(S123)한다. S121 내지 S123에서 파악한 각 성장지수를 토대로 업황 상태 파악부(240)는 강남 지역의 빵집의 성장지수를 파악한다(S124).
이와 동시에 가맹점수 비교부(231)는 평가기준 저장부(264)와 가맹점수 저장부(262)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평가 기준과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토대로 강남 지역에 존재할 것으로 기대되는 빵집의 수 대비 실제 존재하는 빵집의 수를 비교하는 가맹점수 상대지수를 파악(S131)한다. 그리고 점당 매출액 비교부(232)는 전국의 빵집에 대한 평균 매출액 대비 강남 지역의 점당 매출액 수준을 나타내는 점당 매출액 상대지수를 파악(S132)한다. S131과 S132에서 파악한 각 상대 지수를 토대로 업황 상태 파악부(240)는 강남지역 빵집의 상대지수를 파악(S133)한다.
S124와 S133에서 파악한 강남 지역의 빵집의 성장 지수와 상대지수를 토대로 업황 상태 파악부(240)는 강남지역 빵집의 업황 지수를 파악(S140)하고, 업황 평가 제공부(250)는 S140에서 파악한 업황 지수에 해당하는 업체 평가 정보 즉, 업황 평가 정보를 파악하여(S150), 사용자에게 제공(S160)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현황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Claims (11)

  1.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에게 창업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업자가 창업을 원하는 희망 업종에 대한 창업을 희망하는 희망 지역에서의 성장 정도를 파악하여 성장 지수를 출력하는 업체성장 파악부;
    전체 지역에서의 전체 업종 대비 상기 희망 지역에서의 상기 희망 업종의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대 지수를 출력하는 업체성장 비교부;
    상기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를 토대로 업종 현황 지수를 파악하고, 상기 업종 현황 지수에 대한 업황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업황상태 파악부; 및
    상기 생성한 업황 평가 정보를 상기 창업자에게 제공하는 업황평가 제공부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성장 파악부는,
    상기 희망 지역에 위치한 상기 희망 업종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가맹점수 증감 여부를 파악하여 가맹점수 성장지수를 출력하는 가맹점수 성장 파악부;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 상기 희망 지역에서 발생하는 총 매출액의 증감 여부를 파악하여 총 매출액 성장지수를 출력하는 총매출액 성장 파악부; 및
    상기 희망 지역에서 발생한 상기 희망 업종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매출액 증감 여부를 파악하여 점당 매출액 성장 지수를 출력하는 점당 매출액 성장 파악부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성장 비교부는,
    상기 희망 지역의 기준 상권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맹점 수와 비교하여, 상기 희망 지역에 존재하는 희망 업종과 동일한 업종의 가맹점 수를 파악하여 가맹점 수 상대지수를 출력하는 가맹점수 비교부; 및
    상기 희망 업종에 대한 전국 매출액 대비, 상기 희망 지역에서의 매출액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로 부터 점당 매출액 상대 지수를 출력하는 점당 매출액 비교부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업자로부터 상기 희망 지역 및 희망 업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업황 평가 정보를 상기 창업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희망 지역 및 희망 업종에 대한 정 보, 상기 업황 평가 정보 및 사익 업체성장 파악부와 업체성장 비교부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외부로부터 업종별 매출액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매출액 저장부;
    외부로부터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가맹점수 저장부;
    상기 창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업황 평가 정보를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매출액 정보와 전화번호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황 평가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가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평가기준 저장부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종별 매출액 정보는 업종 상호명, 업종 구분 정보, 가맹점의 월간 매출액 및 전체 매출액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 관리정보는 동일한 업종 구분 정보에 따른 지역별 가맹점 수 또는 동일한 지역에 따른 업종 수 및 가맹점 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7.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이 창업을 희망하는 창업자에게 창업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창업을 희망하는 희망 지역 정보 및 희망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수신한 희망 지역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 및 가맹점에 대한 성장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수신한 창업 희망 지역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 및 가맹점에 대한 상대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계산한 성장 지수와 상대 지수를 토대로 업황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업황 지수에 따른 업체 평가 정보를 상기 창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 상기 희망 지역 정보에 따른 지역의 가맹점 수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증가율을 계산하여 가맹점 수 성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기간 동안 가맹점들의 매출액 정보를 이용하여 총 매출액 증가율을 계산하여 총 매출액 성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매출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한 기간 동안 가맹점당 매출액의 증가율을 계산하여 점당 매출액 성장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맹점 수 성장 지수, 총 매출액 성장 지수 및 점당 매출액 성장 지수를 토대로 상기 성장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희망 지역 정보에 따른 지역의 가맹점 수 및 총 매출액 정보를 토대로 가맹점 수 상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업종 평균 대비 점당 매출액을 토대로 점당 매출액 상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맹점 수 상대 지수와 점당 매출액 상대 지수를 토대로 상기 상대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매출액 정보는 카드 업체로부터 창업 희망 지역 내에 위치한 가맹점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증가율은 각각의 가맹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선 전화를 관리하는 관리 업체로부터 수신하는 업종 현황 평가 방법.
KR1020090022698A 2009-03-17 2009-03-17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98A KR101040334B1 (ko) 2009-03-17 2009-03-17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98A KR101040334B1 (ko) 2009-03-17 2009-03-17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39A KR20100104339A (ko) 2010-09-29
KR101040334B1 true KR101040334B1 (ko) 2011-06-10

Family

ID=4300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98A KR101040334B1 (ko) 2009-03-17 2009-03-17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54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창업 플랫폼 기반 클라우드 펀드 연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056A (ko) * 2000-05-19 2000-09-05 김종서 기업가치 평가방법
KR20000058988A (ko) * 2000-07-07 2000-10-05 김흥기 인터넷 상에서의 벤처인큐베이팅 지원 방법
KR20030031946A (ko) * 2003-03-28 2003-04-23 이남희 창업정보제공시스템
KR20080095826A (ko) * 2001-11-26 2008-10-29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056A (ko) * 2000-05-19 2000-09-05 김종서 기업가치 평가방법
KR20000058988A (ko) * 2000-07-07 2000-10-05 김흥기 인터넷 상에서의 벤처인큐베이팅 지원 방법
KR20080095826A (ko) * 2001-11-26 2008-10-29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20030031946A (ko) * 2003-03-28 2003-04-23 이남희 창업정보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54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디지털존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창업 플랫폼 기반 클라우드 펀드 연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39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362B1 (ko) 사업성 평가 및 진단 방법과 그 시스템
US9449281B2 (en)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Bonacchi et al. Customer franchise—A hidden, yet crucial, asset
US78490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dequacy of information retrieving process
KR102019860B1 (ko) 사용자의 네트워크 활동 정보에 기초한 신용 평가 등급 산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45429A (ja) 会話から雑談部分を抽出するための雑談抽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96835A1 (en) Patent scoring and classification
JP5895052B2 (ja) 情報分析システム及び情報分析方法
JP6060298B1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RU2640633C2 (ru) Вычисление вероятности того, что фирма выполняет свои обязательства
JP6069460B1 (ja) 説明変数を選択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40334B1 (ko) 소호 사업의 업종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5220A (ko) 상권 현황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4175A (ko) 구매전환확률 산출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JP2015230594A (ja) 意見活用支援装置、及び意見活用支援方法
KR20090016043A (ko) 마케팅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27273B1 (ko) 미청구공사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평가 장치
KR20200143989A (ko) 고객 문의에 대한 유형 분류에 기초한 담당자 배정 시스템 및 방법
CN111353793A (zh) Crm业务推荐方法及装置
CN114944219A (zh) 基于人工智能的心理量表推荐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2023534475A (ja) 機械学習特徴量推薦
CN113065742A (zh) 小微企业的信用评价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127043A (zh) 信用评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hen Information asymmetry and dynamic sourcing: Evidence from Chinese firms
Ling et al. Factors Affecting Customer Loyalty on Starbucks Malaysia using Binary Logistics and Probit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