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350B1 -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350B1
KR101039350B1 KR1020090074256A KR20090074256A KR101039350B1 KR 101039350 B1 KR101039350 B1 KR 101039350B1 KR 1020090074256 A KR1020090074256 A KR 1020090074256A KR 20090074256 A KR20090074256 A KR 20090074256A KR 101039350 B1 KR101039350 B1 KR 10103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ement
reinforcing rod
profile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647A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파이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프로 filed Critical (주)파이프로
Priority to KR102009007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날개를 형성한 제1, 2보강대가 세로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된 열십자 보강대에 의하여 강하고 견고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공(2)에 열십자 보강대(3)를 성형하는 프로파일(1)을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복층벽 하수관에 있어서,
좌측 중앙에 보강날개(11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1 보강대(11)와; 우측 중앙에 보강날개(12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2 보강대(12)와;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의 보강날개(11a, 12a)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3)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열십자 보강대(10)와; 상기 열십자 보강대(10)가 중공(2)의 중앙에 공급되며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보강 프로파일, 열십자 보강대, 복층벽 하수관

Description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Duplex wall sewer using reinforcement and the 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날개를 형성한 제1, 2보강대가 세로방향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된 열십자 보강대에 의하여 강하고 견고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관은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성형하는 이중벽 하수관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에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3)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프로파일(1)을 공급하여 4개의 중공(2)이 형성되는 복층벽 하수관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복층벽 하수관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십자 보강대를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게 되므로 중공이 있는 내경 부분이 압출되면서 곧바로 냉각되어야 하지만 외부와의 온도편차에 의해 용융된 원료가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하면서 성형상태가 그대로 있도록 냉각하지 못하므로 열십자 형태가 무너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정확하게 열십자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여 더 많은 원료를 제공받아 압출함에도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성이 있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십자 보강대를 중공에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에도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서, 하수관의 사용범위를 더욱 넓히지 못하므로 하수관의 사용범위가 제한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십자 보강대의 열십자 형태가 정확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보강날개를 중앙 좌측으로 형성한 제1 보강대와 보강날개를 중앙 우측으로 형성한 제2 보강대를 독립되게 성형한 후 세로방향의 연결부에서 보강대를 연결하여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함으로써 열십자 보강대가 정확하게 성형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에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하는 프로파일을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이음부재로 연결되는 복층벽 하수관에 있어서,
좌측 중앙에 보강날개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1 보강대와;
우측 중앙에 보강날개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2 보강대와;
상기 제1 보강대와 제2 보강대의 보강날개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부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열십자 보강대와;
상기 열십자 보강대가 중공의 중앙에 공급되며 이음부재로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십자 보강대의 열십자 형태가 정확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보강날개를 중앙 좌측으로 형성하며 세로방향으로 세워지게 성형한 제1 보강대와 보강날개를 중앙 우측으로 형성하며 세로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한 제2 보강대를 독립되게 형성한 후 세로방향의 연결부에서 보강대를 연결하여 열십자 보강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파일의 중공에서 열십자 보강대가 정확하게 세워지도록 공급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십자 보강대의 열십자 형태가 정확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보강날개를 중앙 상측으로 형성하며 가로방향으로 형성한 제1 보강대와 보강 날개를 중앙 하측으로 형성하며 가로방향으로 형성한 제2 보강대를 독립되게 형성한 후 가로방향의 연결부에서 보강대를 연결하여 열십자 보강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파일의 중공에서 열십자 보강대가 정확하게 세워지도록 공급하여 강도를 크게 향상시켜 하수관의 사용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보강대를 연결한 열십자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보강 프로파일의 단면도 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대 압출장치(60)를 통하여 좌측 중앙에 보강날개(11a)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세로방향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제1 보강대(11)를 성형하는 것이다.
보강대 압출장치(60)를 통하여 상기 제1 보강대(11)와 분리되어 함께 성형하고 우측 중앙에 보강날개(12a)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세로방향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제2 보강대(12)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는 보강대 압출장치(60)에서 압출되어 보강대 냉각장치(61)에서 냉각되는 것이며, 분리되어 성형된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세로방향에서 보강날개(11a, 12a)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에서 연결부(13)가 만나면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열십자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3)는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만나는 부분으로 열풍의 공급으로 양쪽에서 눌러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십자 보강대(10)는 연결부(13)에 의하여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만나게 되므로 세로방향이 더 두껍게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십자 보강대(10)를 공급하여 프로파일 성형장치(63)에 의해 성형되는 보강 프로파일(20)의 내부 중공(2)에 위치하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프로파일(20)의 중공(2)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열십자 보강대(10)는 프로파일 냉각장치(64)에서 냉각되어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 프로파일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복층벽 하수관에 대한 일부 단면상태 사시도이다.
보강 프로파일(20)은 압출에 의해 중공(2)을 성형하면서 열십자 보강대(10)를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므로 열십자 보강대(10)가 보강 프로파일(20)의 중공(2)에 정확하게 위치를 잡아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생산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프로파일(20)은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면서 보강 프로파일(20)의 사이에 이음부재 압출장치(65)로부터 이음부재(21)를 공급하여 복층벽 하수관(3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복층벽 하수관(30)은 냉각장치(67)에서 냉각된 후 절단장치(68)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열십자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보강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대 압출장치(60)를 통하여 중앙 상측에 보강날개(41a)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제1 보강대(41)를 성형하는 것이다.
보강대 압출장치(60)를 통하여 상기 제1 보강대(41)와 분리되어 함께 성형하고 중앙 하측에 보강날개(42a)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제2 보강 대(42)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는 보강대 압출장치(60)에서 압출되어 보강대 냉각장치(61)에서 냉각되는 것이며, 분리되어 성형된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가 가로방향에서 보강날개(41a, 42a)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에서 연결부(43)가 만나면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열십자 보강대(4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3)는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가 만나는 부분으로 열풍의 공급으로 양쪽에서 눌러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십자 보강대(40)는 연결부(43)에 의하여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가 만나게 되므로 가로방향이 더 두껍게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십자 보강대(40)를 공급하여 프로파일 성형장치(63)에 의해 성형되는 보강 프로파일(50)의 내부 중공(2)에 위치하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프로파일(50)의 중공(2)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열십자 보강대(40)는 프로파일 냉각장치(64)에서 냉각되어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보강대 압출장치(60)에 수지를 공급하여 용융시켜 중앙 좌측으로 보강날개(11a)가 형성된 제1 보강대(11)와 중앙 우측으로 보강날개(12a)가 형성된 제2 보강대(11)를 각각 압출하여 소정의 형태가 정확하게 압출되도록 하고, 보강대 냉각장치(61)에 공급하여 압출된 형태가 변형되지 않 도록 냉각되어 공급된다.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각각 냉각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에서 세로방향의 연결부(13)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열풍을 공급하여 약간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결부(13)가 서로 만나도록 양쪽에서 눌러 일체형의 열십자 보강대(10)를 성형한다.
열십자 보강대(10)를 프로파일 성형장치(63)에 공급하면 열십자 보강대(10)가 프로파일을 성형하면서 중공(2)에 공급되어 열십자 보강대(10) 일체형의 보강 프로파일(20)을 성형하게 된다.
보강 프로파일(20)을 프로파일 냉각장치(64)에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이음부재 압출장치(65)에서 수지를 용융시켜 압출하여 이음부재(21)를 보강 프로파일(20)의 사이에 공급하여 복층벽 하수관(30)을 성형하는 것이다.
복층벽 하수관(30)은 냉각장치(67)에 공급되어 냉각된 후 절단장치(68)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복층벽 하수관(30)은 중공(2)에 열십자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연결부(13)에서 연결되어 세로방향에서 더 두껍게 공급되므로 내압강도와 외압강도를 더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며, 열십자 보강대(10)가 독립되게 압출되어 성형된 것이므로 열십자 형태가 정확하게 성형되어 제공되므로 강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대 압출장치(60)에 수지를 공급하여 용융시켜 중앙 좌측으로 보강날개(41a)가 형성된 제1 보강대(41)와 중앙 우측으로 보강날개(42a)가 형성된 제2 보강대(41)를 각각 압출하여 소정의 형태가 정확하게 압출되도록 하고, 보강대 냉각장치(61)에 공급하여 압출된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냉각되어 공급된다.
상기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가 각각 냉각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에서 세로방향의 연결부(43)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열풍을 공급하여 약간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결부(43)가 서로 만나도록 양쪽에서 눌러 일체형의 열십자 보강대(40)를 성형한다.
열십자 보강대(40)를 프로파일 성형장치(63)에 공급하면 열십자 보강대(40)가 프로파일을 성형하면서 중공(2)에 공급되어 열십자 보강대(40) 일체형의 보강 프로파일(50)을 성형하게 된다.
보강 프로파일(50)을 프로파일 냉각장치(64)에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이음부재 압출장치(65)에서 수지를 용융시켜 압출하여 이음부재(21)를 보강 프로파일(50)의 사이에 공급하여 복층벽 하수관(50)을 성형하는 것이다.
복층벽 하수관(50)은 냉각장치(67)에 공급되어 냉각된 후 절단장치(68)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날개를 갖는 제1 보강대와 제2 보강대를 각각 독립되게 성형하여 연결부에서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정확한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하고, 상기 열십자 보강대를 프로파일의 중공에 공급하여 중공에서 정확하게 세워지면서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복층벽 하수관의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제1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제2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2c 는 본 발명의 보강대를 연결한 열십자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보강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 프로파일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복층벽 하수관에 대한 일부 단면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복층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제1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제2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c 는 본 발명의 열십자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d 는 본 발명의 보강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파일 2 : 중공
3, 10 : 열십자 보강대 11, 41 : 제1 보강대
11a, 12a, 41a, 42a : 보강날개 12, 42 : 제2 보강대
13, 43 : 연결부 20, 50 : 보강 프로파일
21 : 이음부재 30 : 복층벽 하수관
60 : 보강대 압출장치 61 : 보강대 냉각장치
62 :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 63 : 프로파일 성형장치
64 : 프로파일 냉각장치 65 : 이음부재 압출장치
66 : 와인딩장치 67 : 냉각장치
68 : 절단장치

Claims (5)

  1. 중공(2)에 열십자 보강대(3)를 성형하는 프로파일(1)을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복층벽 하수관에 있어서,
    좌측 중앙에 보강날개(11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1 보강대(11)와;
    우측 중앙에 보강날개(12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2 보강대(12)와;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의 보강날개(11a, 12a)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3)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열십자 보강대(10)와;
    상기 열십자 보강대(10)가 중공(2)의 중앙에 공급되며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2. 중공(2)에 열십자 보강대(3)를 성형하는 프로파일(1)을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복층벽 하수관에 있어서,
    중앙 상측에 보강날개(41a)가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1 보강 대(41)와;
    중앙 하측에 보강날개(42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2 보강대(42)와;
    상기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의 보강날개(41a, 42a)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연결부(43)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열십자 보강대(40)와;
    상기 열십자 보강대(40)가 중공(2)의 중앙에 공급되며 이음부재(21)로 연결되는 보강 프로파일(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3. 중공(2)에 열십자 보강대(3)를 성형하는 프로파일(1)을 압출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이음부재 압출장치(65)에서 공급되는 이음부재(21)로 연결되고, 냉각장치(67)에서 냉각되어 성형되는 복층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좌측 중앙에 보강날개(11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1 보강대(11)와 우측 중앙에 보강날개(12a)가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제2 보강대(12)를 성형하는 보강대 압출장치(60)와;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가 압출되는 것을 냉각시키는 보강대 냉각장치(61)와;
    상기 제1 보강대(11)와 제2 보강대(12)의 보강날개(11a, 12a)가 양쪽으로 돌 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3)에 열풍을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열십자 보강대(1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와;
    상기 열십자 보강대(10)가 중공(2)의 중앙에 공급하여 보강 프로파일(20)을 성형하는 프로파일 성형장치(63)와;
    상기 보강 프로파일(20)을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프로파일 냉각장치(64)와;
    상기 보강 프로파일(20)을 와인딩장치(66)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보강 프로파일(20)의 사이에 이음부재(21)를 공급하는 이음부재 압출장치(65)와;
    상기 보강 프로파일(20)의 사이에 이음부재(21)가 공급되어 복층벽 하수관(30)을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보강대 압출장치(60)는 중앙 상측으로 보강날개(41a)가 형성된 제1 보강대(41)와 중앙 하측으로 보강날개(42a)가 형성된 제2 보강대(42)를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성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열십자 보강대 성형장치(62)는 제1 보강대(41)와 제2 보강대(42)의 보강날개(41a, 42a)가 상측과 하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연결부(43)를 가로방향으로 형 성되도록 열십자 보강대(40)를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20090074256A 2009-08-12 2009-08-12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03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56A KR101039350B1 (ko) 2009-08-12 2009-08-12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56A KR101039350B1 (ko) 2009-08-12 2009-08-12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47A KR20110016647A (ko) 2011-02-18
KR101039350B1 true KR101039350B1 (ko) 2011-06-08

Family

ID=4377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256A KR101039350B1 (ko) 2009-08-12 2009-08-12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3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229B1 (ko) * 2015-11-24 2016-06-28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657959B1 (ko) * 2015-11-24 2016-09-2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657961B1 (ko) * 2015-11-24 2016-09-2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와 그 방법
KR102089038B1 (ko) 2019-11-21 2020-03-13 (주)그린파이프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690A (zh) * 2012-06-28 2012-10-03 马新攀 建材管
CN105972330A (zh) * 2016-07-22 2016-09-28 苏州市同发塑业有限公司 一种磁性定位的塑料管
KR101968558B1 (ko) * 2018-10-05 2019-04-12 황승하 폴리에틸렌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와 방법
KR101968559B1 (ko) * 2018-10-05 2019-04-12 황승하 폴리에틸렌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70Y1 (ko) 2002-08-03 2002-11-13 박장주 보강구조를 갖은 합성수지관
KR20020094970A (ko) * 2001-06-12 2002-12-20 김동환 증기를 토출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0615921B1 (ko) 2005-01-28 2006-08-25 유명상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970A (ko) * 2001-06-12 2002-12-20 김동환 증기를 토출하는 물걸레 청소기
KR200294970Y1 (ko) 2002-08-03 2002-11-13 박장주 보강구조를 갖은 합성수지관
KR100615921B1 (ko) 2005-01-28 2006-08-25 유명상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229B1 (ko) * 2015-11-24 2016-06-28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657959B1 (ko) * 2015-11-24 2016-09-2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657961B1 (ko) * 2015-11-24 2016-09-2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와 그 방법
KR102089038B1 (ko) 2019-11-21 2020-03-13 (주)그린파이프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647A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350B1 (ko)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066958B1 (ko) 보강대를 이용한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007975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906461B1 (ko) 내, 외경과 십자형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CN101925448B (zh) 中空双壁面板及使用该中空双壁面板制造的车辆用内部装饰板
KR101612924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0926540B1 (ko) 내면의 강도 향상형 복층벽 하수관
KR100787208B1 (ko)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0716331U (zh) 一种支撑式立筋缠绕波纹管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23770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KR101007974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247B1 (ko) 차수벽이 설치되는 다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023768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KR101038305B1 (ko) 강성이 향상된 이중벽 하수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29900B1 (ko) 하수관용 프로파일 접합홈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950065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05576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와 그 제조방법
CN104550298A (zh) 用于挤压拉拔圆管的模具
CN105327961B (zh) 一种螺旋锚杆的连接器内螺纹加工方法
KR101118205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816012B1 (ko)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2057857B1 (ko)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0524127B1 (ko) 강도가 향상된 복층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KR100922603B1 (ko) 차수벽을 이용한 강도 향상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