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21B1 -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21B1
KR100615921B1 KR1020050007974A KR20050007974A KR100615921B1 KR 100615921 B1 KR100615921 B1 KR 100615921B1 KR 1020050007974 A KR1020050007974 A KR 1020050007974A KR 20050007974 A KR20050007974 A KR 20050007974A KR 100615921 B1 KR100615921 B1 KR 10061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extruder
extrusion
tub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124A (ko
Inventor
유명상
Original Assignee
유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상 filed Critical 유명상
Priority to KR102005000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5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 B29C48/70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comprising means for dividing, distributing and recombining melt flows
    • B29C48/71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comprising means for dividing, distributing and recombining melt flows for layer multi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 나선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성형관을 압출성형하는 압출다이 및 상기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 의해 성형되는 나선관용 압출성형관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는 코아커버(110)와 연결된 원통형 본체(120)에 코아(13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코아커버(110) 및 본체(120)와 코아(130) 사이에 압출기(170)의 제1Line(171)에서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이송되는 이송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코아(130)의 중심에 압출기(170)의 제2Line(172)과 연결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압출다이, 코아, 성형수지, 섬유재료(장섬유.단섬유), 압출관, 중심보강재, 압출성형관, 파이핑부, 돌기된 보강대

Description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Extrusion die of extrusion molding machine and Extruded pipe for manufacturing a spira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도1은 종래의 압출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를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 의해 압출성형되는 나선관제조용 압출성형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3의 코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6은 다른 예의 코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7은 다른 예의 코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를 확대도시한 상세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중심보강재 압출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나선제조용 압출성형관으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중심보강재 압출관의 배출단부가 코아에 배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110 : 코아커버
120 : 원통형 본체 130 : 코아
150 : 중심보강재 압출관 200 : 나선관제조용 압출성형관
210 : 파이핑부 220 : 돌기된 보강대
230 : 중심보강부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 나선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성형관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상기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 의해 성형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의 내부 중심에 중심보강재 압출관이 배치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상기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 의해 성형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0392235호(2003년 7월 9일 등록)에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는 압출기 본체에 설치되면서 그 중심축선상에 압출기 본체의 압출유로와 연통되는 압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출로에서 그 선단방향으로 다수의 압출공이 방사상으로 분기됨과 아울러 그 선단에 상기 압출공들과 연결되는 링상의 압출홈이 형성되고, 그 선단 중심부에 유체챔버실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챔버실에서 그 외주부로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흡입공이 다수 마련된 노즐 베이스와, 상기 노즐베이스에 볼팅 결합되면서 수지가 유통되도록 코어부재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함과 동시에 코어가 소정 돌출되게 압출공간이 형성된 코아카바와, 상기 코어카바에 볼팅결합되면서 그 중심에 코아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돌출되게 압출공이 마련된 압출카바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를 이용하여 압출성형관을 성형할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성형관(10)의 십자형 보강대(11)의 두께가 중심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2004년 출원번호 55357호로 상기의 단점을 개선하는 발명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아의 내부 중심에 중심보강재 압출관이 배치되어,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십자형 보강대의 두께가 중심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기 제1Line(171)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는 사각형상의 파이핑부를 성형하고 압출기 제2Line(172)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는 중심보강부를 성형하여 상기 파이핑부와 중심보강부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기술적 과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 의해 압출 성형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100)는 코아커버(110)와 연결된 원통형 본체(120)에 코아(13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코아커버(110) 및 본체(120)와 코아(130) 사이에 압출기(170 ; 도2에서 박스형태로 도시함) 제1Line(171)에서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이송되는 이송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코아(130)의 중심에 압출기(170) 제2Line(172)과 연결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배치된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100)를 이용한 나선관제조용 압출성형관(200)의 제조방법은 압출기(170) 제1Line(171)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를 압출다이(100)의 압출구명 (140)을 통과시켜 사각형상의 파이핑부(210)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압출기(175)제2Line(172)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를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을 통과시켜 압출성형관(200)의 중심보강부(230)룰 성형하여 상기 중심보강부(230)와 상기 파이핑부(210)의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중심보강부(230)와 파이핑부(210)의 자체 열로 중심보강부(230)와 파이핑부(210)를 접합시켜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파이핑부(210)에는 내부면에 중심보강부(230)과 접합되는 돌기된 보강대(220)가 코아(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핑부(210)에 돌기된 보강대(220)와 중심보강부(230)는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간극(134)에서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200)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권선되므로서 나선관(250)으로 제조되고, 상기 압출성형관(200) 자체가 나선관(20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3중벽관이 된다. 따라서 상기 나선관(200)은 압출성형관(200)의 도면부호 251이 내벽을 이루고, 도면부호 253은 중심벽을 이루며, 도면부호 255는 외벽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선관(200)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에서 압출성형관을 압출하는 압출공정, 사이징 및 냉각 공정, 상기 압출성형관을 권취기에서 나선형으로 감아 접착수지로 접합하는 권취공정 및 적당한 길이로 나선관을 절단하는 절단공정 순서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의 구성요소와 상기 압출다이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성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코아커버(110)는 본체(120)와 볼트(116)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부(111)와, 상기 플랜지부(111)에서 연장되는 테이퍼부(112)와, 상기 테이퍼부(112)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사각압출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압출부(113)에 형성된 사각형의 압출구명(114)이 형성되어 상기압출구멍(114)에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5)가 배치되면 상기 사각압출부(113)의 내주면과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5)사이에 소정의 간극(T1)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T1)은 도4의 압출관(200)에서 파이핑부(210)의 두께에 해당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본체(120)는 압출기와 연결되는 유입포트(121)가 형성되고, 후단부의 내주면에 나선체결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체결부(122) 다음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스톱퍼 돌기(123)가 형성되고, 선단 플랜지부(124 ; 도3참조)가 연결볼트(116)에 의해 코아커버(110)와 연결된다.
상기 스톱퍼 돌기(123)는 코아(130)에 밀착되어 유입포트(121)로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코아(130)는 원통형 바디(131)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선체결부(132)가 형성되고, 바디(131)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4개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십자형간극(134)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디(131)의 중심에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길이 방향으로 통과되고,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십자형 간극(134)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사각튜브형상부(133)의 안쪽 모서리에 가이드 홈(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아(130)는 원통형 바디(131) 내부의 사각튜브형상부(133)에 형성된 사각구멍(136)과 관통된 사각구멍이 에어 컴프레셔(도시하지 않음)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사각형튜브형상부(133)에 형성된 사각구멍(136)으로 에어가 토출된다. 상기 에어는 성형수지를 냉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압출다이에 의해 압출성형되는 압출성형관(200)에 형성된 사각구멍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때로는 에어콤프레셔를 이용하지 않아도 압출성형관(200)을 성형할 수 있으나 품질 및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어콤프레샤를 사용한다.
도6을 참조하면, 다른 예의 코아(130)는 원통형 바디(131)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선 체결부(132)가 형성되고, 바디(131)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4개의 사각튜브형상부(133 ; 133a, 133b, 133c, 133d)가 간극(134)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각튜브형상부(133a, 133b, 133c, 133d)의 간극(134)을 차단하는 보스(137a, 137b, 137c, 137d)가 각각 사각튜브형상부(133a, 133b, 133c, 133d)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스(137a, 137b, 137c, 137d)에 의해 중심보강재 압출구멍(139)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구멍(139)이 압출기(170) 제2Line에 연결된 파이프와 연결되다.
이것에 의해 압출기(170) 제2Line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가 중심보강재 압출구멍(139)을 통해 압출성형된다.
도7은 코아(130)의 바디(131) 선단에 연장되는 4개의 원통형 상부(133‘)가 간극(134)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상부(133’)의 간극(134)를 차단하는 보스(137a', 137b', 137c', 137d')가 각각 원통형상부와 일체되었다.
도8a 및 도9a는 상기 도7의 코아(130)에 의해 형성된다.
도8a의 중십ㅁ보강재(150)와 도9a의 압출성형관(200)의 단면형상을 변형된 +형상이라 칭한다. 도8b~도8의 중심보강재압출관(150) 단면형상과 도9b~도9f의 압출성형관(200)의 단면형상을 +형,ㅜ형,∧형,-형,|형이라 칭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도6에 도시된 십자가 형상의 단면뿐만 아니라, 도8a~도8f에 도시된 중심보강재 압출관과 도9a~도9f에 도시된 압출성형관(200)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각형으로 변형가능하며, 배출단부(151)가 테이퍼져 있어, 압출기 제2Line(172)에서 상기 중심보강재 압 출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성형수지와 압출기 제1Line(171) 이송통로(140)를 통해 배출되는 성형수지가 서로 잘 접합되도록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압출성형관(200)의 중심보강부(230)의 단면형상이 도2에 도시된 십자형 뿐만 아니라 도9a~도9f에 도시된 것처럼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도2에 배출단부(151)가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단부와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으나,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단부(151)가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배치되거나 배출단부(151)가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단부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성형수지가 PE(폴리에틸렌)일 때와 성형수지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성형수지가 PVC 및 재활용수지일 경우에 따라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의 배출단부(151)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수지에는 섬유재료가 첨가되어 압출성형시 파이핑부와 성형관(200)의 중심보강부(230)의 인장력과 강도를 높이고 성형수지(230)를 빨리 냉각시키는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성형수지(230)를 빨리 냉각시키고 인장력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는 상기 섬유재료(유리섬유)외에도 탈크등 여러 종류의 보강재를 성형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체(120)의 스톱퍼 돌기(123)에 의해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가 정지될 때가지 상기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가 원통형 본체(120)의 나선체결부(122)에 체결되고, 플랜지 너트(160)가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에 체결되어 플랜지 너트(160)가 본체(120)에 밀착됨으로서,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와 본체(120)의 나선체결부(122)의 체결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상기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에 형성된 가이드 홈(135)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사각튜브 형상부(133)의 십자형 간극(134)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코아(130)의 바디(131)의 내부중심에 압출기 제2Line(172)과 연결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120)의 선단 플랜지부(124)와 코아커버(110)의 플랜지부(116)가 연결볼트(116)에 의해 연결됨으로서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상기 코아커버(110)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코아커버(110)의 사각압출부(113)에 형성된 압출구멍(114)에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소정의 간극(T1)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압출기(170) 제1Line(171)을 통해서 바디의 유입포트(121)로 성형수지를 소정의 압력으로 계속해서 주입하면, 상기 성형수지가 이송통로(140)를 따라 이송되어 코아커버(110)의 사각압출부(113)에 형성된 압출구멍(114)을 통해 압출되는 과정에서, 압출구멍(114)과 사각튜브형상부(133) 사이의 간극(T1)으로 압출되는 부분이 압출성형관(200)의 파이핑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튜브형상부(133) 사이의 십자 형 간극(134)으로도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압출성형관(200)의 내부 돌기된 보강대(220)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압출기(170) 제2Line(172)에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으로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압출성형관(200)의 중심보강부(230)를 이루며, 상기 중심보강부(230)가 내부 돌기된 보강대(220)와 자체 열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중심보강부(230)와 내부돌기된 보강대(220)가 일체화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제조방법은 파이핑부와 중심보강부를 압출기에 각각 2개의 Line을 통해 성형함으로서,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중심보강부가 중심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어 중심보강부가 견고하여 압출성형관의 인장과 강도가 크게 향상되고 성형수지에 섬유재료를 첨가하여 인장력과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며 수축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인장, 강도, 수축율을 크게 개선하고 중심보강부가 견고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 코아(130)의 사각형상이 튜브(133)의 간극(134)에 보스가 형성되어 중심보강재 압출관을 형성하고 중심보강부를 성형하는 기술을 얻는 것과, 사각형상의 파이핑부 내주면에 돌기된 보강대(220)를 형성하여 간극에서 중심보강부와 일체로 접합하는 기술을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코아커버(110)와 연결된 원통형 본체(120)에 코아(13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코아커버(110) 및 본체(120)와 코아(130) 사이에 압출기 제1Line(171)에서 공급되는 성형수지가 이송되는 이송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코아(130)의 중심에 압출기 제2Line(172)과 연결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커버(110)는 본체(120)와 볼트(116)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부(111)와, 상기 플랜지부(111)에서 연장되는 테이퍼부(112)와, 상기 테이퍼부(112)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사각압출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사각압출부(113)에 형성된 사각형의 압출구멍(114)이 형성되어 상기 압출구멍(114)에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5)가 배치되면 상기 사각압출부(113)의 내주면과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5)사이에 소정의 간극(T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120)는 압출기 제1Line(171)과 연결되는 유압포트(121)가 형성되고, 후단부의 내주면에 나선체결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체결 부(122) 다음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스톱퍼 돌기(123)가 형성되고, 선단 플랜지부(124)가 연결볼트 (116)에 의해 코아커버(1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130)는 원통형 바디(131)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선체결부(132)가 형성되고, 바디(131)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4개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십자형 간극(134)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디(131)의 중심에 중심보강재압출관(150)이 길이 방향으로 통과되고,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십자형 간극(134)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사각튜브형상부(133)의 안쪽 모서리에 가이드 홈(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130)는 원통형 바디(131)의 후단부외주면에 나선체결부(132)가 형성되고, 바디(131)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4개의 사각튜브형상부(133; 133a, 133b, 133c, 133d)가 간극(134)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각튜브형상부(133a, 133b, 133c, 133d)의 간극(134)을 차단하는 보스(137a, 137b, 137c, 137d)가 각각 사각튜브형상부(133a, 133b, 133c, 133d)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스(137a, 137b, 137c, 137d)에 의해 중심보강재 압출구멍(139)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구멍(139)이 압출기(170) 제2Line(172)에 연결된 파이프와 연결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6. 제 1항에 있어서,
    사각튜브형상부(133; 133a, 133b, 133c)의 형상이 원통형상부(133‘; 133a, 133b, 133c, 133d)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십자가 형상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변형된 +형,⊥형,ㅜ형,∧형,|형,-형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배출단부(151)가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단부와 일치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은 배출단부(151)가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 부(133)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배치되거나,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의 단부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11. 본체(120)의 스톱퍼 돌기(123)에 의해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가 원통형 본체(120)의 나선체결부(122)에 체결되고, 플랜지 너트(160)가 코아(130)의 나선체결부(132)에 체결되어 플랜지 너트(160)가 본체(120)에 밀착되고,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상기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에 형성된 가이드 홈(135)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사각튜브형상부(133)의 십자형간극(134)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코아(130)의 바디(131)의 내부중심에 압출기 제2Line(172)과 연결된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120)의 선단 플랜지부(124)와 코아커버(110)의 플랜지부(116)가 연결볼트(116)에 의해 연결됨으로서,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상기 코아커버(110)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코아커버(110)의 사각압출부(113)에 형성된 압출구멍(114)에 코아(130)의 사각튜브형상부(133)가 소정의 간극(T1)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12. 사각형상의 파이핑부(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돌기된 보강대(22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핑부(210)의 중심에 중심보강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보강부(230)가 자체 열에 의해 돌기된 보강대(220)와 접합되어 일체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부(230)는 단면형상이 +형,변형된+형,⊥,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핑부와 중심보강부(230)의 성형수지에 섬유재료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15. 압출기(170) 제1Line(171)에서 성형되는 성형수지를 압출다이(100)의 압출구멍(140)을 통과시켜 사각형상의 파이핑부(210)와 일체로 파이핑부 내주면에 돌기된 보강대(200)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압출기(170) 제2Line(172)에서 압출되는 성형수지를 중심보강재 압출관(150)을 통과시켜 압출성형관(200)의 중심보강부(230)를 성형하여, 상기 중심보강부(230)가 상기 파이핑부(210)의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중심보강부(230)와 파이핑부(210)의 자체 열로 중심보강부(230)와 파이핑부(210)의 돌기된 보강대(220)를 접합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의 제조방법.
KR1020050007974A 2005-01-28 2005-01-28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KR10061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974A KR100615921B1 (ko) 2005-01-28 2005-01-28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974A KR100615921B1 (ko) 2005-01-28 2005-01-28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24A KR20060087124A (ko) 2006-08-02
KR100615921B1 true KR100615921B1 (ko) 2006-08-25

Family

ID=3717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974A KR100615921B1 (ko) 2005-01-28 2005-01-28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9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50B1 (ko) 2009-08-12 2011-06-08 (주)파이프로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20160047719A (ko) 2014-10-23 2016-05-03 박재순 압출 성형기용 다이스 구조체
KR20160047718A (ko) 2014-10-23 2016-05-03 박재순 압출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58B1 (ko) * 2007-01-11 2008-10-16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복층관용 관로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235B1 (ko) 2000-12-16 2003-07-23 유명상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235B1 (ko) 2000-12-16 2003-07-23 유명상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50B1 (ko) 2009-08-12 2011-06-08 (주)파이프로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20160047719A (ko) 2014-10-23 2016-05-03 박재순 압출 성형기용 다이스 구조체
KR20160047718A (ko) 2014-10-23 2016-05-03 박재순 압출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24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21B1 (ko)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CN108582720B (zh) 一种聚烯烃管道挤出模具
US4045154A (en) Die for extruding large-diameter tubing
KR100484617B1 (ko)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압출성형관의 제조방법
CN108544732B (zh) 带有增强涂层的双壁波纹管及其制造模具
KR200365608Y1 (ko) 합성수지관의 구조
CN116852666A (zh) 一种聚乙烯复合管道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US7316427B2 (en) Hollow plastic product having a connector pipe
US11660798B2 (en) Annular manifold for an extrusion head for producing a tubular moulding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WO2023103109A1 (zh) 一种纤维增强复合管的生产设备
KR101183606B1 (ko) 후렌치 연결구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743217B1 (ko)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
KR20080020828A (ko)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KR20060097430A (ko) 합성수지 사각봉을 이용한 나선형관 및 제조장치
KR100537088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3615A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0278578B1 (ko)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0539181B1 (ko) 합성수지관의 프로파일 제조장치
KR101179205B1 (ko) 연결구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CN218749192U (zh) 一种防积胶挤出模具
KR100766126B1 (ko) 복층벽식 합성수지관용 성형장치 및 그 합성수지관
KR101265770B1 (ko) 후렌치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926438B1 (ko) 수지 나선관
JPH07290559A (ja) 複合材成形用ダ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