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857B1 -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857B1
KR102057857B1 KR1020180137124A KR20180137124A KR102057857B1 KR 102057857 B1 KR102057857 B1 KR 102057857B1 KR 1020180137124 A KR1020180137124 A KR 1020180137124A KR 20180137124 A KR20180137124 A KR 20180137124A KR 102057857 B1 KR102057857 B1 KR 10205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profile
rigid
reinforcing rod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봉
Original Assignee
(주)명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화학 filed Critical (주)명성화학
Priority to KR102018013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에 4개의 중공을 갖는 열십자 형태의 기준 보강대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를 더 형성하여 강성 보강대를 형성하고, 상기 강성 보강대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이 압출되는 과정에서 사면에 연결 보강부를 형성한 후 상기 강성 보강대의 사면과 요철형태로 결합해 연결 보강부가 정확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도록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열십자 보강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보강대를 공급해 성형하되;
사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와; 상기 강성 보강대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을 공급해 사면의 연결 보강부에서 요철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하는 다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대는 사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면 선단의 중앙 보강돌기에 수평면을 형성하며 양쪽의 유지 보강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내경의 사면 중앙에 형성한 연결 돌출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 돌출부의 양쪽으로 연결 경사부가 형성되는 연결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이 강성 보강대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Multiple Wall Sewage Pip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Using Double Cross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에 4개의 중공을 갖는 열십자 형태의 기준 보강대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를 더 형성하여 강성 보강대를 형성하고, 상기 강성 보강대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이 압출되는 과정에서 사면에 연결 보강부를 형성한 후 상기 강성 보강대의 사면과 요철형태로 결합해 연결 보강부가 정확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도록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관은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성형하는 이중벽 하수관과, 중공에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프로파일을 공급하여 4개의 중공이 형성되는 다중벽 하수관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다중벽 하수관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십자 보강대를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게 되므로 중공이 있는 내경 부분이 압출되면서 곧바로 냉각되어야 하지만 외부와의 온도편차에 의해 용융된 원료가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하면서 성형상태가 그대로 있도록 냉각하지 못하므로 열십자 형태가 무너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정확하게 열십자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여 더 많은 원료를 제공받아 압출함에도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성이 있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이중벽 하수관과 다중벽 하수관 중 어느 하나는 중공과 열십자 보강대를 갖는 프로파일을 하나의 금형에서 압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압출하게 되므로 금형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압출되면서 중공과 열십자 보강대를 압출할 때에는 열십자 형태로 똑바르게 압출되지만 용융합성수지가 냉각되기 이전에 중공과 열십자 보강대가 무너지게 되므로 열십자 보강대가 똑바로 세워지지 못하게 되고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지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정상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냉각되어 압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양쪽 측부면이 수직방향으로 압출되면서 냉각된 후 이음부재가 상호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러나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가 공급되어 양쪽 측부면을 접착하게 되지만, 양쪽 측부면은 압출된 후 냉각수가 공냉 또는 수냉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냉각된 이후에 용융상태로 공급되는 이음부재가 양쪽 측부면을 접착하게 되므로 양쪽 측부면에서 접착력이 저하되어 완성된 후 태양에 노출되거나 열팽창계수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보강 연결부재와 양쪽 측부면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하수관으로써의 기능을 상실하는 결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가 양쪽의 프로파일과 결합력이 약화되어 프로파일과 이음부재가 만나는 부분에서 분리현상에 따른 하수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프로파일의 사이에서 이음부재와 결합력이 약화되므로 결과적으로 하수관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프로파일이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굵기에서 지중에 매설된 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올바로 견디지 못하게 되므로 더 많은 원료를 사용하거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특허문헌 1] 특허 등록번호 제0455856호(2004 10 27 등록) [특허문헌 2) 특허 등록번호 제0401169호(2003 09 26 등록) [특허문헌 3] 특허 등록번호 제0740653호(2007 07 11 등록) [특허문헌 4] 특허 등록번호 제0950065호(2010 03 22 등록) [특허문헌 5]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81070호(2006 07 1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프로파일의 내경에 4개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열십자 형태의 강성 보강대가 열십자 형태의 기준 보강대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가 각각 독립되게 압출 공급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이중 구조를 제공하며 사면 선단에서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강성 보강대와 프로파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어 하수관의 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경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열십자 보강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보강대를 공급해 성형하되;
사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와; 상기 강성 보강대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을 공급해 사면의 연결 보강부에서 요철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하는 다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대는 사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면 선단의 중앙 보강돌기에 수평면을 형성하며 양쪽의 유지 보강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내경의 사면 중앙에 형성한 연결 돌출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 돌출부의 양쪽으로 연결 경사부가 형성되는 연결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이 강성 보강대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기준 보강대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므로 어느 한 부분이 변형되지 않고 열십자 형태로 정확하게 성형되도록 하며, 기준 보강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각 방향에 유지 보강대가 독립되게 압출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공급하여 열십자 형태의 강성 보강대를 형성하고, 강성 보강대의 사면이 요철형태로 형성된 후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강성 보강대의 사면 요철형태와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성형되는 효과와, 이로 인하여 요철형태로 안정감 있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의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복층벽 하수관용 프로파일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유지 보강대를 공급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와 유지 보강대를 결합한 상태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를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와 프로파일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확대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프로파일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와 프로파일을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프로파일 연결상태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0 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복층벽 하수관용 프로파일에 대한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열십자 형태의 강성 보강대(10) 외경으로 4개의 중공(21)이 형성되도록 프로파일(20)을 나선형으로 와인딩장치에 공급하면서 프로파일(20)의 사이에 이음부재를 공급해 프로파일(20)이 원통형으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복층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유지 보강대를 공급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와 유지 보강대를 결합한 상태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열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주 얇은 형태의 사면에 보강돌기(11a)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11)는 폴리에틸렌(HDPE)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에틸렌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강도가 더 강한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독립되게 성형되어 압출된 후 곧바로 냉각되어 정확하게 열십자 형태가 형성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11)는 압출된 후 냉각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곧바로 다음 과정인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사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11)가 열십자 형태로 성형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사면에 각각 노출된 부분을 감싸며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ㄴ"형태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독립되게 압출한 후 기준 보강대(11)의 사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강성 보강대(10)는 사면 선단에서 기준 보강대(11)가 수평면(13)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면(13)의 양쪽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의 경사면(14)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강성 보강대(10)는 가로방향에 비해 세로방향이 0.2∼0.5배 이내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세로방향에서 더 강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를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와 프로파일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확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프로파일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열십자 형태의 강성 보강대(10)가 내부의 중공(21)에 성형되어 4개의 중공(21)을 갖도록 성형하는 프로파일(20)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20)은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고 압출되는 과정에서 중공(21)의 사면에 중앙앙으로 연결 돌출부(23)가 돌출되며, 상기 연결 돌출부(23)의 양쪽에서 연결 경사부(24)와 같이 경사지게 연결되어 연결 보강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로파일(2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기준 보강대(11)의 외경으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강성 보강대(10)를 열십자 형태로 성형해 공급하는 과정에서 외경에 성형되는 프로파일(20)을 공급해 강성 보강대(10)의 수평면(13)과 연결 돌출부(23)가 만나고 경사면(14)이 연결 경사부(24)와 요철형태가 되도록 만나면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강성 보강대(10)가 내경에 고정되는 프로파일(20)을 연속해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0)을 성형해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20)의 양쪽 측면으로 이음부재(30)를 용융 폴리에틸렌으로 공급해 원통형의 평활한 다중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와 프로파일을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프로파일 연결상태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돌기(11a)를 사면에 형성하는 기준 보강대(11)의 외측면에는 연속해서 톱니형태로 연결요철(11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보강대(11)의 외측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독립되게 압출하여 상기 톱니형태의 연결요철(11b)과 만나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강성 보강대(10)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각형의 프로파일(20)을 공급해 프로파일(20)의 내경 사면에서 강성 보강대(10)의 사면 선단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프로파일(20)은 양쪽 측부면에 톱니형태의 이음 요철면(31)을 압출 형성하여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20)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30)를 통하여 다중벽 하수관(40)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이음 요철면(31)는 프로파일(20)의 양쪽 측부면에서 기존 수직형태에 비하여 아주 많은 길이를 제공하므로 이음부재(30)와 닿는 길이를 매우 길게 함으로써 상호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다중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0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준 보강대 압출기(55)와 연결되어 폴리에틸렌(HDPE)을 용융시켜 공급되며 사면에 보강돌기(11a)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하도록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52)이 형성된 기중 보강대 압출장치(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50)에 연결되며 기준 보강대(11)를 냉각시켜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에서 냉각된 기준 보강대(11)를 공급받아 안내하는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이 중앙에 열십자로 형성되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의 사면에 각각 독립되게 형성되고 안쪽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 성형부(63)가 형성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압출하도록 유지 보강대 압출기(65)와 연결된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62)을 갖는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11)는 압출된 후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를 거치지않고 곧바로 유지보강대 압출구멍(62)에서 공급되는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사면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에서 공급되는 기준 보강대(11)가 공급되도록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 보강대(11)의 사면으로 공급되어 일체형이 되도록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공급하는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72)에서 기준 보강대(11)와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열십자 형태의 강성 보강대(10)가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의 전방으로 강성 보강대(10)를 공급해 성형상태가 냉각되도록 하는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에서 냉각된 강성 보강대(10)가 공급되는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82)의 외측을 따라 프로파일 압출기(84)에서 폴리에틸렌 수지가 용융되어 공급되면 프로파일(20)이 성형되도록 하는 프로파일 압출구멍(81)이 설치되어 강성 보강대(10)의 수평면(13)과 경사면(14)이 프로파일(20)의 연결 돌출부(23)와 연결 경사부(24)로 이루어진 연결 보강부(22)와 만나면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4개의 중공(21)을 갖는 프로파일(20)이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80)가 설치되는 것이다.
강성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프로파일(20)이 압출되어 프로파일 냉각장치(85)에 공급된 후 냉각되어 와인딩장치(90)에 나선형으로 공급된다.
상기 와인딩장치(90)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20)의 양쪽 측부면에 이음부재 압출기(93)로부터 이음부재(30)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용융되어 공급되면 프로파일(20)의 사이에서 서로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어 다중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다중벽 하수관(40)은 냉각장치(91)를 통하여 냉각된 후 절단장치(92)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과 도 21의 블럭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
폴리에틸렌(HDPE)를 기준 보강대 압출기(55)에서 용융시켜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50)의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52)에서 사면에 보강돌기(11a)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시키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나.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
보강돌기(11a)가 사면으로 형성된 기준 보강대(11)를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에 공급해 열십자 형태로 압출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되어 공급되는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를 수행한 후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를 곧바로 수행함으로써 이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건너띨 수 있도록 하거나,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안내되고, 상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의 사면으로 선단에 경사 성형부(63)가 형성된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62)에 유지 보강대 압출기(65)로부터 폴리에틸렌(LDPE)을 용융시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도록 하는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라.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공급되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의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72)에 외측의 사면에 있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어 일체형으로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마.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
기준 보강대(11)와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성형된 강성 보강대(10)가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에서 냉각되는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80)의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82)으로 강성 보강대(10)가 공급되고 외측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로파일 압출구멍(81)에 프로파일 압출기(84)에서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사면에 연결 돌출부(23)와 연결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연결 보강부(22)를 형성하는 프로파일(20)이 압출되면서 강성 보강대(10)와 프로파일(2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사. 프로파일 냉각단계
프로파일(20)의 내부에 강성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냉각장치(85)에 공급 냉각되는 프로파일 냉각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이다.
아.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
프로파일(10)이 압출되어 냉각된 후 이음부재 압출기(93)에서 양쪽 측부면에 폴리에틸렌이 용융공급되어 이음부재(30)로 연결되어 복층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를 성형하는 것이다.
자, 냉각단계
복층벽 하수관(40)을 공급하며 냉각수를 공급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단계(S90)를 수행하는 것이다.
차. 절단단계
복층벽 하수관(40)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절단장치(99)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절단단계(S100)를 수행하는 것이다.
가.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
폴리에틸렌(HDPE)를 기준 보강대 압출기(55)에서 용융시켜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50)의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52)에서 사면의 보강돌기(11a)에 연결요철(11b)이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시키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나.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
연결요철(11b)을 갖는 보강돌기(11a)가 사면으로 형성된 기준 보강대(11)를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에 공급해 열십자 형태로 압출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되어 공급되는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를 수행한 후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를 곧바로 수행함으로써 이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건너띨 수 있도록 하거나,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안내되고, 상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의 사면으로 선단에 경사 성형부(63)가 형성된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62)에 유지 보강대 압출기(65)로부터 폴리에틸렌(LDPE)을 용융시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도록 하는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라.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공급되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의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72)에 외측의 사면에 있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어 연결요철(11b)과 일체형으로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마.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
기준 보강대(11)와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성형된 강성 보강대(10)가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에서 냉각되는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80)의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82)으로 강성 보강대(10)가 공급되고 외측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로파일 압출구멍(81)에 프로파일 압출기(84)에서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사면에 연결 돌출부(23)와 연결 경사부(24)가 형성된 연결 보강부(22)를 갖고 양쪽 측부면에 이음 요철면(31)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0)이 압출되면서 강성 보강대(10)와 프로파일(2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사. 프로파일 냉각단계
프로파일(20)의 내부에 강성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냉각장치(85)에 공급 냉각되는 프로파일 냉각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이다.
아.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
프로파일(10)이 압출되어 냉각된 후 이음부재 압출기(93)에서 양쪽 측부면에 폴리에틸렌이 용융공급되어 이음부재(30)와 이음 요철면(31)이 연결되어 복층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를 성형하는 것이다.
자, 냉각단계
복층벽 하수관(40)을 공급하며 냉각수를 공급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단계(S90)를 수행하는 것이다.
차. 절단단계
복층벽 하수관(40)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절단장치(99)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절단단계(S100)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내경의 사면에 중공 보강돌기를 갖도록 하고 양쪽 측부면에 형성하는 외측 상향 고정돌기와 외측 하향 고정돌기가 요철형태로 결합되며 상부 결합홈과 하부 결합홈으로 이음부재가 체워져 요철형태로 결합되고 접합 코팅층을 통하여 이음부재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성형된 상태가 분리되지 않은 안전함과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강성 보강대 11 : 기준 보강대
11a : 보강돌기 11b : 연결 요철
12, 12a, 12b, 12c : 유지 보강대 13 : 수평면
14 : 경사면 20 : 프로파일
21 : 중공 22 : 연결 보강부
23 : 연결 돌출부 24 : 연결 경사부
30 : 이음부재 31 : 이음 요철면
40 : 다중벽 하수관 50 :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
51 :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 52 :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
55 : 기준 보강대 압출기 60 :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
61 :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 62 :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
63 : 경사 성형부 65 : 유지 보강대 압출기
70 :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 71 :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
72 :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 75 :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
80 :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
81 : 프로파일 압출구멍 82 :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
84 : 프로파일 압출기 85 : 프로파일 냉각장치
90 : 와인딩장치 91 : 냉각장치
92 : 절단장치

Claims (7)

  1. 내경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열십자 보강대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보강대를 공급해 성형하되;
    사면에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와; 상기 강성 보강대(10)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을 공급해 사면의 연결 보강부에서 요철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하는 다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대(10)는 사면에 보강돌기(11a)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면 선단의 중앙 보강돌기(11a)에 수평면(13)을 형성하며 양쪽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경사면(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내경의 사면 중앙에 형성한 연결 돌출부(23)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 돌출부(23)의 양쪽으로 연결 경사부(24)가 형성되는 연결 보강부(22)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20)이 강성 보강대(10)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대(10)는 사면의 보강돌기(11a)가 연결요철(11b)과 같이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의 사면으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를 공급해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사면 선단의 중앙 보강돌기(11a)에 연결 돌출부(23)가 만나는 수평면(13)을 형성하며 양쪽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경사면(14)으로 형성되어 연결 경사부(24)와 요철형태가 되도록 만나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
  4. 삭제
  5. 삭제
  6. 내경에 열십자 보강대를 성형하는 프로파일을 압출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냉각시킨 후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고 그 사이에 이음부재(30)를 공급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와 프로파일을 공급해 하수관을 성형한 후 냉각단계와 절단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HDPE)를 기준 보강대 압출기(55)에서 용융시켜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50)의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52)에서 사면에 보강돌기(11a)가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시키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 보강돌기(11a)가 사면으로 형성된 기준 보강대(11)를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에 공급해 열십자 형태로 압출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되어 공급되는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80)의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82)으로 강성 보강대(10)가 공급되고 외측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로파일 압출구멍(81)에 프로파일 압출기(84)에서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사면에 연결 돌출부(23)와 연결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연결 보강부(22)를 형성하는 프로파일(20)이 압출되면서 강성 보강대(10)와 프로파일(2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S60); 프로파일(20)의 내부에 강성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냉각장치(85)에 공급 냉각되는 프로파일 냉각단계(S70); 프로파일(10)이 압출되어 냉각된 후 이음부재 압출기(93)에서 양쪽 측부면에 폴리에틸렌이 용융공급되어 이음부재(30)로 연결되어 복층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 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한 후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안내되고, 상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의 사면으로 선단에 경사 성형부(63)가 형성된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62)에 유지 보강대 압출기(65)로부터 폴리에틸렌(LDPE)을 용융시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도록 하는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공급되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의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72)에 외측의 사면에 있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어 일체형으로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S40);
    기준 보강대(11)와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성형된 강성 보강대(10)가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에서 냉각되는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S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7. 내경에 중공을 성형하는 프로파일을 압출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냉각시킨 후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고 그 사이에 이음부재(30)를 공급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와 프로파일을 공급해 하수관을 성형한 후 냉각단계와 절단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HDPE)를 기준 보강대 압출기(55)에서 용융시켜 기준 보강대 압출장치(50)의 기준 보강대 압출구멍(52)에서 사면의 보강돌기(11a)에 연결요철(11b)이 형성되는 기준 보강대(11)를 압출시키는 기준 보강대 압출단계(S10); 연결요철(11b)을 갖는 보강돌기(11a)가 사면으로 형성된 기준 보강대(11)를 기준 보강대 냉각장치(51)에 공급해 열십자 형태로 압출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되어 공급되는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장치(80)의 강성 보강대 안내구멍(82)으로 강성 보강대(10)가 공급되고 외측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로파일 압출구멍(81)에 프로파일 압출기(84)에서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사면에 연결 돌출부(23)와 연결 경사부(24)가 형성된 연결 보강부(22)를 갖고 양쪽 측부면에 이음 요철면(31)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0)이 압출되면서 강성 보강대(10)와 프로파일(2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강성 보강대에 프로파일 성형단계(S60); 프로파일(20)의 내부에 강성 보강대(1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 냉각장치(85)에 공급 냉각되는 프로파일 냉각단계(S70); 프로파일(10)이 압출되어 냉각된 후 이음부재 압출기(93)에서 양쪽 측부면에 폴리에틸렌이 용융공급되어 이음부재(30)와 이음 요철면(31)이 연결되어 복층벽 하수관(40)을 성형하는 와인딩과 이음부재 공급단계(S80); 로 이루어지는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보강대 냉각단계(S20)를 수행한 후 유지 보강대 압출장치(6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안내되고, 상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61)의 사면으로 선단에 경사 성형부(63)가 형성된 유지 보강대 압출구멍(62)에 유지 보강대 압출기(65)로부터 폴리에틸렌(LDPE)을 용융시켜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도록 하는 유지 보강대 압출단계(S30);
    강성 보강대 성형장치(70)의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으로 기준 보강대(11)가 공급되며 기준 보강대 안내구멍(71)의 외측으로 유지 보강대 성형구멍(72)에 외측의 사면에 있던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압출되어 연결요철(11b)과 일체형으로 강성 보강대(10)를 성형하는 강성 보강대 성형단계(S40);
    기준 보강대(11)와 유지 보강대(12, 12a, 12b, 12c)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성형된 강성 보강대(10)가 강성 보강대 냉각장치(75)에서 냉각되는 강성 보강대 냉각단계(S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20180137124A 2018-11-09 2018-11-09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5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24A KR102057857B1 (ko) 2018-11-09 2018-11-09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24A KR102057857B1 (ko) 2018-11-09 2018-11-09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857B1 true KR102057857B1 (ko) 2019-12-23

Family

ID=6905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124A KR102057857B1 (ko) 2018-11-09 2018-11-09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939B1 (ko) * 2008-12-29 2009-12-04 주식회사 세종화학 폴리에틸렌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158278B1 (ko) * 2012-01-04 2012-06-19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다중 복합 충진형 합성수지관
KR101816012B1 (ko) * 2017-05-15 2018-02-21 황승하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939B1 (ko) * 2008-12-29 2009-12-04 주식회사 세종화학 폴리에틸렌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158278B1 (ko) * 2012-01-04 2012-06-19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다중 복합 충진형 합성수지관
KR101816012B1 (ko) * 2017-05-15 2018-02-21 황승하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41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039350B1 (ko) 보강대를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612924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0694802B1 (ko) 원주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킨 사중 복층 하수관
KR101425151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57857B1 (ko)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57858B1 (ko) 이중 열십자 보강대를 이용한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KR101066958B1 (ko) 보강대를 이용한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0725447B1 (ko) 강성을 보강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100926540B1 (ko) 내면의 강도 향상형 복층벽 하수관
KR101627772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KR101791411B1 (ko)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0929900B1 (ko) 하수관용 프로파일 접합홈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966299B1 (ko)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26249B1 (ko) 육각 프로파일을 이용한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39665B1 (ko) 육각 프로파일을 이용한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KR102026246B1 (ko) 육각 프로파일을 이용한 하수관
KR101816009B1 (ko)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38305B1 (ko) 강성이 향상된 이중벽 하수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778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425148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20070102975A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10174863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20040063615A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1181180B1 (ko)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