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411B1 -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411B1
KR101791411B1 KR1020170104185A KR20170104185A KR101791411B1 KR 101791411 B1 KR101791411 B1 KR 101791411B1 KR 1020170104185 A KR1020170104185 A KR 1020170104185A KR 20170104185 A KR20170104185 A KR 20170104185A KR 101791411 B1 KR101791411 B1 KR 10179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profile
groove
reinforcing
ex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민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이프 filed Critical (주)그린파이프
Priority to KR102017010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02
    • B29C47/003
    • B29C47/0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29C53/587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having a non-uniform wall-structure, e.g. with inserts, perforations, locally concentrat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에 관하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의 중심에서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강부재를 먼저 독립되게 압출 성형한 후 보강부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을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하는 상, 하측 부재가 압출에 의해 정확한 성형상태를 이룬 후 상기 보강부재의 사면에서 보강 돌출대 또는 결합 고정대가 사각형의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압출 형태를 정확하게 유지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료를 용융 압출하여 중공(23)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1)을 압출하는 압출 다이스(15)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압출장치(10)와, 상기 프로파일(21)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에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와인딩장치(41)를 설치한 관 성형장치(40)와, 사기 프로파일 사이에 이음부재(23)를 성형하는 노즐대를 갖는 연결몸체(62)를 결합하는 이음노즐(61)로 이루어진 이음 압출장치(60)와, 상기 이음 압출장치(60)의 우측에 커팅장치(80)와 배출장치(95)가 설치되는 다중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는 압출 다이스(15)의 중앙에 중앙돌기(11)를 형성한 원형 압출홈(12)의 사면으로 보강 압출홈(13)을 형성하여 보강부재(26)를 압출 성형한 후,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상측으로 형성한 상측 압출홈(16)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측 결합성형부(11a)를 설치하여 상측 부재(24)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압출홈(17)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하측 결합성형부(12a)를 설치하여 하측 부재(25)를 압출하며,
상기 보강부재(26)가 중앙에 위치하는 보강 압출홈(12)의 사면으로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압출 성형된 후 압출공간(18)에서 만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Rigid reinforced multi-wall sewer pipe and its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에 관하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의 중심에서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강부재를 먼저 독립되게 압출 성형한 후 보강부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을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하는 상, 하측 부재가 압출에 의해 정확한 성형상태를 이룬 후 상기 보강부재의 사면에서 보강 돌출대 또는 결합 고정대가 사각형의 프로파일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압출 형태를 정확하게 유지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하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중 하수관용으로 사용하는 다중벽 하수관(20)의 경우에는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23)과 열십자 보강대(22)를 갖는 프로파일(21)을 다이스에서 성형되도록 압출기에서 폴리에틸렌(HDPE)을 용융시켜 공급한 후 프로파일의 공급과정에서 냉각장치로부터 1차 냉각시켜 와인더 장치에 나사식으로 공급할 때 프로파일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을 용융시킨 연결부재(24)를 노즐에서 공급하여 하수관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이 압출기에서 용융된 후 그대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대로 믹싱되지 않게 되므로 원료가 균일한 상태로 공급되지 못하므로 정확한 프로파일의 형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되며, 사각형의 프로파일로 성형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하나의 중공에 의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사각형의 프로파일 내부에 열십자형의 보강대를 성형하는 압출기 노즐장치는 특허등록번호 제10-0392235호(2003.07. 09. 등록)로 등록된 것으로, 프로파일의 내부에 이중으로 6개의 중공이 형성된 일명 창살형의 프로파일을 성형할 수 있는 압출기 노즐장치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압출기 노즐장치는 압출기의 본체에 직접 연결된 노즐장치와 그 내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강도를 높이려 하고 있으나 압출기에 직접 연결되어 압출되는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창살형의 프로파일을 성형하게 되므로 노즐장치를 통과하면서 압출장치에서 균일하고 정확하게 수지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중공이 제대로 성형되지 못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중공이 6개가 형성되어 배출되므로 내부에서 냉각을 시킨다 하여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고 성형된 상태의 물성이 반고체상태이므로 중공형태가 무너지게 되어 실제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코어에 일정한 수지량이 공급되어야만 중공이 균일하게 성형되는 것이나 코어부재에서 코어의 내부에까지 일정량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중공이 균일하게 성형되지 못하고 내부에 세워지는 보강대의 굵기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세워진 상태가 곧바로 무너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코어가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서 성형할 때 공급되는 폴리에틸렌의 온도에 의하여 코어 전방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되므로 프로파일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굵어지게 되므로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243099호(2001. 8. 4. 등록)는 외부에서 폴리에틸렌이 공급된 후 성형부재의 전방에 형성된 십자형 공간에 공급되는 폴리에틸렌이 균일하게 공급되어야만 하는 것이나, 경사면이 사각 돌출부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십자형 공간에까지 균일한 수지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중공과 보강대가 일정하게 성형되지 못하므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폴리에틸렌을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후 압출된 상태를 곧바로 성형하므로 균일하게 믹싱(교반)되지 못하므로 안정된 물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결점과,
길게 돌출된 사각 돌출부가 계속되는 폴리에틸렌의 열원으로 인하여 전방부가 벌어지므로 프로파일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안으로 오므라들어서 프로파일의 두께가 굵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녹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재생원료를 40∼60%의 범위에서 의무적으로 혼합하는 경우 녹색인증의 획득이 가능하여 다양한 재활용이 적용되고 있으나, 재생원료를 용융 공급하여 프로파일을 성형하는 경우 열십자형 보강대가 성형된 프로파일이 성형된 후 하수관으로 완성되면 굴곡강도가 700 MPa 이내에서 확인되므로 쉽게 변형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며, 종래의 원재료인 폴리에틸렌은 인장강도가 20 MPa 정도 이하에서 유지되므로 고강성의 하수관을 성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1차로 프로파일이 압출된 후 냉각장치를 거치면서 약 50∼75℃의 온도로 냉각되어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냉각된 프로파일의 사이에 180∼210℃의 온도로 용융 성형한 폴리에틸렌이 공급되어 프로파일을 이음 연결하게 되므로 온도의 편차에 의한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하수관으로 성형한 후에는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 또는 온도가 심하게 내려가게 되면 운반과정과 보관 중 또는 조금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열팽창계수에 따른 프로파일과 이음부재의 수축으로 인하여 프로파일의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프로파일이 분리되어 하수관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프로파일의 우측면과 좌측면이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마주보도록 공급하면서 상기 우측면과 좌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압출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프로파일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음부재를 통하여 원통형이 성형된 후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지만, 이미 냉각된 프로파일과 용융상태의 이음부재가 공급되어 프로파일의 사이를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상태를 유지하지만 열팽창계수에 따른 수축과 팽창시 이음 부분에서 분리현상이 발생하는 불량에 의한 누수의 문제점과 이로 인한 씽크홀이 발생하는 문제점 및 중공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성형하게 되므로 원료의 소모량이 너무 많아 중량에 의한 취급의 어려움과 원료의 공급에 비하여 강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508097호(2005. 08. 04.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457327호(2004. 11. 5.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509971호(2005. 08. 17.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 제0243099호(2001. 8. 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하나의 압출장치에서 중앙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원형 보강대의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압출하여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형의 상측 부재와 "┗┛"형의 하측 부재를 분리하여 압출함으로써 내, 외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변형되지 않고 정확하게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강부재의 사면에서 만나며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의 결합홈이 요철형태가 되도록 서로 만나면서 보강부재와 프로파일이 정확한 사각형으로 성형되어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용융 압출하여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압출 다이스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압출장치와, 상기 프로파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에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와인딩장치를 설치한 관 성형장치와, 사기 프로파일 사이에 이음부재를 성형하는 노즐대를 갖는 연결몸체를 결합하는 이음노즐로 이루어진 이음 압출장치와, 상기 이음 압출장치의 우측에 커팅장치와 배출장치가 설치되는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는 압출 다이스의 중앙에 중앙돌기를 형성한 원형 압출홈의 사면으로 보강 압출홈을 형성하여 보강부재를 압출 성형한 후,
상기 압출 다이스의 상측으로 형성한 상측 압출홈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측 결합성형부를 설치하여 상측 부재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 다이스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압출홈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하측 결합성형부를 설치하여 하측 부재를 압출하며,
상기 보강부재가 중앙에 위치하는 보강 압출홈의 사면으로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가 각각 압출 성형된 후 압출공간에서 만나 프로파일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압출장치에서 중앙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원형 보강대의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압출하여 압출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형의 상측 부재와 "┗┛"형의 하측 부재를 분리하여 압출함으로써 내, 외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변형되지 않고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냉각되므로 보강부재와 프로파일이 변형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형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사면에서 요철형태로 만나 결합하며,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가 분리되어 압출에 의해 냉각된 후 보강부재의 양쪽에서 결합홈이 요철형태가 되도록 서로 만나 일체형으로 결합되면서 정확한 사각형의 프로파일이 성형되어 견고한 상태의 다중벽 하수관을 성형함으로써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하수관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다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다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3 은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7 은 종래 다중벽 하수관에 대한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하수관 성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 성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팅장치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중벽 하수관(20)의 프로파일(21)을 이루는 합성수지 원료를 190∼210℃로 가열 용융시켜 공급하며 중앙 관통구멍(27a)이 형성된 원형 보강대(27)의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28)가 돌출되는 보강부재(26)와,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를 각각 분리하여 독립되게 성형한 후 보강부재(26)의 사면으로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서로 만나서 중공(23)이 형성된 일체형의 프로파일(21)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 다이스(15)가 연결된 프로파일 압출장치(10)를 설치한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전방에는 프로파일(21)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 다이스(15)에서 공급되는 프로파일(21)을 냉각수로 냉각하도록 냉각장치(30)를 설치한다.
상기 냉각장치(30)의 전방에는 냉각된 프로파일(21)이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공급되는 로울러(42)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와인더장치(41)가 설치되고, 상기 와인더장치(41)의 외측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프로파일(21)이 진입하는 위치와 간격을 제어하는 위치 조절대(43)가 설치되며, 상기 프로파일(21)의 사이에 공급되는 이음부재(23) 상측 선단을 눌러 표면이 균일하게 성형되는 마감 로울러(44)로 이루어진 관 성형장치(40)를 설치한다.
상기 관 성형장치(4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방에서 하측 방향으로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이음부재(21a)를 압출하는 이음노즐(61)이 형성된 이음 압출장치(60)를 설치한다.
상기 관 성형장치(40)의 전방에는 다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면서 회전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대(81)가 설치되고, 절단모터(82)와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다중벽 하수관(20)을 일정한 길이(약 69미터)로 절단하는 절단날(83)로 이루어진 커팅장치(8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커팅장치(80)의 전방에는 다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커팅장치(80)에서 절단되며 이를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장치(95)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다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스(15)는 원형의 중앙돌기(11) 외측에 원형 압출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압출홈(12)의 사방향으로 보강 압출홈(13)이 형성되어 보강부재(26)를 압출하고,
상기 보강부재(26)를 압출하는 전방의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상측에 상측 압출홈(16)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압출홈(16)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결합 성형부(16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하측에 하측 압출홈(17)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압출홈(17)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결합 성형부(17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상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상측 절곡돌기(2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내부에 상측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 결합홈(24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하측 절곡돌기(25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내부에 하측홈(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 결합홈(25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돌출대(28)가 압출되어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되며 상부 부재(24)와 하부 부재(25)도 독립되게 압출되어 성형되면서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된 후 압출공간(18)에서 보강부재(26)의 사면에 있는 보강 돌출대(28)와 결합 고정홈(29)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 것으로,
보강 돌출대(28)의 상측이 상부 부재(24)의 내부에서 만나게 되고, 보강 돌출대(28)의 하측이 하부 부재(25)의 내부에서 만나게 되며, 보강 돌출대(28)의 양쪽이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에서 결합 고정홈(29)과 요철형태로 만나서 일체형으로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다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다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스(15)는 원형의 중앙돌기(11) 외측에 원형 압출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압출홈(12)의 사방향으로 보강 압출홈(12)이 형성되어 보강부재(26)를 압출하고,
상기 보강부재(26)를 압출하는 전방의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상측에 상측 압출홈(16)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압출홈(16)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결합 성형부(16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하측에 하측 압출홈(17)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압출홈(17)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결합 성형부(17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상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상측 절곡돌기(2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내부에 상측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 결합홈(24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하측 절곡돌기(25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내부에 하측홈(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 결합홈(25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26)는 사면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대(28)의 선단에 결합 고정대(29a)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돌출대(28)가 압출되어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되고 상부 부재(24)와 하부 부재(25)도 독립되게 압출되어 성형되면서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된 후 압출공간(18)에서 보강부재(26)의 사면에 있는 결합 고정대(29a)와 서로 만나게 되는 것으로,
결합 고정대(29a)의 상측이 상부 부재(24)의 내부에서 만나게 되고, 결합 고정대(29a)의 하측이 하부 부재(25)의 내부에서 만나게 되며, 결합 고정대(29a)의 양쪽이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에서 요철형태로 만나는 부분에서 만나서 일체형으로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다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상측에 상측 압출홈(16)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압출홈(16)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결합 성형부(16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하측에 하측 압출홈(17)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압출홈(17)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결합 성형부(17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상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상측 절곡돌기(2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내부에 상측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 결합홈(24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압출홈(17)에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하측 절곡돌기(25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내부에 하측홈(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 결합홈(25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독립되게 압출되어 성형되면서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된 후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의 상측 결합홈(24c)와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만나서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이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이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는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상측에 상측 압출홈(16)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압출홈(16)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결합 성형부(16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다이스(15)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등분되어 하측에 하측 압출홈(17)이 가로방향에 일자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압출홈(17)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결합 성형부(17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다이스(15)는 상측 압출홈(16)과 하측 압출홈(17)의 전방에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압출된 후 상측결합 성형부(16a)와 하측결합 성형부(17a)가 서로 만나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되는 외경의 전체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폴리에틸렌이 용융 공급되는 전체 코팅홈(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의 상측 압출홈(16)에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상측 절곡돌기(2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내부에 상측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 결합홈(24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압출홈(17)에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는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하측 절곡돌기(25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내부에 하측홈(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 결합홈(25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독립되게 압출되어 성형되면서 성형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된 후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의 상측 결합홈(24c)와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만나서 사각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전체 코팅홈(13)으로 용융 폴리에틸렌이 공급되어 전체 코팅부재(26)가 코팅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전체 코팅부재(26)가 코팅된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공급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음부재(23)로 공급하여 이중벽 하수관(20)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합성수지 원료를 프로파일 압출장치(10)에 펠릿 상태로 공급한 후 180∼210℃의 온도로 용융 가열하여 압출 다이스(15)의 중앙에 있는 원형 압출홈(12)과 보강 압출홈(13) 및 압출 다이스(15)의 상측과 하측에 있는 상측 압출홈(16)과 하측 압출홈(17)으로 공급하는 원료혼합 압출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원료혼합 압출단계(S10)는 폴리에틸렌을 주 원료로 정상적인 용융 혼련을 위한 다양한 첨가제, 열가소제, 열안정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가 용융 공급되면 원형 압출홈(12)에서 중앙 관통구멍(27a)이 형성되는 원형 보강대(27)가 형성되고, 보강 압출홈(13)에서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28)가 형성되는 보강부재(26)로 압출되는 보강부재 압출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26)는 원형 보강대(27)의 사방향으로 보강 돌출대(28)가 일체형으로 압출되고 외경에는 어떠한 형상도 압출되지 않아서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며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원료가 용융 공급되면 상측 압출홈(16)과 상측 결합성형부(16a)에서 상측 절곡돌기(24a)가 형성되고 하측 선단으로 상측 결합홈(24a)이 성형되는 상측 부재(24)가 압출되며, 하측 압출홈(17)과 하측 결합성형부(17a)에서 하측 절곡돌기(25a)가 형성되고 상측 선단으로 하측 결합홈(25a)이 형성되는 하측 부재(25)가 압출되는 상측부재와 하측부재 압출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는 상측 압출홈(16)과 하측 압출홈(17)에서 각각 분리되어 용융상태가 압출되므로 모든 방향에서 노출이 가능하므로 압출상태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성형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26)가 중앙으로 공급되고,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압출되며 상측홈(24b)과 하측홈(25b)의 압출상태가 변형되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된 후, 전방에서 보강 돌출대(28)의 상측과 하측이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의 내부 중앙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만나면서 보강 돌출대(28)의 양쪽이 결합되어 일체형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는 프로파일 결합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26)가 압출되며 냉각되어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때,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압출되어 냉각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보강부재(26)의 외측으로 "┏┓"형으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의 상측 결합홈(24c)과 "┗┛"형으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가 공급되므로 보강 돌출대(28)의 상측과 하측이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의 내부 중앙에서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보강 돌출대(28)의 양쪽에서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일체형의 프로파일(21)을 성형하게 되므로 결합된 프로파일(21)은 압출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며 변형되지 않고 성형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은 압출상태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된 후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안정된 성형상태를 통하여 압력이나 토압에 견디는 강성이 종래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고, 다양한 위치를 시험하는 경우에도 위치마다 편차가 거의 없이 일정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전방의 냉각장치(3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접촉되어 압출된 상태가 그대로 냉각되는 1차 냉각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1차 냉각단계(S50)를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파일(21)은 냉각되어 관 성형장치(40)의 전방에 설치된 다수의 로울러(42)로 이루어진 와인딩장치(41)의 외경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 와인딩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와인딩장치(41)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21)의 사이에는 이음부재(21a)를 공급하여 프로파일(21)의 사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이음부재 공급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 공급단계(S70)는 이음 압출장치(60)에서 180∼210℃의 온도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이 이음노즐(61)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21a)는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이음부재(21a)의 하측 선단은 로울러(42)에 의하여 내측면의 일부가 감싸지도록 평활하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 공급단계(S70)를 통하여 이음부재(21a)가 공급되어 성형된 다중벽 하수관(20)의 내경과 외경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도록 하는 2차 냉각단계(S8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다중벽 하수관(20)이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과정에서 커팅장치(80)의 가이드대(81)가 양쪽에 설치되어 다중벽 하수관(20)이 회전하면서 생산되는 것을 안내하며, 절단 모터(82)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절단날(83)이 다중벽 하수관(20)을 일정한 길이에서 절단하는 절단단계(S9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다중벽 하수관(20)이 절단된 후에는 커팅장치(80)의 전방에 설치한 배출장치(95)에 안내되어 공급되고 필요한 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단계(S100)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 내지 도 14와 도 15 및 도 16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합성수지 원료를 프로파일 압출장치(10)에 펠릿 상태로 공급한 후 180∼210℃의 온도로 용융 가열하여 압출 다이스(15)의 상측 압출홈(16)과 하측 압출홈(17)으로 공급하는 원료혼합 압출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원료혼합 압출단계(S10)는 폴리에틸렌을 주 원료로 정상적인 용융 혼련을 위한 다양한 첨가제, 열가소제, 열안정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가 용융 공급되면 상측 압출홈(16)과 상측 결합성형부(16a)에서 상측 절곡돌기(24a)가 형성되고 하측 선단으로 상측 결합홈(24a)이 성형되는 상측 부재(24)가 압출되며, 하측 압출홈(17)과 하측 결합성형부(17a)에서 하측 절곡돌기(25a)가 형성되고 상측 선단으로 하측 결합홈(25a)이 형성되는 하측 부재(25)가 압출되는 상측부재와 하측부재 압출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는 상측 압출홈(16)과 하측 압출홈(17)에서 각각 분리되어 용융상태가 압출되므로 모든 방향에서 노출이 가능하므로 압출상태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압출상태가 정확하게 성형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압출되며 상측홈(24b)과 하측홈(25b)의 압출상태가 변형되지 않고 정확하게 성형되고, 전방에서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만나면서 일체형의 프로파일이 성형되는 프로파일 결합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압출되어 냉각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형으로 압출되는 상측 부재(24)의 상측 결합홈(24c)과 "┗┛"형으로 압출되는 하측 부재(25)의 하측 결합홈(25c)이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일체형의 프로파일(21)을 성형하게 되므로 결합된 프로파일(21)은 압출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며 변형되지 않고 성형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은 압출상태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된 후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안정된 성형상태를 통하여 압력이나 토압에 견디는 강성이 종래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고, 다양한 위치를 시험하는 경우에도 위치마다 편차가 거의 없이 일정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이 성형된 후 전방의 냉각장치(3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접촉되어 압출된 상태가 그대로 냉각되는 1차 냉각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1차 냉각단계(S40)를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파일(21)은 냉각되어 관 성형장치(40)의 전방에 설치된 다수의 로울러(42)로 이루어진 와인딩장치(41)의 외경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 와인딩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와인딩장치(41)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21)의 사이에는 이음부재(23)를 공급하여 프로파일(21)의 사이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이음부재 공급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 공급단계(S60)는 이음 압출장치(60)에서 180∼210℃의 온도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이 이음노즐(61)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23)는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이음부재(23)의 하측 선단은 로울러(42)에 의하여 내측면의 일부가 감싸지도록 평활하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 공급단계(S60)를 통하여 이음부재(23)가 공급되어 성형된 이중벽 하수관(20)의 내경과 외경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도록 하는 2차 냉각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벽 하수관(20)이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과정에서 커팅장치(80)의 가이드대(81)가 양쪽에 설치되어 이중벽 하수관(20)이 회전하면서 생산되는 것을 안내하며, 절단 모터(82)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절단날(83)이 하수관(20)을 일정한 길이에서 절단하는 절단단계(S8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벽 하수관(20)이 절단된 후에는 커팅장치(80)의 전방에 설치한 배출장치(95)에 안내되어 공급되고 필요한 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단계(S9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결합단계(S30)와 1차 냉각단계(S40)의 사이에는 압출 다이스(15)의 전체 코팅홈(13)에 프로파일(21)이 공급될 때 외경 전체면에 전체 코팅부재(21c)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전체 코팅부재 압출단계(S35)를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체 코팅부재(26)는 프로파일(21)의 외경 전체면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함으로써 상측 결합홈(24c)과 하측 결합홈(25c)이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비롯한 전체면을 코팅하여 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는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독립되게 압출하여 공급하고, 프로파일의 상측과 하측을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로 분할하여 압출한 후 중앙에 상기 보강부재가 위치하며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프로파일을 성형한 상태로 공급하게 되므로 보강부재와 프로파일이 성형된 상태에서 정확한 압출 성형상태를 유지하여 다중벽 하수관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프로파일 압출장치 11 : 중앙돌기
12 : 원형 압출홈 13 : 보강 압출홈
15 : 압출 다이스 16 : 상측 압출홈
16a : 상측 결합성형부 17 : 하측 압출홈
17a : 하측 결합성형부 18 : 압출공간
19 : 프로파일 성형대 20 : 다중벽 하수관
21 : 프로파일 21a : 이음부재
21b : 전체 코팅홈 21c : 전체 코팅부재
22 : 열십자 보강대 23 : 중공
24 : 상측 부재 24a : 상측 절곡돌기
24b : 상측홈 24c : 상측 결합홈
25 : 하측 부재 25a : 하측 절곡돌기
25b : 하측홈 25c : 하측 결합홈
26 : 보강부재 27 : 원형 보강대
27a : 중앙 관통구멍 28 : 보강 돌출대
29 : 결합 고정홈 29a : 결합 고정대
30 : 냉각장치 40 : 관 성형장치
41 : 와인딩장치 42 : 로울러
43 : 위치 조절대 44 : 마감 로울러
60 : 이음 압출장치 61 : 이음노즐
80 : 커팅장치 81 : 가이드대
82 : 절단 모터 83 : 절단날
95 : 배출장치

Claims (6)

  1. 사 방향에 중공이 형성되는 보강대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의 우측면과 좌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간격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다중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중앙 관통구멍(27a)이 중앙에 형성된 원형 보강대(27)의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28)가 돌출되며 상기 보강 돌출대(28)가 결합 고정홈(29)에서 프로파일(21)의 내부 사면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보강부재(26)와;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상측 절곡돌기(24a)가 돌출되며,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내부에 상측홈(24b)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곡돌기(24a)의 양쪽에서 하측 선단에 상측 결합홈(24a)이 형성되는 상측 부재(24)와;
    상기 상측 부재(24)와 결합하고 가로방향에 일자형으로 형성된 후 양쪽에서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하측 절곡돌기(25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내부에 하측홈(25b)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돌기(25a)의 양쪽에서 상측 선단에 하측 결합홈(25a)이 형성되는 하측 부재(25)와;
    상기 보강부재(26)가 중앙에 위치하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보강부재(26)의 보강 돌출대(28)와 결합하여 내경에 중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
  2. 원료를 용융 압출하여 중공(23)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1)을 압출하는 압출 다이스(15)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압출장치(10)와, 상기 프로파일(21)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에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와인딩장치(41)를 설치한 관 성형장치(40)와, 사기 프로파일 사이에 이음부재(23)를 성형하는 노즐대를 갖는 연결몸체(62)를 결합하는 이음노즐(61)로 이루어진 이음 압출장치(60)와, 상기 이음 압출장치(60)의 우측에 커팅장치(80)와 배출장치(95)가 설치되는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는 압출 다이스(15)의 중앙에 중앙돌기(11)를 형성한 원형 압출홈(12)의 사면으로 보강 압출홈(13)을 형성하여 보강부재(26)를 압출 성형한 후,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상측으로 형성한 상측 압출홈(16)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측 결합성형부(11a)를 설치하여 상측 부재(24)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압출홈(17)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하측 결합성형부(12a)를 설치하여 하측 부재(25)를 압출하며,
    상기 보강부재(26)가 중앙에 위치하는 보강 압출홈(12)의 사면으로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압출 성형된 후 압출공간(18)에서 만나 프로파일(21)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6)를 압출하는 압출 다이스(15)는 중앙 관통구멍(27a)의 외측으로 원형 보강대(27)를 압출하는 원형 압출홈(12)의 사면으로 보강 돌출대(28)를 압출하는 보강 압출홈(13)의 선단에 결합 고정대(29a)가 압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압출홈(16)이 "┏┓"형으로 하측 압출홈(17)이 "┗┛"형으로 압출 다이스(15)의 상측과 하측에 독립되게 형성되어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를 압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는 압출 다이스(15)의 상측으로 "┏┓"형이 되도록 형성한 상측 압출홈(16)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형이 되도록 상측 결합성형부(16a)를 설치하여 상측 부재(24)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압출홈(17)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하측 결합성형부(17a)를 설치하여 하측 부재(25)를 압출하며,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압출 성형된 후 만나서 프로파일(21)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10)는 압출 다이스(15)의 상측으로 형성한 상측 압출홈(16)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측 결합성형부(16a)를 설치하여 상측 부재(24)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 다이스(15)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압출홈(17)의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하측 결합성형부(17a)를 설치하여 하측 부재(25)를 압출하며,
    상기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가 각각 압출 성형된 후 상측 결합성형부(16a)와 하측 결합성형부(17a)가 서로 결합된 후 상측 부재(24)와 하측 부재(25)의 전체면에 전체 코팅부재(21c)를 코팅하는 전체 코팅홈(13)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KR1020170104185A 2017-08-17 2017-08-17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79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85A KR101791411B1 (ko) 2017-08-17 2017-08-17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85A KR101791411B1 (ko) 2017-08-17 2017-08-17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411B1 true KR101791411B1 (ko) 2017-11-20

Family

ID=6080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85A KR101791411B1 (ko) 2017-08-17 2017-08-17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48B1 (ko) * 2018-12-31 2020-01-15 김시우 나선관용 프로파일 및 그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제조방법
KR102089038B1 (ko) * 2019-11-21 2020-03-13 (주)그린파이프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03B1 (ko) 2004-08-31 2006-12-26 (주) 대경프라스틱 다중 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007975B1 (ko) 2010-05-11 2011-01-14 유옥수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705573B1 (ko) 2016-06-09 2017-02-1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03B1 (ko) 2004-08-31 2006-12-26 (주) 대경프라스틱 다중 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007975B1 (ko) 2010-05-11 2011-01-14 유옥수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705573B1 (ko) 2016-06-09 2017-02-10 (주) 대현테크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48B1 (ko) * 2018-12-31 2020-01-15 김시우 나선관용 프로파일 및 그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제조방법
KR102089038B1 (ko) * 2019-11-21 2020-03-13 (주)그린파이프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29B1 (ko)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0508097B1 (ko) 합성수지관용 프로파일의 성형방법 및 그 압출장치
KR101855810B1 (ko)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
KR100929939B1 (ko) 폴리에틸렌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791411B1 (ko)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705573B1 (ko)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0661103B1 (ko) 다중 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816009B1 (ko)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16012B1 (ko) 프로파일을 분리 압출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양쪽 측부면에서 결합력을 제공하는 강성 보강형 복층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791413B1 (ko)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705574B1 (ko)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705571B1 (ko)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의 성형장치
KR101570196B1 (ko) 친환경 녹색성으로 제조된 고강성 하수관과 그 장치 및 방법
KR101794074B1 (ko) 강성 보강용 피복형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05568B1 (ko) 원료 절약과 강성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08244B1 (ko) 차수벽이 설치되는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705567B1 (ko)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KR101808247B1 (ko) 차수벽이 설치되는 다중벽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547599B1 (ko) 친환경 녹색성으로 제조된 고강성 하수관을 연결하여 수밀과 강성을 향상시킨 연결구와 그 제조방법
KR102089038B1 (ko)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8305B1 (ko) 강성이 향상된 이중벽 하수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5809B1 (ko) 강성 보강형 이중 다중벽 하수관
KR101657959B1 (ko)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0478719B1 (ko) 고강성 다공 복층관의 제조방법
KR101657961B1 (ko) 원료 절약형 다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