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695B1 -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8695B1 KR101038695B1 KR1020090071988A KR20090071988A KR101038695B1 KR 101038695 B1 KR101038695 B1 KR 101038695B1 KR 1020090071988 A KR1020090071988 A KR 1020090071988A KR 20090071988 A KR20090071988 A KR 20090071988A KR 101038695 B1 KR101038695 B1 KR 101038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hange amount
- section
- unit
- imag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상황과 관계없이, 복수의 화상 중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화상군을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간 지정부(222)가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군이 존재하는 시계열에 있어서, 운동 구간 D와 비운동구간 D'를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운동 구간 D가 지정될 때마다, 값 결정부(223)가,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을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a로서 결정하고, 비운동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을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b로서 결정한다. 또한, 운동 구간 D가 지정될 때마다, 임계값 a, b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괴리도 J가 괴리도 산출부(224)에 의해 산출된다. 그리고, 괴리도 J가 최소로 될 때 지정되어 있던(지정된) 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프레임 화상만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화상 중에서 일부 화상을 추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 중에서,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화상을 추출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 특허 2008-78837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는, 연사(連寫) 촬영으로 얻은 복수의 화상을 시계열적 순서대로 읽어내고, 금회(今回)에 읽어낸 화상에 앞서 전회(前回)에 읽어낸 화상으로부터의 변화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금회에 읽어낸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피사체의 변화가 크며,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장면에 대응하는 화상만이 추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 사이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화상을 무조건 추출하므로 촬영 상황이 변화된 경우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화상군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정지하고 있어도, 손떨림이나 형광등의 플리커(flicker)가 생기면, 화상 사이의 변화량이 커진다. 이 경우, 전술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피사체 자체는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움직임이 크다고 판단하여 화상을 추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영 상황과 관계없이, 복수의 화상 중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일부 화상을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와, 시계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모두가 존재하는 전체 구간에 포함되는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차례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구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구간인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는 구간 지정부와,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각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 의 제1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상기 제2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2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값을 결정하는 값 결정부와, 상기 제1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각각의 상기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값과의 제1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2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상기 각 제2 변화량과 상기 제2 값과의 제2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는 괴리도 산출부와, 산출된 각각의 제1 괴리도와 각각의 제2 괴리도와의 총합계가 최소로 될 때, 그 때 상기 구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제1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할 화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개수 설정부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와,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 중에서 상기 추출 개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변화량보다 작은 각각의 변화량을 차례로 특정해나가는 변화량 특정부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각각의 변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화상을 삭제하는 화상 삭제부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지 않았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 상기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인 접하는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 시계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모두가 존재하는 전체 구간에 포함되는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구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구간인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는 구간 지정부,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각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 제1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상기 제2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2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값을 결정하는 값 결정부, 상기 제1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상기 각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값과의 제1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2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상기 각 제2 변화량과 상기 제2 값과의 제2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는 괴리도 산출부, 산출된 각각의 제1 괴리도와 제2 계리도와의 총합계가 최소로 될 때, 그 때 상기 구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제1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할 화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개수 설정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 중, 상기 추출 개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변화량보다 작은 각각의 변화량을 차례로 특 정해나가는 변화량 특정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각 변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화상을 삭제하는 화상 삭제부,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지 않았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상황과 관계없이, 복수의 화상 중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화상군을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처리 장치(10O)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광학 렌즈 장치(1), 셔터 장치(2), 액츄에이터(3), CMOS 센서(4), AFE(5), TG(6), DRAM(7), DSP(8), CPU(9), RAM(10), ROM(11), 액정 표시 컨트롤러(12), 액정 디스플레이(13), 조작부(14) 및 메모리 카드(15)를 구비한다.
광학 렌즈 장치(1)는,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피사체상(被寫體像)을 CMOS 센서(4)의 수광 면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이다.
셔터 장치(2)는, CMOS 센서(4)에 입사하는 광속을 차단하는 기계식 셔터로서 기능하며, CMOS 센서(4)로 입사하는 광속의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로서도 기능한다. 셔터 장치(2)는 셔터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액츄에이터(3)는, CPU(9)에 의한 제어에 따라, 셔터 장치(2)의 셔터 블레이드를 개폐시킨다.
CMOS 센서(4)는, 광학 렌즈 장치(1)로부터 입사된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CMOS 센서(4)는, TG(6)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펄스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여 화상 신호를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차례로 출력한다. CMOS 센서(4)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AFE(Analog Front End)(5)는, TG(6)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펄스에 따라, CMOS 센서(4)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에 대해,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G(Timing Generator)(6)는, CPU(9)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클록 펄스를 CMOS 센서(4)와 AFE(5)에 각각 공급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7)은, AFE(5)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신호나, DSP(8)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8)는, CPU(9)에 의한 제어에 따라, DRAM(7)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γ 보정 처리, YC 변환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프레임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화상을 프레임 화상이라 하기로 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9)는, 화상 처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0)은, CPU(9)가 각각의 처리를 실행할 때 워킹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ROM(Read Only Memory)(11)은, 화상 처리 장치(100)가 각각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CPU(9)는, RAM(10)을 워킹 영역으로 하여 ROM(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 각각의 처리를 실행한다.
액정 표시 컨트롤러(12)는, CPU(9)에 의한 제어에 따라, DRAM(7)이나 메모리 카드(15)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액정 디스플레이(13)는, 액정 표시 컨트롤러(12)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화상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14)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버튼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조작부(14)는, 전원 버튼, 십자 버튼, 결정 버튼, 메뉴 버튼, 셔터 버튼 등을 구비한다. 조작부(14)는, 사용자로부터 받아들인 각종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CPU(9)에 공급한다. CPU(9)는, 조작부(14)로부터 이들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 카드(15)는 DSP(8)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입력부(210), 화상 처리 부(220), 조작 접수부(230), 표시부(240), 기록부(250) 및 제어부(260)를 구비하는 것이 상정(想定)된다.
화상 입력부(210)는, 제어부(2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들 복수의 프레임 화상 데이터에 의해 각각 표현되는 프레임 화상은 시계열적으로 연속되어 있다. 화상 입력부(210)는, 도 1에 나타낸 광학 렌즈 장치(1), 셔터 장치(2), 액츄에이터(3), CMOS 센서(4), AFE(5), TG(6), DRAM(7) 및 DSP(8)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220)는, 제어부(2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후술하는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나 화상 추출 처리 등을 실행한다. 화상 처리부(220)는,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 구간 지정부(222), 값 결정부(223), 괴리도 산출부(224) 및 화상 추출부(225)를 구비한다.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는,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예를 들면, 화소값의 차이의 총합계)을 각각 산출한다.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구간 지정부(222)는,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 모두가 존재하는 시계열상의 전체 구간에서, 소정의 운동 구간 D(제1 구간)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변경된 운동 구간 D를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또한, 구간 지정부(222)는, 전술한 전체 구간으로부터 운동 구간 D를 제외한 구간인 비운동 구간 D'(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이 운동 구간 D와 비운동 구간 D'에 대 해서는 후술한다. 구간 지정부(222)는, 운동 구간 D와 비운동 구간 D'와의 지정 결과를 값 결정부(223)에 공급한다. 구간 지정부(222)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운동 구간 D를, 예를 들면 전체 구간 중, 예를 들면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이 간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구간으로 하고, 비운동 구간 D'를, 전체 구간으로부터 운동 구간 D를 제외한 구간으로 해도 된다.
값 결정부(223)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된 운동 구간 D에 존재하는 각각의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에 기초한 값(예를 들면, 운동 구간 D에 존재하는 각각의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의 평균값)을 제1 값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값 결정부(223)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된 비운동 구간 D'에 존재하는 각각의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에 기초한 값(예를 들면, 비운동 구간 D'에 존재하는 각각의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의 평균값)을, 제2 값으로서 결정한다. 값 결정부(223)는, 제1 값과 제2 값과의 결정 결과를 괴리도 산출부(224)에 공급한다. 값 결정부(223)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괴리도 산출부(224)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운동 구간 D가 지정될 때마다, 각각의 제1 변화량과 제1 값(각 제1 변화량의 평균값 등)과의 괴리도(이하, 제1 괴리도라고 함)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괴리도 산출부(224)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비운동 구간 D'가 지정될 때마다, 각각의 제2 변화량과 제2 값(각각의 제2 변화량의 평균값 등)과의 괴리도(이하, 제2 괴리도라고 함)를 각각 산출한다. 괴리도 산출부(224)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화상 추출부(225)는, 괴리도 산출부(224)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1 괴리도 와 각각의 제2 괴리도와의 총합계가 최소로 될 때, 그 때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운동 구간 D에 존재하는 축소 화상을,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 중에서 추출한다. 화상 추출부(225)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조작 접수부(230)는, 사용자의 화상 처리 장치(100)에 대한 조작을 받아들인다. 이 조작으로서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가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나, 사용자가 촬영하는 화상의 장수(이하, 촬영 장수라고 함)를 설정하는 조작이나, 화상 추출부(225)가 추출하는 프레임 화상의 장수(이하, 추출 장수라고 함)를 설정하는 조작 등이 있다. 조작 접수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인 결과를 제어부(260)에 공급한다. 조작 접수부(230)는 도 1에 나타낸 조작부(1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표시부(240)는,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컨트롤러(12)와 액정 디스플레이(13)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기록부(250)는, 화상 추출부(225)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 화상을 표현하는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부(250)는 도 1에 나타낸 메모리 카드(15)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각 부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도 1에 나타낸 CPU(9), RAM(10) 및 ROM(1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화상 처리 장치(100)가 실행하는 연사 촬영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연사 촬영 처리는, 제어부(260)[CPU(9)]가 실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 연사 촬영 처리는, 사용자가 조작 접수부(230)에 대해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제어부(260)는, 연사 촬영 처리의 개시와 함께,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되는 프레임 화상을 표시부(240)에 순차적으로 공급시킴으로써, 프레임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부(240)에 표시하게 한다.
단계 S1에서는, 제어부(260)는, 사용자에 의해 화상의 촬영 장수 및 추출 장수를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60)는, 촬영 장수나 추출 장수를 설정하는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조작 접수부(230)로부터 공급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화상의 촬영 장수 및 추출 장수를 설정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촬영 장수나 추출 장수를 설정한 후, 단계 S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1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제어부(260)는 단계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설정된 촬영 장수로서 N 장을, 추출 장수로서 M 장을 상정한다. 즉,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N 개의 프레임 화상 중에서, 시간적으로 연속적하여 전후하는 프레임 화상 사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M 개의 프레임 화상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가, 자동차가 CMOS 센서(4)의 촬영 범위 내를 통과할 때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N 장 촬영하고, 이 N 장의 연속 화상 중에서, 촬영 범위 내를 이동하고 있는 자동차가 촬영되 어 있는 M 개의 화상만을 추출한다.
단계 S2에서는, 제어부(260)는, 조작 접수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셔터 버튼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시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에 의한 셔터 버튼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면, 화상 입력부(210)에,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N 개의 프레임 화상을 입력시킨다(연사 촬영).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N 개의 프레임 화상을 각각 p[x](0≤x≤N-1)로 나타낸다. x는, 각 프레임 화상에 부여되는 인덱스 번호이다. 여기서, 시계열에서 가장 오래된 프레임 화상부터 차례대로, 0, 1, 2, …, N-1의 각 인덱스 번호를 부여해나간다. 이들 프레임 화상을, 인덱스 번호 순서, 즉 시계열 순서로 배열한 것을 화상 배열 P라고 한다.
단계 S3에서는, 제어부(260)는, 도시하지 않은 촬영 처리부에 의해 촬영된 N 장의 프레임 화상을 축소하여,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N 장의 축소 화상을 생성한다. 이 축소 처리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화상의 화소수를 축소하는 처리이다. 축소율은, 피사체의 최소 크기나 손떨림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카메라의 특성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N 장의 축소 화상을 각각 ps[x](0≤x≤N-1)로 나타낸다. 이 축소 처리에서는, 프레임 화상의 인덱스 번호와 이 프레임 화상으로부터 생성한 축소 화상의 인덱스 번호를 일치시켜 둔다. 즉, 축소 화상에 대해서도, 프레임 화상과 마찬가지로, 시계열에서 가장 오래된 축소 화상부터 순차적으로, 0, 1, 2, …, N-1의 인덱스 번호를 부여해나간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축소 화상을, 인덱스 번호 순서, 즉 시계열 순서로 배열한 것을 축소 화상 배열 PS라고 한다.
단계 S4에서는, 제어부(260)는,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를 행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 화상 배열 PS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ps[x]끼리의 변화량을 화상 변화량 e로서 산출한다. 이 화상 변화량 e의 인덱스 번호를 전술한 x로 하고, 이 산출한 각 화상 변화량을 e[x](0≤x≤N-2)로 나타낸다. 여기서, 시계열에서 가장 오래된 화상 변화량부터 순차적으로, 0, 1, 2, …, N-2의 인덱스 번호를 부여해나간다. 이들 화상 변화량 e[x]를, 인덱스 번호 순서 즉 시계열 순서로 배열하는 것을 화상 변화량 배열 E라고 한다. 단계 S4의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단계 S5에서는, 제어부(260)는, N 장의 축소 화상 중에서 피사체상의 움직임이 비교적 큰 축소 화상만을 추출한다. 단계 S5의 화상 추출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단계 S6에서는, 제어부(260)는, 단계 S5의 처리에 의해 추출한 축소 화상이 M 장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추출 장수는 M 장이지만, 이 M 장보다 많은 장수의 축소 화상을 단계 S5의 처리에 의해 추출한 경우나, M 장보다 적은 장수의 축소 화상을 단계 S5의 처리에 의해 추출한 경우에는, 축소 화상의 장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M 장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추출한 축소 화상의 장수가 M보다 큰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화상을 소정 간격마다 추출하여, 화상수를 M 장으로 만든다. 한편, 추출한 축소 화상이 M 장보다 작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운동 구간 D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축소 화상의 장수를 M 장으로 만든다.
단계 S7에서는, 제어부(260)는, 단계 S6의 처리에 의해 추출 장수가 조정된 축소 화상에 대응한 프레임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부(250)에 기록한다. 또한, 이 때, 제어부(260)는, 기록부(250)에 기록된 각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화상이나 각 프레임 화상 데이터의 축소 화상 등을 표시부(240)에 일시적으로 표시시킨다.
도 6은, 단계 S4의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의 상세한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는, 제어부(2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220)가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는, 시계열 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축소 화상 ps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있는 화소의 화소값의 차분의 절대값의 총합계를, 화상 변화량 e로서 산출하는 처리이다. 그러므로, 이 화상 변화량 e는, 시계열 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축소 화상 ps에 의해 규정된다.
이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에 관한 설명에서는, 화상 변화량 e의 총합계의 잠정치를 d로 한다. 또한, 편의상, 축소 화상의 인덱스 번호를, 전술한 x 대신 i로 나타낸다. 또한, 축소 화상 ps[i]의 화소수에 대해서는, 수평 방향인 x 방향의 화소수를 p, 수직 방향인 y 방향의 화소수를 q로 한다. 또한, 축소 화상 ps[i] 상에서의 임의의 화소의 위치를, 좌표 (x, y)로 나타내기로 한다.
화상 처리부(220)는, 인덱스 번호 i로서 0(제로)를 설정하고(단계 S11), 잠 정치 d의 초기값을 0로 설정하고(단계 S12), y 좌표의 초기값을 1로 설정하고(단계 S13), x 좌표의 초기값을 1로 설정한다(단계 S14).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는, 축소 화상 ps[i]의 좌표 (x, y)의 화소의 화소값과 축소 화상 ps[i+1]의 좌표 (x, y)의 화소의 화소값과의 차분의 절대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차분의 절대값을 잠정치 d에 더한다(단계 S15).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x가 p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 단계 S16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1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16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좌표 x를 인크리먼트(x를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17), 단계 S15로 처리를 되돌린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y가 q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 단계 S18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좌표 y를 인크리먼트(y를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19), 단계 S14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18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화상 변화량 e[i]를 잠정치 d로서 유지한다(단계 S20).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현재의 인덱스 번호 i가 N-2(N은, 단계 S1의 처리에서 설정된 촬영 장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 단계 S21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카운터 i를 인크리먼트(i를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22), 단계 S12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21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를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단계 S5의 화상 추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가로 축은 인덱스 번호 x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화상 변화량 e[x]를 나타낸다.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이, 각각의 인덱스 번호 x에 대응하는 화상 변화량 e[x]를 나타낸다. 또한, 파선으로 나타낸 곡선은, 후술하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나타낸다. 그리고, 화상 변화량 e[x]의 값은, 정수값인 인덱스 번호 x별로 정해지는 이산값이므로, 도 7에서는 화상 변화량 e[x]의 각각의 값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운동 구간 D의 개시점 및 종료점에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를, 각각 x1, x2라고 한다. 운동 구간 D는, x1부터 x2까지의 구간으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x1, x2](0<x1<x2<N-2)
여기서, [x1, x2]는, x1부터 x2까지의 구간을 나타낸다. 이들 x1, x2는, 운동 구간 D와 비운동 구간 D'와의 구획(경계)이 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20)의 구간 지정부(222)는, 이상의 개시점 x1과 종료점 x2의 모든 조합을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이들 x1과 x2의 복수의 각 조합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운동 구간 D와 복수의 비운동 구간 D'에 대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부(220)의 값 결정부(223)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는 x1과 x2의 조합에 각각에 대하여, 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모든 인덱스 번호 x에 대응하는 화상 변화량 e[x]에 기초하여 제1 값을 결정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20)의 값 결정부(223)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는 x1과 x2의 조합 각각에 대하여, 비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모든 인덱스 번호 x에 대응하는 화상 변화량 e[x]에 기초하여 제2 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값 결정부(223)는, 운동 구간 D에 속하는 각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각의 화상 변화량 e[x]의 평균값인 a를 산출하고, 이 a를 제1 값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값결정부(223)는, 비운동 구간 D'에 속하는 각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 화상 변화량 e[x]의 평균값인 b를 산출하고, 이 b를 제2 값으로서 결정한다.
화상 처리부(220)의 괴리도 산출부(224)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는 x1과 x2의 조합 각각에 대하여,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값은, 운동 구간 D에서는 a로 되고, 비운동 구간 D'에서는 b가 된다.
화상 처리부(220)의 괴리도 산출부(224)는,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는 x1과 x2의 조합 각각에 대하여,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괴리도 J를 산출한다. 괴리도 J는, 각 인덱스 번호 x마다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차분의 총합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식과 같이,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차분을 제곱한 값의 총합계를 괴리도 J로 한다.
괴리도 J가 최소로 될 때 구간 지정부(222)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x1과 x2에 의해 규정되는 운동 구간을 운동 구간 Dmin이라고 하면, 화상 추출부(225)는, 이 운동 구간 Dmin에 포함되는 모든 화상 변화량 e를 각각 규정하는 축소 화상 ps를, 화상 입력부(21O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 중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5의 화상 추출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괴리도 J의 최소값을 Jmin으로 하고, 괴리도 Jmin에서의 운동 구간 D의 개시점을 m1, 종료점을 m2로 하고, 개시점 m1 및 종료점 m2에 대응한 축소 화상 배열 PS의 인덱스 번호를 Xin 및 Xout으로 한다.
먼저, 화상 처리부(220)는, x1과 x2를 변화시키면서 괴리도 J를 순차적으로 산출하고, 순차적으로 산출된 괴리도 J끼리 비교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산출된 각각의 괴리도 J 중 최소값인 괴리도 Jmin을 구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20)는, 괴리도 J가 최소값 Jmin으로 될 때, 지정되어 있는(지정된) 운동 구간 Dmin의 개시점 m1과 종료점 m2를 구한다. 이 때, 화상 처리부(220)는, x1과 x2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완전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x1과 x2는 이산값이다.
제1 실시예에서의 완전 탐색은, x1을 0와 (N-3)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x2를 x1과 (N-2) 사이에서 변화시켜서, x1과 x2와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괴리도 J를 확인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x1를 0로 고정시키고, x2를 1부터 (N-2)까지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x1을 1로 고정시키고, x2를 2부터 (N-2)까지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x1을 2로 고정시키고, x2를 3부터 (N-2)까지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화상 처리부(220)는, x1의 값을 0부터 (N-3)까지 1씩 증가시키면서, 각각의 x1의 값에 대응시켜서 x2도 1씩 증가시켜간다. 화상 처리부(22O)는, x1 또는 x2가 1만큼 변화할 때마다 산출되는 괴리도 J를 확인한다.
그리고, 통상, 1회의 연사 촬영에 의해 얻어지는 프레임 화상은 수 장 정도이므로, 프레임 화상의 인덱스인 x는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260)[CPU(9)]에 대한 완전 탐색에 의한 처리의 부하는 작아지게 된다.
도 8은, 단계 S5의 화상 추출 처리의 상세한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화상 추출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화상 추출 처리는, 제어부(2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220)가 행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상 처리부(220)는, Jmin의 초기값을 무한대에 가까운 소정값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31).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의 구간 지정부(222)는, x1의 초기값을 0로 설정하고(단계 S32), x2의 초기값을 x1 + 1로 설정한다(단계 S33).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의 값 결정부(223)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운동 구간 D에서의 임계값 a, 비운동 구간 D'에서의 임계값 b를 결정한다(단계 S34).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의 괴리도 산출부(224)는 괴리도 J를 산출한다(단계 S35).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35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괴리도 J가 Jmin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6). 단계 S36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3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36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3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37 에서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35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괴리도 J를 Jmin으로서 설정한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개시점 m1을 잠정적으로 x1으로 설정하고, 종료점 m2를 잠정적으로 x2로 설정한다(단계 S38).
단계 S39에서는, 화상 처리부(220)는, x2가 N-2(N은 단계 S1의 처리에서 설정된 촬영 장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9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4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부(220)는, x1가 N-3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 단계 S41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4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41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카운터 x1을 인크리먼트(x1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42), 단계 S3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39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카운터 x2를 인크리먼트(x2를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40), 단계 S34로 처리를 되돌린다.
단계 S43에서는, 단계 S33∼S41의 루프 처리가 종료했으므로, 개시점 m1 및 종료점 m2가 확정되어 있다. 이들 m1 및 m2는,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인덱스 번호이며, m1 및 m2의 화상 변화량 e[m1] 및 e[m2]는, 각각 2개의 축소 화상 ps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2개의 축소 화상 ps 모두를 화상 변화량 e[m1] 및 e[m2]에 대응시켜서 ps[xin] 및 ps[xout]으로서 채용할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단계 S43에서는, 화상 처리부(220)는, (m1 + 1)을 개시점 xin으로 설정하고, m2를 종료점 xout으로 설정한다.
단계 S44에서는, 축소 화상 배열 PS에서, 운동 구간 D의 개시점의 축소 화상 ps[xin]부터 종료점의 축소 화상 ps[xout]까지에서,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일련의 축소 화상을 추출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44의 처리 후에 화상 추출 처리를 종료시킨다.
제1 실시예에서는,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비교 대상으로서, a와 b를 임계값으로 하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정의하였다. 이 임계값 a는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며, 임계값 b는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므로, 운동 구간 D의 개시점 x1 및 종료점 x2의 위치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임계값 a 및 b와,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비교하여, 괴리도 J의 최소값 Jmin을 구하는 것만으로, 이 괴리도 Jmin에서의 개시점 m1의 화상 변화량 e[m1] 및 종료점 m2의 화상 변화량 e[m2]를, 상대적으로 변화가 큰 화상 변화량으로서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변화량이 큰 프레임 화상군, 즉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할 수 있다.
도 9의 (a)∼(d)는, x1=1인 경우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구체예이며, 도 10의 (a)∼(d)는, x1=3인 경우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구체예이다. 도 9의 (a)∼(d) 및 도 10의 (a)∼(d)에서, 가로 축은 인덱스 번호 x이며, 세로 축은 화상 변화량이다. 도 9의 (a)∼(d) 및 도 10의 (a)∼(d)에서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 파형가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나타내고,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 파형이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화상 변화량 e[x]의 값은 이산값이며, 이들 도 9의 (a)∼(d) 및 도 10의 (a)∼(d)에서는 화상 변화량 e[x]의 각 값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들 도 9의 (a)∼(d) 및 도 10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a는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며, 임계값 b는 비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므로, 운동 구간 D의 개시점 x1 및 종료점 x2의 위치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의 (c)에서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나타낸 파형과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나타낸 파형이 가장 근사하므로, 괴리도 J는, 도 10의 (c)의 x1=3, x2=6인 경우에 최소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O)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a를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으로 하고, 임계값 b를 비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으로 한다. 다음으로, 임계값 a 및 b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괴리도 J가 최소로 되는 Jmin을 구한다. 그리고, 이 괴리도 Jmin에서의 개시점 m1의 화상 변화량 e[m1]에 대응하는 화상 p[xin] 및 종료점 m2의 화상 변화량 e[m2]에 대응하는 화상 p[xout]을 구한다. 그리고, 화상 배열 P 중에서, 프레임 화상 p[xin]부터 프레임 화상 p[xout]까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임계값 a 및 b는 일정한 값이 아니라, 운동 구간 D의 개시점 x1 및 종료점 x2의 위치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다. 이렇게 하면, 임계값 a, b와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비교하여, 괴리도 J의 최소값 Jmin를 구하는 것만으로, 이 괴리도 Jmin에서의 개시점 m1의 화상 변화량 e[m1] 및 종료점 m2의 화상 변화량 e[m2]를, 상대적으로 변화가 큰 화상 변화량으 로서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화상 배열 P 중에서 피사체가 많이 움직이는 프레임 화상군을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육상 경기나 구기 종목 등과 같이 촬영 범위 내를 피사체(육상 선수나 볼)가 통과하는 장면을 연사 촬영한 화상이나, 체조 경기와 같은, 촬영 범위 내에서 피사체(체조 선수)가 정지, 이동, 정지의 차례로 동작하는 장면을 연사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촬영 범위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화상만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손떨림에 의해 각 화상 변화량 e의 값이 변동되어도, 즉 손떨림에 의해 도 9나 도 10 등에 나타낸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나타낸 파형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동해도, 임계값 a 및 b는 각각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평균값이므로, 임계값 a 및 b도 이 변동에 추종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종래와 같은 임계값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손떨림 등의 외란의 영향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으므로, 촬영 상황과 관계없이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프레임 화상군을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높다.
화상의 배경 영역 및 피사체 영역의 모양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경우, 시간적으로 상 전후하는 프레임 화상 사이의 변화량은, 프레임 화상 사이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크기와 비례하여 증대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프레임 화상 사이에서 피사체에 의해 은폐되는 배경 영역의 차분, 피사체 영역의 면적이나 내용의 차분, 그리고 손떨림에 의한 전체적인 에지의 차분 등이 발생하므로,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프레임 화상 사이의 변화량은 불안정하게 변동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2개의 임계값 a 및 b로 이루어지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를 정의하였다. 이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는, 운동 구간 D의 개시점 x1 및 종료점 x2의 2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운동 구간 D에서는 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화상 변화량 e의 평균값 a가, 비운동 구간 D'에 대해서는 비운동 구간 D'에 포함되는 화상 변화량 e의 평균값 b가 임계값으로서 각각 정의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O)는, 몇개의 화상 변화량 e가 노이즈에 의해 다소 변동되어도,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 화상 변화량 e의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으므로, 외란에 강한 특징이 있다.
그런데, 연사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이 눌러진 것에 기인하여 셔터 버튼을 누른 직후의 일정 기간에만 손떨림이 발생한 경우, 셔터 버튼을 누른 직후에 촬영되는 화상의 변화량이 커진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촬영 상황에서는, 셔터 버튼을 누른 직후의 촬영 구간, 촬영 범위 내를 자동차가 통과하는 촬영 구간의 2개의 상이한 촬영 구간 각각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프레임 화상 사이의 변화량이 커진다. 이와 같은 경우, 2개의 상이한 촬영 구간 각각으로부터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촬영 상황에서는, 셔터 버튼을 누른 직후에 촬영된 화상, 즉 촬영 범위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고 변화가 부족한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하면,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할 촬영 구간(운동 구간 D)이 1개만 정해지므로, 불필요한 프레임 화상군을 추출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하면, 손떨림 등의 외란의 영향에 의해 화상 변화량 배열 E를 나타낸 파형에서 산 모양의 구간이 복수 존재하더라도, 즉 화상 변화량 배열 E에서 화상 변화량 e가 커지는 구간이 복수 존재하더라도, 손떨림 등의 외란의 영향에 의해 화상 사이의 변화량이 크게 된 구간을 추출 대상으로부터 배제하여, 피사체상의 움직임이 큰 화상만을 보다 확실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축소 화상 배열 PS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ps끼리의 차분에 기초하여 화상 변화량 e를 산출하였다. 축소 화상 배열 PS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ps에 대응하는 프레임 화상 사이의 촬영 시간 간격은 짧으므로, 손떨림이나 형광등의 플리커 등이 생겨도,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ps끼리의 화상 변화량 e가 크게 변화하지는 않으므로 외란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 처리 장치(100)를 자신의 손으로 잡고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라도 축소 화상 ps끼리의 위치맞춤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상 처리부(220)[CPU(9)]의 계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구성 및 단계 S5의 화상 추출 처리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이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화상 처리부(220)의 구성뿐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처리부(220)는,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 추출 장수 설정부(226),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 판정부(228), 화상 삭제부(229) 및 화상 추출부(225)를 구비하는 것이 상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는, 최초에,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으로부터,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예를 들면, 화소값의 차이의 총합계)을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화상 삭제부(229)에 의해 축소 화상이 삭제될 때마다,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 중에서 이 삭제된 축소 화상을 제외한 각 축소 화상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반복적으로 산출한다.
추출 장수 설정부(226)는, 사용자에 의한 추출 장수를 설정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이 조작에 따른 추출 장수 M을 설정한다. 이 설정 처리 시에는, 추출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추출 장수 M을 나타낸 신호가, 제어부(260)를 통하여 조작 접수부(230)로부터 추출 장수 설정부(226)에 공급된다. 추출 장수 설정부(226)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는, 화상 삭제부(229)에 의해 축소 화상이 삭제되는 것에 의해 화상 변화량 산출부(221)가 화상 변화량을 산출할 때마다, 산출된 화상 변화량 중 최소로 되는 화상 변화량을 특정한다. 또한, 이 때,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는, 이 특정된 최소로 되는 화상 변화량에 대해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2개의 화상 변화량도 특정한다.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판정부(228)는,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가 각각의 화상 변화량을 특정할 때, 최소로 되는 화상 변화량에 시계열 상으로 전후에 인접하는 2개의 화상 변화량 중, 어느 쪽이 작은 지를 판정한다. 판정부(228)는 이 판정 결과를 화상 삭제부(229)에 공급한다. 판정부(228)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화상 삭제부(229)는, 판정부(228)로부터 공급된, 판정 결과가 나타낸 작다고 판정된 쪽의 화상 변화량을 축소 화상 배열 PS로부터 삭제한다. 화상 삭제부(229)는 도 1에 나타낸 CPU(9)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추출부(225)는, 화상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 화상의 축소 화상 중에서, 화상 삭제부(229)에 의해 삭제되지 않고 남은 축소 화상을 추출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추출 처리(단계 S5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추출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화상 추출 처리는, 제어부(2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220)가 행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단계 S51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는,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에서 최소로 되는 화상 변화량 e를 특정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계 S51의 처리에 의해 특정된 최소의 화상 변화량을 e[k], 즉 특정된 최소의 화상 변화량에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를 k라고 한다.
단계 S52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변화량 특정부(227)는, 화상 변화량 e[k-1] 및 화상 변화량 e[k+1]을 특정한다. 화상 변화량 e[k-1]은, 화상 변화량 배열 P에서, 시계열 상에서 화상 변화량 e[k]보다 전(과거)에 인접한 화상 변화량이다. 화상 변화량 e[k+1]은, 화상 변화량 배열 P에서, 시계열 상에서 화상 변화량 e[k]보다 나중(미래)에 인접할 화상 변화량이다.
단계 S53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판정부(228)는, 화상 변화량 e[k-1]이 화상 변화량 e[k+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3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5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53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5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54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삭제부(229)는, 화상 변화량 e[k]에 대응하는 2개의 축소 화상 ps[k]와 ps[k+1] 중에서 시계열적으로 먼저 위치하는 축소 화상 ps[k]를 축소 화상 배열 PS 중에서 삭제한다. 달리 말하면, 화상 삭제부(229)는, 화상 변화량 e[k-1]을 규정하고 있던 2개의 축소 화상 ps[k-1]과 ps[k]중에서 시계열 상 나중에 위치하는 ps[k]를 삭제한다.
단계 S55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삭제부(229)는, 화상 변화량 e[k]에 대응하는 2개의 축소 화상 ps[k]와 ps[k+1] 중에서 시계열적으로 나중에 위치하는 축소 화상 ps[k+1]을 축소 화상 배열 PS 중에서 삭제한다. 달리 말하면, 화상 삭제부(229)는, 화상 변화량 e[k+1]을 규정하고 있던 2개의 축소 화상 ps[k+1]과 ps[k+2] 중, 시계열 상 먼저 위치하는 ps[k+1]을 삭제한다.
단계 S56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판정부(228)는, 직전의 단계 S54 또는 단계 S55의 처리에 의해 축소 화상이 삭제된 결과, 축소 화상 배열 PS에 남아 있는 축소 화상 ps의 장수가 M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6의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는 단계 S5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58에서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삭제부(229)는,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에서, 직전의 단계 S54 또는 단계 S55의 처리에 의해 삭제된 축소 화상 ps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2개의 화상 변화량 e를 삭제한다. 이 삭제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삭제부(229)는, 금회 축소 화상 ps[k]를 삭제한 경우, 이 삭제된 축소 화상 ps[k]에 의해 규정되는 2개의 화상 변화량 e[k]와 e[k-1]을 삭제하고, 삭제된 축소 화상 ps[k]에 인접하는 축소 화상 ps[k-1] 및 ps[k+l]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화상 변화량 e[k-1]'를 산출하여, 화상 변화량 배열 E에 삽입한다.
한편, 단계 S56의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220)의 화상 추출부(225)는, 남은 M 개의 축소 화상 ps를 추출한다(단계 S57). 이 단계 S57의 처리 후에 화상 처리부(220)는 화상 추출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이, 화상 처리부(220)는, 남은 축소 화상 ps가 M 장(단계 S56에서 "YES")가 될 때까지, 단계 S51에서는 최소의 화상 변화량을 계속 추출하고, 단계 S54 및 S55에서는 축소 화상 ps를 계속 삭제하고, 단계 S58에서는 화상 변화량 e를 계속 삭제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58에서 삭제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남은 화상 변화량 배열 E에서 가장 작은 화상 변화량 e는, 설정된 M의 값에 따라 변화한다. 즉, 설정된 M의 값이 작으면, 단계 S58에서 삭제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남은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 가장 작은 화상 변화량 e는 커진다. 한편, 설정된 M의 값이 크면, 단계 S58에서 삭제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남은 화상 변화량 배열 E에서 가장 작은 화상 변화량 e는 작아진다. 그러면, 단계 S51에서는, 남은 축소 화상 ps가 M 장(단계 S56에서 "YES")가 될 때까지, 설정된 M의 값에 대응하는 특정한 화상 변화량(단계 S58에서 삭제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남은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 가장 작은 화상 변화량 e)보다 작은 화상 변화량 e를 모두 계속 삭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변화량 e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화상 변화량 배열 E로 하고, 이들 화상 변화량 e끼리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화상 변화량 e[k]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화상 변화량 e[k]에 대응하는 축소 화상 p를 삭제하여, 화상 배열 P 중에서 남은 축소 화상에 대응하는 프레임 화상을 추출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변화량 e끼리의 상대적인 관계에 주목하여,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값의 화상 변화량 e에 대응하는 화상 p를 추출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화상간 변화량 e가 변동한 경우라도 이 변동에 추종 가능하므로, 촬영 상황과 관계없이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화상만을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변화량 e끼리의 상대적인 관계에 주목하여, 화상 변화량 배열 E 중에서 화상 변화량 e가 상대적으로 작은 화상 p, 즉, 변화가 부족한 정적인 화상만을 삭제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연속하는 화상군을 추출하는 것과는 상이하게, 움직임이 큰 화상만을 이산적으로 추출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이 특정한 운동 모델로 한정되지 않고, 피사체가 화상 내에 체류하거나, 피사체가 비교적 불규칙하게 이동하도록 한 일반적인 운동 신(sean)에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촬영 범위 내에서 피사체가 정지와 이동을 불규칙하게 반복하는 장면의 촬영 화상을 합성하여 1개의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라도, 변화가 부족한 정적인 화상만을 합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 화상군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작성하면, 피사체상의 움직임이 동적인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변형 등]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및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x1과 x2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괴리도 J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a 및 b를 산출한 결과가 a<b가 되는 경우라도, 임계값 b와 임계값 a와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이 조합을 탐색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최적인 해가 아닌 것이 분명한 x1과 x2의 조합을 배제하여, 화상 처리부(220)[CPU(9)]의 계산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하여,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0<x1<x2<N-2로 하여, 고립 직사각형 함수r[x]의 산 모양의 부분을 나타낸 x1이나 x2가 경계인 0 또는 (N-2)가 되지 않게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0≤x1<x2≤N-2로 하여,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산 모양의 부분을 나타낸 x1이나 x2가 경계인 0 또는 (N-2)를 취할 수 있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의 산 모양의 부분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였으나, 산 모양의 부분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후하는 축소 화상 ps에 대하여, 동일 위치의 화소값의 차분의 절대값의 총합계를 화상 변화량 e로서 산출하였다. 그러나, 동일 위치의 화소값의 차분의 제곱의 총합계를, 화상 변화량 e로서 산출해도 되고, 화상의 상이를 수치화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축소 화상 ps가 컬러 화상인 경우에는, 축소 화상 ps의 색 성분마다 차분을 산출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화상 전체에 걸쳐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 또는 검출 범위를 설정하여, 화상의 일부에 대해서만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 처리부(220)의 계산 부하가 경감되므로,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화상 변화량 e로서 축소 화상 ps 사이의 화소값의 차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화상 변화량 e는, 축소 화상 ps 사이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나타낸 모션 벡터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화상 p를 축소하여 축소 화상 ps를 생성하는 축소 처리, 및 축소 화상 ps 사이의 변화량을 화상 변화량 e로서 산출하는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를 연사 촬영에 의해 모든 화상을 취득한 후에 실행하도록 했다. 그러나, 연사 촬영을 실행하면서 이들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a를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각의 값의 평균값으로 하였으나, 임계값 a는 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각의 값의 중앙값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의 임계값 b를 비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 값의 평균값으로 하였으나, 임계값 b는 비운동 구간 D'에서의 화상 변화량 배열 E의 각각의 값의 중앙값일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차분을 제곱한 값의 총합계를 괴리도 J로 하였다. 그러나,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차분의 절대값의 총합계를 괴리도 J로 해도 되고,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차분을 3제곱한 값의 총합계를 괴리도 J로 해도 된다. 요점은, 괴리도 J는, 고립 직사각형 함수 r[x]와 화상 변화량 배열 E와의 절대 차분이면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화상 p를 축소하여 축소 화상 ps를 생성하는 축소 처리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축소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축소 전의 프레임 화상으로부터 화상 변화량을 산출해도 된다. 다만, 이 경우, 손떨림 등의 외란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손으로 잡고 촬영할 때는, 위치맞춤 처리가 필요 하게 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축소 처리를 실행하는 편이, 위치맞춤 처리를 실행하는 것보다 계산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축소 처리에서는, 축소 화상의 영상비(aspect ratio)는, 축소 전의 프레임 화상의 영상비로부터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조합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의 화상 추출 처리에 의해 운동 구간 D를 추출하고, 그 후 제2 실시예의 화상 추출 처리에 의해, 운동 구간 D 중에서 M 개의 프레임을 추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로 한정되지 않고, 촬영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연사 촬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촬영 범위와 피사체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축소 화상 배열 및 화상 변화량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변화량 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와 화상 변화량 배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추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립 직사각형 함수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화상 추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화상 추출 처리에서의 축소 화상 배열 및 화상 변화량 배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 처리 장치 1: 광학 렌즈 장치
2: 셔터 장치 3: 액츄에이터
4: CMOS 센서 5: AFE
6: TG 7: DRAM
8: DSP 9: CPU
10: RAM 11: ROM
12: 액정 표시 컨트롤러 13: 액정 디스플레이
14: 조작부 15: 메모리 카드
210: 화상 입력부 220: 화상 처리부
230: 조작 접수부 240: 표시부
250: 기억부 260: 제어부
Claims (7)
-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 간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시계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모두가 존재하는 전체 구간에 포함되는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구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구간인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는 구간 지정부;지정된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1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대표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상기 제2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2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대표값을 결정하는 대표값 결정부;상기 제1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각각의 상기 제1 변화량과 각각의 상기 제1 대표값과의 제1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2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각각의 상기 제2 변화량과 상기 제2 대표값과의 제2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는 괴리도 산출부; 및산출된 각각의 상기 제1 괴리도와 각각의 상기 제2 괴리도와의 총합계가 최소로 될 때, 그 때 상기 구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표값 결정부는,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1 변화량의 평균값을 상기 제1 대표값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제2 변화량의 평균값을 상기 제2 대표값으로서 결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할 화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개수 설정부;상기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화상 간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상기 변화량 중, 상기 추출 개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변화량보다 작은 각각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특정해나가는 변화량 특정부;상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각각의 상기 변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화상을 삭제하는 화상 삭제부; 및상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지 않았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변화량 산출부는,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화상이 삭제될 때마다, 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화상에 시계열 상으로 인접하고 있던 2개의 화상 사이의 변화량을 새로 산출하고,상기 변화량 특정부는,상기 추출 개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변화량보다 작은 각각의 변화량을 모두 특정할 때까지,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변화량이 새로 산출될 때마다,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변화량 중 가장 작은 변화량을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변화량과 시계열 상으로 앞에 인접하여 위치한 변화량인 전(前) 변화량과, 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변화량과 시계열 상으로 뒤에 인접하여 위치한 변화량인 후(後) 변화량의 2개의 변화량의 대소 관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화상 삭제부는,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상기 전 변화량이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전 변 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2개의 화상 중 시계열 상으로 앞에 위치한 상기 전 변화량을 삭제하고,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상기 후 변화량이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후 변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2개의 화상 중 시계열 상으로 뒤에 위치한 상기 후 변화량을 삭제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컴퓨터를,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 간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시계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모두가 존재하는 전체 구간에 포함되는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구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지정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구간인 제2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정하는 구간 지정부;지정된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 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1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대표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상기 제2 구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제2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대표값을 결정하는 대표값 결정부;상기 제1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상기 각각의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대표값과의 제1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2 구간이 지정될 때마다 상기 각각의 제2 변화량과 상기 제2 대표값과의 제2 괴리도를 각각 산출하는 괴리도 산출부; 및산출된 각각의 상기 제1 괴리도와 각각의 상기 제2 괴리도와의 총합계가 최소로 될 때, 그 때 상기 구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상기 제1 구간에 존재하는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컴퓨터를,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할 화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추출 개수 설정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인접하는 화상에 의해 규정되는 화상 간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화량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상기 변화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각각의 상기 변화량 중, 상기 추출 개수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변화량보다 작은 각각의 상기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특정해나가는 변화량 특정부;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변화량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각각의 상기 변화량을 규정하고 있던 화상을 삭제하는 화상 삭제부; 및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화상 삭제부에 의해 삭제되지 않았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추출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201961 | 2008-08-05 | ||
JPJP-P-2008-201961 | 2008-08-05 | ||
JP2009102353A JP4760947B2 (ja) | 2008-08-05 | 2009-04-20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
JPJP-P-2009-102353 | 2009-04-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7075A KR20100017075A (ko) | 2010-02-16 |
KR101038695B1 true KR101038695B1 (ko) | 2011-06-02 |
Family
ID=416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1988A KR101038695B1 (ko) | 2008-08-05 | 2009-08-05 |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526740B2 (ko) |
JP (1) | JP4760947B2 (ko) |
KR (1) | KR101038695B1 (ko) |
CN (1) | CN102082913B (ko) |
TW (1) | TWI43787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60947B2 (ja) * | 2008-08-05 | 2011-08-3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
JP5911298B2 (ja) * | 2011-12-27 | 2016-04-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US9185284B2 (en) * | 2013-09-06 | 2015-11-10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active image composi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3807A (ja) | 2004-04-14 | 2005-10-27 | Casio Comput Co Ltd |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070009429A (ko) * | 2005-07-15 | 2007-01-1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32366B2 (ja) * | 1999-10-05 | 2006-01-05 |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 画像データベース装置及び画像データベース作成検索方法 |
JP2001197405A (ja) | 2000-01-14 | 2001-07-19 | Sharp Corp | インデックス画像作成装置および方法 |
JP2002329298A (ja) | 2001-05-02 | 2002-11-15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走行制御装置 |
JP4007954B2 (ja) | 2003-11-04 | 2007-11-1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該方法、及び該プログラム |
JP4154400B2 (ja) * | 2004-04-01 | 2008-09-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4140591B2 (ja) * | 2004-09-13 | 2008-08-27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
JP4446193B2 (ja) * | 2005-11-11 | 2010-04-07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US7688352B2 (en) * | 2005-11-25 | 2010-03-30 | Seiko Epson Corporation | Shake correction device, filming device, moving image display device, shake corr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JP4275171B2 (ja) * | 2006-02-03 | 2009-06-10 |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カメラ |
JP4172507B2 (ja) * | 2006-07-13 | 2008-10-29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JP4983179B2 (ja) | 2006-09-20 | 2012-07-25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
JP4668878B2 (ja) * | 2006-09-22 | 2011-04-13 |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符号化装置 |
WO2008041401A1 (fr) | 2006-10-02 | 2008-04-10 | Olympus Corporation | Dispositif, procédé et programme de traitement d'image |
JP2009079148A (ja) | 2007-09-26 | 2009-04-16 | Fujifilm Corp | 加工顔料、顔料分散組成物、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
JP4760947B2 (ja) * | 2008-08-05 | 2011-08-3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
-
2009
- 2009-04-20 JP JP2009102353A patent/JP4760947B2/ja active Active
- 2009-07-27 CN CN2011100423695A patent/CN102082913B/zh active Active
- 2009-07-31 US US12/533,154 patent/US8526740B2/en active Active
- 2009-08-04 TW TW098126128A patent/TWI43787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8-05 KR KR1020090071988A patent/KR101038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3807A (ja) | 2004-04-14 | 2005-10-27 | Casio Comput Co Ltd |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070009429A (ko) * | 2005-07-15 | 2007-01-18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015983A (en) | 2010-04-16 |
JP2010061634A (ja) | 2010-03-18 |
US20100034463A1 (en) | 2010-02-11 |
JP4760947B2 (ja) | 2011-08-31 |
TWI437879B (zh) | 2014-05-11 |
KR20100017075A (ko) | 2010-02-16 |
US8526740B2 (en) | 2013-09-03 |
CN102082913B (zh) | 2013-08-14 |
CN102082913A (zh) | 201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685913B (zh) | 周期性地改变曝光条件的摄像设备和摄像设备的控制方法 | |
US7855731B2 (en) | Image vibration-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US8116521B2 (en) | Moving body image extrac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
US7680402B2 (en) | Image shooting device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 |
US1029885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
KR102420094B1 (ko)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
US7957633B2 (en) |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focus adjusting method | |
US11818466B2 (en) | Notify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notifying method, image captu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2009118051A (ja) |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 |
JP2008005081A (ja) | 認証装置 | |
EP1722259A1 (en) | Autofocu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 |
CN110958361B (zh) | 能够进行hdr合成的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KR101038695B1 (ko) |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 |
JP2011071925A (ja) | 移動体追尾装置および方法 | |
JP6508926B2 (ja) |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 |
US1074708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US20220318958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11206344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JP5353906B2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 |
CN115037871A (zh) | 控制对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2825863B2 (ja) | 移動物体検出装置 | |
JP6554009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2020047979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JP5761991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5834788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