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797B1 -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797B1
KR101037797B1 KR1020090029100A KR20090029100A KR101037797B1 KR 101037797 B1 KR101037797 B1 KR 101037797B1 KR 1020090029100 A KR1020090029100 A KR 1020090029100A KR 20090029100 A KR20090029100 A KR 20090029100A KR 101037797 B1 KR101037797 B1 KR 10103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multiview
graphic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658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림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림비젼
Priority to KR102009002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97B1/ko
Priority to PCT/KR2010/002047 priority patent/WO2010114337A2/ko
Publication of KR2010011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차원 멀티뷰 장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3차원 멀티뷰 장치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고,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속의 가상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랜더링하여,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가상 카메라를 가상 비디오 월에 멀리 혹은 가깝게 하면서 다양한 애니메이션 혹은 가상 카메라 스위칭에 의한 화면을 보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멀티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멀티뷰, 3차원, 랜더링, 택스쳐 맵핑, 가상카메라, 가상 모니터, 비디오 월

Description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Multiviewer system Showing Videos on 3D Virtual Monitors in a 3D Virtual Graphic video wall realizing Virtual Video Wall supporting unlimited number inputs of either Analog or Digital, IP videos}
여럿의 비디오를 각각의 모니터에 표시하는 경우, 모니터의 수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모니터에 복수의 입력 비디오를 스위처를 통해 보여 주는 기존의 방송실 및 보안 모니터링 실들이, 최근 멀티뷰 장치를 통해 대형 프로젝터 혹은 LCD/플라즈마 모니터들의 고해상, 대형 스크린에 다수의 비디오를 한번에 보여주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어, 사용자는 모니터링실의 모니터수를 대폭 줄이고 원하는 크기들의 비디오 화면을 재구성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니터상에 다수의 비디오들을 크고 작은 화면으로 구성 하여 보여 주는 장치를 멀티뷰라고 한다. 즉, 멀티뷰 장치는 다수의 비디오들을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로 입력받아, 이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비디오 혹은 VGA/DVI, HDMI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모니터에 다수의 비디오를 보여 주는 장치이다.
아날로그,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 입력들의 비디오가 3차원 공간속에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비디오 월에 표시되고, 이를 다양한 가상 카메라들을 통해 관측자가 원하는 비디오들을 가상 매트릭스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하여 가상모니터들에 나타나고 이 가상 비디오월의 모니터들을 관측자가 보고 싶은 위치에 있는 가상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화면을 출력시켜 실시간으로 가상 카메라의 출력을 한개 혹은 복수개의 실제 모니터에 나타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멀티뷰 장치는 주로 HD 급 모니터의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다수의 SD급 비디오를 한 화면에 보여 줄수 있게 되면서 고화질의 비디오를 한화면에 다수로 보여주게 되면서 보안 및 방송 시장에 많이 사용이 되어 지고 있다.
그동안의 일반적인 멀티뷰의 방식인 다수의 비디오 화면을 보여 주는데 있어 2차원 분할 화면에 각 비디오를 스케일하여 재배치하여 보여주는 방식과 달리, 입력되는 비디오 화면을 실시간 3D 그래픽 렌더링 기술을 이용하여 3D 그래픽 공간상에 배치한 가상 모니터들에 비디오 택스쳐링 시키고, 이를 가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지는 화면을 실시간 렌더링을 통해 출력 화면으로 생성하게 하여, 출력된 화면을 실제 모니터 화면에 보여 주게 하는 3D 렌더링 기술을 이용한 멀티뷰 화면 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다수의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입력 비디오/오디오들을 하나의 모니터에 여러 크기의 화면으로 보여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상의 3D 그래픽 공간속에 다수의 가상의 3D 그래픽 비디오 모니터를 배치한 비디오 월을(Video Wall) 과 같은 공간속에 배치한 다수의 가상 카메라들, 이들 가상 카메라의 카메라 트랙( 가상공간속에 가상카메라가 움직이는 XYZ, Rotation등) 에 따른 혹은 외부 입력에 따라 움직이게 하는 가상 카메라의 가상공간속의 움직임에 따라 보여지는 가상 비디오월의 가상 비디오 화면들을 실시간 렌더링기법을 통해 출력시켜 하나의 모니터에 3차원 그래픽 렌더링 출력 화면을 보여 주는 멀티뷰 장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면을 구현하는 기술이 발달되어 왔다. 대표적인 기술로 멀티비전(multivision)과 멀티뷰(multiview)를 들 수 있다.
도 14는 여러대의 TV에 하나의 비디오 화면을 보여 주는 멀티 비전의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멀티 비전은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만들어 내거나 각기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멀티비전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은 모니터들을 다수로 조합하여 대형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즉 4대 혹은 16대의 TV모니터들을 이용하여 대형 모니터가 되어 보이도록 하나의 비디오 입력을 4대 혹은 16대의 화면에 크게 보여 주는 기술이다.
반면, 멀티뷰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여러 비디오 입력 영상을 하 나의 화면에 나누어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멀티뷰 장치는 다수의 비디오 입력들을 받아들여 이를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발된 현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입력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즉 멀티뷰는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화면 영역에 복수개의 입력된 영상을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동안의 멀티뷰는 2차원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를 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종래의 멀티뷰에 대한 화면의 예는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월은 방송국 모니터링 월이나 CCTV 보안 모니터 월을 위해 사용이 되어지고 있으며 더 적은 공간에 더 많은 비디오 화면을 또는 더욱 효율적으로 전시를 시키기 멀티뷰들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도 16은 입력되는 복수의 비디오들이 멀티뷰에 표시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방송국과 CCTV 환경의 비디오월에 멀티뷰를 통해 여러 비디오를 보여 주는 비디오 월을 보여 주고 있다. 즉, 도 18, 19은 전형적인 보안 관제 모니터링을 위해 원격 카메라들을 모니터링 룸을 통해 보여 주는 솔루션의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원격지의 카메라들이 Fiber Optic등의 케이블로 모니터링 룸으로 들어 오고 이렇게 보여진 비디오들을 매트릭스 스위처를 통해 정해진 모니터들이 장착된 비디오 월에 보여 지게 된다.
하지만, 멀티뷰가 2차원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경우,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개수가 한정적이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이 제한적이게 된다. 멀티뷰는 주로 좁은 공간에 많은 모니터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멀티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멀티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을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하여 랜더링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멀티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을 가상의 3D 그래픽 화면들에 배치하고 이들 가상 모니터들을 같은 가상 공간속에 배치한 다수의 가상 모니터를 통해 보여 지는 모습을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시켜주는 방식의 3차원 렌더링 기술을 이용한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때, 3D 가상 비디오 모니터가 다수 장착된 비디오 월 ( 예를 들어 그래픽으로 만들어 진 3D 공간속의 벽에 다수의 가상 그래픽 모니터가 배치되게 한 ) 의 각각의 가상 모니터들에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들을 ( SD, HD, ASI, MPEG등) 들을 실시간으로 3D 공간속에 맵핑시키고 이러한 가상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매핑되는 비 디오 화면들을 가상 3D 그래픽 내의 지정된 다수의 고정된 혹은 트랙을 따라 움직이게 하는 ( 이동과 회전을 하는 ) 가상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고 이들의 가상 카메라를 스위칭하거나 외부 조이스틱 등으로 조정하여 가상 비디오 월 혹은 가상모니터에 접근시키면 그 화면이 커지게 보이게 하고 회전시키면 다른 가상 모니터에 실시간 맵핑되는 입력 비디오 화면들을 스크롤링 하듯 보여 조을 하게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비디오, 디지털 비디오, 및 네트웍 압축 비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 멀티뷰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의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촬영하는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 중 하나의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출력되도록 랜더링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각각 맵핑하며, 상기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이 맵핑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영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적어도 2개의 입력 영상을 믹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 자;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영상 또는 믹싱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사용자가 3차원 그래픽를 생성하기 위해, 3D 비디오 월, 3D 비디오 효과, 및 입력 비디오들을 선택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 스위치 버튼을 설계하기 위한 3D 그래픽 제작툴을 제공하는 사용자 프로그래머블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멀티뷰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맵핑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는, 복수개의 영상들을 아날로그( HD, SD, VGA 등등..) , 디지털( SDI, MPEG등 ) 혹은 IP 통신으로 입 력받는 복수개의 비디오/오디오 입력부; 가상 공간 속에 다양하게 필요한 배치를 하게한 가상 모니터들과 보여줄 장면을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 시킨 가상 카메라들과 각 카메라의 움직임 즉 트랙을 정의하는 3D 멀티뷰 데이터를 포함된 3차원 멀티뷰 3D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영상 위치에 각각 실시간 비디오 맵핑(ma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카메라들의 위치에서 실시간 랜더링하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뷰 3d 그래픽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를 다양한 형태로 (3D 화면으로 꼭 실제 형상이 아니어도 되는) 만들어 다양한 조합으로 배치하는 형상을 포함하고 보여줄 장면의 위치와 FOV ( Field of View)를 같고 움직이는 트랙 정보를 갖는 가상 카메라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갖게 되며,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실시간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실시간 비디오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의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촬영하는 가상 카메라의 애니메이션( 좌우 상하, 전후로 움직이거나 3방향으로 회전하거나, FOV를 변화하는 )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가상 공간의 가상 비디오 월 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매핑된 입력 비디오들과 함께 렌더링 되어 출력되도록 랜더링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제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들을 선택하거나 스위칭하는 외부에서 터치버튼 혹은 조이스틱 으로 움직이는 조작, 혹은 다른 가상의 3D 비디오 월을 선택하거나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가 필요한 모습의 가상 비디오 월을 다양한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3D 그래픽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각각 맵핑하며, 상기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이 맵핑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실시간으로 조작부로 부터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 애니메이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시간 입력 영상들이 실시간 매핑이 된 가상 비디오월을 촬영하여 보여 주는 실시간 렌더링을 통해 가상카메라에 보여지는 복수의 가상 모티터들과 이 모니터에 비디오 택스튜어링 되는 입렵 비디오 들을 함께 렌더링하여 보여 주게 된다.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출력 화면이 가능하며 최소 한개 이상의 모니터를 포함한다. 일반 적으로 본 장비는 2개의 출력 화면을 갖고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입력이 많은 비디오 모니터링 환경에서는 제1 출력단자와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실제 비디오들을 선택하고 스위칭하듯 가상 카메라들을 실시간으로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일반 스위처와 믹서에서 하는 단순한 스위칭 믹싱 기능보다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3D 효과를 만들어 주며 3D 화면으로 다양한입력 비디오들을 보여 주는 3D 가상 카메라 스위칭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멀티뷰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가상 비디오월을 선택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맵핑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하나씩 혹은 멀티 가상 모니터에 비디오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다 양하게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래픽내의 모니터는 실제 모니터의 형태와 같은 형상을 갖을 필요가 없으며 마음대로 3D 공간속에 자유로운 3D 모양을 갖을 수 있고 이 3D 표면에 실시간 비디오를 텍스쳐링하여 보여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을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하여 랜더링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조작이 편리한 멀티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상 모니터들을 수량의 제한 없이 가상 공간속의 비디오 월에 배치 시켜 줄 수 있고 이들을 필요한 가상 카메라를 통해 보여 지도록 하거나 스크롤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비디오 월의 비디오 모니터들을 다양한 크기로 애니메이션을 통해 혹은 외부 조이스틱을 통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한 개의 출력 모니터로 과거 16개 이내에 비디오들을 보여 주는 반면, 본원에 따르면 멀티 화면을 스크롤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영상 입력부(110),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 저장부(120), 조작부(130), 및 영상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제1 영상 입력단자(112), 제2 영상 입력단자(114), 제3 영상 입력단자(116), 제4 영상 입력단자(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입력부(110)는 총 4개의 영상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영상 입력단자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 입력부(110)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입력부(110)의 입력은 SD, HD, HDMI, VGA, 압축 비디오의 네트웍을 통한 입력, 혹은 디지털 방송의 ASI등 다양한 비디오들의 실시간 입력이 될 수 있게 된다.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는 각각 독립된 SD, HD, HDMI, VGA 방식의 영상 및 비디오와 네트웍을 통한 압축 영상 및 비디오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 영상은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로 인가된다.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는 다양한 규격의 영상 입력단자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포넌트, 컴포지트, S-Video, D-SUB, DVI, HDMI, 네트웍 비디오 스트림 등의 영상 입력단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부(110)는 디지털 압축 비디오 스트림을 인터넷 등을 통해 수신하는 네트워크 단자, 또는 디지털 방송 등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영상 입력부(110)는 영상이 입력되는 장치는 어떤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채널의 수에도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본 예제의 4개의 입력 즉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은 다양한 종류의 2차원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 혹은 CCTV 카메라 에서 촬영되는 영상들이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입력부(110)의 영상 입력단자가 4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영상 입력단자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영상 입력부(110)는 복수개의 영상입력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입력된 비디오들은 선택된 3D 비디오 월 데이터의 가상 모니터에 실시간 비디오 텍스쳐링에 사용되게 된다.
저장부(120)는 멀티뷰에서 사용할 3D 그래픽의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 비디오월 (Video Wall)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멀티뷰 객체(즉, 비디오 월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즉, 멀티뷰 객체는 3차원 그래픽 공간 상에 구현된 멀티뷰 장치 형상의 객체가 된다.
여기에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는 3차원 공간에 복수개의 멀티뷰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는 멀티뷰에 대한 3차원 배경 그래픽을 의미한다.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는 복수개의 멀티뷰 객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는 3차원 공간에 복수개의 멀티뷰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가상 공간의 형태를 이룬다.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는 3차원 그래픽을 설계하는 3D 프로그램인 3D Studio Max나 MAYA 등과 같은 편집 프로그램으로 생성된다.
또한, 저장부(120)는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디자인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에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30)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입력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의 조작정보는 가상카메라의 트랙정보로 변형되어 가상카메라의 이동에 이용된다.
조작부(130)는 복수개의 가상카메라 중 원하는 가상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30)는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부(130)는 입력된 조작정보를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30)를 통해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는 후술할 제1 출력단자(143)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조작부(130)는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30)는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에서 입력 되는 영상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믹싱한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30)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입력영상 또는 믹싱한 영상은 후술할 제2 출력단자(146)를 통해 출력된다.
조작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조작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방향키,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고,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여 출력한다.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영상을 제2 출력단자(146)로 출력하거나,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믹싱한 영상을 제2 출력단자(146)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에서 랜더링된 최종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다양한 규격의 영상 출력단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포넌트, 컴포지트, S-Video, D-SUB, DVI, HDMI 등의 출력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부(140)는 하나의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부(140)는 제1 출력단자(143) 및 제2 출력단자(146)를 포함한다. 제1 출력단자(143)는 3차원 멀티뷰 공간이 랜더링된 최종 영상을 출력한 다. 그리고, 제2 출력단자(146)는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또한, 제2 출력단자(146)는 제1 영상 입력단자(112) 내지 제4 영상 입력단자(118)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믹싱한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제1 출력단자(143)는 3차원 멀티뷰 영상을 출력하고, 제2 출력단자(146)는 스위처/믹서(switcher/mixer)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위처/믹서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입력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입력영상을 믹싱하여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출력부(140)는 제1 출력단자(143) 및 제2 출력단자(146)를 포함함으로써, 3차원 멀티뷰 기능과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센서부(150)에서 전송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카메라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머리에 센서부(150)를 장착한 경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센서부(150)는 왼쪽으로 움직였음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가상 멀티뷰 공간에서 가상 카메라를 왼쪽으로 돌렸을 경우의 화면을 랜더링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머리 이외에도 손 등의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150)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등의 모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가상카메라를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가상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의 기능에 대해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3차원 그래픽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텍스쳐 맵핑부(210),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 및 랜더링부(230)를 포함한다.
일단, 텍스쳐 맵핑부(21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복수개의 영상을 입력받고, 저장부(120)에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한다. 여기에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복수개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
그리고, 텍스쳐 맵핑부(210)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멀티뷰 객체에 각각 표시되도록,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텍스쳐 맵핑한다.
텍스처 맵핑(texture mapping)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가상의 삼차원 물체의 표면에 세부적인 질감의 묘사를 하거나 색을 칠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는 2차원의 그림을 삼차원 물체의 표면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맵핑하여, 3차원 컴퓨터 그래픽 화면을 생성할 때 마치 실제의 물체처럼 느껴지게 끔 그 세부 묘사를 하는데 사용된다.
텍스쳐 맵핑부(210)는 텍스쳐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에 존재하는 멀티뷰 객체에 입력된 2차원 영상을 텍스쳐 맵핑함으로써, 마치 3차원 공간 내에 배치된 멀티뷰 장치의 화면에 복수개의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과 같은 가상의 3차원 멀티뷰 공간을 완성하게 된다.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촬영하는 가상 카메라를 구현한다. 즉,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에 의해 구현된 가상 카메라는 가상의 3차원 멀티뷰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서 3차원 멀티뷰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랜더링부(230)가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 하기 위한 랜더링 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랜더링 조건은 랜더링 위치, 랜더링 각도, 랜더링 대상 객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이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되는 랜더링 조건으로 랜더링되도록하여, 가상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조작부(13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가상 카 메라의 트랙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30)(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를 조작하여, 3차원 멀티뷰 공간 내에서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하,앞,뒤,좌,우의 6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상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130)에 의해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면,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는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되는 랜더링 조건으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도록 랜더링부(230)를 제어한다.
랜더링부(230)는 가상 카메라 구현부(220)에서 제공된 랜더링 조건에 따라 랜더링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랜더링(Rendering)은 3차원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2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한다. 즉, 랜더링은 3차원 영상을 특정 시점에서 2차원으로 사영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화면에 출력될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랜더링부(230)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특정 조건에서 랜더링하여 최종적인 출력 영상을 영상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랜더링부(23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실시간 랜더링을 위해 하드웨어 랜더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이 텍스쳐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과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가상의 3차원 멀티뷰 공간상에 멀티뷰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쉽게 멀티뷰 장치를 이용하고 조 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차원 공간상에 복수개의 멀티뷰 객체를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좁은 공간에 더욱 많은 멀티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차원 멀티뷰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많은 멀티뷰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1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뷰 화면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멀티뷰 화면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 위치에서 자리를 이동하지 않고도 멀티뷰 화면들 중 특정 화면을 선택하거나 확대, 축소를 할 수 있게 되어, 멀티뷰의 많은 화면 중에 원하는 화면을 더욱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제공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다(S310).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S320),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120)로부터 독출한다(S330). 여기에서,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320)는 사용자가 조작부(130)(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방향키, 조이스틱 등)를 조작함으로써 구현된다.
그 후에, 3차원 멀티뷰 장치는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텍스쳐 맵핑한다(S34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개의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완성된다.
그 다음으로, 3차원 멀티뷰 장치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의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촬영하는 가상 카메라를 설정한다(S350).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조작부(130)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60). 만약, 조작부(130)가 조작되면(S360-Y),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한다(S370).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의 설정된 위치에서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출력되도록 랜더링 조건을 설정한다(S380).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설정된 랜더링 조건하에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한다(S390). 그 후에,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S395).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3차원 멀티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에 입력영상들을 텍스쳐 맵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그래픽(420)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의 3차원 멀티뷰 공간은 제1 멀티뷰 객체(430)와 제2 멀티뷰 객체(440)를 포함한다. 각 멀티뷰 객체는 하나의 멀티뷰 장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멀티뷰 객체(430)는 제1 모니터 영역(432), 제2 모니터 영역(434), 제3 모니터 영역(436) 및 제4 모니터 영역(438)의 총 4개의 모니터 영역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제1 입력영상(412), 제2 입력영상(414), 제3 입력영상(416) 및 제4 입력영상(418)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력영상(412)은 제1 멀티뷰 객체(420)의 제1 모니터 영역(432)에 텍스쳐 맵핑되고, 제2 입력영상(414)은 제1 멀티뷰 객체(420)의 제2 모니터 영역(434)에 텍스쳐 맵핑되며, 제3 입력영상(416)은 제1 멀티뷰 객체(420)의 제3 모니터 영역(436)에 텍스쳐 맵핑되고, 제4 입력영상(418)은 제1 멀티뷰 객체(420)의 제4 모니터 영역(436)에 텍스쳐 맵핑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이 멀티뷰 객체에 표시된 가상의 멀티뷰 공간인, 3차원 멀티뷰 그래픽(또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모델)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은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랜더링된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카메라가 촬영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420) 공간에 가상 카메라(500)를 배치한다.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랜더링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즉, 3차원 멀치뷰 장치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서 3차원 멀티뷰 그래픽(420)을 랜더링하게 된다.
그리고,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서 랜더링을 한 결과로 최종 출력영상(510)이 출력된다. 도 5에서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420)의 공간 전체를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출력 영상(510)은 3차원 멀티뷰 그래픽(420) 전체가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상카메라(500)의 위치는 조작부(130)(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방향키, 조이스틱 등)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고하여, 가상 카메라(500)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에 출력되는 영상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500)의 위치가 제1 멀티뷰 객체(430)만을 촬영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카메라(500)는 도 5의 위치에서 앞으로 이동된 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카메라(500)가 이동됨으로써, 가상 카메라(5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제1 멀티뷰 객체(430)만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영상(610)은 제1 멀티뷰 객체(430)만이 표시되어 있다.
가상 카메라(500)가 도 5의 위치에서 도 6의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실시간으로 가상 카메라(500)의 위치변화에 따라 출력영상은 계속 변화된다. 따라 서, 사용자는 가상 카메라(500)를 이동시켜 원하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 카메라(5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상 카메라(500)는 위치 이동, 줌-인, 줌-아웃 등 실제 카메라가 가지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 복수개의 멀티뷰 장치를 배치시킨 가상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구현하고, 가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을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멀티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출력단자가 복수의 입력영상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경우에, 제1 출력단자(143) 및 제2 출력단자(146)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단자(143)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에 대한 제1 출력영상(510)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출력단자(146)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입력 영상을 제2 출력영상(700)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7의 경우, 사용자가 제4 입력영상(418)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되므로, 제2 출력단자(146)의 제2 출력영상(700)은 제4 입력영상(418)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입력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제2 출력단자(146)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출력단자(146)로 출력되는 영상을 조작부(130)를 조작하 여 다른 입력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30)의 전환버튼(미도시)를 조작하여, 제2 출력단자(146)로 출력되는 영상을 제4 입력영상(418)에서 제2 입력영상(414)로 전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제2 출력단자(146)의 출력 영상을 전환하는 경우, 3차원 화면 전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력단자(146)의 출력영상을 제4 입력영상(418)에서 제2 입력영상(414)으로 전환하는 경우, 제4 입력영상(418)이 좌측 방향으로 축소되면서 사라지고, 제2 입력영상(414)이 우측 방향에서 확대되면서 나타나도록 3차원 전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전환 효과는 3차원 이펙터(3D effecto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출력단자(146)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처 기능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출력단자가 복수의 입력영상 중 어느 2개의 영상이 믹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제1 출력단자(143) 및 제2 출력단자(146)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단자(143)는 3차원 멀티뷰 그래픽에 대한 제1 출력영상(510)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출력단자(146)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 중 2개의 입력 영상이 믹싱된 제3 출력영상(800)을 출력하게 된다. 도 8의 경우, 사용자가 제4 입력영상(418)과 제2 입력영상(414)이 믹싱된 영상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되므로, 제2 출력단자(146)의 제3 출력영상(800)은 제4 입력영상(418)이 크게 표시되고 제2 입력영상(414)이 작게 믹싱된 영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출력단자(146)는 복수의 입력 영상들 중 적어도 2개의 입력영상을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경우도 믹싱된 2개의 입력영상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입력영상으로 전환할 때, 3차원 전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2개의 입력영상이 믹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3개 이상의 입력영상을 믹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는 3차원 멀티뷰 기능 뿐만 아니라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사용자가 3차원 그래픽을 생성하기 위해, 3D 비디오 월, 3D 비디오 효과, 및 입력 비디오들을 선택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 스위치 버튼을 설계하기 위한 3D 그래픽 제작툴을 제공하는 사용자 프로그래머블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3차원 멀티뷰 장치의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3차원 그래픽 전용 하드웨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3차원 멀티뷰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는 독립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2차원 화면에 다수의 비디오 화면을 분활해 보여 주는 멀티뷰 개념과 달리, 3차원 가상의 그래픽 공간속에 다수의 비디오 모니터를 그래픽으로 만들고 이 모니터에 장치에입력되는 실제 비디오들을 실시간 택스튜어로 나타내도록 원하는 3D 비디오 월을 그래픽으로 만들어 3D 공간속에 배치된 복수의 가상 카메라중 하나 혹은 복수로 보여지는 가상 비디오 월의 부분을 실시간 3D 렌더링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 선택된 가상카메라를 관측자의 조정버튼 혹은 입력 장치(조이스틱 같은)을 통해 가상 비디오월의 원하는 곳을 보여 지게 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 방식은 가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실시간 렌더링 기법을 씀으로서 여러대의 2D 멀티뷰를 쓰지않고 한대의 발명된 멀티뷰 화면에 다른 비디오들이 보여 지는 가상 비디오월을 보여주도록 가상카메라를 움직여 보여 주거나 필요한 부분을 주는 가상카메라를 선택해 보여 주게 하는 비디오들의 조합을 쉽게 구릅핑하여 이들을 보여 주는 스위칭을 쉽게 할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 공간속에 비디오들의 배치는 마음대로 무한으로 할수 있어 필요한 비디오들만으로 만든 비디오 월들을 보여주는 가상카메라를 정의하여 스위칭하므로서 비싼 아날로그 멀티플렉서 없이 손쉽게 다양한 장면을 스위칭하면서 프로그램제어 혹은 외부 버튼등의 조작으로 선택할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의 3차원 비디오 월과 가상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에는 비디오 월(900)(즉, 멀티뷰 객체), 제1 가상 카메라(910), 제2 가상 카메라(920) 및 제3 가상 카메라(930)를 포함한다.
제1 가상 카메라(910)는 비디오 월(900)의 전체를 촬영한다. 따라서, 제1 가상 카메라(910)를 선택했을 때, 랜더링 되는 영상은 제1 출력영상(915)과 같이 비디오 월 전체가 표시되는 영상이다.
제2 가상 카메라(920)는 비디오 월(900) 내의 A,B,C,D 화면만 촬영한다. 따라서, 제2 가상 카메라(920)를 선택했을 때, 랜더링 되는 영상은 제2 출력영상(925)과 같이, 4개의 화면만 표시된다.
제3 가상 카메라(930)는 비디오 월(900) 내의 6개의 화면을 촬영한다. 따라서, 제3 가상 카메라(930)를 선택했을 때, 랜더링 되는 영상은 제3 출력영상(935)과 같이 6개의 화면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가상카메라를 선택함에 따라 어떤 화면이 표시되는지를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를 선택하였을 때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1000)에는 가상 카메라 1 아이콘(1010), 가상 카메라 2 아이콘(1020) 및 가상 카메라 3 아이콘(1030)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a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 1 아이콘(1010)을 선택하면, 3차원 멀티뷰 장치에 의해 출력된 영상은 제1 출력영상(91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b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 2 아이콘(1020)을 선택하면, 3차원 멀티뷰 장치에 의해 출력된 영상은 제2 출력영상(91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c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카메라 3 아이콘(1030)을 선택하면, 3차원 멀티뷰 장치에 의해 출력된 영상은 제3 출력영상(93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선택된 가상 카메라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게 되어, 스위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1100)은 30개의 입력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가상카메라(1110)는 좌우로 회전하는 트랙킹을 하고, 제2 가상카메라(1120)는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는 조작부(130)의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상 카메라(1110)의 위치가 ⓐ, ⓑ, ⓒ, ⓓ인지 여부에 따라, 랜더링되어 출력되는 영상이 ⓐ, ⓑ, ⓒ, ⓓ로 각각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상 카메라(1120)의 위치가 ①, ②, ③인지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①, ②, ③으로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입력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1200)는 터치스크린(1210), 제1 모니터(1220), 제2 모니터(1230),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0), 조이스틱(1250), 키보드(1260), 마우스(127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210)은 복수개의 비디오 입력 중 원하는 비디오 입력을 선택하거나, 가상 카메라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1200)에는 아날로그 비디오 입력, SDI 비디오 입력, ASI 디지털 비디오 입력, MEPG 네트워크 비디오 입력 및 오디오-비디오 인코더(1240) 입력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멀티뷰 장치(1200)는 복수개의 비디오를 입력받아 제1 모니터(1220) 및 제2 모니터(1230)에 3차원 멀티뷰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3차원 멀티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카 메라(예를 들어, 도 13에서는 가상카메라 1, 가상카메라 2, 및 가상카메라 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출력이 DVI 혹은 스트리밍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의 기능선도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영상 입력부(110)에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신호(예를 들어, 도 13에서는 SDI, 아날로그 영상, ASI, 압축 비디오 스트림)가 입력된다. 또한, 3차원 그래픽 처리부(200)는 랜더부, 디코딩부, 비디오 텍스쳐링부, 및 3D VIDEO Wall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110)에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영상, 아날로그 영상 또는 압축 비디오 스트림들이 입력되어 디코딩(decoding)된다. 그리고, 디코딩된 비디오가 3차원 가상 멀티뷰 공간 내의 가상 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이 된다. 그리고,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되는 화면을 실시간 렌더링하여 DVI 1, DVI 2 또는 스트리밍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13은 이와 같은 과정을 나타내는 기능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3차원 그래픽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제공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에 입력영상들을 텍스쳐 맵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카메라가 촬영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제1 멀티뷰 객체만을 촬영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출력단자가 복수의 입력영상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경우에,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출력단자가 복수의 입력영상 중 어느 2개의 영상이 믹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의 3차원 비디오 월과 가상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를 선택하였을 때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입력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멀티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여러대의 TV에 하나의 비디오 화면을 보여 주는 멀티 비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종래의 멀티뷰에 대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입력되는 복수의 비디오들이 멀티뷰에 표시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17은 방송국과 CCTV 환경의 비디오월에 멀티뷰를 통해 여러 비디오를 보여 주는 비디오 월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영상 입력부 112 : 제1 영상 입력단자
114 : 제2 영상 입력단자 116 : 제3 영상 입력단자
118 : 제4 영상 입력단자 120 : 저장부
130 : 센서부 140 : 영상 출력부
143 : 제1 출력단자 146 : 제2 출력단자
150 : 센서부 200 : 3차원 그래픽 처리부
210 : 텍스쳐 맵핑부 220 : 가상 카메라 구현부
230 : 랜더링부

Claims (12)

  1. 아날로그 비디오, 디지털 비디오, 및 네트웍 압축 비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
    멀티뷰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의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가상 촬영하는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 중 하나의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출력되도록 랜더링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3차원 멀티뷰 그래픽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각각 맵핑하며,
    상기 복수개의 입력영상들이 맵핑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래픽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영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 적어도 2개의 입력 영상을 믹싱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자;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영상 또는 믹싱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멀티뷰 장치는,
    사용자가 3차원 그래픽를 생성하기 위해, 3D 비디오 월, 3D 비디오 효과, 및 입력 비디오들을 선택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 스위치 버튼을 설계하기 위한 3D 그래픽 제작툴을 제공하는 사용자 프로그래머블 스위처/믹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9. 복수개의 영상들을 입력받는 단계;
    멀티뷰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지정된 위치에 각각 맵핑(mapping)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맵핑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객체는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맵핑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이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내의 상기 멀티뷰 객체에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을 상기 멀티뷰 객체의 복수개의 모니터 형상의 화면 영역에 각각 택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의 3차원 멀티뷰 제공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복수개의 비디오들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
    3차원 비디오 월(wall) 객체가 포함된 3차원 멀티뷰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개의 입력 비디오들을 상기 3차원 비디오 월 객체 내의 모니터들에 각각 텍스쳐링(texturing)하고,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 공간 내에 배치된 가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3차원 멀티뷰 그래픽을 랜더링하는 3차원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랜더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멀티뷰 장치.
KR1020090029100A 2009-04-03 2009-04-03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KR10103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00A KR101037797B1 (ko) 2009-04-03 2009-04-03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PCT/KR2010/002047 WO2010114337A2 (ko) 2009-04-03 2010-04-02 3차원 멀티뷰 장치,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00A KR101037797B1 (ko) 2009-04-03 2009-04-03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58A KR20100110658A (ko) 2010-10-13
KR101037797B1 true KR101037797B1 (ko) 2011-05-27

Family

ID=4282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00A KR101037797B1 (ko) 2009-04-03 2009-04-03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7797B1 (ko)
WO (1) WO20101143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41A (ko) 2018-08-28 2020-03-09 김영대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803B1 (ko) 2011-05-26 2013-09-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304052B1 (ko) * 2011-07-19 2013-09-04 김영대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EP2911393B1 (en) * 2012-10-16 2018-06-06 Jae Woong Je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irtual camera in virtual 3d spa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11169B1 (ko) 2013-12-27 2020-05-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US9118888B1 (en) 2014-03-14 2015-08-25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News production system with integrated display
KR101668858B1 (ko) * 2014-04-28 2016-10-24 주식회사 이타기술 다채널 비디오 스트림 전송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KR102474745B1 (ko) * 2016-06-02 2022-12-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05365B1 (ko) * 2018-01-04 2020-05-29 주식회사 팬스컴스 가상공간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 매핑 방법
KR102056858B1 (ko) * 2019-10-30 2020-01-22 (주)하이퍼월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14928718A (zh) * 2022-04-29 2022-08-19 厦门图扑软件科技有限公司 视频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032618B (zh) * 2023-10-07 2024-02-02 启迪数字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多屏幕的动画旋转方法、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07A (ja) * 1995-07-03 1997-01-17 Tsuneo Ikedo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回路
KR20050113488A (ko) * 2004-05-29 2005-12-02 주식회사 다림비젼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090028674A (ko) * 2007-09-15 2009-03-19 김영대 가상 스튜디오 강의 및 회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07A (ja) * 1995-07-03 1997-01-17 Tsuneo Ikedo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回路
KR20050113488A (ko) * 2004-05-29 2005-12-02 주식회사 다림비젼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090028674A (ko) * 2007-09-15 2009-03-19 김영대 가상 스튜디오 강의 및 회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41A (ko) 2018-08-28 2020-03-09 김영대 가상 및 증강 현실 강의실에서 인공지능 기능의 자동 장면 전환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원격 강의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58A (ko) 2010-10-13
WO2010114337A3 (ko) 2011-01-06
WO2010114337A2 (ko)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97B1 (ko) 복수의 입력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ip 압축 비디오)들을 가상 그래픽 3차원 비디오 월의 가상모니터에 비디오 택스쳐링의 방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가상 3차원 그래픽 공간에 배치한 가상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3차원 렌더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 주는 매트릭스 및 스위처/믹서 기능을 갖는 3차원 공간속의 비디오 월을 보여 주는 멀티뷰 시스템
Uyttendaele et al. Image-based interactive exploration of real-world environments
JP6410918B2 (ja) パノラマ映像コンテンツの再生に使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102520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WI687087B (zh) 呈現超出全方位媒體的vr媒體的方法和裝置
US11941748B2 (en) Lightweight view dependent render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US20200128178A1 (en) A real-time generation method for 360-degree vr panoramic graphic image and video
JP6309749B2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装置
KR101304052B1 (ko)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US11153625B2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tribution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US201000607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sing video streams
JP6173442B2 (ja) 第1の映像信号と第2の映像信号を混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30095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ic images
KR101340598B1 (ko) 3차원 평면 타일배열 텍스처 매핑을 이용한 동영상기반 다시점 및 파노라마 가상현실 뷰어 제작 방법
KR102059732B1 (ko) 디지털 비디오 렌더링
JP2019514313A (ja) レガシー及び没入型レンダリングデバイスのために没入型ビデオをフォーマットする方法、装置、及びストリーム
CN110730340B (zh) 基于镜头变换的虚拟观众席展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Foote et al. One-man-band: A touch screen interface for producing live multi-camera sports broadcasts
US20210160561A1 (en) Image arrangement determination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image arrangement determination method,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KR102261242B1 (ko) 360도 3차원 영상 재생시스템
CN115665461B (zh) 一种视频录制方法及虚拟现实设备
TWI802204B (zh) 用於導出的沉浸式軌道的方法和系統
Kriz et al. Proposed Methods for Real-Time Visualization of Panoramic Stadium Tribune Images in High Resolution
KR20050113488A (ko)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Sarmiento et al. Panoramic immersive videos-3d production and visualization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