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267B1 -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267B1
KR101037267B1 KR1020057012214A KR20057012214A KR101037267B1 KR 101037267 B1 KR101037267 B1 KR 101037267B1 KR 1020057012214 A KR1020057012214 A KR 1020057012214A KR 20057012214 A KR20057012214 A KR 20057012214A KR 101037267 B1 KR101037267 B1 KR 10103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ot
pulling element
base bod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032A (ko
Inventor
벤노 쥐프리히
Original Assignee
벤노 쥐프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노 쥐프리히 filed Critical 벤노 쥐프리히
Publication of KR2005009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트(root)를 추출(extracting)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인데, 핀(2)은 치아의 루트 속으로 삽입되어지고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동적으로 작동된 인장장치(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진 인장요소(tension element, 3)는 핀(2) 속으로 도입되어진다. 입(mouth) 속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지고 거기서 지지되어지는 인장장치(4)는 실질적으로 루트의 축방향으로 루트 상에서 작용하는 요구되는 인발력(pulling force)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치아의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아주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ROOT EXTRACTION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주된 기재내용에 따라서 루트(root)를 추출(extracting)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기술(dental technology)에 있어서, 치아(tooth)를 추출하고 다음으로 국소마취(local anaesthetic)를 집행하는 동안, 치주용 갭(periodontal gap) 속으로 푸쉬되어지는 도구(tool)로써 루트는 먼저 잇몸(gum) 속으로 다소 느슨하게 되어지고, 다음으로 치아가 루트와 함께 집게(plier)로써 뽑혀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그러나, 만일 치아가 부서진 치아이거나 또는 집게를 위하여 이용가능한 그립 표면(grip surface)이 실제적으로 없는 크라운(crown)으로 치아가 덮혀져 있거나 그리고, 만일 루트만이 추출되어져야만 한다면, 상기한 내용은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루트(root)의 간단한 추출(extraction)을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으로 주어진 방법과 제8항에 따라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되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의 추가적인 선호적인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를 형성한다.
수동적으로 작동가능한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진 풀링요소(pulling element)가 핀 속으로 삽입되어진 이후, 루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핀(pin)은 루트(root)속으로 삽입되어지고 거기에 부착되어지며, 다음으로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적인 문제점이 없으며 입(mouth) 내에 부상의 위험성이 없으면서도 상당히 큰 인발력(pulling force)이 루트에 제공되어질 수 있는 마우스 수단(mouth means) 속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지는 지지된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에 의해서, 치아를 추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발력(pulling force)이 생성되어지고 루트의 실질적으로 축방향(axial direction)으로 루트에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간단하고, 저렴하며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다.
도 1은 루트(root)를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장치의 개관도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4는 루트 속으로 나사모양의 핀(threaded pin)을 스크류(screwing)하기 위한 카운터피스(counter piece)를 가진, 본 발명의 장치의 일부로서 나사모양의 핀을 도시한 모습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핀(pin) 3 : 풀링요소(pulling element)
4 :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5 : 헤드(head)
6 : 후크형 리세스(recess) 8,9 : 교차핀(cross pin)
도 1은 루트(root)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device, 1)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루트 속으로 삽입되어지고 거기에 부착되어질 수 있는 핀(pin, 2)과, 상기 핀(2) 속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는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와 그리고 상기 풀링요소(3)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진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의 핀(2)은, 선호적으로는 축방향으로 치아 루트(tooth root) 속으로 스크류(screw)되어지는 나사모양의 핀(threaded pin)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핀(2)을 치아 루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means)이 구현되어질 수도 있고(예를 들어 이는 시멘트(cement) 또는 접착제 연결(adhesive connection) 또는 팽창핀(expanding p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가 직선(straight)이 아니거나 또는 크라운(crown)의 맞춤(fitting)을 위하여 하나 또는 두개의 스크류가 이미 구비되어져 있다면, 루트의 축 방향으로의 삽입은 때때로는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핀(2)은 헤드(head, 5)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헤드는 후크형 리세스(recess, 6)가 다시 구비되어진다. 도 4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헤드(5)는 헤드(5)가 그 위로 부착되어질 수 있는 루트속으로 규격화된 어댑터(adapter, 7)를 스크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의 외부형상(사각형)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언급된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가 교차핀(cross pin, 8)으로써 후크형 리세스(6) 속으로 후크되어진다. 예를 들어 풀링요소(3)는 와이어(wire), 스트링(string) 또는 로프(rope)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풀링요소(3)의 다른 단부에서 교차핀(9)이 역시 제공되어지는데,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지는 바와 같이 이로 인하여 풀링요소(3)는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에 부착되어질 수 있다.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는 스트레치된 베이스 몸체부(stretched base body, 1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10)는 베이스 몸체부와 관련하여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된 인장 서포트(tensioning support, 12)를 위한 T형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너트(guide nut, 11)를 포함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모양의 볼트(threaded bolt, 15)는 전면 단부(15a)로써 인장서포트(12) 속으로 스크류되어지며, 후면 나사모양 부분(15b)은 스크류(14)에 의해서 베이스 몸체부(10)의 후방단부 상으로 스크류되어지는 지지슬리브(support sleeve, 16)를 통하여 가이드 되어진다. 리브된 너트(ribbed nut, 20)는 나사모양 부분(15b)으로 할당되어지며, 이는 지지슬리브(16)의 후방으로 면하는 표면(17)에서 지지되어질 수 있다. 인장서포트(tensioning support, 12)는 한편으로는 지지슬리브(16)의 전방으로 면하는 표면(18) 상에서 후방표면(21)으로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면 베이스 몸체부분(10a) 상의 전면을 향하여 방향화된 표면(22)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다.
인장 서포트(12)는 길이방향으로 서로의 뒤쪽에 배열되어진 다수의 후크형 리세스(recess, 23)가 구비되어지고,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는 교차핀(cross pin, 9)으로써 이들 속으로 후크되어질 수 있다. 풀링요소(3)를 위한 전환부분(diverting part, 24)은 전면 베이스 몸체부분(10a)에 부착되어지고, 한편으로 는 핀(3)과 관련해서 루트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장장치(4)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인장되어지는 풀링요소(3)가 그 위에서 지지된다. 전환부분(24)은 확고하게 부착된 디스크 세그먼트(disc segment)의 형태를 취하며, 그 단면은 풀링요소(3)를 위한 가이드 너트(guide nut, 24a)를 형성하며, 교차핀(26)에 의해서 전면 베이스 몸체부분(10a)의 포크형 부분(25)에 전면 측에서 부착되어진다.
인장 서포트(12)를 위한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 11)로부터 벗어나게 면하는 측면 상에서, 베이스 몸체부(10)는 열장이음 단면(dovetail cross-section)을 가진 그루브(27)가 구비되어지며(도 3 참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지플레이트(support plate, 28)가 그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전면 베이스 몸체부 섹션(10a)은 베이스 몸체부(10)의 동일한 측면 상에서 도 1에서 도시되어진 회전 세그먼트(rotating segment, 30)를 위한 그루브(29)를 포함하며, 그 축은 인장서포트(12)의 변위방향으로 대각선적으로 연장되고, 그루브(29) 속으로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그루브(29)는 회전세그먼트(30)의 외부 및 내부 둘레부 표면을 위한 가이드 표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29)는 전면 베이스 몸체부 섹션(10a) 내에 위치되어져서, 핀(2)을 향하는 풀링요소(pulling element)가 회전세그먼트(30)와 관련하여 동축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회전세그먼트(30)는 표면(34,35)에 의해서 한정된 절단부(cut-out)를 형성하는데, 그 배열은 회전 세그먼트(30)를 회전(turning)함에 의해서 변화, 즉 조절되어질 수 있다. 회전 세그먼트 (30)는 -지지플레이트(28)를 가지는 베이스 몸체부(10)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지디스크(support disc, 38)가 구비되어지며, 열장이음 단면(dovetail cross-section)을 가진 회전세그먼트(30)의 그루브(37) 속으로 삽입되어진다(도 1). 지지플레이트(28)와 지지디스크(38)는 입(mouth) 내에서 인장장치(4)를 지지하기 위한 휴지표면(resting surface, 28a,38a)을 각각 형성한다.
루트가 추출되어질 때, 먼저 핀(2)이 루트 속으로 삽입되어지고 거기에 부착되어지며, 선호적으로는 그 속으로 스크류되어진다. 다음으로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의 한쪽 단부가 핀(2) 속으로 삽입되어지는데, 예를 들어 교차핀(cross pin, 8)을 가진 리세스(6) 속으로 후크되어지고, 입(mouth) 속으로 삽입되어지며 다른 단부로써 부분적으로 지지되어지는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에 부착되어진다. 다른 교차핀(9) 속으로 후크하기 위한 적절한 리세스(23)의 선택으로써, 치료되어지는 입(mouth) 내의 로케이션(location)의 위치, 즉 입(mouth) 내의 인장장치의 지지점(supporting point)과 추출되어지는 루트 사이의 거리는 고려되어져야만 하고, 풀링요소(3)의 적절한 사전-인장(pre-tensioning)이 생성되어져야만 한다.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실제 인발력(pulling force)을 생성하기 전에 시작위치(starting position)로서 지지슬리브(support sleeve, 16)의 전면에 면하는 표면(18)과 전면 베이스 몸체부분(10a) 사이의 인장서포트(12)의 위치는, 나사모양의 부분(15b)을 맞추도록 리브된 너트(ribbed nut, 20)를 축방향으로 조절함에 의해서 신속하게 조절되어질 수도 있다. 후방표면(21)을 가진 지지슬리브(16)의 전면에 면 하는 표면(18)에 대하여 인접하는 인장서포트(12)로써, 서포트 슬리브(16)의 후방으로 면하는 표면(17)으로부터 리브된 너트(20)의 축 거리는 리브된 너트(20)를 회전함이 없이도 인장서포트(12)가 길이방향으로 신속하게 움직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결정한다. 이때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실제 인발력은 회전함에 의해서 서포트 슬리브(16)의 후방으로 면하는 표면(17)에 대해서 인접하는 리브된 너트(20)에 의해서 생성되어지고, 이어서 나사모양의 부분, 즉 인장서포트의 느린 조절(adjustment)이 생성되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인발력(pulling force)이 과도한 힘이 없이도 나사모양 부분을 통해서 생성되어질 수 있는 것은 장점이다. 또한, 루트 속으로 부착된 핀(2)과 관련하여 인장서포트(12)의 직각배열과 풀링요소(3)의 전환(diverting)은, 루트가 공간적인 문제점과 입(mouth) 내의 부상의 위험없이도,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의 지지(support)는 (입 가장자리 상의) 지지플레이트(28)의 지지표면(28a)에 의해서 그리고 (치료되어지는 위치를 위한) 회전 세그먼트(rotating segment, 30)에 부착되어진 지지디스크(support disc, 38)의 지지표면(38a)을 경유하여 수행되어진다. 회전가능한 회전세그먼트(30)는 최적의 지지를 보장하도록 치료되어지는 위치 둘레의 관련된 국부조건에 맞추도록 조절되어질 수 있다.
한쪽 측면 상에서 지지슬리브(16)에 대해 인장서포트(12)의 받침(abutment) 과 다른 측면 상에서 전면 베이스 몸체부 섹션(10a)에 의해서 그 최대 크기로 제한되어지며, 크기는 리브된 너트(20)에 의해서 조절, 즉 감소되어질 수 있는 상기에서 언급된 인장서포트(tensioning support, 12)의 신속한 조절(fast adjustment)은, 사전-치료(pre-treating), 즉 인장서포트의 왕복 움직임이 실제 인발력을 적용하기에 앞서 루트 상에 갑작스런 충격력(impact force)을 제공하여 루트를 느슨하게 하는데 이용되어질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공지된 방법에 있는 적절한 도구에 의해서 치주용 갭(periodontal gap) 내에서 느슨함(loosen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고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의 베이스 몸체부(10)는 한손에 있는 엄지와 중지로서 지지되어질 수 있고, 집게손가락은 전환부분(diverting part, 24) 상의 풀링요소의 위치를 지지하고, 리브된 너트(20)는 다른 손으로 활성화되어진다. 원칙적으로, 인발력(pulling force)은 기계적으로 제공되어질 수도 있다.
리브된 너트(20)의 회전(turning) 동안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 상에 갑작스런 충격(sudden impact)의 효과를 주는 수단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지지슬리브(16)의 면하는 표면(17)과 리브된 너트(20)에 대하여 받쳐지는 리브된 너트들은 방사적으로 연장되는 대응되는 톱니(saw teeth) 등과 같은 것으로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리브된 너트의 회전과정 동안, 추가적인 증가가 특정 각도에 걸쳐서 생성되어지고 다시 감소되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루트 속으로 삽입되고 부착될 수 있는 핀(2)과, 상기 핀(2) 속으로 삽입되는 풀링요소(pulling element, 3)와, 루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발력(pulling force)을 생성하기 위하여 입(mouth) 속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입속에 지지되며 풀링요소(3)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인장장치(tensioning device, 4)를 포함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장장치(4)는 스트레치된 베이스 몸체부(stretched base body, 10) 및 베이스 몸체부(10)와 관련하여 길이방향으로 조절되고 풀링요소(3)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인장서포트(tensioning support, 12)를 포함하고, 핀(3)과 인장서포트(12) 사이에서 인장되는 풀링요소(3)는 베이스 몸체부(10)와 연결된 전환부분(diverting part, 24)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서포트(12)는 길이방향의 나사를 가진 볼트(15)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베이스 몸체부(10)에 부착된 서포트 슬리브(support sleeve, 16)를 통해 돌출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16) 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리브된 너트(20)가 볼트상에 배열되어 상기 인장서포트(12)와 연결된 상기 볼트(15)가 축방향으로 지지된 상기 너트(20)와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풀링요소(3)는 와이어(wire), 로프(rope), 또는 스트링(string)의 형태를 취하며, 한편으로는 핀(2)의 후크형상의 리세스(6,23) 속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인장서포트(12) 속으로 상기 풀링요소(3)를 후크하기 위한 수단(8,9)이 구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인장서포트(12)는 풀링요소(3)의 선택적인 후크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의 뒤쪽에 위치되어진 여러개의 후크형상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인장서포트(12)는 전면 베이스 몸체부 섹션(10a)과 전면으로 향하는 표면(18)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조절되어지고, 조절의 정도는 지지슬리브(16)의 후방으로 면하는 표면(17) 상에서 지지되어지는 리브된 너트(20)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회전 세그먼트(rotating segment, 30)는 베이스 몸체부(10)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그 축은 인장서포트(12)의 변위방향과 관련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핀(2)에 면하는 풀링요소(3)를 둘러싸며, 회전세그먼트(30) 뿐만 아니라 베이스 몸체부(10)는 입(mouth) 내에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표면(28a,38a)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서포트 슬리브(16)의 면하는 표면(17)과 이에 인접하는 리브된 너트(20)가 방사적으로 연장되는 대응되는 톱니(saw teeth)들이 구비되고 리브된 너트(20)의 회전 동안 풀링요소(3)의 갑작스런 당김(pulling)에 영향을 주는 수단(means)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트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KR1020057012214A 2003-01-03 2003-12-27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 KR101037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004/03A CH696458A5 (de) 2003-01-03 2003-01-03 Vorrichtung zur Extraktion einer Zahnwurzel.
CH20030004/03 2003-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032A KR20050091032A (ko) 2005-09-14
KR101037267B1 true KR101037267B1 (ko) 2011-05-26

Family

ID=3268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214A KR101037267B1 (ko) 2003-01-03 2003-12-27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35087B2 (ko)
EP (1) EP1578296B1 (ko)
JP (1) JP4384605B2 (ko)
KR (1) KR101037267B1 (ko)
CN (1) CN100522102C (ko)
AT (1) ATE537776T1 (ko)
AU (1) AU2003300232A1 (ko)
CH (1) CH696458A5 (ko)
RU (1) RU2314058C2 (ko)
WO (1) WO2004060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7315B2 (en) 2002-11-27 2017-06-27 Beak And Bumper, Llc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20110027754A1 (en) * 2005-03-31 2011-02-03 Richard Golden Dental pliers with adjustable bumper
US9655689B2 (en) 2005-03-31 2017-05-23 Beak And Bumper, Llc Forceps for molar extraction
US20080187885A1 (en) * 2007-02-05 2008-08-07 Richard Golden One handle oral extraction device with variable clearances between hook and pad support portions
CH699644B1 (de) * 2006-10-06 2010-04-15 Benno Syfrig Vorrichtung zur Extraktion einer Zahnwurzel.
US8439679B2 (en) * 2006-10-11 2013-05-14 Theodore John Hoke, III Extractor for broken tooth root
DE202009003696U1 (de) 2009-03-18 2010-07-29 Guse, Carsten, Dr. Vorrichtung zur Extraktion einer Zahnwurzel
BRPI1001125B1 (pt) * 2010-04-29 2021-06-15 Adalberto De Carvalho Vale Ferramenta ergonômica para exodontia atraumática
US20150037755A1 (en) * 2013-04-02 2015-02-05 Patricia Raymond Luzzader Dental Extraction Burs for Extraction of a tooth or a portion of a Tooth
US9173719B2 (en) 2013-11-08 2015-11-03 Beak And Bumper, Llc Force applying attachment, kit and method for pre-loosening a tooth in order to facilitate removal thereof
BR202016027654U2 (pt) 2016-11-24 2018-06-12 Biosthetics Reabilitação Buco Maxilofacial S/S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em alicate rotulado extrator de dentes e raízes dentárias remanescentes
KR101838480B1 (ko) 2017-09-28 2018-03-14 (주) 코웰메디 치근 발치 키트
CN109223204B (zh) * 2018-09-21 2021-01-05 徐州工程学院 一种螺旋式拔牙装置
DE202019103456U1 (de) 2019-06-21 2019-06-28 Chao-Lin Liu Zahnextraktionsgerät
TWI697322B (zh) * 2019-10-21 2020-07-0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齒科拔牙器械
CH717254A2 (de) * 2020-03-23 2021-09-30 Med Benno Syfrig Dr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Vorrichtung zum Extrahieren insbesondere einer Zahnwurzel sowie eine Vorrichtung.
CN117547363A (zh) * 2022-04-07 2024-02-13 苏州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阻生牙分次拔除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DE202023101199U1 (de) 2023-03-13 2023-03-27 Helmut Zepf Medizintechnik Gmbh Vorrichtung zur Zahnextrak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196A (en) 1982-09-20 1984-04-17 Miguel Rico Tooth root extractor
DE10136762A1 (de) * 2001-04-12 2002-10-24 Hans-Peter Horni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Zähn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929A (en) * 1903-06-16 1903-09-15 Andrew T Mcmillin Dental instrument.
US784098A (en) * 1904-06-18 1905-03-07 Walter S Beazley Dental root-extractor.
FR735071A (fr) 1931-07-10 1932-11-03 Outil destiné à l'extraction des racines dentaires
CN1034487A (zh) * 1988-01-31 1989-08-09 凌云 具有双杠杆系统的臼齿拔牙钳
US5209747A (en) * 1990-12-13 1993-05-11 Knoepfler Dennis J Adjustable angle medical forceps
EP1379192B1 (en) 2001-04-02 2007-06-06 Franco Fiumana Device and kit for tooth extra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196A (en) 1982-09-20 1984-04-17 Miguel Rico Tooth root extractor
DE10136762A1 (de) * 2001-04-12 2002-10-24 Hans-Peter Horni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Zäh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2102C (zh) 2009-08-05
CN1735386A (zh) 2006-02-15
KR20050091032A (ko) 2005-09-14
RU2005124680A (ru) 2006-01-20
WO2004060191A1 (de) 2004-07-22
JP2006521117A (ja) 2006-09-21
CH696458A5 (de) 2007-06-29
ATE537776T1 (de) 2012-01-15
US20060166167A1 (en) 2006-07-27
US7435087B2 (en) 2008-10-14
AU2003300232A1 (en) 2004-07-29
JP4384605B2 (ja) 2009-12-16
EP1578296B1 (de) 2011-12-21
RU2314058C2 (ru) 2008-01-10
EP1578296A1 (de)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267B1 (ko) 루트 추출 방법 및 장치
EP1581140B1 (en) Device comprising a fixture holder, a fixture and a dental screwing arrangement
US5839896A (en) Dental post extractor apparatus
JP3163155B2 (ja) 歯根穴の穴ぐり器具セット
US20040126735A1 (en) Ultrasonic microtube d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291413A (en) Bone clamping and wire adjusting means
US8439679B2 (en) Extractor for broken tooth root
HU220020B (hu) Csontcsavar
US10039622B2 (en) Method for the guided removal of dental posts
KR101838480B1 (ko) 치근 발치 키트
CA2441341A1 (en) Device, kit and method for tooth extractions
US20040126741A1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teeth
US4725233A (en) Device for removing crowns, bridges, and similar structures from the stumps of teeth
ITPD20100207A1 (it) Vite di ancoraggio ortodont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100671540B1 (ko) 치열교정용 스크류
US4594069A (en) Dental crown remover
CA2040574A1 (en) Sliding cap for placement in archwire of orthodontic bracket
US20150024346A1 (en) Method of removing oral root tip
US3755901A (en) Crown remover
JP4133308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連結ボルト締結装置
KR102234777B1 (ko)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JPH11336461A (ja) 削孔機用セントラライザのクランプツース
JP2004514499A (ja) 歯内治療プロトコールを実施するための根管用具のシーケンス
KR200333544Y1 (ko) 파절된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스쿠루 제거기구 및 이를 적용한 장치
US985270A (en) Saw-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