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59B1 -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59B1
KR101036959B1 KR1020090049544A KR20090049544A KR101036959B1 KR 101036959 B1 KR101036959 B1 KR 101036959B1 KR 1020090049544 A KR1020090049544 A KR 1020090049544A KR 20090049544 A KR20090049544 A KR 20090049544A KR 101036959 B1 KR101036959 B1 KR 10103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haft
light
roll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836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09004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5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수평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의 조절작동이 이루어지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조절부의 회전체들이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나사축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이동시키는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의 회전이 직선이동축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그 회전수를 넘어서면 나사축의 회전을 직선이동축으로 전달시켜 나사축의 추가적인 회전을 어렵게 하여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광상태의 조절 또는 투광상태의 조절작동시, 사용자는 편리하게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이 달라지는 경우, 그 달라진 폭에 맞춰서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호환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욱 편리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49544
블라인드,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투광부, 불투광부, 나사축

Description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DUAL ROLL BLIND APPARATUS FOR ADJUSTING ITS MOVING DISTANCE}
본 발명은 실내 차광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고, 상하 높이 조절이 자유로워 사용이 간편한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블라인드의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따라서 블라인드의 수평이동거리를 쉽게 제한하여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의 조절작동시, 정확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라인드 시스템음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100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캠이 구비된 이송부를 사용하여 2개의 권취롤 중 하나의 권취롤을 이송시켜서 2매의 편광스크린의 중첩부를 조절하고, 투광, 부분 차광 및 완전 차광 시켜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 시스켐은 권취롤을 회전시켜주는 체인 휠과 조작체인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권취기구와는 별도로 수평이동, 캠축, 브래킷 및 체인 휠과 조작체인으로 이루어진 권취롤 이송기구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권취기구와 이송기구를 각각 따로따로 조작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로 블라인드를 이동시키기 어려웠고, 부분적인 차광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서 시원한 개방감이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8403호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브래키트(CEILING BRACKET)의 양 측판(5a)(5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제1 롤케이싱(12)을 구비한 권취롤(10)과, 상기 권취롤(10)과 나란하게 상기 양 측판(5a)(5b)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의 블라인드 권취기구(20)에 의해서 회전하는 나사축(22)과 나선 결합되는 이동대(24)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대(24)의 회전을 억제하여 직선적으로 좌우 이동시키는 직선이동축(30)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대(24)와 직선이동축(30)에 결합한 제2 롤케이싱(42)을 구비한 가동 권취롤(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동 권취롤(40)은 직선이동축(30)이 상기 나사축(22)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상기 나사축(22)과 동축을 이루고, 상기 직선이동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활주대(44)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대(44)에 상기 제2 롤케이싱(42)이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22)과 직선이동축(30)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된 것이 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10)에는 상단부가 고정되며, 폭이 일정한 투광부(52a)와 불투광부(52b)가 폭 방향 쪽에서 교호로 형성된 제1 블라인드 원단(50)이 배치되고, 상기 가동 권취롤(40)에도 상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블라인드 원단(50)에 대응하는 투광부(62a)와 불투광부(62b)를 형성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 블라인드 원단(6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블라인드 원단(50)과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하단부에는 제1 블라인드 원단(50)에 대해 제2 블라인드 원단(6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단봉(COUNTER WEIGHT BAR)(70)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사용자가 블라인드를 투광상태로부터 차광상태로 바꾸거나, 차광상태로부터 투광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블라인드 권취기구(20)에 의해서 나사축(22)을 회전시켜 가동 권취롤(40)의 제2 롤케이싱(40)에 연결된 제2 블라인드 원단(60)을 권취롤(10)의 제1 블라인드 원단(50)에 대해서 수평이동시키고 차광상태와 투광상태를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차광상태와 투광상태를 각각 임의로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차광상태로부터 투광상태로 변환하거나, 투광상태로부터 차광상태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차광위치와 투광위치에서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없는 것이어서, 사용자는 제1 블라인드 원단(50)의 투광부(52a)에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불투광부(62b)를 대략 일치시켜 부정확한 차광상태가 이루어지거나, 제1 블라인드 원 단(50)의 투광부(52a)에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투광부(62a)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못하여 완벽한 투광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투광부(52a)(62a)와 불투광부(52b)(62b)의 폭(W)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혹은 사회적으로 요구하는 요구 수준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제1 블라인드 원단(50)과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투광부(52a)(62a)와 불투광부(52b)(62b)의 폭(W)이 작아지거나 커지게 되어도 제2 블라인드 원단(60)의 이동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가 없어서 정확하게 차광상태와 투광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맞춰서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있어서, 차광상태의 조절 또는 투광상태의 조절작동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된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 그 달라진 폭에 맞춰서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맞 춰서 호환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취롤의 제1 롤케이싱에 투광부와 불투광부를 교호로 형성하는 제1 블라인드 원단을 감고, 가동 권취롤의 제2 롤케이싱에 투광부와 불투광부를 교호로 형성하는 제2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서 제1 블라인드 원단에 대해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이동시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블라인드를 변환시키고, 상기 권취롤과 가동 권취롤에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들을 감거나 풀어서 차광 정도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BLIND SYSTEM)에 있어서, 상기 가동 권취롤은, 양측판의 일측에서 블라인드 권취기구에 의해서 회전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양측판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직선이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축에 나선 결합되는 이동대와, 상기 직선이동축의 스플라인 홈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활주대에 양단이 연결되며, 그 둘레에는 상기 제2 블라인드 원단의 상단이 고정된 제2 롤케이싱; 상기 제2 롤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축의 중앙 심봉으로부터 상기 직선이동축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직선이동축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나사축과 직선이동축 사이에서 연장하는 원형단면의 축부; 및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다수 연이어서 장착된 회전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들은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축이 투광부 또는 불 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이동시키는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의 회전이 직선이동축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수를 넘어서면 나사축의 회전을 직선이동축으로 전달시켜 나사축과 함께 직선이동축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권취롤의 제1 블라인드 원단에 대해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 만큼 수평이동한 다음에는 가동 권취롤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여 회전을 어렵게 함으로써 그 상태에서 회전을 정지시키고, 블라인드를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맞춰서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있어서, 차광상태의 조절 또는 투광상태의 조절작동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나사축의 심봉에 끼워져서 나사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를 향해 복수의 돌기와 홈을 형성한 제1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이동축의 육각 단면 심봉에 끼워져서 직선이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회전체를 향해 복수의 돌기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제2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의 돌기와 홈들 사이에서 회전체가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에 다수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동조절부를 통하여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를 제한하면서 나사축의 회전을 직선이동축으 로 정확하게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어댑터는 나사축의 심봉에 끼워지는 6각단면의 내경부를 포함하여 나사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를 향한 일측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원형단면의 축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돌기들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들이 대향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어댑터는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홈들을 통해서 회전체에 나사축의 회전력을 쉽게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어댑터는 선단에 가이드가 장착된 직선이동축의 육각단면 심봉에 끼워지는 12각단면의 내경부를 포함하여 직선이동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를 향한 일측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원형단면의 축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돌기들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들이 대향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어댑터는 12각단면의 내경부를 통해서 육각단면의 직선이동축의 심봉이 쉽게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조립 작업성이 향성되며, 제2 어댑터는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홈들을 통해서 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로부터 전달되는 나사축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으로 쉽게 전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원판형의 제1 몸체부 전,후면 에 각각 복수의 돌기들이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들이 원형단면의 축부를 중심으로 교차 배치되며, 상기 전,후면의 복수의 돌기들과 홈들은 제1 몸체부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다수의 제1 회전부재와, 원판형의 제2 몸체부 전,후면에 각각 하나의 돌기가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돌기를 제외한 부분에는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의 돌기와 홈들은 제2 몸체부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다수의 제2 회전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들은 횡으로 적층되어 각각의 돌기와 홈들이 결합하여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 사이에서 맞물려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상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들의 장착 갯수가 조절되어 상기 나사축의 회전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의 회전이 직선이동축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회전체는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 간의 돌기와 홈 결합을 통하여 서로 간의 회전력이 쉽게 전달되고, 일정 수의 나사축의 회전을 직선이동축 측으로 전달하지 않고 제한한 다음에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권취롤과 가동 권취롤상에서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제1 몸체부와 제2 회전부재의 제2 몸체부들은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갖추어 동일한 회전반경에서 회전하는 것 이다. 따라서 원형단면의 축부에 중첩되어 끼워지는 경우 동일직경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제1 몸체부와 제2 회전부재의 제2 몸체부들은 그 폭이 상기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의 사이 간격을 균등하게 분할한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추어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교환장착이 가능하고,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 이내에서 상기 나사축의 회전이 직선이동축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따라서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장착갯수를 다르게 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이 다른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에 대해 각각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조합을 다르게 하면, 권취롤과 가동 권취롤상에 장착할 수 있고,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통해서 투광상태 또는 차광상태로 하거나 이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인접한 제1 회전부재와의 사이에서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와 홈들이 끼워맞춤되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인접한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서 제1 회전부재의 복수의 돌기들은 제2 회전부재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내에 위치되고, 제1 회전부재의 홈에는 제2 회전부재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가 삽입되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된다. 따라서 제1 회전부재와 제1 회전 부재의 조합 또는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조합구조는 나사축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으로 손실없이 전달하고, 이와 같은 조합 수를 증대시키면, 나사축으로부터 직선이동축으로 전달되는 보다 적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작은 폭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인접한 제2 회전부재와의 사이에서 일측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가 타측의 제2 회전부재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내에 위치되고, 일측의 제2 회전부재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내에는 타측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가 위치되어 일측의 제2 회전부재의 회전시 타측의 제2 회전부재에 대해 180°만큼 회전을 제한한 후에 회전을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제2 회전부재들이 인접하여 결합하는 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나사축으로부터 직선이동축으로 전달되는 보다 많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큰 거리에서 제2 롤케이싱이 수평이동되도록 하고, 큰 폭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들이 인접하여 결합하는 수를 줄이게 되면 나사축으로부터 직선이동축으로 전달되는 보다 적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작은 거리에서 제2 롤케이싱이 수평이동되도록 하고, 작은 폭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인접한 제1 회전부재와의 사이에서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가 제1 회전부재의 홈에 삽입되고,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 내에는 제1 회전부재의 돌기가 배치되며,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회전부재와 제1 회전부재의 조합 수를 증대시키면, 나사축으로부터 직선이동축으로 전달되는 보다 적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작은 폭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과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조절부를 통하여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맞춰서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차광상태의 조절 또는 투광상태의 조절작동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제2 블라인드 원단을 위치이동시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조절하게 되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 그 달라진 폭에 맞춰서 이동조절부의 회전체 조합을 변경시키게 되면 가동 권취롤의 제2 블라인드 원단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투광부와 불투광부의 폭에 맞춰서 호환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200)의 제1 롤케이싱(210)에 투광부(222a)와 불투광부(222b)를 교호(交互)로 형성하는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을 감고,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롤케이싱(310)에 투광부(322a)와 불투광부(322b)를 교호로 형성하는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감아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이동시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블라인드를 변환시키고, 상기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들을 감거나 풀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권취롤(200) 부분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8403호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에 제시된 구성과 동일하며, 본 발명은 가동 권취롤(300)의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의 사이에 마련된 이동조절부(500)를 통하여 먼저 제1 블라인드 원단(220)와 제2 블라인드 원단(320)에 형성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수평이동시키고,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난 직후에는 바로 상기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상에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와 제 2 블라인드 원단(320)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상기 권취롤(200)은 양 측판(205a)(205b)에 각각 회전슬리브(230a)(230b)를 통하여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둘레에는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이 감겨진 제1 롤케이싱(2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 권취롤(300)은, 양 측판(205a)(205b)의 일측에서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에 의해서 회전하는 나사축(350)과, 상기 나사축(350)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양 측판(205a)(205b)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직선이동축(400)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축(350)에 나선 결합되는 이동대(360)와, 상기 직선이동축(400)의 스플라인 홈(404)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활주대(410)에 양단이 연결되며, 둘레에는 상기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상단이 감겨서 고정된 제2 롤케이싱(3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200)은 일측의 측판(205b) 내측에 회전 슬리브(230a)에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240)를 구비하고, 이와 같은 종동기어(240)는 중간기어(260)를 통하여 상기 가동 권취롤(300)의 일측 측판(205b) 내측에서 상기 직선이동축(400)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270)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측의 구동기어(270)는 가동 권취롤(300)의 직선이동축(400)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이고, 상기 구동기어(270)에 중간기어(260)를 통하여 종동기어(240)가 치차결합하여 상기 구동기어(270)가 회전하면 중간기어(260)를 통해서 종동기어(24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종동기어(240)에 연결된 권취롤(200)의 제1 롤케이싱(210)을 회전시킨다.
한편 도 4b에는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의 반대 측판(205a)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측의 블라인드 권취기구(330)는 체인 휠(332)을 구비하여 체인(335)의 볼(335a)이 결합하고, 사용자는 체인(335)을 당김으로써 체인 휠(33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체인 휠(332)에 연결된 가동 권취롤(300)의 나사축(35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부측의 회전 슬리브(230b)는 권취롤(200)의 단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측판(205a)에 연결시킨다.
한편 상기 권취롤(200)의 제1 롤케이싱(210)과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롤케이싱(310)에 각각 감기는 제1 블라인드 원단(220)와 제2 블라인드 원단(320)들은 그 하단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바(280)에 연결되어 긴장상태로 유지되는데, 권취롤(200)에 감기는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은 웨이트바(280)의 전폭에 걸쳐서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상태로 지지되고, 가동 권취롤(300)에 감기는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웨이트바(28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바(282)에 그 하단이 고정되어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서 이동하면 이동바(282)가 웨이트바(280)의 내부에서 함께 이동하면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수평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가동 권취롤(300)의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의 사이에 마련된 이동조절부(500)를 통하여 제1 블라인드 원단(220)와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좌우로 수평이동한 다 음, 바로 상기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상에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와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동조절부(500)의 구조가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조절부(500)는 제2 롤케이싱(310)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으로부터 상기 직선이동축(400)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직선이동축(40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 사이에서 연장하는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형성된다.
상기 축부(355)는 원형단면을 갖는 것이며, 이는 육각 단면으로 이루어진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측으로 연장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선이동축(400)의 제2 어댑터(460) 중앙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나사축(350)은 내부에 육각 단면의 내경부(352a)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 심봉(352)에 일치하여 끼워진 것이고, 그 둘레에는 나선홈(354)을 형성하여 이동대(360)의 볼(362)들이 나선홈(354)을 따라서 이동하면 좌우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동대(360)의 좌우 이동중에 외력의 저항을 받아서 나선홈(354)에서 이동대(360)의 볼(362)이 정지하면 나사축(350)과 함께 이동대(360)는 회전한다. 또한 상기 이동대(360)는 그 외측에 제2 롤케이싱(310)을 장착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나사축(350)은 원형단면의 축부(355)가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연장되어 직선이동축(400)의 제2 어댑터(460)에 끼워져 있지만,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은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통 해서는 직선이동축(400)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나사축(350)은 상기 축부(355)에 인접하여 6각 단면의 내경(372)을 갖는 제1 어댑터(370)가 6각단면의 중앙 심봉(352)에 끼워져서 상기 나사축(350)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어댑터(370)의 일측으로는 직선이동축(400) 방향으로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들이 인접 배치된다.
이와 같은 나사축(350)은 제1 어댑터(370)가 나사축(350)의 6각 단면 심봉(352)에 끼워져서 나사축(350)과 함께 회전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들을 동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나사축(350)에 동축으로 배치된 직선이동축(400)은 그 일측단부가 구동기어(270)를 형성하고 측판(205b)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이며, 활주대(410)를 통하여 제2 롤케이싱(310)을 그 외면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직선이동축(400)은 그 외면에 스플라인 홈(404)을 형성하여 활주대(410)가 볼(412)을 통하여 직선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축(400)이 회전되면 그와 함께 활주대(410)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와 같은 활주대(410)는 그 외측에 제2 롤케이싱(310)이 끼워져서 동축(同軸)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축(400)은 구동기어(270)의 반대측 단부에 4각단면의 제1 심봉(430)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 심봉(430)에는 6각단면의 외면을 갖는 제2 심봉(440)이 동축으로 끼워져서 직경이 확대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심봉(440)은 그 선단에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6각단면을 형성하는 가이드(442)가 장착된 구조 이며, 제2 심봉(440)의 외면에는 12각단면의 내경(452)을 갖는 제1 스페이서(450)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스페이서(450)는 그 외면이 제2 롤케이싱(310)의 원형 내면에 지지되어 제2 심봉(440)을 제2 롤케이싱(310)의 내측 중앙에서 나사축(350)측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6각단면의 외면을 갖는 제2 심봉(440)은 12각단면의 내경부(462)를 갖는 제2 어댑터(460)에 끼워져서 상기 나사축(350)으로부터 제2 어댑터(460)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어댑터(460)의 외면에는 원형의 내경(472)을 갖는 제2 스페이서(470)가 끼워지면 이와 같은 제2 스페이서(470)는 그 외면이 제2 롤케이싱(310)의 원형 내면에 지지되어 제2 어댑터(460)를 제2 롤케이싱(3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나사축(350)의 제1 어댑터(370)와 직선이동축(400)의 제2 어댑터(460)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조절부(500)의 다수의 회전체(510)들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들은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다수 연이어서 장착되고,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축(350)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이동시키는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350)의 회전이 직선이동축(4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수를 넘어서면 나사 축(350)의 회전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시켜 나사축(350)과 함께 직선이동축(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조절부(500)가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권취롤(200)의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한 다음에는, 나사축(350)의 회전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하여 직선이동축(4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권취롤(300)상에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그 외면에 감거나 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조절부(500)는 상기 제1 어댑터(370)가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에 끼워져서 나사축(350)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510)를 향해 복수의 돌기(374)와 홈(376)을 형성하는데, 제1 어댑터(370)는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에 끼워지는 6각단면의 내경부(37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374)들은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며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구조이며, 그 사이에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376)들이 대향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어댑터(370)는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374)와 홈(376)들을 통해서 회전체(510)에 나사축(350)의 회전력을 쉽게 전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어댑터(460)는 직선이동축(400)의 육각 단면 심봉(440)에 끼워져서 직선이동축(400)과 일체로 회전하며, 회전체(510)를 향해 복수의 돌기(464)와 홈(466)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2 어댑터(460)는 직선이동축(400)의 육각단면 심봉(440)에 끼워지는 12각단면의 내경부(462)를 포함하여 직선이동축(400)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510)를 향한 일측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돌기(464)들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466)들이 대향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어댑터(460)는 12각단면의 내경부(462)를 통해서 육각단면의 직선이동축(400)의 심봉(440)이 쉽게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조립 작업성이 향성되며, 제2 어댑터(460)는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464)와 홈(466)들을 통해서 회전체(5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510)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회전력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쉽게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회전부재(520)는 원판형의 제1 몸체부(522) 전,후면에 각각 복수의 돌기(524)들이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26)들이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교차 배치되며, 상기 전,후면의 복수의 돌기(524)들과 홈(526)들은 제1 몸체부(522)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540)는 원판형의 제2 몸체부(542)의 전,후면에 각각 하나의 돌기(544)가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돌기(544)를 제외한 부분에는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의 돌 기(544)와 홈(546)들은 제2 몸체부(542)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다수의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들은 서로 인접하여 횡으로 적층되어 각각의 서로 마주한 돌기(524)(544)와 홈(526)(546)들이 결합하여 상기 제1 어댑터(370)와 제2 어댑터(460) 사이에서 맞물려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들은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 상에서 그 장착 갯수가 조절되어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350)의 회전이 직선이동축(4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그 다음에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이 동시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나사축(350)에 이동대(360)를 통하여 연결되고, 직선이동축(400)에 활주대(41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롤케이싱(310) 전체를 회전시켜서 가동 권취롤(30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회전부재(520)의 제1 몸체부(522)와 제2 회전부재(540)의 제2 몸체부(542)들은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갖추어 동일한 회전반경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중첩되어 끼워지는 경우, 동일직경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재(520)의 제1 몸체부(522)와 제2 회전부재(540)의 제2 몸체부(542)들은 그 폭이 상기 제1 어댑터(370)와 제2 어댑터(460)의 사이 간 격을 균등하게 분할한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추어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교환장착이 가능하고,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따라서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장착갯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의 투광부(222a)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불투광부(322b)가 위치하고,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의 불투광부(222b)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투광부(222a)가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불투명의 차광상태로 유지되거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의 투광부(222a)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투광부(222a)가 위치하고,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의 투광부(222a)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투광부(222a)가 위치하여 서로 중첩된 투광부(222a)(322a)를 통해서 투광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이동거리가 이동조절부(500)를 통해서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으로 정해진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광상태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광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의 체인(335)을 일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체인(335)의 당김은 체인 휠(332)을 통하여 나사축(3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나사축(350)의 회전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 댑터(370)를 통해서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로 전달되는데, 상기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는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수 이내에서 나사축(350)의 회전을 직선 이동축(400)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회전제한되어 있다.
즉 제1 어댑터(370)가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체(510)는 제1 회전부재(520)와 제1 회전부재(520)의 조합,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 및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에서는 나사축(350)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400)으로 그대로 전달하지만,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에서는 서로 인접한 제2 회전부재(540)의 쌍마다 180°도의 1/2 바퀴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조절작동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동조절부(500)는 제1 회전부재(520) 및/또는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을 통하여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회전을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으로 제한할 수 있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부재(520)는 인접한 복수의 제1 회전부재(520)와의 사이에서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24)와 홈(526)들이 끼워맞춤되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된다. 따라서 제1 회전부재(520)와 제1 회전부재(520)의 결합은 나사축(350)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손실없이 전달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재(520)에 제2 회전부재(540)가 인접하면, 제1 회전부재(520)의 복수의 돌기(524)들은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내에 위치되고, 제1 회전부재(520)의 홈(526)에는 제2 회전부재(540)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2)가 삽입되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된다. 따라서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도 나사축(350)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손실없이 전달한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재(540)는 인접하여 제2 회전부재(540)가 조합되면 일측에 마련된 제2 회전부재(540)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타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내에 위치되고, 타측에 형성된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는 일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의 홈(546)에 위치되어 일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회전시 타측의 제2 회전부재(540)에 대해 180°만큼, 즉 1/2 바퀴만큼 회전을 제한한 후에, 즉 공회전이 이루어진 다음에 회전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은 제2 회전부재(540)간에 180°만큼 회전을 제한한 후에, 회전을 전달하게 되고, 만일 제2 회전부재(540)들을 3개 인접시키면, 일측의 제2 회전부재(540)로부터 입력된 회전은 360°만큼, 즉 1 바퀴만큼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진 다음 타측의 제2 회전부재(540)를 통해서 회전이 출력된다.
만일 4개의 제2 회전부재(540)를 인접시킨다면, 540°만큼, 즉 1과1/2 바퀴만큼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5개의 제2 회전부재(540)를 인접시킨다면, 720° 만큼, 즉 2 바퀴만큼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게 되어 이를 통하여 제2 회전부재(540)들이 인접하여 결합하는 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보다 많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많은 회전동안 나사축(350) 만이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보다 큰 거리에 걸쳐서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큰 폭의 투광부(222a)(322a) 또는 불투광부(222b)(322b)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장착하고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2 회전부재(540)들이 인접하여 결합하는 수를 줄이게 되면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보다 적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작은 거리에서 제2 롤케이싱(310)이 수평이동되도록 하고, 작은 폭의 투광부(222a)(322a) 또는 불투광부(222b)(322b)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재(54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재(52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2 회전부재(540)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제1 회전부재(520)의 홈(526)에 삽입되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회전부재(540)와 제1 회전부재(520)의 결합은 나사축(350)의 회전력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손실없이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회전부재(520)와 제1 회전부재(520)와의 인접한 조 합,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인접한 조합 및 제2 회전부재(540)와 제1 회전부재(520)의 인접한 조합 수를 증대시키면, 상대적으로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 간의 조합수가 줄어들게 되어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보다 적은 회전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폭의 투광부(222a)(322a) 또는 불투광부(222b)(322b)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제1 회전부재(520)와 제1 회전부재(520)와의 인접한 조합,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인접한 조합 및 제2 회전부재(540)와 제1 회전부재(520)의 인접한 조합 수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간의 조합수를 증대시키면,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보다 많은 회전수를 제한하게 되어 보다 큰 폭의 투광부(222a)(322a) 또는 불투광부(222b)(322b)를 형성한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조절부(500)에서 회전제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나사축(350)만이 회전하고 직선이동축(40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나사축(350)의 나선홈(354)에 볼(362)을 통하여 결합된 이동대(360)는 제1 롤케이싱(210)의 반대측이 활주대(410)를 통하여 직선이동축(400)의 스플라인 홈(40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대(360)는 나사축(350)의 나선홈(354)을 따라서 수평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대(360)의 이동은 그 외측에 끼워진 제2 롤케이싱(310)을 수평이동시켜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수평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활주대(410)는 그 볼(412)이 직선이동축(400)상에서 스플라인 홈(404)을 따라서 직선 이동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동조절부(500)가 나사축(3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태에서는 나사축(350) 만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나사축(350)을 회전시키는 것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하여 차광상태로부터 투광상태로 쉽게 변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이동조절부(500)를 통한 사전에 설정된 회전 제한을 넘어서게 되면, 이동조절부(500)는 나사축(350)의 회전을 제2 어댑터(460)를 통해서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하는데, 이때에는 직선이동축(400)의 회전이 동반되므로 사용자는 나사축(350)을 회전시키는 것이 힘들게 된다.
이는 상기 직선이동축(400)이 구동기어(270), 중간기어(260) 및 종동기어(240)를 통해서 권취롤(200)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 큰 회전저항을 부여하여 마치 브레이크 작동과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의 체인 휠(332) 회전을 어렵게 한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정확하게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하여 차광상태로부터 투광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시점에서 체인 휠(332)의 회전을 중단시키면 정확한 투광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주어서 체인 휠(332)을 더욱 회전시킨다면, 상기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은 함께 회전되며, 이는 가동 권취 롤(300)의 제2 롤케이싱(310)을 회전시켜서 그 둘레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감기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직선이동축(400)에 마련된 구동기어(270)는 중간기어(260)를 통하여 권취롤(200)의 종동기어(240)를 동시 회전시키고, 권취롤(200)이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을 감도록 하여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각각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다르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광상태로부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광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의 체인(335)을 반대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체인(335)의 반대측 당김은 체인 휠(332)을 통하여 나사축(3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나사축(350)의 역회전은 제1 어댑터(370)를 통해서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로 전달되는데, 상기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는 반대방향의 회전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재(54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에서는 서로 인접한 제2 회전부재(540)의 쌍마다 180°도의 1/2 바퀴의 역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조절부(500)에서 역회전 제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나사축(350) 만이 역회전하고 직선이동축(40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롤케이싱(310)은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따라서 빈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투광상태에서 차광상태로 변환된다.
이때에도 상기 이동조절부(500)가 나사축(350)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상태에 서는 나사축(350) 만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나사축(350)을 역회전시키는 것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하여 투광상태로부터 차광상태로 쉽게 변환된다.
또한 상기 이동조절부(500)를 통한 사전에 설정된 역회전 제한을 넘어서게 되면, 이때에도 역회전시 큰 회전저항을 부여하여 마치 브레이크 작동과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의 체인 휠(332) 회전을 어렵게 한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정확하게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한 것이므로 이 시점에서 체인 휠(332)의 역회전을 중단시키면 정확한 차광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주어서 체인 휠(332)을 더욱 역회전시킨다면, 상기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은 함께 역회전되며, 이는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롤케이싱(310)을 역회전시켜서 그 둘레에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감기고, 권취롤(200)의 역회전을 통해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을 감도록 하여 제1 블라인드 원단(220)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은 각각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다.
이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따라서 이동조절부(500)를 통해서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을 다르게 하고,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회전 제한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9a 내지 도 9h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h에는 이와 같이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를 조합하여 9개를 직렬로 배열시키고, 이들간의 조합을 변경시켜서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회전 제한을 도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h의 도표에서 "B"는 제1 회전부재(520)를 나타내고, "O"는 제2 회전부재(540)를 나타내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B"와 "O", "B"와 "B" 또는 "O"와 "B"의 조합에서는 회전제한이 이루어지지 않고 직결되지만, "O"와 "O"의 조합에서는 각각 1/2 바퀴(회전), 즉 180°의 회전제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9a에서는 1개의 "B"와, 8개의 "O"로 이루어져서 3.5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1회전당 2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져서 총 87.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이 87.5mm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을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9b에서는 2개의 "B"와, 7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 또는 1개의 "B"와, 8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을 통해서 3.0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7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이 75mm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을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c에서는 3개의 "B"와, 6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 또는 2개의 "B"와, 7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을 통해서 2.5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62.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투광부 또는 불 투광부의 폭(W)이 62.5mm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을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d에서는 4개의 "B"와, 5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 또는 3개의 "B"와, 6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 또는 2개의 "B"와, 7개의 "O"로 이루어진 조합을 통해서 2.0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50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이 50mm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을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9e에서는 1.5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37.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도 9f에서는 1.0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2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며, 도 9g에서는 0.5 바퀴의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고, 총 12.5mm의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도 9h에서는 회전 제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2 롤케이싱(31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따라서 이동조절부(500)의 제1 회전부재(520) 및/또는 제2 회전부재(540)의 조합을 다르게 하여 나사축(350)으로부터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되는 회전 제한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한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 치(100)는 이동조절부(500)를 통하여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맞춰서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차광상태의 조절 또는 투광상태의 조절작동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위치이동시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 그 달라진 폭에 맞춰서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 조합을 변경시키게 되면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수평이동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맞춰서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따라 호환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서 하부측에 권취롤(200)이 배치되고, 상부측에 가동권취롤(200)이 배치된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상하배치가 달리 구성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또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은 특정된 것이 아니며, 이동조절부(500)의 회전체(510) 장착갯수도 특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맞춰서 회전제한을 적절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며, 그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권취롤롸 가동 권취롤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의 요부 상세도로서, a)도는 측판에 인접배치된 구동기어, 연결기어 및 종동기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b)도는 측판 상의 블라인드 권취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c)도는 웨이트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 구비된 가동 권취롤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 구비된 이동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a)는 차광상태, b)는 투광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이동조절부에 구비된 회전체의 조합구조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는 제1 회전부재와 제1 회전부재의 조합,
b)는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조합,
c)는 제2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조합,
d)는 제2 회전부재와 제1 회전부재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에 따라서 이동조절부를 통해 나사축으로부터 직선이동축으로 전달되는 회전 제한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 5a,5b..... 측판
10.... 권취롤 12.... 제1 롤케이싱
20.... 블라인드 권취기구 22.... 나사축
24.... 이동대 30..... 직선이동축
40.... 가동 권취롤 42.... 제2 롤케이싱
44.... 활주대 50.... 제1 블라인드 원단
52a... 투광부 52b.... 불투광부
60.... 제2 블라인드 원단 62a.... 투광부
62b... 불투광부 70.... 하단봉(COUNTER WEIGHT BAR)
100...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200... 권취롤 205a,205b.... 측판
210.... 제1 롤케이싱 220.... 제1 블라인드 원단
222a,322a... 투광부 222b,322b.... 불투광부
230a,230b.... 회전슬리브 240.... 종동기어
260.... 중간기어 270.... 구동기어
280.... 웨이트바 282.... 이동바
300.... 가동 권취롤 320.... 제2 블라인드 원단
330.... 블라인드 권취기구 332.... 체인 휠
335.... 체인 335a... 체인 볼
350.... 나사축 352.... 중앙 심봉
352a... 내경부 354.... 나선홈
355.... 축부 360.... 이동대
362.... 볼 370.... 제1 어댑터
372,452,472.... 내경 373.... 돌기
376.... 홈 400.... 직선이동축
404.... 스플라인 홈 410.... 활주대
412.... 볼 430.... 제1 심봉
440.... 제2 심봉 442.... 가이드
450.... 제1 스페이서 460.... 제2 어댑터
462.... 12각단면의 내경부 464.... 돌기
466.... 홈 470.... 제2 스페이서
500.... 이동조절부 510.... 회전체
520.... 제1 회전부재 522.... 제1 몸체부
524.... 돌기 526.... 홈
540....제2 회전부재 542.... 제2 몸체부
544.... 돌기 546.... 홈
W....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

Claims (10)

  1. 권취롤(200)의 제1 롤케이싱(210)에 투광부(222a)와 불투광부(222b)를 교호(交互)로 형성하는 제1 블라인드 원단(220)을 감고,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롤케이싱(310)에 투광부(322a)와 불투광부(322b)를 교호로 형성하는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감아서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이동시켜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블라인드를 변환시키고, 상기 권취롤(200)과 가동 권취롤(300)에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220)(320)들을 감거나 풀어서 차광 정도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BLIND SYSTEM)에 있어서,
    상기 가동 권취롤(300)은,
    양 측판(205a)(205b)의 일측에서 블라인드 권취기구(330)에 의해서 회전하는 나사축(350)과, 상기 나사축(350)에 동축(同軸)으로 배치되고 양 측판(205a)(205b)의 타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직선이동축(400)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축(350)에 나선 결합되는 이동대(360)와, 상기 직선이동축(400)의 스플라인 홈(404)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활주대(410)에 양단이 연결되며, 그 둘레에는 상기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의 상단이 고정된 제2 롤케이싱(310);
    상기 제2 롤케이싱(310)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으로부터 상기 직선이동축(400)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은 직선이동축(40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나사축(350)과 직선이동축(400) 사이에서 연장하는 원형단면의 축부(355); 및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다수 연이어서 장착된 회전체(510)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510)들은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축(350)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을 이동시키는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350)의 회전이 직선이동축(4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회전수를 넘어서면 나사축(350)의 회전을 직선이동축(400)으로 전달시켜 나사축(350)과 함께 직선이동축(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조절부(500);를 포함하여 상기 권취롤(200)의 제1 블라인드 원단(220)에 대해 가동 권취롤(300)의 제2 블라인드 원단(320)이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 만큼 수평이동한 다음에는 가동 권취롤(300)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여 회전을 어렵게 함으로써 그 상태에서 회전을 정지시키고, 블라인드를 차광상태 또는 투광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500)는 상기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에 끼워져서 나사축(350)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510)를 향해 복수의 돌기(374)와 홈(376)을 형성한 제1 어댑터(370)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이동축(400)의 육각 단면 심봉(440)에 끼워져서 직선이동축(400)과 일체로 회전하며 회전체(510)를 향해 복수의 돌기(464)와 홈(466)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단면의 축 부(355)가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제2 어댑터(46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어댑터(370)와 제2 어댑터(460)의 돌기(374)(464)와 홈(376)(466)들 사이에서 회전체(510)가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에 다수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370)는 나사축(350)의 중앙 심봉(352)에 끼워지는 6각단면의 내경부(372)를 포함하여 나사축(350)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510)를 향한 일측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돌기(374)들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376)들이 대향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460)는 선단에 가이드(442)가 장착된 직선이동축(400)의 육각 단면 심봉(440)에 끼워지는 12각단면의 내경부(462)를 포함하여 직선이동축(400)과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체(510)를 향한 일측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돌기(464)들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의 홈(466)들이 대향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10)는 원판형의 제1 몸체부(522) 전,후면에 각각 복수의 돌기(524)들이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그 사이에는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26)들이 원형단면의 축부(355)를 중심으로 교차 배치되며, 상기 전,후면의 복수의 돌기(524)들과 홈(526)들은 제1 몸체부(522)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다수의 제1 회전부재(520)와,
    원판형의 제2 몸체부(542) 전,후면에 각각 하나의 돌기(544)가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고, 상기 돌기(544)를 제외한 부분에는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의 돌기(544)와 홈(546)들은 제2 몸체부(542)를 중심으로 그 전,후면에서 위치가 엇갈려 형성된 다수의 제2 회전부재(540)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들은 횡으로 적층되어 각각의 돌기(524)(544)와 홈(526)(546)들이 결합하여 상기 제1 어댑터(370)와 제2 어댑터(460) 사이에서 맞물려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원형단면의 축부(355)상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들의 장착 갯수가 조절되어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시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 이내에서는 나사축(350)의 회전이 직선이동축(4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520)의 제1 몸체부(522)와 제2 회전부재(540)의 제2 몸체부(542)들은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갖추어 동일한 회전반경에서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520)의 제1 몸체부(522)와 제2 회전부재(540)의 제2 몸체부(542)들은 그 폭이 상기 제1 어댑터(370)와 제2 어댑터(460)의 사이 간격을 균등하게 분할한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추어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교환장착이 가능하고,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의 회전수 이내에서 상기 나사축(350)의 회전이 직선이동축(40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투광부 또는 불투광부의 폭(W)에 따라서 제1 회전부재(520)와 제2 회전부재(540)의 장착갯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520)는 인접한 제1 회전부재(520)와의 사이에서 각각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24)와 홈(526)들이 끼워맞춤되 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제1 인접한 회전부재(520)는 인접한 제2 회전부재(540)의 사이에서 제1 회전부재(520)의 복수의 돌기(524)들은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 내에 위치되고, 제1 회전부재(520)의 홈(526)에는 제2 회전부재(540)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삽입되어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540)는 인접한 제2 회전부재(540)와의 사이에서 일측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타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내에 위치되고, 일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 내에는 타측의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위치되어 일측의 제2 회전부재(540)의 회전시 타측의 제2 회전부재(540)에 대해 180°만큼 회전을 제한한 후에 회전을 전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540)는 인접한 제1 회전부재(520)와의 사이에서 9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돌기(544)가 제1 회전부재(520)의 홈(526)에 삽입되고, 270°의 분할 영역을 차지하는 홈(546) 내에는 제1 회전부재(520)의 돌기(524)가 배치되며, 서로 일체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100).
KR1020090049544A 2009-06-04 2009-06-04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KR10103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44A KR101036959B1 (ko) 2009-06-04 2009-06-04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44A KR101036959B1 (ko) 2009-06-04 2009-06-04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36A KR20100130836A (ko) 2010-12-14
KR101036959B1 true KR101036959B1 (ko) 2011-05-25

Family

ID=435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544A KR101036959B1 (ko) 2009-06-04 2009-06-04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97B1 (ko) 2010-03-19 2012-04-10 김정민 룰 블라인드 장치
KR101139884B1 (ko) 2010-04-14 2012-05-02 주식회사 윈플러스 듀얼 롤 블라인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194Y1 (ko) 2001-12-05 2002-02-27 지승주 화상디스플레이용 이중 블라인드
KR20020066194A (ko) * 2001-02-08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기판조립방법 및 장치
KR20040001004A (ko) * 2002-06-26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키보드
KR20040032763A (ko) * 2002-10-09 2004-04-17 가고메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충전 무균 파스타의 제조방법
KR200401004Y1 (ko)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200432763Y1 (ko) 2006-09-28 2006-12-06 김현준 이중 커튼
KR100768403B1 (ko) 2006-07-05 2007-10-18 김정민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194A (ko) * 2001-02-08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기판조립방법 및 장치
KR200266194Y1 (ko) 2001-12-05 2002-02-27 지승주 화상디스플레이용 이중 블라인드
KR20040001004A (ko) * 2002-06-26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키보드
KR20040032763A (ko) * 2002-10-09 2004-04-17 가고메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충전 무균 파스타의 제조방법
KR200401004Y1 (ko)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100768403B1 (ko) 2006-07-05 2007-10-18 김정민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KR200432763Y1 (ko) 2006-09-28 2006-12-06 김현준 이중 커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97B1 (ko) 2010-03-19 2012-04-10 김정민 룰 블라인드 장치
KR101139884B1 (ko) 2010-04-14 2012-05-02 주식회사 윈플러스 듀얼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36A (ko)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40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EP2971429B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JP5662570B2 (ja) デュアルロールブラインド
JP5637612B2 (ja) デュアルロールブラインド
EP2881534B1 (en) Roller mechanism of window blind and roller system with tooth clutch turnover mechanism
BR112015018893B1 (pt) Cobertura de abertura para arquitetura e sistema operacional para a mesma
KR101036959B1 (ko)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WO2021136340A1 (zh) 立体雕像用的叶片驱动机构
WO2021136337A1 (zh) 一种动态雕像的组成部件
TWI811031B (zh) 捲收機構預扭力結構
KR102199482B1 (ko)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US9033841B2 (en) Window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with cycloidal drive
CN107697723A (zh) 一种丝织品收卷装置
JP4953981B2 (ja) 縦型ブラインド
TWM488544U (zh) 反饋式窗簾組之捲放機構
WO2010140723A1 (ko) 좌우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듀얼롤 블라인드 장치
CN112850344B (zh) 一种纺织卷线装置
KR20200116004A (ko)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KR20200116000A (ko)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ITCO20100012U1 (it) Dispositivo per consentire di sollevare / abbassare ed orientare una veneziana
JP3847170B2 (ja) 遊星歯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変速装置
JP4544932B2 (ja) 2段階変速式の回転伝達装置
TWM655390U (zh) 窗簾捲繩器結構
JP2000074058A (ja) 伸縮自在なロッド
CN103794353B (zh) 三维立体卷铁心变压器铁心绕制机的铁心卷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