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825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825B1 KR101036825B1 KR1020090002521A KR20090002521A KR101036825B1 KR 101036825 B1 KR101036825 B1 KR 101036825B1 KR 1020090002521 A KR1020090002521 A KR 1020090002521A KR 20090002521 A KR20090002521 A KR 20090002521A KR 101036825 B1 KR101036825 B1 KR 101036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light
- substrate
- plate
- ic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한 때에만 마크가 나타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기계적인 가동부를 포함하지 않아, 소(小)용적, 고내구성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광 투과성의 베이스(212)를 갖는 동시에 시계(視界)로부터 내측을 차폐하는 차폐막(213)을 갖는 커버(210)와, 그 커버로 덮인 내측에 설치된 기판(520)으로서, 커버(21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체(521)와, 그 발광체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커버 외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가 탑재된 기판(520)과, 기판(520)과 커버(210) 사이에 끼인 위치에 설치되고,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커버를 향하는 광의 윤곽을 규정하는 광 통과부가 형성된 아이콘판(540)을 구비하고, 차폐막(213)이 시계로부터 내측을 차폐하는 동시에,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아이콘판을 통과한 광을 투영하는 막이다.
베이스, 커버, 기판, 발광체, 아이콘판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서는, 그 하우징 등의 커버 외면에 다양한 형상의 마크와 LED를 나란히 배치하고, LED의 점등 또는 점멸 등에 의해, 그 전자기기가 그 점등 또는 점멸하고 있는 LED에 나란히 배치된 마크에 대응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눌림 버튼의 경우도, 그 눌림 버튼에 중첩하여, 또는 그 눌림 버튼에 인접한 위치에, 그 눌림 버튼을 누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해 두어, 사용자에게 그 눌림 버튼을 누르면 어떤 동작이 실행되는지를 알리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마크나 LED 등이 전자기기 커버 외면에 나열되면, 보기에 번잡하고 디자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즉, 이 특허문헌 1에는, 내측에 마크가 그려져 외면에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스모크 재료층을 중첩한 가요성 필름을 커버 표면에 배치하고, 내부에 광원을 구비하여, 내부의 광원으로부터의 조명에 의해 스모크 재료층의 외면에 마크가 나타나도록 구성된 조광(照光)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광 스위치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조명된 때에만 외면에 마크가 나타나고, 특허문헌 1에는, 이 조광 스위치의 채용에 의해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기기의 전체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조광 스위치에서는, 가요성 필름의 스모크 재료층에 나타난 마크를 누르면, 그 마크에 따른 동작을 행하도록, 커버의 내측에 눌림 버튼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3333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가요성 필름의 내측에 광원이 구비되어 있고, 그 광원과 동일한 장소로의 눌림 버튼 스위치의 배치가 어려워, 광원에 인접한 장소에 눌림 버튼 스위치를 배치하고, 가요성 필름의, 마크가 나타난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른 경우의 그 손가락의 가압력을, 그 손가락으로 누른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눌림 버튼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가요성 시트 자체도, 투명 시트 베이스 상에 마크나 스모크 재료층을 형성하고, 마크가 나타난 부분 이외의 영역에는 광 불투과층을 형성하는 등, 복잡한 구조를 더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조광 스위치는 커버 내부에 점유하는 용적이 크고, 고비용으로 되며, 또한 눌림 버튼 스위치를 누를때마다 가요성 시트가 변형되게 되기 때문에 내구성에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 개시한 전자기기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조명한 때에만 마크가 나타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기계적인 가동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소용적 고내구성의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개시한 전자기기는, 광 투과성의 베이스를 갖는 동시에 내부를 시계(視界)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막을 갖는 커버와,
상기 커버로 덮인 내부에 설치된 기판이며, 상기 커버를 향하여 광을 조사 (照射)하는 발광체와, 그 발광체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커버 외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끼인 위치에 설치되고,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커버를 향하는 광의 윤곽을 규정하는 광 통과부가 형성된 아이콘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막이 시계로부터 내측을 차폐하는 동시에,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아이콘판을 통과한 광을 투영하는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개시한 전자기기에 의하면, 상기한 발광체와 아이콘판, 및 차폐막에 의해, 발광체가 광을 발(發)하고 있을 때에만, 차폐막 상에 아이콘이 나타난다. 따라서, 디자인성이 우수한 동시에, 예를 들어 이 전자기기에 전원을 투입하기 전에는 아이콘이 나타나지 않고, 전원 투입 시에 발광체를 점등시킴으로써 아이콘 표시가 나타나, 동작 상태를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한 전자기기에 의하면 가동 부재 없이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고, 구조가 간이하여 박형(薄型), 고내구성의 스위치 구조가 구성된다.
이하, 본 건에 개시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약기함)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PC의 배면(背面) 측을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PC(10)는 전면(前面)에 확대되는 표시 화면(21)을 갖는 PC 본체(20)를 구비하고, PC 본체(20)의 전면의 하부에는, 실크 인쇄에 의한 아이콘(22)이 표시되어 있다. 이 아이콘(22)은 전원 버튼을 나타내고 있고, 이 아이콘(22)을 터치하면, 이 PC 본체(20)에 전원이 투입된다.
이 도 1, 도 2에 나타낸 PC(10)는 그 표시 화면(21)을 유지하는 PC 본체(20)의 하우징과 같은 하우징 내의, 표시 화면(21)의 배면 측에,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산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PC의 통상의 구성으로서는, 키보드를 별도 준비함으로써, PC로서의 대강의 기능을 만족한다. 본 건에 개시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키보드와의 관련은 없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키보드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도 1, 도 2에 나타낸 PC(10)는 회전대(30)와, PC 본체(2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대(30)는 PC 본체(20)의 표시 화면(21)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대(臺)이고, 지지 기구(40)는 PC 본체(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도 2에서는, 내부의 지지 기구를 덮는 수지제(製)의 커버(41)가 피복되어 있다.
(회전대)
도 3은 회전대의 측면도, 도 4는 회전대의 저면(底面)도, 도 5는 회전대의, 도 4에 절단선 X-X로 나타낸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회전대(30)는 저면에 돌출되는 고무 발(311)을 갖는 원환 형상의 고정대(310)와, 그 고정대(310)의 상면에 접하여 그 고정대(310)에 대해 회동하는 가동대(320)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발(311)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소(여기에 나타낸 예에서는 6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대(30)를 예를 들어, 책상 위에 설치한 때에, 원환 형상의 고정대(310)가 미끄러지지 않고 책상 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에는, 2개의 큰 나사(321)가 나타내져 있지만, 이들 2개의 나사(321)는 지지 기구(40)(도 2 참조)를 구성하는 폴(4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폴(410)을 회전대(30)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환 형상의 고정대(310)는 그 상면에 그리스(grease)를 저장하여 두는 오목부인 그리스 저장소(312)를 갖고, 그 그리스 저장소(312)의 내측 및 외측에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환 형상의 홈(313, 3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대(320)는 스탠드 플레이트(322)와, 스탠드 커버(323)와, 솔(sole) 플레이트(324)를 갖는다.
스탠드 플레이트(322)는 고정대(310)의 상면에 접하여 고정대(310) 위에서 슬라이드하여 회전하는 판재로서, 고정대(310)의 상면에 접하는 슬라이드부(322a)로부터 고정대(310)의 원환 내측을 향하여, 하향 사면(斜面)(322b)에 의해 고정대(310)와 간섭하는 높이로 연장되고, 아래로 돌출된 원환 형상의 평탄부(322c)를 가지며, 중앙을 향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 사면(322d)에 의해 슬라이드부(322a)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원판 형상의 평탄부(322e)를 갖는 형상으 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탠드 플레이트(322)를 단순한 평판이 아니라, 상하에 요철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이 스탠드 플레이트(322)에는, 폴(410) 고정용의 나사(321)가 삽입되는 구멍(322f)(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커버(323)는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상면을 덮는 동시에, 측면의 대부분을 덮어, 이 회전대(30)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판재이다.
또한, 솔 플레이트(324)는 회전대(30)의 저부(底部)를 덮는 판재이다. 이 솔 플레이트(324)는 나사(325)에 의해 스탠드 플레이트(32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솔 플레이트(324)는 중앙부(324a)가 아래로 팽창 돌출되어 있어, 단순한 평판보다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솔 플레이트(324)에는, 솔 플레이트(324)를 분리하지 않고 폴(41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폴(41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321)의 부분에 구멍(32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원환 형상의 고정대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고정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고정대(310)에는, 주위 방향으로 띄엄띄엄 그리스 저장소(31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그리스 저장소(312)에 그리스를 저장해 둠으로써, 이 고정대(310) 상에 탑재되는, 가동대(320)의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 고정대(310)의 상면에는, 그리스 저장소(312)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일주(一周)하는 홈(313, 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313, 314)은 그리스 저장 소(312)로부터 누출된 그리스가 이 고정대(3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다.
도 8은 고정대와 그 고정대 상에 탑재된 스탠드 플레이트를, 그들의 저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저면 측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여기서는, 솔 플레이트(324) 및 폴(410)은 분리되어 있다.
솔 플레이트(324)는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저면에 세워서 설치한 6개의 보스(boss)(326)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사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325)에 의해 스탠드 플레이트(322)에 나사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대(310)는 그 원환의 반경(半徑) 방향의 내부 직경 측의 직경을 형성하는 내단면(內端面)(315)이 그 반경 방향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토퍼(316, 317)를 경계로 하여 거의 반원에 걸치는, 반경이 큰 내단면(315a)과, 나머지 반원에 걸치는, 스토퍼(316, 317)의 단차의 분만큼 반경이 작은 내단면(315b)을 갖고,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저면에 세워서 설치한 6개의 보스(326) 중 1개의 보스(326a)는 반경이 큰 내단면(315a)에 접하고, 나머지의 5개의 보스(326b)는 반경이 작은 내단면(315b)에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1개의 보스(326a)와 2개의 스토퍼(316, 317)에 의해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회전 각도가 규제되어 있다.
도 8, 도 9는 1개의 보스(326a)가 2개의 스토퍼(316, 317) 중 한쪽의 스토퍼(316)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가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회전 각도의 한쪽의 끝(end)으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 이, 고정대(310)의 내단면(315)은 그 1개의 보스(326a)와, 나머지의 5개의 보스(326b) 중 3개의 보스(326b)에 의해, 고정대(310)와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0은, 도 8과 마찬가지로, 고정대와 스탠드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에 비하여 스탠드 플레이트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는, 도 8에 비하여 스탠드 플레이트(322)가 회전하고 있고, 보스(326a)가 2개의 스토퍼(316, 317) 모두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다. 이때도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대(310)의 내단면(315)은 그 보스(326a)와, 나머지의 보스(326b) 중 3개의 보스(326b)에 의해 위치 규제되어 있다.
도 11은 스탠드 플레이트가 도 8, 도 9와는 역방향의 끝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보스(326a)는 도 8, 도 9에서 맞닿아 있는 스토퍼(316)와는 다른 또 한쪽의 스토퍼(317)에 맞닿아 있고, 이에 따라, 스탠드 플레이트(322)의, 또 한쪽의 회전 한계가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회전대(30)에는,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표시 화면(21)의 방향의 각도가 약 160°의 범위 내로 규제되어 있다. 이것은 표시 화면(21)의 방향을 이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도 1, 도 2에는, 전원 케이블이나 각종의 코드는 도시 생략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PC 본체(20)에 다양한 케이블이나 코드가 접속되어 있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경우에서의 그들 케이블이나 코드가 감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 다.
(지지 구조)
상술한 회전대(30)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410)이 세워서 설치되고, 그 폴(410)에는, PC 본체(20)의 배면이 장착되어 있다.
도 12는 PC 본체(20)의 배면의, 장착 금구(金具)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PC 본체(20)의 배면에는, 이 PC 본체(20)를 폴(410)(도 2 참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금구(42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장착 금구(420)는 디자인상 및 안전상의 관점에서 폴(4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421) 이외에는 PC 본체(20)의 하우징의 돌기(201)나 수지 프레임(429)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장착 금구(420)의 장착면(421)에는, 상하에 나열된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의 세트가 좌우에 1세트씩, 합계 4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에 1개씩 걸어 맞춤 구멍(423)이 형성되며, 중앙 상부(도 12에서는 하측)에 훅(hook)(4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PC 본체 배면에 고정되어 있는 장착 금구를 PC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PC 본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도 13에는, PC 본체(20)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좌우 2개의 고정부(425)가 나타내져 있고, 각 고정부(425)에는, 장착 구멍(425a)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장착 금구(420)는 이들 장착 구멍(425a)을 사용하여 PC 본체(20)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착 금구(420)에는 좌우에 1개씩 마 찰 체결부(가장 아래)가 구비되어 있고, PC 본체(20)의 표시 화면(2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각도 범위에서 틸트(tilt)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틸트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마찰 체결부(가장 아래)에 설치된 너트(nut)(426a)를 돌림으로써 조정되고 있다.
도 14는 폴에 고정된 모니터 장착 부재를, PC 본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410)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에서 반전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부를 제외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폴 부분으로 형성된 것이고, 모니터 장착 부재(430)는 이 폴(410)의, 상하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폴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모니터 장착 부재(430)는 이 도 14에 나타낸 수지판(440)과, 이 도 14 상에서는 수지판(440)의 이면(裏面)에 가려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판(450)(도 15 참조)을 갖는다. 수지판(440)은 6개의 나사(441)에 의해 금속판(45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수지판(440)에는, 도 12에 나타낸 상하에 나열되는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상하에 나열되는 4개의 나사 삽입 구멍(442a, 442b, 442c, 442d)의 세트가 좌우로 2세트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하에 동일한 피치로 나열되는 훅 삽입 구멍(443a, 443b, 44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나사 삽입 구멍(442a, 442b, 442c, 442d)과, 중앙의 훅 삽입 구멍(443a, 443b, 443c) 사이에는, 상하에 나열되는 3개의 돌출부(444a, 444b, 444c)가 좌우에 1세트씩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하에 나열되는 3개의 돌출부(444a, 444b, 444c) 중 중앙의 돌출부(444b)는 중앙에 뚫린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금속판(450)(도 15 참조)으로의 나사 체결부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들 돌출부(444a, 444b, 444c)는 모두가 도 12에 나타낸 걸어 맞춤 구멍(423)에 삽입되는 외형 치수를 갖고 있다.
도 15는 모니터 장착 부재(430)를, 금속판(450)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금속판(450)에는, 도 12에 나타낸 상하에 나열되는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의 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상하에 나열되는 4개의 장착 구멍(451a, 451b, 451c, 451d)의 세트가 좌우에 2세트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하에 동일한 피치로 나열되는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 4개씩의 장착 구멍(451a, 451b, 451c, 451d)은 도 14에 나타낸 수지판(440)에 형성된 좌우 4개씩의 나사 삽입 구멍(442a, 442b, 442c, 442d)과 각각 동일한 위치에 있고, 상하의 피치 및 좌우의 간격도 도 12에 나타낸 좌우 2개씩의 나사 구멍(422a, 422b)의 상하의 간격 및 좌우의 간격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금속판(450)에 형성된 상하에 나열되는 3개의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도, 수지판(440)에 형성되어 상하에 나열되는 3개의 훅 삽입 구멍(443a, 443b, 443c)과 각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5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의 훅(424)이 3개의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 중 가장 위의 훅 걸림 구멍(461a)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낸 수지판(440)에 형성된 상하에 3개 나열되는 돌출부(444a, 444b, 444c) 중 가장 위의 돌출부(444a)가 도 12에 나타낸 걸어 맞춤 구멍(423)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하에 4개 나열되는 장착 구멍(451a, 451b, 451c, 451d) 중 가장 위의 장착 구멍(451a)이 도 12에 나타낸 상하에 2개 나열되는 나사 구멍(422a, 422b) 중 상측 나사 구멍(422a)과 일치하는 동시에, 2번째의 장착 구멍(451b)이 하측의 나사 구멍(422b)에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장착 구멍(451a, 451b) 및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을 사용하여 나사 고정하면, PC 본체(20)(도 1 참조)가 가장 높은 위치에 고정된다.
도 16은 중앙의 훅 걸림 구멍에 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의 훅(424)이 3개의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 중 2번째의 훅 걸림 구멍(461b)에 삽입되어 있고, 이 때, 도 14에 나타낸 수지판(440)에 형성된, 상하에 3개 나열되는 돌출부(444a, 444b, 444c) 중 2번째의 돌출부(444b)가 도 12에 나타낸 걸어 맞춤 구멍(423)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하에 4개 나열되는 장착 구멍(451a, 451b, 451c, 451d) 중 2번째의 장착 구멍(451b)이 도 12에 나타낸 상하에 2개 나열되는 나사 구멍(422a, 422b) 중 상측의 나사 구멍(422a)과 일치하는 동시에, 3번째의 장착 구멍(451c)이 하측의 나사 구멍(422b)에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장착 구멍(451b, 451c) 및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을 사용하여 나사 고정하면, PC 본체(20)(도 1 참조)가 도 15의 경우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고정된다.
도 17은 가장 아래의 훅 걸림 구멍에 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 도 16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의 훅(424)이 3개의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 중 가장 아래의 훅 걸림 구멍(461c)에 삽입되어 있고, 이 때, 도 14에 나타낸 수지판(440)에 형성된, 상하에 3개 나열되는 돌출부(444a, 444b, 444c) 중 가장 아래의 돌출부(444c)가 도 12에 나타낸 걸어 맞춤 구멍(423)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하에 4개 나열되는 장착 구멍(451a, 451b, 451c, 451d) 중 3번째의 장착 구멍(451c)이 도 12에 나타낸 상하에 2개 나열되는 나사 구멍(422a, 422b) 중 상측의 나사 구멍(422a)과 일치하는 동시에, 가장 아래의 장착 구멍(451d)이 하측의 나사 구멍(422b)에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장착 구멍(451c, 451d) 및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을 사용하여 나사 고정하면, PC 본체(20)(도 1 참조)가 가장 낮은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에는, 상하에 나열되는 2개의 나사 구멍(422a, 422b)이 형성되어 있지만, 나사 구멍은 상하 방향으로 3개 이상 나열되어 있어, 더 견고하게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장착 구멍(442a, 442b, 442c, 442d)은 상하에 4개 나열되어 있지만, PC 본체(20)의 높이를 상하 2단계로 조정하는 것이라면 3개일 수도 있으며, 다단으로 조정하기 위해 5개 이상 나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 장착 구멍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개수는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의 나사 구멍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개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는 상하에 3개 나열되는 돌출부(444a, 444b, 444c)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돌출부의 개수는 PC 본체(20)의 높이 조정의 단수에 따른 개수로 설치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의 개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장착 금구(420)에 훅(424)이 설치되고, 모니터 장착 부재(430)에 훅 걸림 구멍(461a, 461b, 461c)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모니터 장착 부재(420)에 훅을 설치하여 장착 금구(420)에 훅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장착 금구(420)에 걸어 맞춤 구멍(423)이 형성되어 모니터 장착 부재(430)에 그 걸어 맞춤 구멍(423)에 삽입되는 돌출부(444a, 444b, 444c)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모니터 장착 부재(420)에 걸어 맞춤 구멍을 형성하고, 장착 금구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도 17에서는, 수지제의 커버(41)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냈지만, 높이 조정을 행하여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 후, 도 2에 나타낸 커버(41)가 금속판(450)의 위에 피복되어 수지판(440)의 둘레부에 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구(40)가 덮인 상태로 된다.
(아이콘 표시)
도 18은 PC 본체의 표시 화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의 우측 하단 부분의,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 중에 나타낸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에 화살표 Y-Y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8의 최하부에는, 도 1에 나타낸 PC 본체(20)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표시 화면(21)을 둘러싸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前面) 커버(210)의 내면의 형 상이 나타내져 있다. 전면 커버(210)로 덮인 부분에는, 도 18의 위쪽으로부터 차례로, 실드판(510), 기판(520), 스페이서(530), 아이콘 시트(540)가 중첩되고, 4개의 나사(551)에 의해, 전면 커버(210)의 내면에 세워서 설치한 보스(211)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기판(520) 상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LED(521)가 배치되고, 또한 그 복수의 LED(521) 중 몇개의 LED에 대응하여, LED를 둘러싸도록 터치 센서용 전극(5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판(520)에는, 나사(551)(도 18 참조)에 의한 고정용의 구멍(523)이 형성되며, 터치 센서용의 회로 배치부(524)가 형성되고(구체적인 회로에 대해서는 도시 생략), 외부와의 사이의 전력 및 신호 전달용의 커넥터(525)가 구비되어 있다.
스페이서(530)는 기판(520)과 아이콘 시트(540)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스페이서(530)에는, 나사 고정용의 장착 구멍(531)과 기판(520) 상의 LED(521)로부터의 광의 통과용의 구멍(5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이콘 시트(540)에는, 기판(520) 상의 LED(521)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광로 상에, 그 통과 광의 윤곽을 규정하는 형상의 광 투과부(아이콘; 도시 생략)만 남겨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 고정용의 구멍(541)이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510)은 기판(520)을 둘러싸, 기판(520) 상의 터치 센서가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에 의해 오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 커버(210)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12)와, 그 외벽면에 도장(塗裝)에 의해 형성된 도막(塗膜)(213)을 갖는다. 이 도막(213)은 전면 커버(210)의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내측을 시계(視界)로부터 차폐하는 동시에, 기판(520) 상의 LED(521)로부터 발생되고, 아이콘 시트(540)를 투과한 광을 투영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PC 본체(20)에 전원이 투입되어 기판(520) 상의 LED(521)가 점등된 후 전면 커버(210) 상에 다양한 아이콘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번잡함이 없는 갈끔한 디자인으로 되어, 디자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전원 투입 시에 LED를 점등시킴으로써, 전원이 투입되고 있는 것이 사용자가 알기 쉽게 표현된다.
또한, 기판(520) 상의 LED(521)의 둘레에 터치 센서 전극(522)이 퍼져 있고, 그 터치 센서 전극(522)의 중앙의 LED(521)의 점등에 의해 전면 커버(210) 상에 나타나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그 아이콘에 대응하는 터치 센서가 반응하고, PC 본체(20)에서는 그 터치 센서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여기서, 이 도 18∼도 20에 나타낸 구조의 경우, 가동부를 갖지 않고 비교적 간이한 구조에 의해 눌림 버튼과 동등한 작용을 실현하고 있고, 박형화, 고(高)내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여기서, 예외로서, 전원 버튼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버튼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22)이 전면 커버(210) 상에 실크 인쇄되어 있다. 이것은 전원이 투입된 후 LED(521)가 점등하기 때문에, 전원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LED 점등 전, 즉 전원이 투입되기 전부터 그 소재를 표시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원 버튼을 실현하기 위한 터치 센서에 대해서는 전 원 투입 전에서도 반응하도록, 필요 최소한의 부분에 대해서 전원이 투입된 상태이다.
또한, 여기서는, 표시 화면을 유지하는 PC 본체(20)의 하우징과 동일한 하우징 내에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산 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PC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건에 개시한 내용을 표시 화면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와, 그 표시 장치와는 별체의,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산 회로 등을 구비한 본체 장치를 구비하고, 그들 표시 장치와 본체 장치가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구조의 PC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PC 이외의 텔레비전 모니터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PC의 배면 측을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회전대의 측면도.
도 4는 회전대의 저면도.
도 5는 회전대의, 도 4에 절단선 X-X로 나타낸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원환 형상의 고정대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고정대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고정대와 그 고정대 상에 탑재된 스탠드 플레이트를, 그들의 저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저면 측의 일부의 확대도.
도 10은 도 8과 마찬가지로, 고정대와 스탠드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스탠드 플레이트가 도 8, 도 9와는 역방향의 끝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
도 12는 PC 본체(20)의 배면의, 장착 금구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PC 본체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는 장착 금구를 PC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PC 본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폴에 고정된 모니터 장착 부재를 PC 본체 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15는 모니터 장착 부재를 금속판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은 중앙의 훅 걸림 구멍에 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와 동일한 도면.
도 17은 가장 아래의 훅 걸림 구멍에 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 도 16과 동일한 도면.
도 18은 PC 본체의 표시 화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의 우측 하단 부분의,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8에 화살표 Y-Y로 나타낸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PC 20: PC 본체
21: 표시 화면 22, 42: 아이콘
30: 회전대 41: 커버
210: 전면 커버 213: 도막
310: 고정대 311: 고무 발
312: 그리스 저장소 313, 314: 홈
315a, 315b: 내단면 316, 317: 스토퍼
320: 가동대 322: 스탠드 플레이트
324: 솔 플레이트 324a: 구멍
325, 441: 나사 326: 보스
410: 폴 420: 장착 금구
421: 장착면 424: 훅
461a, 461b, 461c: 훅 걸림 구멍
429: 수지 프레임 430: 모니터 장착 부재
440: 수지판
442a, 442b, 442c, 442d: 나사 삽입 구멍
443a, 443b, 443c, 443d: 훅 삽입 구멍
444a, 444b, 444c: 돌출부 450: 금속판
451a, 451b, 451c, 451d: 장착 구멍
510: 실드판 520: 기판
521: LED 522: 터치 센서 전극
523: 고정용의 구멍 524: 회로 배치부
530: 스페이서 540: 아이콘 시트
551: 나사
Claims (7)
- 광 투과성의 베이스를 갖는 동시에 내부를 시계(視界)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막(213)을 갖는 커버와,상기 커버로 덮인 내부에 설치된 기판(520)이며, 상기 커버를 향하여 광을 조사(照射)하는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커버 외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가 탑재된 기판(520)과,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끼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커버를 향하는 광의 윤곽을 규정하는 광 통과부가 형성된 아이콘판(540)과,상기 터치 센서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커버를 향한 표면에 대한 이면(裏面) 측으로 확장되는 실드(shield)판을 구비하고,상기 차폐막이 시계로부터 내측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아이콘판을 통과한 광을 투영하는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가 상기 커버 내면의,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의 조사를 받는 부분을 피한 위치에 형성된, 내측으로 돌출하여 나사 구멍이 형성된 보스(boss)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아이콘판이 상기 커버의 상기 보스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과 상기 아이콘판 사이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아이콘판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커버를 향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이 당해 전자기기로의 전원 투입 지시용 터치 센서가 더 탑재된 기판이고,상기 커버가 상기 커버 외면(外面)의, 상기 전원 투입 지시용 터치 센서에 중첩되는 부분에, 전원 투입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막이 상기 베이스 외면으로의 도장(塗裝)에 의해 형성된 도막(塗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당해 전자기기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구비한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521A KR101036825B1 (ko) | 2008-04-10 | 2009-01-13 | 전자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02726 | 2008-04-10 | ||
KR1020090002521A KR101036825B1 (ko) | 2008-04-10 | 2009-01-13 | 전자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914A KR20090107914A (ko) | 2009-10-14 |
KR101036825B1 true KR101036825B1 (ko) | 2011-05-24 |
Family
ID=4155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2521A KR101036825B1 (ko) | 2008-04-10 | 2009-01-13 |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682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7157A (ko) * | 2002-08-20 | 2004-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를 저 전력으로 구동하는 회로 및 그 방법 |
KR200417157Y1 (ko) | 2006-01-19 | 2006-05-25 |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 발광용 정전용량 터치 센서 |
KR100639732B1 (ko) * | 2005-06-28 | 2006-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타입 버튼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
JP2007200608A (ja) | 2006-01-24 | 2007-08-09 | Kojima Press Co Ltd | タッチスイッチ |
JP2008058790A (ja) | 2006-09-01 | 2008-03-13 | Alps Electric Co Ltd | 表示装置と入力表示装置および車載用入力表示装置 |
-
2009
- 2009-01-13 KR KR1020090002521A patent/KR1010368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7157A (ko) * | 2002-08-20 | 2004-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를 저 전력으로 구동하는 회로 및 그 방법 |
KR100639732B1 (ko) * | 2005-06-28 | 2006-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타입 버튼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
KR200417157Y1 (ko) | 2006-01-19 | 2006-05-25 |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 발광용 정전용량 터치 센서 |
JP2007200608A (ja) | 2006-01-24 | 2007-08-09 | Kojima Press Co Ltd | タッチスイッチ |
JP2008058790A (ja) | 2006-09-01 | 2008-03-13 | Alps Electric Co Ltd | 表示装置と入力表示装置および車載用入力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914A (ko) | 2009-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11815B2 (ja) | 回転台、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JP4709324B2 (ja) | 支持構造および電子機器 | |
EP2503234A2 (en) | Lamp device and luminaire | |
KR101036825B1 (ko) | 전자기기 | |
JP2009252698A (ja) | 電子機器 | |
US9907194B2 (en) | Display device | |
KR101135603B1 (ko) | 회전대,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 |
JP2020068147A (ja) | 照明装置 | |
JP5846383B2 (ja) | 照明器具 | |
JP6554502B2 (ja) | Led照明装置 | |
JP6112185B2 (ja) | 照明器具 | |
JP2013251142A (ja) |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 |
US10683995B1 (en) | Lighting apparatus | |
JP2024058640A (ja) | 照明装置 | |
JP7239389B2 (ja) | 照明器具 | |
JP2016171034A (ja) | 照明装置 | |
JP2016091684A (ja) | スタンド型led照明器具 | |
JP7475774B2 (ja) | 照明器具 | |
JP7280106B2 (ja) | 照明器具 | |
JP6390931B2 (ja) | 照明器具 | |
KR20110059117A (ko) | 중공 타입 노브의 조명 구조체 | |
CN108980680A (zh) | 照明器具 | |
JP2017112070A (ja) | 照明器具 | |
JP2023152027A (ja) | 照明器具 | |
JP2024033719A (ja) | 照明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