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768B1 -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 Google Patents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768B1
KR101036768B1 KR1020090063071A KR20090063071A KR101036768B1 KR 101036768 B1 KR101036768 B1 KR 101036768B1 KR 1020090063071 A KR1020090063071 A KR 1020090063071A KR 20090063071 A KR20090063071 A KR 20090063071A KR 101036768 B1 KR101036768 B1 KR 10103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file format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84A (ko
Inventor
이신우
이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9006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7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차단이나 저장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안 된 경우에도, 다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하여 일반적인 재생장치에서 재생가능 하도록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을 제공한다. 그 파일 포맷 생성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압축부; 상기 데이터 압축부로부터 입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압축정보 버퍼부;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에 저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파일 포맷 생성부;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복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File format generating device, multimedi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abnormal file using the same de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 중에 예기치 않은 사정으로 비정상적인 파일이 생성된 경우에도 정상 파일로 복구할 수 있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캠코더 및 차량용 블랙박스 등에서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레코딩은 이미지 센서, 즉 카메라, 마이크 또는 GPS 등으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특정 포맷의 파일로 저장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선택되는 파일 포맷은 널리 사용하는 재생기와의 호환성 및 표준화 여부, 압축 포맷의 지원 여부, 파일 저장 및 재생시의 효율성, 레코딩된 파일을 이후에 다시 편집할 때 그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현재 3G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MP4(ISO/IEC 14496-12) 파일 포맷 (이하, MP4)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MP4 파일은 미디어 데이터와 그에 대한 여러 정보들, 즉 미디어 정보가 각각 무브 박스(moov Box)와 엠닷(mdat: Media Data) 박스에 분리되어 저장되며, 무브 박스에 저장된 참조 데이터인 무브를 통해서만 미디어 정보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된 미디어 데이터는 인코더를 통해 압축되어 디스크의 엠닷 박스에 저장되며, 또한, 엠닷 파일로 저장되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은 샘플 테이블로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레코딩이 종료가 되면, 그 동안 메모리에 저장되었던 각 샘플 테이블들이 무브 형식으로 디스크에 저장됨으로써, MP4 파일 포맷이 완성된다. 그러나, 미디어 데이터 레코딩 중에 전원이 꺼진다거나 파일 저장부, 예컨대 SD 카드가 구성장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정상적인 MP4 파일 포맷이 완성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일반적인 재생장치, 플레이어에서 재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차량용 블랙박스의 경우에 사고 상황 시의 영상 데이터나 차량운행 정보 등이 중요한데, 사고 발생 시에 전원 차단이나 저장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그에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파일 재생 불능 상태가 야기되어 사고 상황 시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예컨대,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MP4 파일 포맷을 사용할 경우 GPS정보를 한 개의 파일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어 GPS정보 저장은 용이하나, 전원차단이나 SD 카드 분리와 같은 예외 상황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파일이 생성되지 않게 된다. 재생을 위해서는 스트리밍 파일 포맷(Streaming file format)이 필요한데 비정상적인 파일로부터 스트리밍 파일 포맷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변환 툴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환 툴을 사용하여 파일을 재생하는 것은 개발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캠코더나 차량용 블랙 박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전원 차단이나 저장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안 된 경우에도, 다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하여 일반적인 재생장치에서 재생가능 하도록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압축부; 상기 데이터 압축부로부터 입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압축정보 버퍼부;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에 저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파일 포맷 생성부;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복구부;를 포함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는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파일의 헤더 부분에 추가하고, 각 샘플에 대한 샘플 헤더를 해당 샘플 전단에 추가함으로써, 복구 가능한 상기 파일 포맷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추가되는 상기 정보는,포씨씨(FourCC), 폭(Width), 높이(Height), 비트레이트(BitRate), 타임스케일(TimeScale), 비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 컨피겨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비디오 정보, 포씨씨, 채널, 샘플레이트(SampleRate), 비트레이트, 샘플당비트(BitPerSample), 타임스케일, 샘플당프레임(FramesPerSample), 오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켜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오디오 정보, 및 포씨씨 및 타임스케일 섹터를 포함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일포맷 생성장치는 실시간 저장 모드 또는 이벤트(event) 저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설정된 시점마다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거나 버퍼링 없이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며, 상기 이벤트 저장 모드인 경우, 사고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길이 및 이후의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 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파일 포맷 생성부,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복구부를 구비한 파일포맷 생성장치; 상기 파일포맷이 저장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재생된 파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는 캠코더, 차량용 블랙박스, 및 모바일 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블랙박스인 경우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차량 위치에 대한 GPS 정보 및 차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파일 포맷 생성부에서 저장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 포맷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 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딩 중에 전원 차단이나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안 된 경우에도,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다시 복구하여 일반적인 재생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파일 포맷 생성부를 통해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구성하고, 그러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에 기반하여 파일 포맷 복구부가 다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하여 디스크에 저장함으로써, 일반적인 재생장치가 정상적인 파일 포맷과 동일하게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블랙박스인 경우에, 동영상 및 운행정보를 저장 중에 블랙박스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파일이 생성된 경우라도, 정상적인 파일로 복구하여 일반 재생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고 발생시점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고, 그에 기인하여 블랙박스의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 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는 입력부(200), 파일 포맷 생성장치(100), 파일 저장부(300),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200)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크게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00)는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입력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 즉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며, 오디오 데이터는 마이크 등을 통에 입력되게 되는데, 각각 사용자가 선택한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다. 여기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가공이 되지 않는 로데이터(raw data)를 의미한다. 이때, 입력되는 단위는 예를 들어 비디오의 경우 한 개의 YUV420 프레임이거나 오디오의 경우 일정 길이의 PCM 블록이 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거나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어 다운받아 입력될 수도 있다.
앞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된다고 설명하였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역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거나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어 다운받아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입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블랙박스인 경우에는, GPS 수신을 통한 차량이동경로, 위치, 속도, 시간 등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차량 운행 경로 추적장치로부터의 정보, 차량 속도, 시간, 거리를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디지털 주행 장치로부터의 정보, 및 핸들각도, 브레이크 강도,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드라이브 레코딩 장치로부터의 정보 등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입력될 수 있다.
파일 포맷 생성장치(1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여 버퍼링하여 적절한 파일 포맷, 예컨대 MP4 파일 포맷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30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파일 포맷 생성장치(100)는 종래와 달리 파일 레코딩, 즉 파일 저장 시에, 전원차단이니 파일 저장부, 예컨대 SD 카드 등이 이탈하여 비정상 파일이 생성된 경우에도 파일의 복구가 가능하도록 파일 포맷을 새롭게 구성하며, 또한 이러한 복구 가능하도록 구성된 파일 포맷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파일을 정상적인 파일로 다시 구성하여 파일 저장부로 저장한다. 물론, 복구 가능하도록 구성된 파일 포맷은 일반 재생장치들이 참조하지 않은 위치에 파일 복구를 위한 정보들이 추가됨으로써, MP4 표준 규격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이하, 파일 포맷 생성장치(100)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기술한 다.
파일 저장부(300)는 파일 포맷 생성장치(100)를 통해 생성된 파일이 저장되는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인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일 저장부(300)로는 파일 재생을 위해 소정 파일 포맷 형식으로 저장된다. 예컨대, MP4 파일 포맷의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무브 박스와 엠닷 박스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주로 이동성이 있는 캠코더,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모바일 폰 등이므로, 파일 저장부(300)는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는 SD 카드 등이 될 수 있겠다. 또한, 이러한 이동성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파일 저장부는 저장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이 부족하게 될 경우 가장 오래된 파일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식으로 동작 된다.
출력부(400)는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디코딩된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나 앰프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출력장치들이 출력부(4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파일의 복구가 가능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딩, 즉 파일 저장부로 파일 저장 중에 전원 차단이나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안 된 경우에도,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에 기반하여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다시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별도의 변환 툴이 필요 없이 일반적인 재생장치에서 바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파일 포맷 생성장치를 좀더 상세히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일 포맷 생성장치는 데이터 압축부(110), 압축정보 버퍼부(130), 파일 포맷 생성부(150), 및 파일 포맷 복구부(170)를 포함한다.
데이터 압축부(11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즉, 데이터 압축부(110)는 입력부(200)로부터 나온 YUV420 비디오 프레임이나 PCM 오디오 프레임과 운행정보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일정 단위씩 비디오 및 오디오 인코더를 통해 압축하고, 압축된 정보를 압축정보 버퍼부(130)에 전달한다. 한편, 차량운행 정보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압축하지 않을 수 있다.
압축정보 버퍼부(130)는 데이터 압축부(110)로부터 입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 즉 버퍼링한다. 압축정보 버퍼부(130)는 두 가지 모드를 작동할 수 있는데, 하나는 실시간 저장 모드이고 하나는 이벤트 저장 모드이다.
실시간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터 압축부(110)에서 전달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버퍼링하다가 설정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한다. 즉, 압축정보 버퍼부(130)는 주기적으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버퍼링하다가 매 설정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 예컨대, 30 초간의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한다. 한편, 실시간 저장 모드의 경우는 버퍼링 시간을 매우 짧게 설정하거나 아니면 아예 버퍼링을 하지 않고 바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하 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벤트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터 압축부(110)에서 전달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길이 및 이후의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한다. 즉, 압축정보 버퍼부(130)에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버퍼링 하던 중에,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발생 시점에서부터 소정 시간 이전, 예컨대 15초 이전, 그리고 사고 발생 시점부터의 소정 시간 이후, 예컨대 5초 이후까지의 버퍼링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한다.
압축정보 버퍼부(130)는 일반적으로 실시간 저장 모드로 버퍼링을 수행하다가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 이벤트 저장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사건 발생 당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좀더 정확하게 획득하는 데에 이용되게 된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장치가 블랙박스인 경우에, 압축정보 버퍼부(130)는 차량 사고 발생 시에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과 이후의 소정 시간의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파일 포맷 생성부(150)로 전달하고, 파일 포맷 생성부(150)가 그러한 사고 시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하나의 이벤트 사건 파일로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함으로써, 사고 발생시점 전후에서의 데이터를 좀더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
파일포맷 생성부(150)는 압축정보 버퍼부(130)에서 버퍼링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하게 되는데, 종래와 달리 전원 차단이나 파일 저장부 이탈과 같은 돌발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도 복구 가능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 성하여 파일 저장부(300)로 저장한다.
이러한 파일 포맷 생성부(150)는 무브 박스 생성 시에 요구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체 파일, 즉 엠닷 파일의 헤더 부분에 추가하고, 각 샘플에 대한 샘플 헤더를 해당 샘플 전단에 추가함으로써,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구성하게 된다. 예컨대 MP4 파일 포맷의 경우에, 추가되는 비디오 정보는 포씨씨(FourCC), 폭(Width), 높이(Height), 비트레이트(BitRate), 타임스케일(TimeScale), 비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 컨피겨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정보는 포씨씨, 채널, 샘플레이트(SampleRate), 비트레이트, 샘플당비트(BitPerSample), 타임스케일, 샘플당프레임(FramesPerSample), 오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켜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텍스트 정보는 포씨씨 및 타임스케일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샘플 전단으로 추가되는 샘플 헤더의 경우는 고유 식별자, 포씨씨, STSS, STTS, 및 STSZ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SS는 샘플 테이블 싱크 샘플(Sample Table Sync Sample)을, STTS는 샘플 테이블 시간 스탬프(Sample Table Time Stamp)를, 그리고 STSZ는 샘플 테이블 사이즈(Sample Table Size)를 의미한다.
한편, 파일 포맷 생성부(150)는 위에 예시된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정보에 대한 각 섹터들뿐만 아니라,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의 전단으로 더미 영역인 프리(Free) 섹터를 더 추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으로 박스 크기, 프리, 및 고유 식별자 섹 터를 추가 시킬 수 있다. 파일 포맷 생성부(150)를 통해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저장되는 정보는 전술한 정보 섹터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 더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파일 포맷 생성부(150)를 통해 추가되는 정보 섹터들의 종류와 삽입되는 위치 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한다.
앞서에 예시된 각 정보들은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추가되며, 샘플들의 경우는 각 샘플 전단에 필요한 정보가 샘플 헤더로서 추가된다.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저장된 정보들은 파일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재생이 안 되는 경우에 무브 박스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상적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파일 생성 중에 전원 차단이나 디스크 이탈 등이 발생한 경우에 무브 박스를 생성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비정상적인 파일이 생성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종래에는 그러한 비정상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파일 재생이 용이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새로이 추가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돌발 시점까지 엠닷 박스로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한 무브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샘플마다 샘플 전단으로 샘플 헤더로서 필요한 정보들이 추가되어 있으므로, 샘플 헤더를 통해 샘플의 정보, 예컨대 샘플의 크기, 정보의 종류(audio, video, text), 위치(offset), 키프레임(KeyFrame)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파일의 복구가 가능하다.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된 경우에는 샘플마다 전단에 들어있는 정보는 일반 재생장치가 참조하지 않는 정보이므로 일반 재생장치에서 재생 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즉, 추가되는 정보들은 파일 복구 시에만 파일의 첫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파일에서 정보를 찾아내기 위해서만 사용되 는 정보들이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파일 포맷 생성부(150)를 통해 새로이 구성된 파일 포맷은 MP4 표준 규격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파일 포맷 복구부(170)는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하여,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한다. 즉, 파일 포맷 복구부(170)는 파일 포맷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파일 포맷 내에 추가된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정상적인 파일 포맷을 다시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300)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파일 포맷 복구부(170)는 본 실시예의 파일 포맷 생성장치(170) 내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되어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파일 복구를 수행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파일 포맷 생성부에서 생성하게 되는 정보 데이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정보(Audio Init Info)는 박스 크기, 프리, 고유 식별자, 포씨씨, 채널, 샘플레이트(SampleRate), 비트레이트, 샘플당비트(BitPerSample), 타임스케일, 샘플당프레임(FramesPerSample), 오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켜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하고, 비디오 정보(Video Init Info)는 박스 크기, 프리, 고유 식별자, 포씨씨, 폭, 높이, 비트레이트, 타임스케일, 비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겨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Text Init Info)는 박스 크기, 프리, 고유 식별자, 포씨씨 및 타임스케일 섹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샘플 헤더 정보는 고유 식별자, 포씨씨, STSS, STTS, 및 STSZ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HERA는 고유 식별자 섹터로 입력되는 특정 회사 인식 코드를 예시한 것이며, 각 섹터 상단의 '4'는 각 섹터로 4 바이트가 할당됨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 포맷 생성부에서 생성하여 파일 헤더 부분 또는 샘플 전단으로 추가하는 정보들은 위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 더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파일 복구 시에 요구되는 정보들이 위치하는 곳을 보여주는 전체 파일 포맷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서, 검은 박스로 해칭된 섹터들이 파일 포맷 생성부(150)를 통해 새로이 추가되어 삽입된 부분을 나타낸다. Audio Init Info, Video Init Info, Text Init Info 각각은 앞서 도 3에서 도시된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그리고 텍스트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각 샘플들 전단으로는 각각 헤더 정보(SH)가 삽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그리고 텍스트 정보 각 섹터 전단으로는 프리 섹터가 추가되며, 엠닷 박스가 시작되는 부분으로 엠닷 박스에 대한 정보가 MDAT 섹터에 저장되며, 무브 박스 또는 무브 정보 박스의 시작부분으로 무브 박스에 대한 정보가 MOOV 섹터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FTYP는 파일 타입(File Type)를, FTYP INFO.는 파일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VES, AES, 및 TES 각각은 비디오 엘리멘트리 스트림(Video Elementary Stream), 오디오 엘리멘트리 스트림(Audio Elementary Stream), 및 텍스트 엘리멘트리 스트림(Text Elementary Stream)에 대한 약어로서, 실제 데이터 스트림들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포맷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일 복구방법은 먼저, 입력부(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된다(S110).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부(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압축부(1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압축되고, 압축에 대한 정보가 생성된다(S120).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은 인코더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한편 압축부(110)에서는 파일 저장부(300)에 저장된 파일을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하여 출력부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다음, 압축정보 버퍼부(130)에서 데이터 압축부(110)에서 전달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 즉 버퍼링한다(S130). 압축 정보 버퍼부(130)는 실시간 저장 모드 및 이벤트 저장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데 그에 대해서는 도 2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압축정보 버퍼부(130)에서 버퍼링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들은 파일 포맷 생성부(150)에 전달되고, 파일 포맷 생성부(150)는 그러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들에 기반하여 소정 형식의 파일 포맷, 예컨대 MP4 파일 포맷을 생성한다(S140). 그러나 종래와 달이 전원 차단이나 디스크 이탈 등의 돌발 사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된 경우에도 다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이 파일 헤더 부분으로 추가되고 각 샘플마다 필요한 정보들이 샘플 헤더에 추가되어 구성한 새로운 파일 포맷을 생성한다.
파일 포맷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파일 포맷은 파일 저장부(300)로 저장된다(S150). 다음,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어 저장되었는지 판단한다(S160). 만약 정상적으로 파일 포맷이 생성되어 저장된 경우(Yes), 즉 정상적으로 무브 박스까지 생성되어 저장된 경우에는 일반 재생장치들이 재생하는 데에 별문제가 없으므로 포맷 생성 및 저장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돌발 상황 발생하여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경우(No), 즉 무브 박스를 생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파일 포맷 생성부(150)를 통해 생성되어 저장된 파일 포맷 내의 새로이 추가된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파일 포맷 복구부(170)가 다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한다(S150).
한편, 추가적인 멀티미디어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생성 및 저장과정을 필요한 경우에 위의 과정 등을 반복하게 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일포맷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중에 전원 차단이나 디스크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파일 생성이 안 된 경우에도,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다시 복구하여 일반적인 재생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파일 복구방법이 차량용 블랙박스에 이용되는 경우에, 동영상 및 운행정보를 저장 중에 블랙박스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파일이 생성된 경우라도, 정상적인 파일로 복구하여 일반 재생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고 발생시점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일 포맷 생성장치를 좀더 상세히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3은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파일 포맷 생성부에서 생성하게 되는 정보 데이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4는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파일 복구 시에 요구되는 정보들이 위치하는 곳을 보여주는 전체 파일 포맷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포맷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압축부;
    상기 데이터 압축부로부터 입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압축정보 버퍼부;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에 저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파일 포맷 생성부;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복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는 상기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파일의 헤더 부분에 추가하고, 각 샘플에 대한 샘플 헤더를 해당 샘플 전단에 추가함으로써, 복구 가능한 상기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추가되는 상기 정보는,
    포씨씨(FourCC), 폭(Width), 높이(Height), 비트레이트(BitRate), 타임스케일(TimeScale), 비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 컨피겨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비디오 정보,
    포씨씨, 채널, 샘플레이트(SampleRate), 비트레이트, 샘플당비트(BitPerSample), 타임스케일, 샘플당프레임(FramesPerSample), 오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켜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오디오 정보, 및
    포씨씨 및 타임스케일 섹터를 포함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는 상기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의 전단으로 더미 영역인 프리(Free) 섹터를 더 추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은 박스 크기, 프리, 및 고유 식별자 섹터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헤더는 고유 식별자, 포씨씨, STSS(Sample Table Sync Sample), STTS(Sample Table Time Stamp), 및 STSZ(Sample Table Size) 섹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버퍼링하다가 설정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포맷 버퍼부는 실시간 저장 모드 또는 이벤트(event) 저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실시간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설정된 시점마다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거나 버퍼링 없이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며,
    상기 이벤트 저장 모드인 경우, 사고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길이 및 이후의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 생성장치가 차량용 블랙박스에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차량 위치에 대한 GPS 정보 및 차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
  8.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정 파일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파일 포맷 생성부,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복구부를 구비한 파일포맷 생성장치;
    상기 파일포맷이 저장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재생된 파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는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파일의 헤더 부분에 추가하고, 각 샘플에 대한 샘플 헤더를 해당 샘플의 전단에 추가함으로써, 복구 가능한 상기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포맷 생성장치는 데이터 압축부로부터 입력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압축정보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실시간 저장 모드 또는 이벤트(event) 저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실시간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설정된 시점마다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거나 버퍼링 없이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며,
    상기 이벤트 저장 모드인 경우, 사고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길이 및 이후의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포맷 생성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압축부; 및
    상기 데이터 압축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압축정보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는 캠코더, 차량용 블랙박스, 및 모바일 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블랙박스인 경우에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차량 위치에 대한 GPS 정보 및 차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3.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압축정보 버퍼부에서, 생성된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파일 포맷 생성부에서 저장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포맷 형식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되,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도 복구 가능하도록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 포맷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비정상적인 파일 생성의 경우에 파일 포맷 복구부에서,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복구 가능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파일 포맷으로 복구시켜 상기 파일 저장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 음성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정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포맷 구성 단계에서, 무브 박스(Moov Box) 생성 시에 요구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파일의 헤더 부분에 추가하고, 각 샘플에 대한 샘플 헤더를 해당 샘플의 전단에 추가함으로써, 복구 가능한 상기 파일 포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포맷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14. 삭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헤더 부분으로 추가되는 상기 정보는,
    포씨씨, 폭, 높이, 비트레이트, 타임스케일, 비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겨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비디오 정보,
    포씨씨, 채널, 샘플레이트, 비트레이트, 샘플당비트, 타임스케일, 샘플당프레임, 오디오 포맷별 컨피겨레이션, 컨피켜레이션 사이즈 섹터를 포함한 오디오 정보, 및
    포씨씨 및 타임스케일 섹터를 포함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 구성 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의 전단으로 더미 영역인 프리(Free) 섹터를 더 추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각각은 박스 크기, 프리, 및 고유 식별자 섹터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 헤더는 고유 식별자, 포씨씨, STSS(Sample Table Sync Sample), STTS(Sample Table Time Stamp), 및 STSZ(Sample Table Size) 섹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버퍼링하다가 설정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실시간 저장 모드 또는 이벤트(event) 저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실시간 저장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정보 버퍼부는 설정된 시점마다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거나 버퍼링 없이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며,
    상기 이벤트 저장 모드인 경우, 사고 발생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길이 및 이후의 소정 시간길이만큼의 버퍼링된 상기 압축 및 정보 데이터를 상기 파일 포맷 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더를 통해 압축하며, 상기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하여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복구방법이 차량용 블랙박스의 파일 복구방법에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차량 위치에 대한 GPS 정보 및 차량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복구방법.
KR1020090063071A 2009-07-10 2009-07-10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KR10103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71A KR101036768B1 (ko) 2009-07-10 2009-07-10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71A KR101036768B1 (ko) 2009-07-10 2009-07-10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84A KR20110005484A (ko) 2011-01-18
KR101036768B1 true KR101036768B1 (ko) 2011-05-25

Family

ID=4361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71A KR101036768B1 (ko) 2009-07-10 2009-07-10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31A (ko) 2019-05-28 2020-12-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캐시 파일을 이용한 삭제 메시지 복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79B1 (ko) * 2012-01-17 2013-10-18 (주)피타소프트 Mp4 파일 구성 장치 및 복구 장치, mp4 파일 구성 방법 및 복구 방법
KR101348216B1 (ko) * 2012-01-19 2014-01-10 (주)엠텍정보기술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및 영상기록방법
KR20130107103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코아로직 파일 포맷 트랙을 이용한 운행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465061B1 (ko) * 2014-08-01 2014-11-28 대한민국 손상음성파일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130A (ja) * 2005-06-17 2006-12-2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KR100834510B1 (ko) * 2007-05-10 2008-06-02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딩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130A (ja) * 2005-06-17 2006-12-2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KR100834510B1 (ko) * 2007-05-10 2008-06-02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레코딩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31A (ko) 2019-05-28 2020-12-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캐시 파일을 이용한 삭제 메시지 복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84A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768B1 (ko) 파일포맷 생성장치, 그 생성장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생성장치를 이용한 파일 복구방법
KR101316579B1 (ko) Mp4 파일 구성 장치 및 복구 장치, mp4 파일 구성 방법 및 복구 방법
KR101194902B1 (ko) 데이터 재생장치
US8798441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US20050271358A1 (en) Moving picture editing apparatus
EP2012322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838900B1 (ko)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CN102474588A (zh) 发送控制装置、接收控制装置、发送控制方法、接收控制方法、以及发送控制程序
US8867895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4715306B2 (ja) ストリーム制御装置、ストリーム再生方法、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CN101808242B (zh) 缓存控制装置和缓存控制方法
JP4352409B2 (ja) マルチメディア符号化データ分離伝送装置
KR20050052717A (ko) 오디오 원본 보존 트랜스코딩 시스템 및 방법
JP2007013602A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パラメータ情報記録方法
JP5767982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WO2014136291A1 (ja) 動画データ編集装置、動画データ編集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41065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3141074A (ja) 撮像装置
JP2012049956A (ja) 運転記録装置に搭載可能な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01925951A (zh) 音频恢复再生装置及音频恢复再生方法
JP4489013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情報管理方法
JPWO2006075457A1 (ja) 記録装置
JP2013141064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CN116110410B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5348078A (ja) 録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