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08B1 - 횡단보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08B1
KR101036608B1 KR1020090011123A KR20090011123A KR101036608B1 KR 101036608 B1 KR101036608 B1 KR 101036608B1 KR 1020090011123 A KR1020090011123 A KR 1020090011123A KR 20090011123 A KR20090011123 A KR 20090011123A KR 101036608 B1 KR101036608 B1 KR 10103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pedestrian crossing
enclosure
pedestria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771A (ko
Inventor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이효성
(유)도로앤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성, (유)도로앤도시 filed Critical 이효성
Priority to KR102009001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보조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고, 하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겟이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관통구를 통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보행조명부재와; 상기 함체의 보조공을 통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는 보조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이 없음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함체, 전면판, 보행조명부재, 보조조명부재

Description

횡단보도 조명장치{ZEBRA CROSSING ILLUMINATING SYSTEM}
본 발명은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이 없음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보조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고, 하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겟이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관통구를 통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보행조명부재와; 상기 함체의 보조공을 통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는 보조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횡단보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통행이 많고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곳에 위치한 횡단보도에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한편, 상기 횡단보도가 표시된 도로변에는 일몰시에 점등되고 일출시에 소등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봉(4)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상에서 횡단보도(5)가 표시된 도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횡봉(4)상에는 복수의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미도시) 상에는 원뿔형상의 반사갓(4a)이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상기 횡봉(4)을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상에서 횡단보도(5)가 표시된 도로방향으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을 일으키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해야하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이 없음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보조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고, 하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겟이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관통구를 통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보행조명부재와; 상기 함체의 보조공을 통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는 보조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함체의 상부면에는 횡단보도 신호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관통구와 , 체결부재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와 체결되는 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조명부재가 횡단보도를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횡단보도 대기지역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이 없음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함체의 상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관통구와, 체결부재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을 보다 외관상 보다 미려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의 상부면을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보다 용이하 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조명부재가 횡단보도를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의 보행자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횡단보도 조명장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함체(10), 전면판(30), 보행조명부재(50) 및 보조조명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함체(10)는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도 4의 7)의 하부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보조공(110)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도 4의 9)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도 3의 130)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에는 횡단보도 신호등(도 6의 3)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통과되는 관통구(10b)와,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와 체결되는 체결공(10c)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함체(10)의 하부면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관통구(10b) 및 체결공(10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체(10)의 하부면이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은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이 더욱 좋다.
도 4는 함체(10)의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함체(10)의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기 위한 일측 밴드부재(132)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기 위한 타측 밴드부재(134)와, 상기 타측 밴드부재(133)의 타측에서 상기 함체(10)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 저면에는 상기 함체(10)의 관통구(10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삽입부(136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6a)와 인접한 위치에는 고정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고정대(136)와, 상기 일측 밴드부재(132)와 상기 타측 밴드부재(134)의 양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대(136)의 고정구(미도시)를 관통하여 상기 함체(10)의 체결공(10c)과 나사결함되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138,139)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예를 들어,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0b) 및 체결공(10c)과 동일한 형상의 관통구(미도시) 및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상에 고정된 상기 고정브라켓(130) 중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고정브라켓(1390)을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상에서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 공(미도시)과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10c)에 상기 체결부재(150)를 관통시켜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을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전선(미도시)은 상기 관통구(10b) 를 통과한 후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고정대(136)의 삽입부(136a)를 상기 함체(10)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구(10b)에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결합부재(138)를 상기 고정대(136)의 고정구(미도시)를 관통시킨 후 상기 함체(10)의 체결공(10c)과 나사결함 시킴으로써, 상기 함체(10)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시킨다.
더불어,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일측 밴드부재(132) 및 타측 밴드부재(134)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의 일측 및 타측 외주연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39)를 일측 밴드부재(132) 및 타측 밴드부재(134)의 양측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9)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0)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에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관통구(10b)와,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횡단보 도 신호등용 함체(7)와 체결되는 체결공(10c)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미도시)을 보다 외관상 보다 미려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10)의 상부면을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의 하부면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판(30)은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관통구(3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30)의 전면에는 예를 들어, 상기 관통구(3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신호등 갓(330)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함체(10)의 일측벽 전방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행조명부재(50)는 상기 전면판(30)의 관통구(310)를 통하여 횡단보도(5)를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에 구비된다.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에는 상기 보행조명부재(50)가 발광하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보행조명부재(5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횡단보도(5)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경(5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보행조명부재(50)로는 HID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이 횡단보도(5)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7은 제어부(9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170)와, 상기 광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조명부재(50)가 상기 횡단보도(5)를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전원공급부(9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센서(170)가 예를 들어, 주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청색등(미도시)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지만, 상기 보행조명부재(50)는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광센서(170)가 야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행조명부재(50)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청색등(미도시)을 따라 발광하여 상기 횡단보도(5)를 조명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상기 광센서(170)와, 상기 광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조명부재(50)가 상기 횡단보도(5)를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90)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상기 횡단보도(5)를 보행하는 보행자(미도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조명부재(70)는 상기 함체(10)의 보조공(110)을 통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을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에 구비된다.
상기 함체(10)의 개방공간(10a)에는 상기 보조조명부재(70)가 발광하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조명부재(7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경(7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보조조명부재(70)로는 HID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미도시)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광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70)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을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센서(170)가 예를 들어, 주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청색등(미도시)은 발광하도록 제어하지만, 상기 인체감지센서(1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70)가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광센서(170)가 야간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의 청색등(미도시)은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조명부 재(70)는 상기 광센서(17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3)을 따라 발광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을 조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미도시)를 감지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광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70)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을 조명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의 보행자(미도시)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7)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이질감이 없음은 물론, 별도의 전기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운전자가 횡단보도 대기지역(5a)의 보행자(미도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함체의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함체의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횡단보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횡단보도 신호등, 4; 횡봉,
4a; 반사갓, 5; 횡단보도,
5a; 횡단보도 대기지역, 6; 도로,
7;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 9;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
10;함체, 10a; 개방공간,
10b,310; 관통구, 10c; 체결공,
130; 고정브라켓, 132; 일측 밴드부재,
134; 타측 밴드부재, 136; 고정대,
136a; 삽입부, 138,139; 결합부재,
150; 체결부재, 170; 광센서,
190; 인체감지센서, 30; 전면판,
330; 신호등 갓, 50; 보행조명부재,
510,710; 반사경, 70; 보조조명부재,
90; 제어부, 91; 전원공급부

Claims (4)

  1.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보조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의 하부면에 일체형성 또는 결합되고, 하부면에 횡단보도 신호등용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겟이 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관통구를 통하여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보행조명부재와;
    상기 함체의 보조공을 통하여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는 보조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부면에는 횡단보도 신호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관통구와, 체결부재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용 함체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조명부재가 횡단보도를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횡단보도 대기지역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조명부재가 상기 횡단보도 대기지역을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0090011123A 2009-02-11 2009-02-11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03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23A KR101036608B1 (ko) 2009-02-11 2009-02-11 횡단보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23A KR101036608B1 (ko) 2009-02-11 2009-02-11 횡단보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71A KR20100091771A (ko) 2010-08-19
KR101036608B1 true KR101036608B1 (ko) 2011-05-24

Family

ID=4275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23A KR101036608B1 (ko) 2009-02-11 2009-02-11 횡단보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3681B1 (es) * 2011-05-24 2013-11-28 Jesús VALVERDE FERNÁNDEZ Señalización activa de pasos de peaton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488Y1 (ko) 2001-04-19 2001-10-29 (주) 에이엔티 라이트등을 가진 신호등
KR20020046488A (ko) * 2000-12-14 2002-06-21 채문식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의한 위질환 치료제용 조성물 및그 탐색방법
KR20030077499A (ko) * 2003-08-28 2003-10-01 양수석 건축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200377499Y1 (ko) 2004-12-06 2005-03-11 이진욱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WO2008079761A1 (en) * 2006-12-20 2008-07-03 M & K Hutchison Investments, Lp Traffic signal with integrated sensors
KR100962309B1 (ko) * 2008-05-14 2010-06-10 조복희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488A (ko) * 2000-12-14 2002-06-21 채문식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의한 위질환 치료제용 조성물 및그 탐색방법
KR200246488Y1 (ko) 2001-04-19 2001-10-29 (주) 에이엔티 라이트등을 가진 신호등
KR20030077499A (ko) * 2003-08-28 2003-10-01 양수석 건축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200377499Y1 (ko) 2004-12-06 2005-03-11 이진욱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WO2008079761A1 (en) * 2006-12-20 2008-07-03 M & K Hutchison Investments, Lp Traffic signal with integrated sensors
KR100962309B1 (ko) * 2008-05-14 2010-06-10 조복희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71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239B2 (en) Dual LED/incandescent security fixture
KR100961258B1 (ko) 케이블 일체형 조명등
JP5568203B2 (ja) 屋外用照明器具
US20070008732A1 (en) Illuminated bedrail for pickup trucks
KR100966728B1 (ko) 도로 교통표지판
KR200422493Y1 (ko) 천정등의 보조 조명장치
KR101036608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423179Y1 (ko) 차량용 유도장치
KR20080005178U (ko) 가로등 및 보안등용 등기구
KR20090025768A (ko)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통합형 가로등
KR200399308Y1 (ko) 각종 표시판의 외부 조명장치
JP5544004B2 (ja) Led照明装置
JP2008140651A (ja) 地中埋込照明器具
KR102319188B1 (ko) 횡단보도용 양면 표지판
CN207217471U (zh) 固态高强度放电顶篷灯具改装组件
JP2014086248A (ja) Led照明装置
JP2001059391A (ja) 足元灯ユニットおよび足元灯付門扉
KR20080009180A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0429262Y1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0367325Y1 (ko) 안전점검용 터널조명 등기구
KR20090004463U (ko) 경관조명 가로등 베이스 커버
KR101064895B1 (ko) 보조 가로등 장치
RU2291997C2 (ru) Система уличного городского освещения
KR20180132411A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신호등
CN210691612U (zh) 具有进度指示功能的交通信号装置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