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62Y1 -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 Google Patents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62Y1
KR200429262Y1 KR2020060019810U KR20060019810U KR200429262Y1 KR 200429262 Y1 KR200429262 Y1 KR 200429262Y1 KR 2020060019810 U KR2020060019810 U KR 2020060019810U KR 20060019810 U KR20060019810 U KR 20060019810U KR 200429262 Y1 KR200429262 Y1 KR 200429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ing
pedestrian crossing
unit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이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근 filed Critical 이승근
Priority to KR2020060019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저전력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와 도광판을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의 소요량을 줄이면서 빛의 밝기를 최대화하고 야간에 횡단보도로 조명을 비추어 보행자의 횡단을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조명의 조사(照射)각도를 조절 및 원격조종 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표지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표지판은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에게 전방에 횡단보도를 인식시켜주도록 발광되는 교통안내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상에 횡단보도측으로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를 갖는 통상의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에 있어서, 교통안내표시부의 하부면상에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사각함과 조명부가 내장되는 경사함이 일체로 형성되며, 조명부는 경사함의 하부면상 양측에 한쌍이 부착되는 조명틀과, 조명틀의 내측면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램프가 내장된 조명체와, 조명체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켜주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각도조절수단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이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Road guiding sign board for crosswalk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그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광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각도조절수단을 외부에서 원격조종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내조형으로 제작된 종래의 교통안내표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110 : 몸체부
111 : 사각함 112 : 경사함
120 : 전원공급부 130 : 케이스
131 : 삼각프레임 133 : 장착홀
150 : 조명부 151 : 조명틀
153 : 조명체 155a,155b : 힌지,요홈
160 : 각도조절수단 161 : 맞춤판
162a,162b : 걸림홈,탄력볼 170 : 원격제어수단
171 : 전동모터 172 : 감속기
173 : 원판 174 : 링크대
200 : 교통안내표시부 210 : 도광판
220 : 광원부 230 : 방열판
240 : 반사판 250 : 프레임
본 고안은 저전력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와 도광판을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의 소요량을 줄이면서 빛의 밝기를 최대화하고 야간에 횡단보도로 조명을 비추어 보행자의 횡단을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조명의 조사(照射)각도를 조절 및 원격조종 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구간 구간이나 교차로 부근에는 도로안내를 위한 이정표나 교통안내표지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통안내표지판은 도로변에 엘보지지대를 설치하고 여기에 교통안내 문자 또는 기호가 표기된 금속판재를 매달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교통안내표지판 상의 교통안내문자는 고휘도 반사지를 접착시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야간시 상기 표지판에 자동차의 조명이 투사되면 이 고휘도의 문자 반사지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받은 빛을 산란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안내 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반사식 표지판에서는 그 표지판이 설치된 도로의 기복이나 형태에 따라 자동차의 라이트 불빛과 표지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는 표지판을 제대로 읽을 수 없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표지판의 안내문자가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부터의 라이트 빔을 받아 반사하게 되면 그때에 비로소 운전자는 안내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어 식별가능한 표지판 대신에 자체 발광하는 표지판을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체 발광하는 표지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이 표시부(11)의 바로 안쪽에 설치되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도 9와 같은 내조형은 광원이 기구속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광고 패널이나 간판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제작이 간편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표시면의 휘도가 고르지 못하고 내부 부품 및 결선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되며, 기구물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교통표지판용으로서, 횡단보도의 상측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비추어 야간에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표지판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횡단보도용 교통표지판은 하향 조명등을 일정한 즉, 수직한 하측으로만 비추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항상 횡단보도의 직상부에만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따라서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측 정중앙에 횡단보도용 신호등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될 때에는 직하부로만 비추는 종래의 횡단보도용 표통표지판으로는 재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형을 박판ㅇ소형화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광원이 표지판 전체에 고루 굴절 반사되도록 하여 작은 용량의 광원으로도 표지내용을 선명하게 인지함과 동시에 횡단보도측으로 각도조절이 되는 조명수단을 구비한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에게 전방에 횡단보도를 인식시켜주도록 발광되는 교통안내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상에 횡단보도측으로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를 갖 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에 있어서,
교통안내표시부의 하부면상에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사각함과 조명부가 내장되는 경사함이 일체로 형성되며, 조명부는 경사함의 하부면상 양측에 한쌍이 부착되는 조명틀과, 조명틀의 내측면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램프가 내장된 조명체와, 조명체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켜주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각도조절수단은 조명틀에서 조명체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맞춤판과, 조명틀의 측면상에서 맞춤판으로 돌출되는 탄력볼로 이루어지고, 맞춤판에는 다수의 요홈이 탄력볼에 대응되면서 등간격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각함내에 장착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에 부착되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장착되는 원판과, 원판에 결합되면서 조명체의 배면상에 결합되는 링크대와,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외부에 형성된 원격조절수단을 더 포함 할 수도 있다.
한편, 교통안내표시부는 배면부에 브이홈으로 형성된 격자형태의 발산홈을 갖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둘레를 따라 가요성 기판에 다수의 LED가 부착된 광원부와, 광원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광원부를 내부에 한정하면서 도광판의 외곽에 결합되는 방열판과, 도광판의 둘레를 감싸면서 보호 및 누수를 방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교통안내표시부가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되는 삼각 케이스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사각함의 상부면상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이등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안내통표지판(100)은 몸체부(110)와, 케이스(130)와, 교통안내표지부(200)와, 조명부(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100)의 하부에 위치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함체형상을 갖는 사각함(111)과 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등갓 형상의 경사함(1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각함(111)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120)가 내장되고, 경사함(112)의 하부면상에는 조명부(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경사함(112)의 하부면상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부(113)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케이스(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겹쳐지는 한쌍의 삼각프레임(131)을 구비한다. 이때, 삼각프레임(131)의 측면에는 교통안내표지부(200)가 노출되도록 삼각형상으로 개방홈(132)이 형성되고, 사각함(111)의 상부면상에 한쌍의 삼각프레임(131)이 서로 겹쳐진 상 태로 볼트결합이나 용접결합 및 리벳결합 등의 결합수단으로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삼각프레임(131)에 형성되는 개방홈(132)은 교통안내표지부(200)가 일면에만 부착되는 경우에는 개방홈(132)이 어느 일면에만 형성되고, 교통안내표지부(200)가 양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개방홈(132)이 양측면에 동시에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어느 측면상에는 지주의 가로대가 삽입고정되는 장착홀(133)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교통안내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횡단하여 그 내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광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교통안내표지부(200)는 기본적으로 도광판(210)과, 광원부(220)와, 방열판(230)과, 반사판(240)과, 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진다.
도광판(210)은 아크릴판이 사용되며, 이러한 도광판(210)의 배면부에는 빛을 발산하는 발산홈(21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도광판(210)은 에지라이트(Edge Light)방식으로 도광판(210)의 측면에서 빛을 주사하면 빛은 반대측면으로 진행되다가 그 사이에 형성된 발산홈(214)으로 굴절하고, 발산홈(214)으로 굴절된 빛은 다시 반사판(240)에 의해 반사되어 결과적으로 도광판(210)의 전면부로 빛이 발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산홈(214)은 많이 형성되는 것이 더 많은 빛을 발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발산홈(214)을 도광판(210)에 격자형태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발산홈(214)은 "V"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광원부(220)는 여러 개의 LED(222)가 도광판(210)의 둘레에 배치되어 도광판(210)으로 빛을 주사하는 것으로 다수의 LED(222)가 부착되는 가요성 기판(221)으로 이루어진다.
LED는 적은 전력공급으로 높은 휘도의 빛을 낼 수 있으면서 긴 수명을 자랑하는 전구로 현재 많은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가요성 기판(221)은 얇은 띠와 같은 것으로,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여러 개의 삽입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삽입구멍들은 인쇄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221)에 여러 개의 LED(222)의 리드선(223)이 삽입되고, 리드선(223)이 돌출된 가요성 기판(221)의 반대측에 납땜(224)으로 고정시키면서 인쇄회로와 통전시킨다. 그리고 가요성 기판(221)의 일단부에는 전원공급부(120)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공급선(도시되지 않음)이 접속되어 모든 LED(222)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광원부(220)는 도광판(210)의 둘레에 LED(22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광판(210)의 둘레에 안착홀(216)을 형성시킨 후, 안착홀(216)에 LED(222)가 삽입되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광원부(220)는 오랜 시간 사용하다보면 많은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220)의 둘레에 다시 방열판(230)이 배치된다.
방열판(230)은 열교환이 원활하며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판(230)이 결합되기 위해 방열판(230)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도광판(210)의 둘레에는 방열판(230)이 끼워지도록 단차부(212)가 형성된다. 또한, 단차부(212)의 단차높이는 방열판(23)의 홈깊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유인즉은, 도광판(210)의 단차부(212)와 방열판(230)의 사이에 광원부(220)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프레임(250)은 도광판(210)과 반사판(240)의 외곽을 감싸면서 이들을 보호해주고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 메탈소재가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임(250)은 교통안내표지부(200)의 형상에 따라 이등분 또는 삼등분되어 각각이 서로 맞대기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250)과 반사판(240) 및 프레임(250)과 도광판(210)의 접점부위에는 에폭시수지(260)가 도포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한편, 전원공급부(120)는 교통안내표시부(200) 및 조명부(150)로 전원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일반적인 안정기이다.
도 7은 조명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고하면, 조명부(150)는 몸체부(110)의 하부면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방향으로 빛을 주사할 수 있으면서 수동 또는 원격조종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부(150)는 경사함(112)의 하부면상에 양측으로 두개가 형성되며, 각각 조명틀(151)과, 조명체(153)와, 각도조절수단(160)을 포함한다.
조명틀(151)은 사각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경사함(112)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걸림부(113)의 하부면상 양측에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또한, 조명틀(151)의 내측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돌출부(152)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152)의 어느 마주보는 내측면상에는 돌출된 힌지(155a)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틀(151)의 내측면상에 램프가 내장된 조명체(153)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조명체(153)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돌출부(152)의 힌지(155a)에 장착되어 선회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요홈(155b)이 양측면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명체(153)는 램프측 개방면에 빛이 통과되는 유리판(154)이 장착되고 이 유리판(154)의 면과 조명틀(151)의 면이 일치하게 장착되어 미관이 좋도록 설계된다.
한편, 각도조절수단(160)은 조명체(153)가 조명틀(151)내에서 자유롭게 선회되는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꺽일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이다. 이러한 각도조절수단(160)은 돌출부(152)의 힌지(155a)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맞춤판(161)과, 맞춤판(161)과 마주보는 조명체(153)의 측면상에 맞춤판(161)측으로 돌출되는 탄력볼(16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맞춤판(161)에는 탄력볼(162b)의 일부가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홈(162a)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홈(162a)은 조명체(153)가 선회되기 때문에 조명체(153)의 회전 곡률반경에 일치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각도로 등간격 형성된다. 또한, 탄력볼(162b)은 통상적인 구조로 조명체(153)의 내부에 압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고 이 압축스프링에 탄력볼(162b)이 지지되는 것이다.
전술한 각도조절수단(160)은 수동으로 조절되는 것이고, 이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도 있다.
도 8은 상기한 각도조절수단을 원격조종할 수 있는 원격제어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원격제어수단(170)은 전동모터에 의한 것으로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가 지주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원격제어수단(170)은 사각함(111)의 내부에 전동모터(171)가 구비되어 고정되고, 전동모터(171)에는 감속기(172)가 부착되고, 다시 감속기(172)에는 원판(173)이 장착되고, 원판(173)에는 길다란 링크대(174)의 일단이 결합되며, 링크대(174)의 타단이 조명체(153)의 후면상에 결합된다. 따라서 콘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전동모터(171)가 회전되면 감속기(172)에 의해 적당한 속도로 감속되면서 원판(173)이 회전되어 원판(173)에 결합된 링크대(174)를 밀어주거나 또는 당겨주면서 조명체(153)를 자동으로 선회시켜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은 광원이 도광판을 거쳐 교통안내표시부의 전면부로 고르게 조사되기 때문에 휘도 및 조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고, 횡단보도로 비추는 조명의 각도를 수동 또는 원격으로 조절할 수가 있어 원하지 않는 위치에 교통안내표지판이 설치되더라도 항상 횡단보도측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에게 전방에 횡단보도를 인식시켜주도록 발광되는 교통안내표시부(200)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상에 횡단보도측으로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150)를 갖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교통안내표시부(200)의 하부면상에는 전원공급부(120)가 내장되는 사각함(111)과 상기 조명부(150)가 내장되는 경사함(1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경사함(112)의 하부면상 양측에 한쌍이 부착되는 조명틀(151)과, 상기 조명틀(151)의 내측면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전원공급부(120)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램프가 내장된 조명체(153)와, 상기 조명체(153)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켜주는 각도조절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60)은 상기 조명틀(151)에서 상기 조명체(153)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맞춤판(161)과, 상기 조명틀(151)의 측면상에서 상기 맞춤판(161)으로 돌출되는 탄력볼(1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춤판(161)에는 다수의 걸림홈(162a)이 상기 탄력볼(162b)에 대응되면서 등간격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함(111)내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동모터(171)와, 상기 전동모터(171)에 부착되는 감속기(172)와, 상기 감속기(172)에 장착되는 원판(173)과, 상기 원판(173)에 결합되면서 상기 조명체(153)의 배면상에 결합되는 링크대(174)와, 상기 전동모터(171)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외부에 형성된 원격제어수단(17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안내표시부(200)는 배면부에 브이홈으로 형성된 격자형태의 발산홈(214)을 갖는 도광판(210)과, 상기 도광판(210)의 둘레를 따라 가요성 기판(221)에 다수의 LED(222)가 부착된 광원부(220)와, 상기 광원부(220)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부(220)를 내부에 한정하면서 상기 도광판(210)의 외곽에 결합되는 방열판(230)과, 상기 도광판(210)의 둘레를 감싸면서 보호 및 누수를 방지하는 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통안내표시부(200)가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되는 삼각 케이스(130)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30)가 상기 사각함(111)의 상부면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20060019810U 2006-07-22 2006-07-22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0429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810U KR200429262Y1 (ko) 2006-07-22 2006-07-22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810U KR200429262Y1 (ko) 2006-07-22 2006-07-22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379A Division KR100812975B1 (ko) 2007-02-01 2007-02-01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62Y1 true KR200429262Y1 (ko) 2006-10-20

Family

ID=4177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810U KR200429262Y1 (ko) 2006-07-22 2006-07-22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42B1 (ko) 2007-06-08 2008-10-02 (주)성광산업개발 횡단 보도 표지판
KR20200119562A (ko) * 2019-04-10 2020-10-20 김정훈 교통 표시 및 횡단보도 조명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42B1 (ko) 2007-06-08 2008-10-02 (주)성광산업개발 횡단 보도 표지판
KR20200119562A (ko) * 2019-04-10 2020-10-20 김정훈 교통 표시 및 횡단보도 조명등
KR102190702B1 (ko) * 2019-04-10 2020-12-14 김정훈 교통 표시 및 횡단보도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127B2 (en) Lens for LED outdoor lamp, and its applied road lamp, security lamp, tunnel lamp, park lamp, guard lamp, industrial flood lamp, and outdoor lamp
KR101049177B1 (ko) 엘이디조명장치
JP4730142B2 (ja) 照明装置
JP5442708B2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装置
US20090002990A1 (en) Led lighting assemblies for display cases
JP5568203B2 (ja) 屋外用照明器具
US87708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hway or similar lighting
US10222026B2 (en) Indirect LED lihting apparatus having a reflection configuration
KR20090128697A (ko) 조명장치
KR101177886B1 (ko) Led모듈과 반사판을 이용한 간판조명 시스템
JP2006331988A (ja) Ledフットライト
KR100812975B1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0429262Y1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20110076248A (ko) Led 조명장치
KR20160127216A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068707B1 (en) Compact LED light source and lighting system
KR10120579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내표지판
KR20110076247A (ko) Led 조명장치
KR200423256Y1 (ko) 도로안내표지판
KR101937481B1 (ko) 도로표지판용 타겟 조명장치
US11852333B1 (en) Light fixture with glare reduction panels
KR102339695B1 (ko) 장식 조명이 연출되도록 한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JP7274144B2 (ja) 横断歩道用照明装置及び横断歩道用照明装置の設置方法
KR101049834B1 (ko) 눈부심 방지 및 배광조절이 용이한 엘이디조명기구 및 엘이디조명기구를 가지는 엘이디가로등
JP4601540B2 (ja) 街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