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776B1 -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 - Google Patents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776B1
KR101035776B1 KR1020080110425A KR20080110425A KR101035776B1 KR 101035776 B1 KR101035776 B1 KR 101035776B1 KR 1020080110425 A KR1020080110425 A KR 1020080110425A KR 20080110425 A KR20080110425 A KR 20080110425A KR 101035776 B1 KR101035776 B1 KR 101035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gripping
plate
gripping member
fix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235A (ko
Inventor
더블유. 매서닉 쥬니어. 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맥닐 아이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닐 아이피 엘엘씨 filed Critical 맥닐 아이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13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06Hangers for hanging articles on bars, tringles, bracket a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6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arpets; for wallpaper; for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6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arpets; for wallpaper; for textile materials
    • A47F7/163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arpets; for wallpaper; for textile materials in the form of flat shape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5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ally shaped, nongripping, rigid structure for connecting independently operable clasps, clips, or support-c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64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gripping member formed from, biased by, or mounted on resilient member
    • Y10T24/447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gripping member formed from, biased by, or mounted on resilient member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engaging faces
    • Y10T24/44752Integral locking-mean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isplay Rack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 플로어 매트 등의 여러 물품을 거는 행거는 적합한 폴리머로부터 일 형태로 주입-성형된다. 행거는 적어도 4 개의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와 고정 그립핑 부재 중 각각의 것에 고정가능한 4 개의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를 가진다. 고정 그립핑 부재의 물품-지지 핑거는 행거 본체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는데, 2 개는 일측 방향으로 나머지 2 개는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다. 고정 그립핑 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쌍을 이루는 일측 부재들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쌍을 이루는 타측 부재들과 함께, 쌍으로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서, 공유된 구조를 가지는 판은 그 쌍에서 그립핑 부재마다 "C" 채널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Figure R1020080110425
차량 플로어 매트, 행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Description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HANGER WITH DOUBLE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행거는 사출 성형이 쉽게 된다. 발명자는 이러한 특징을 만족시키는 행거를 개선해왔다(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출원 특허 제 2007 US 0145065 A1호를 참조).
차량용 플로어 매트 등의 제품은 보통 진열 선반(display rack)으로부터 행거에 걸려 판매하게 된다. 플로어 매트는 동일 공간을 차지하는 의복보다 무거울 수 있어서, 전형적으로 평평하고 유연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플로어 매트를 다는 행거는 손상 없이 그 무게를 충분히 견뎌야하고, 운반 또는 진열 동안에 상당한 전단력이나 비틀림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도록 매달린 매트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러한 행거가 유통자에게 운반되기 전에 매트에 손쉽게 부착되는 경우 제조에 있어서 상업적인 이점이 있다.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그러한 행거는 사출 성형이 쉽게 된다. 발명자는 이러한 특징을 만족시키는 행거를 개선해 왔다(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출원 특허 제 2007 US 0145065 A1호를 참조). 하나의 행거로부터 보다 많은 물품을 매달 수 있으면, 절약성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플로어 매트를 다는 행거는 손상 없이 그 무게를 충분히 견뎌야하고, 운반 또는 진열 동안에 상당한 전단력이나 비틀림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도록 매달린 매트를 확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는 바아로부터 행거를 거는 후크 등을 가지고, 후크 아래에 배치되고 연결된 가로대를 가진다. 가로대는 수직축으로부터 등거리인 가로대 상의 각 제 1 및 제 2 위치만큼 적어도 떨어진 제 1 방향과 제 1 방향에 대향된 제 2 방향으로 바아 후크를 통하여 수직축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다. 행거는 물품을 거는 적어도 4 쌍의 그립핑 부재 수단으로 구비된다. 각 쌍은 가로대에 부착된 고정 그립핑 부재와 이동 그립핑 부재를 가진다. 제 1 고정 그립핑 부재는 제 1 위치에서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방향에 대한 각도로 제 3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 2 고정 그립핑 부재는 제 1 고정 그립핑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지만 제 3 방향에 대향된 제 4 방향의 수평으로 돌출된다. 제 3 고정 그립핑 부재는 가로대 상의 제 2 위치에서 배치되고, 제 3 방향의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 4 고정 그립핑 부재는 제 3 고정 그립핑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가로대로부터 제 4 방향의 수평으로 연장된다.
각 고정 그립핑 부재에 대해서, 이동 그립핑 부재는 고정 그립핑 부재와의 결합으로 그 사이에 적어도 1 개(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 개) 물품을 그 사이에서 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동 그립핑 부재에는 고정 그립핑 부재에 이를 고정해제가능한 고정기가 구비되어 걸리게 되는 물품을 확보한다. 제 1, 2, 3 및 4 고정 그립핑 부재의 배치는, 일측에 걸린 물품에 의해 발생된 하향력으로 인한 전단 모멘트나 휨 모멘트가 가로대의 타측 상에 또 다른 걸린 물품에 의해 발생된 힘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각 고정 그립핑 부재는 3 개의 판으로부터 "C" 채널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판의 제 1 및 제 3 이격된 것은 상기 정해진 바와 같이, 제 3 방향에 평행한 수직판을 차지한다. 제 2 판은 이러한 2 개와 함께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되고, 제 1 및 제 3 판에 대해 직각으로 된다. 그러한 하나의 고정 그립핑 부재의 제 3 판은, 걸린 물품에 의해 발생된 휨 모멘트에 대해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고정 그립핑 부재 중 하나에 근접하는 하나의 제 3 판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연이어 있다.
바람직하게 각 쌍의 고정 및 이동 그립핑 부재 모두는 안으로 향한 물품 지지 핑거에 대향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동 그립핑 부재의 고정 아암에 있는 래치형 치형부의 배열 수단에 의해 고정 그립핑 부재와, 그리고 고정 그립핑 부재와 연관된 멈춤쇠에 각 이동 그립핑 부재를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각 멈춤쇠는 엄지 손가락이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유닛으로서 멈춤쇠와 함께 회전하는 탭이나 레버로 보통 구비되고 고정 아암 상의 치형부에 멈춤쇠의 치형부가 맞물리게 이동되어 행거 본체로부터 이동 그립핑 부재가 퇴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아암 수용 채널 또는 개구부의 쌍은 제1 및 제2 위치의 각각에서 가로대에 형성되고,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이동 그립핑 부재의 고정 아암을 수용한다. 하나의 그러한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는 등판은 인접한 채널의 일부도 형성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는, 본체, 및 대향하는 물품 그립핑 부재의 적어도 제1 쌍 및 제2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쌍에서 하나는 본체에 부착되어 본체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물품 그립핑 부재의 각각의 쌍에서 다른 하나는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를 향하여 이동가능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그 사이에 고정하는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물품 그립핑 부재의 제1 쌍 및 제2 쌍에서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는 본체로부터 측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제1 방향에 대한 미러 이미지로 본체로부터 측면으로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로서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의 각각은 제1 판, 제2 판 및 제3 판에 의해 정의되는 채널로서 형성되고, 제1 판은 수직이고 제1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있고, 제2 판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제1 판에 이어져 연장되고, 제3 판은 제2 판에 이어지고, 제3 판은 수직이고 제1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있도록 배치되고 제2 판에 의해 제1 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하나의 제3 판은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제3 판과 연속적이고 공통 평면상에 있고, 각각의 쌍에서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하나는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아암을 갖고, 고정 아암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멈춤쇠 치형부를 고정 아암에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쌍에서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아암 수용 채널, 고정 아암상의 멈춤쇠 치형부의 적어도 선택된 하나와 맞물리도록 이동가능한 멈춤쇠, 및 멈춤쇠 치형부로부터 멈춤쇠의 맞물림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동작하게 멈춤쇠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를 갖는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한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는, 본체, 및 적어도 4개의 하향으로 매달리는 물품 그립핑 부재를 포함하고, 물품 그립핑 부재 중 2개는 본체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하향으로 매달리는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물품 그립핑 부재 중 2개는 분리되는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각각의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각각의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를 향하여 그리고 수직선에 대한 소정 각도의 이동축에 평행하게 선형으로 이동가능하여 물품을 그 사이에 고정하고, 각각의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행거의 본체를 향하여 이동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고정 아암을 갖고, 고정 아암은 고정 아암상에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의 고정 아암의 각각의 하나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아암 수용 채널은 서로 인접하도록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가능한 래치는 고정 아암상의 멈춤쇠와 맞물려 2개의 물품 그립핑 부재 사이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아암 수용 채널과 연관되고, 레버는 행거로부터 물품을 풀기 위해 멈춤쇠로부터 래치의 맞물림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동작하게 래치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의 공통 판은 아암 수용 채널 양자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이점은 종래 기술 설계와 비교하여 성형이 쉽고, 걸린 물품과 조립이 용이함이다. 또 다른 이점은 운반이나 진열 중 행거로부터 걸린 물품의 부주위한 분리에 대한 저항성이 있음이다. 3 번째의 기술적 이점은 균형에 있어서 단일 행거로부터 차량 플로어 매트 등의 많고 복수의(4 개 등의) 무거운 물품을 걸을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업성 행거의 실시예(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은 2 쌍의 차량 플로어 매트(102, 104, 106, 108)를 매달은 것을 나타낸다. 매트(102 - 108)는, 예를 들면, 앞뒤 시트를 가진 차량용 4개의 맞춤형 매트의 세트이다. 행거(100)는 직립 후크(112)를 가진 사출-성형 본체(110)로 이루어진 것 이 바람직하며, 후크(112)는 행거와 매트(100, 102 - 108)는 진열선반 등의 바아(114)에 매달리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는 등을 서로 맞댄 조건(back-to-back condition)에서, 즉, 앞면 플로어 매트(180) 정면의 상부 마진에 가까운 한 쌍의 성형된 패임부(indentation)(115, 116)와, 플로어 매트(106) 후면에서 유사한 한 쌍의 패임부(도 5에서 도시됨)에서, 2 쌍의 차량 플로어 매트(102, 104; 106, 108) 각각을 매달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다. 유사하게, 해당 매트의 2 개의 패임부, 후방을 향한 2 개를 가진 4 개의 패임부는 다른 매트 쌍(102, 104)의 상부 마진에 근접하게 나타낸다. 행거(100)는 매트(102 - 108)가 플로어에 대해 사각 형상으로 걸을 수 있는 방식으로 바아(114)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된 2 개의 로케이션(117, 119)에서 각 매트(102-108)를 잡아줌이 바람직하다. 로케이션(117, 119)은 행거(100)의 중앙선(150)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거(100)는 매트 또는 걸려진 물품당 2 개의 그립핑 로케이션(gripping location)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 4를 참조하여, 행거(100)는 본체(110)로부터 분리 및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동 그립핑 부재나 크로우(claw)(120)를 더 포함한다. 행거(100)는 ABS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통상적으로 사출-성형된다. 본체(110)의 후크(112) 및 가로대(122)는 인장력, 전단력 및 비틀림력에 대한 저항과 강도를 위해 수직 및 수평판으로 각각 형성된다. 가로대(122)는 수직으로 사용된 판(124)와, 그리고 그의 하부 마진에서 형성된 수직 및 수평판(126)을 가진다. 바아 후크(112)는 수직 가로대판(124)의 일체로 연장된 수직판(128)로부터 형성되고, 진열선반 바아(114)를 연결하는 표면으로도 역할하는 측면판(130)에 연결된다. 측면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본체(110)는 가로대판(124)에 연장되고, 후크판(128)에 더 연이어진 플래그(132)를 포함한다. 플래그(132)는 제품 라벨이나 다른 인쇄된 물품이 보통 인쇄되고, 고정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가로대(122)는 수직축(150)으로부터 2 개의 방향 각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가로대(122)는 매트(102-108)가 잡힌 제 1 및 제 2 이격된 부분의 로케이 션(117, 119)을 결합하기 위해 충분한 거리로 적어도 연장된다. 각 물품을 잡거나 지지하는 로케이션(117, 119)에 있어서, 매트당 한 쌍의 그립핑 부재가 제공된다:본체(110)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바람직하게 각각 형성된 4 개의 고정 그립핑 부재나 크로우(197, 198, 199 또는 200) 중 하나와 이동 그립핑 부재(120)이다
도 2a의 일례에서 와 같이, 각 이동 그립핑 부재(120)는 수직판(204)과, 직각으로 수직판(204)에 바람직하게 연장되고 수직인 단일 중앙 강화판(206)을 포함하는 본체(202)를 가진다. 본체(202)는 수직판(204 및 206)과 교차하고 직각으로 직립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평으로 배치된 판(208)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행거 채널(227 - 230)(이하에서 하술) 중 하나에 밀어 넣는 경우, 판(208)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나 손가락에 의해 접촉되는 추가 표면적을 제공한다. 판(208)도 강화 성분이 추가된다.
본체(202)의 하부 말단부는 수평 및 안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나 물품 지지 핑거부(210)을 가진다. 지지 핑거(210)는 판(204)의 굽은 연장부(212)로서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고, 판(206)의 굽은 연장부(214)와 함께 그 등을 따라 강화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그립핑 부재(120)는 행거(100)의 본체(110)에 대해 이동 방향(218)으로 연장되는 고정 아암(216)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 방향(218)은 수평이고, 축(150)(도 2 참조)과 행거(100)(와 지지된 물품(102 - 108))가 정렬된 수직판에 대해 직각이다. 안으로 연장된 핑거(210)는 이 방향(218)을 따른다. 고정 아암(216)은 그 폭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큰 높이를 가져 핑거(210)에 매달린 물품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최적의 능력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고정 아암(216)은 래치형 치형부(222)의 어레이에 형성된 수직으로 배치된 면(220) 하나 이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치형부(222)는 방향(218)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 고정 아암 레일(224)과 수평으로 배치된 하부 고정 아암 레일(226)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아암 레일(224, 226)은, 고정 아암(216)을 고정 그립핑 부재(197 - 200) 중 각 하나와 연관된 각각의 채널이나 개구부(227, 228(도2a), 229, 230(도 2b)) 중 하나에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아암(216)은 그 삽입물을 채널(227 - 230) 중 하나로 들어갈 수 있도록 테이퍼된 노즈부(nose)(233)에서 종료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이동 그립핑 부재나 클립(120)은 고정 아암(216)의 하부면 및 상부면 상에 한 쌍의 립(320 및 324)(도 2a 및 도 5)를 각각 포함한다. 립(320 및 324)은, 판(204)으로부터 안으로 측면으로 연장되지만, 고정 아암 노즈부(233) 앞에 있는 그의 내부 말단부(322, 326) 각각에서 종료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말단부 및 멈춤부(322, 326)는 판(204)으로부터 연장됨임 아니라 그로부터 이격되는 범프(bump)에 상하향 방향으로 각각 의존하는 표면일 수 있다. 긴 형상의 립은 강도가 강한 특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본 4 개의 매트 행거는, 바람직하게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동 조우(jaw)(120) 및 고정 조우에 의해 형성된 클립이나 그립핑 부재(197-200)가 다른 쌍에 엇갈림 관계로 되어 있는 쌍에 배치됨을 개시하는 선출원(미국 공개 공보 출원 제2007 US 0145065 A1호 참조)과는 다르다. 또한, 그립핑 부재(120, 197-200)는 일반적으로 행거(100)의 (판(124)에 의해 차지되는) 수직 중앙판으로부터 멀리 이 격된다. 선출원에 있어서, 립(320, 324) 없이, 매달릴 수 있도록 행거가 설계된 매트에 행거를 조립하는 사람은, 그립핑 부재(120)의 고정 아암(116)이 대향된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또 다른 고정 아암(116)의 말단부에 닿지않음에 따라,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는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파괴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 립(320, 324)이 추가된다. 각 립(320, 324)은 고정-아암-수납 채널 또는 개구부의 각 하부나 상부 마진에 대향하여 멈춰지는 역할을 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내부면(322 또는 326)을 나타낸다. 과하게 되는 경우, 면(322)는 프레임 부재(126)에 접속될 수 있으면서, 면(326)도 채널-지정 부재(530)에 접촉될 수 있다(도 5). 이 물리적 간섭은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내부 삽입을 더 막을 수 있다.
각 고정 그립핑 부재(197 - 200)는 행거 본체(110)로 일체 및 하향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각 고정 그립핑 부재(197 - 200)의 하부 말단부는 방향(218)에 평행하여 배치된 물품 지지 핑거(232)에서 종료되고, 가로대(122)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연장된다. 각 고정 그립핑 부재(197 - 200)의 본체(234)는 수직판(236A 또는 236B)과 판(236A 또는 236B)에 직각으로 배치된 2 개의 강화 수직판에 의해 형성되어 본체(234)는 "C" 단면을 가진다.
고정 그립핑 부재(197 및 198)(도 2a)는 로케이션(119)에서 조밀하게 연관된 쌍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고정 그립핑 부재(199 및 200)(도 2b)는 로케이션(117)에서 조밀하게 연관된 또 다른 쌍으로 형성된다. 도 3a 및 3b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 와 같이, 예로서, 그립핑 부재 쌍(197, 198)(도 3a)에서, 그러한 각각의 연관된 쌍은 쌍(197, 198)을 형성하는 양 "C"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화판(237)을 공유한다. 따라서, 그립핑 부재(197)는 수직으로 정렬된 측면 외부판(238)으로, 그리고 방향(218)에 평행하고; 이에 연결되고, 판(238)에 수직으로 되고, 수직판으로서 된 판(236A)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판(238), 판(238)에 평행하고 판(236A)에 직각으로 된 공유판(237)에 대향하여 이에 연결된다.
판(237)은 행거(100)의 다른 측에 방향(118)으로 평행하여 연장되어 연관된 고정 그립 부재(198)의 일부를 형성한다. 부재(198)의 판(236B)은 판(237)으로부터 측면으로 안으로, 그리고 판(237)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부재(198)의 판(236B)은, 판(236B)에 수직으로 된, 판(237)에 평행한 판(239)에서 종료된다. 판(239)은 고정 그립 부재(198)의 판(236B)에 의해 판(237)으로부터 안으로 측면으로 이격된다. 즉, 그립 부재(197)의 "C" 채널은 판(238, 236A 및 237)의 조합으로 형성되면서, 그립핑 부재(198)의 "C" 채널은 판(237, 236B 및 239)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쌍으로 그립핑 부재(197, 198; 199, 200)을 배치하여, 그 쌍의 각 부재는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에 대한 밸런스와 저항에 대해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도 3d는 연관된 쌍의 그립핑 부재(197, 198)의 말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력은 그립 부재(197)의 핑거(232)에 지지된 매트(106)에 의해 가해지면서, 하향력은 대향 그립 부재(198)의 핑거(232)에 지지된 매트(104)에 의해 가해진다. 이러한 부재가 공통 강화판(237)에 의해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핑거(232)에 동일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축(150) 상의 지점에 주위의 일측 핑 거(232)에 상의 각 운동 보존량(angular moment)은 타측 핑거(232)에 상의 각 운동 보존량에 의해 균형잡히게 될 것이다. 핑거(232)에 동일한 부하가 걸리는 않는 경우, 일부에서, 핑거(232) 중 하나에 걸리는 부하는 핑거(232)가 일부인 크로우(197 또는 198)뿐만 아니라, 다른 크로우(197 또는 198)에 의해서도 지탱한다. 이로써, 부재(197, 198)는 서로 강화된다.
일례로서 포획 그립 부재(197)와 지지 핑거(232)를 형성하기 위해 (도 3c - 3f), 판(236A)의 굽은 연장부(242)는 판(237, 238)의 굽은 연장부(244, 246)에 연결된다. 판 연장부(242)는 물품(106)이 매달리는 지지면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핑거(210, 232)는 서로 대향하여 모이기 위해 위치되어, 그 사이에서 2 개의 매트(106,108)를 포획한다(도 5 참조).
채널이나 아암-수납 개구부(227)(도 2a 및 3b 참조)는 한 쌍의 기다랗고, 평행하고, 채널 등판(252)에 형성된 이격된 가이드(247, 248)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채널 등판(252)은 수직판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247, 248)는, 직행 하향 이동 방향(218)에 대해 채널(227)내로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이동을 보다 한정하기 위해 고정 아암 레일(224, 226)과 연동한다.
채널(227)도 판(252)으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이격된 전면판(254)에 의해 일부 형성되어 그에 평행하게 된다. 물품(106, 108)을 행거(100)에 고정함에 있어서, 각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고정 아암(216)은 전면판(254)과 등판(252) 사이에 삽입된다. 한 쌍의 개구-말단 슬롯(258)은 하나의 말단부에서 본체(110)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중앙부(260)를 남겨두고 전면판(254)에서 형성된다. 삼각형 강화 보 강판(예를 들면, 채널(228)에 구비된 유사한 보강판(265))은 중앙부(260)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고, 거기에서 수동형 이동가능한 탭 또는 레버(264)까지 연결된다.
등판(252)은 채널(227)과 근접 채널(228) 양 채널로의 역할을 하고, 이 마지막 채널은 채널(227)에 서로 맞대어 형성된다. 채널(228)의 구조는 채널(227)의 공간 전이이다. 평행하고, 이격된 가이드(249, 250) 한 쌍은 등판(252) 상에 형성되어 그로부터 채널(228)로 측면으로 안으로 연장된다. 판(259)은, 등판(252) 안으로, 측면으로 위치되고, 채널(228)을 정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판(254)의 경우에서와 같이, 평행한 개구-말단 슬롯(261) 한 쌍은, 힌지로 동작하는 일측 말단부(263)에서 얇게 연결된 부분을 남겨두고 판(259)을 거의 3 등분된다. 삼각형 강화 보강판(265)은 판(259)의 중앙부(267)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고, 거기에서 또 다른 수동형 이동가능한 탭 또는 레버(292)까지 연결된다(도 3b).
채널(229 및 230)과 연관된 구조는 가로대(122) 상의 대향 로케이션(117)에서, 그리고 채널(227 및 228)에 맞대어 형성된다. 도 2b에서는, 채널(229)에 연관된 탭 또는 레버(267)가 제시된다. 레버(267)는 핑거의 작용에 따라 구별할 수 있는 공간(269) 대부분을 차지하고 부재(124)로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표면을 가지기 위해 형성된다. 레버(267)는 판(270)으로부터 측면으로, 안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도 3a도 참조), 이 마지막 판은 채널(229)의 한 측을 형성한다. 판(270)에 평행한 판(272)은 채널(229)과 근접 채널(230) 양 채널용 등판으로 역할한다. 등판(272)은 채널(229)내로 돌출한 2 개의 평행 글라이드(251, 253)용 구조 지지부와, 그리고 대향측으로부터 그리고 채널(230) 내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된 2 개의 평행 글라이드(255, 257)로서 역할한다.
판(274)은 등판(272)으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배치되고, 그에 평행하게 된다. 판(274)은 채널(230)을 정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판(254, 259 및 270)과 같이, 이 판(274)은 평행한 개구-말단 슬롯(276, 278) 한 쌍에 의해 거의 3등분 되어서, 비-분할 말단부에서 힌지(280)를 형성하고, 중앙부(282)를 정한다. 삼각형 강화 보강판(284)은 중앙부(282)에 대해 직각으로 되고, 채널(230)에 대한 탭 또는 레버(286)와 그 중앙판부 사이에서 연결된다(도 3a).
도 3과 그 상세한 도 3a 및 3b는, 도 2, 2a 및 2b와 반대 반향으로 된 등각투상도로서, 도 2, 2a 및 2b에 가려진 구조를 제시한다. 채널(230)은 탭 또는 레버(286)로 구비된다. 이 레버(286)는 채널판(274)의 중앙부(282)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돌출된다. 탭(286)과, 그리고 그에 유사한 다른 3개의 탭이 수직판을 차지함이 바람직하다. 레버 또는 탭(286)은 도 3 및 3a에서 하향 수평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이 방향은 이동 그립 부재 이동의 방향(218)에 평행하다.
본체(110)의 가로대(122)는 탭(286)이 눌러지게 되는 개구부(290)를 포함한 가드(guard)(288)를 가진 말단부 또는 로케이션(117)에서 종료된다. 가드(288)는 레버(286)의 작용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배치된다. 가드(288)는 탭 또는 레버(286)의 부주의한 작용에 대해 보호하는데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레버(286)를 누르는 경우, 엄지 손가락이나 손가락용 고정 지점 또는 지레 지점 또는 잡는 지점을 제공한다. 탭(286)은 맞물릴 수 있도록 엄지 손가락이나 손가 락용 표면적을 더 제공하는 확장부(300)에서 종료할 수 있다.
도 2b를 재참조하여, 채널(229)에 연관된 탭(267)은 측면으로, 안으로, 대향 방향으로 공통 등판(272)으로부터 그리고 부재(124)로 구성된 개구부(269)로 연장되기 위해 형성되어, 탭(267)은 손가락에 의해 접근될 수 있고 아래도 눌러지게 될 수 있다(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탭(286)이 눌러지게 될 수 있는 방향에 대향한 방향이다).
미러-이미지 탭 구조는 다른 말단부나 물품-걸린 로케이션(119)에 반복된다. 탭(292)(도 3b)은 채널(228)에 구비되고, 그리고 측면으로 안으로-연장된 개구부(294)내로 아래도 눌러지게 될 수 있고(도 3b에서 참조), 개구부(294)는 수직 십자형 부재(124)를 통해 이루어진다. 채널(227)용 탭(294)(도 2a 참조)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94)이 상부로 눌러지게 되는 개구부(268)를 구현하고 정하는 말단 가드(266)에 의해 보호된다. 가드(266)는 형상 및 기능에 있어서, 말단부나 로케이션(117)에서 가드(288)와 유사하다.
도 4는 도 2와 유사한 등각 투상도지만, 세밀한 위치 또는 고정된 위치에 대해 채널(227-230)내로 완전하게 삽입된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제시한 것이다(도 2 참조). 도 4는, 핑거 쌍(120, 197; 120, 198; 120, 199 및 120, 200)이 서로에 대해 조밀하게 있는 경우, 물품 지지 핑거(210, 232)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제시한 것이다. 핑거(210, 232)의 말단부는, 2개의 매달린 물품의 2 배 두께가 채 못 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연속된다.
도 5는 로케이션(119)에서의 단면을 상세하게 한 것으로서, 고정 아암(216) 이 개구부 또는 채널(227)에 세밀하게 삽입되는 경우,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관계를 제시한 것이다. 핑거(210)는 매트 또는 다른 매달린 물품(108)의 패임부(114)내에 모든 길이 삽입된다. 매트 패임부(114)의 표면부(500)는 물품 지지 핑거(210)의 상부면(502) 상에 있게 된다. 유사하게, 물품 지지 핑거(232)는 행거(100)에 의해 매달린 목적용 매트(106)내에 형성된 형성 패임부(504)의 측에 배치된다. 패임부(504)의 표면부(506)는 고정 물품 지지 핑거(232)의 상부면(508) 상에 있게 된다. 따라서, 핑거(210, 232)는 2 개의 맞댄 매트(106, 108) 사이에서 그들을 포획한다.
이 구조는 또 다른 곳에서 페이퍼에 평행하여 측면으로 안으로 배치된 판으로 도 5의 우측 상에서 반복되고, 이동 그립핑 부재(120)는 근접 채널(228)(예를 들면 도 2 참조)내에 삽입된다. 채널(228)은 그에 연관된 고정 그립 부재(198)를 가지면서, 채널(227)은 그에 연관된 고정 그립 부재(197)를 가진다. 판(510)은 양 고정 그립핑 부재(197, 198)에 공통된다.
매트(108, 106; 104, 102)는 걸리게 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그 각각의 쌍은 행거(100)의 중앙선(150)에 같은 거리를 가진다. 매트(108, 106)의 무게는 고정 그립 부재(197)과 그에 연관된 구조가 중앙선(150)에 대해 아래로 그리고 우측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매트(104, 102)의 무게는 고정 그립 부재(197)과 그에 연관된 구조가 중앙선(150)을 향하여 아래로 그리고 좌측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좌우 힘 백터는 공유된 판(237)을 통해 상쇄된다. 그러므로, 결합된 구조는 고정 그립핑 부재(199, 200) 작용만으로 보다 더 큰 무게를 견딘다.
예를 들면, 고무 차량 플로어 매트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매달린 물품은 그들에게 탄성을 주며, 그립핑 부재(120, 197 - 200)가 완전하게 조밀되고 래치된 위치에 있는 경우, 그들은 약간 압축된 조건에서 물품(108, 106 및 104, 102)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 후, 사용자 레버(264, 267, 286 또는 292) 중 하나를 누르는 경우, 각 이동 그립핑 부재(120)는 방향(218)에 평행하여 고정 부재(200)로부터 외부로 나온다. 이동 부재(120)의 이동 움직임은, 부재(120)가 물품(102, 104, 106 또는 108)을 행거(1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행거(100)의 나머지로부터 퇴출되어지는 요소임을 사용자에 의해 식별된다. 이동 움직임은 이 퇴출 작업을 자동으로 시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이를 보다 쉽게 완료하도록 하게 한다.
고정 그립 부재(197)와 연관된 채널 또는 개구부(227)는 상부 프레임 부재(530)와 가로대 프레임 부재(126)에 의해 일부 정해지게 된다. 상부 프레임 부재(530)의 하부면(532)은 이동 그립 부재 고정 아암(216)의 상부면(534)에 인접해 있다. 판(126)의 상부면(536)은 고정 아암(216)의 하부면(538)을 지지한다.
도 6은 각 근접 채널 또는 개구부(227, 228)에 삽입된 것으로서, 조밀되고, 고정되거나 멈춰지는 위치에 대해 2 개의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통한 단면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222)가 "상어 이빨"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각 리딩(leading) 표면부(600)는 경사진 면이며, 각 트레일링 표면부(602)는 이동 또는 삽입 방향(218)으로 스티퍼 각(steeper angle)을 가진다. 이는 개구부(227, 228)로부터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퇴출을 그들의 삽입보다 더 어렵게 하도록 한다.
이동 그립핑 부재(120)마다,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멈춤쇠(606)의 2 개의 치형부(604)는 이동 그립핑 부재(120)로부터 퇴출됨을 막기 위해 고정 아암(216)의 2 개의 치형부(222)와 맞물리게 된다. 레일(224)(도 2a 및 2b 참조)과 치형부(222)는 하나의 측만 멈춤쇠(606)에 맞물리는 고정 아암(216)의 양 측 상에 형성된다. 이 계획된 복제는 동일 이동 그립핑 부재(120)가 서로에 대해 미러 이미지에서 형성된 쌍의 채널(227-230)로 사용되도록 하게 한다. 채널(227)에 연관된 멈춤쇠(700)의 치형부는 또 다른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치형부(222)와 유사하게 맞물리게 된다.
도 7은, 도 6에서 제시된 동일 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내지만, 탭(292)이 충분한 힘으로 안으로(이 도면에서 아래로) 눌려지게 되는 경우, 멈춤쇠(606)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슬롯(261)(도 2a)은 힌지 또는 토션바아(torsion bar) 내에 전면판(259)의 비슬롯부(263) 나머지를 회전시킨다. 삼각형 보강판(265) 및 슬롯(261)(도 3) 때문에, 결합된 멈춤쇠/레버 구조(292/606)는, 치형부(604)가 고정 아암 치형부(222)의 통로에 상향회전하여 벗어날 때까지 피벗(pivot)(263) 주위에서 유닛으로서 대략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조건에서, 이동 그립핑 부재(120)는 채널(228)로부터 퇴출될 수 있으며(이 도면에서, 아래로), 그리고 그에 매달린 물품(102, 104)으로부터 분리된다. 미러 이미지에서, 근접 채널(227)은, 또 다른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치형부(222)와 상호 작용하는 치형부(702)를 가지는 멈춤쇠(700)에 설치된다. 탭(294)을 완전히 가진 멈춤쇠(700)는 충분한 힘(이 도면에 서, 위로)의 적용에 따른 힌지 또는 피벗(704) 주위에서 회전하고, 그리고 삽입된 이동 그립핑 부재(120)의 치형부(222)로부터 멈춤쇠 치형부(702)를 푼다. 가드(266)는 지레 지점이나 손을 잡는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레버(264)를 작용시킨다; 수직 구조 부재(124)는 지레 지점이나 손을 잡는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레버(292)를 작용시킨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상승된 린지(706)는 이 지레 지점이나 잡는 지점의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되기 전에 성형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등각 투상도이다. 이동 핑거(120)가 행거 본체(110)를 가진 한 유닛으로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판(124)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 성형의 깊이가 최소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 아암(216) 상의 수직 래치트(ratchet) 표면부를 정함으로서 용이하게 된다. 이 바향으로 전체 성형의 플레터 프로파일(flatter profile)을 생산할 수 있다. 이동 그립핑 부재(120) 상의 단일 강화판(206)은 예를 들면, 고정 그립핑 쌍(197, 198)(도 3a 참조)용 2 개 또는 3 개의 그런 판 또는 프로세스(238) 대신에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형에서 측면 작용에 필요를 제거함으로서, 성형을 쉽게 행하게 한다. 고정 아암(216)의 경사진 돌출부(233)는 편리 지점이 행거 본체(110)로부터 이동 그립핑 부재(120)를 제거하도록 하게 한다. 도 9는 이 조건에서 행거(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 외에 실시예로 확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대신에, 고정 그립핑 부재(197, 198; 199, 200)의 쌍의 수는 매달린 물품의 속성에 따라 하나 또는 3 개 이상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제시된 고정 아암(216)은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래치트 또는 멈춤쇠 표면부는 수평으로 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각도에서 수직으로 될 수 있다. 고정 아암이 이동 그립핑 부재와 멈춤쇠로 완전하게 이루어짐 바를 제시하고, 채널(227 - 230)이 고정 그립핑 부재와 연관됨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구조는 역으로 될 수 있어서, 이동 그립핑 부재는 채널과 멈춤쇠를 가지고, 고정 그립핑 부재는 수평으로 돌출 고정 아암을 가진다. 멈춤쇠(606)가 2 개의 치형부(604)를 가지고, 고정 아암(216)이 다중 치형부(222)를 가짐이 바람직 하는 한편, 요구된 최소의 모든 것은 조밀되거나 고정된 위치를 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해 채널(228)에 하나의 멈춤쇠, 치형부, 포획부 또는 래치와 연동하는 고정 아암 상의 하나의 멈춤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히 차량 플로어 매트를 적용하였지만, 행거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진열되거나 저장될 수 있는 다른 쌍의 물품, 특히 무거운 물품을 매달 수도 있다.
요약하면, 각 고정 그립핑 부재 또는 크로우에 근접한 채널을 따라서 이동 그립핑 부재 또는 크로우를 삽입하여 매달리게 되는 물품을 포획하는 새로운 물품 행거를 제시하고 설명했다. 고정 그립핑 부재는 매우 근접한 쌍으로서 배치되어서, 각 부분을 형성하는 판을 공유한다. 멈춤쇠와 연동함에 있어서, 고정 아암 상의 치형부의 설비는 물품으로부터 행거의 부주의한 제거를 막는다. 또한, 이동 그립핑 부재의 아암을 고정하는 채널 또는 개구부는 매우 근접한 쌍에 배치되어 있어서, 서로 그러한 채널을 형성하는 구조적 등판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서 기술하고 제시하는 한편, 본 발 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기술 영역 및 기술 사상에 의해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점 및 그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나고, 다음 부분으로 나타내는 기호 등에서 지칭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업성 실시예의 등각투상도로서, 진열선반으로부터 2 쌍의 차량 플로어 매트가 걸린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된 등각투상도;
도 2a 및 2b는 도 2에서 도시된 행거의 말단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분해된 등각투상도로서 역측으로부터 도시된 도면;
도 3a는 고정 그립핑 부재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행거 가로대의 한 말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등각투상도로서, 고정 아암-수용 채널 및 관계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행거 가로대의 다른 말단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등각투상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그립핑 부재 쌍의 아래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고정 그립핑 부재의 쌍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e는 도 3에 도시된 행거의 하나의 말단부에서 고정 그립핑 부재 쌍을 상세하게 나타낸 등각투상도;
도 3f는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도 3e에 도시된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등각 투상도;
도 4는 근접하거나 고정된 조건에서 도 1에서 도시된 행거의 등각투상도;
도 5는 도 1의 선 5-5를 따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나타낸 조건에서 2 쌍의 고정 및 이동 그립핑 부재를 통해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일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로서, 각 쌍의 이동 그립핑 부재가 해제될 수 있는 위치에서 멈춤쇠 및 레버의 편향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도시된 행거의 등각 투상도로서, 주입-성형 후 이동 그립핑 부재를 분리하기 전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8에서 제시된 조건에서 행거의 평면도이다.

Claims (17)

  1. 본체, 및 대향하는 물품 그립핑 부재의 적어도 제1 쌍 및 제2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쌍에서 하나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물품 그립핑 부재의 각각의 상기 쌍에서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를 향하여 이동가능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그 사이에 고정하는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물품 그립핑 부재의 상기 제1 쌍 및 상기 제2 쌍에서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측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미러 이미지로 상기 본체로부터 측면으로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로서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의 각각은 제1 판, 제2 판 및 제3 판에 의해 정의되는 채널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판은 수직이고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판에 이어져 연장되고, 상기 제3 판은 상기 제2 판에 이어지고, 상기 제3 판은 수직이고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판에 의해 상기 제1 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하나의 제3 판은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제3 판과 연속적이고 공통 평면상에 있고,
    각각의 상기 쌍에서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하나는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아암을 갖고, 상기 고정 아암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멈춤쇠 치형부를 상기 고정 아암에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상기 쌍에서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아암 수용 채널, 상기 고정 아암상의 상기 멈춤쇠 치형부의 적어도 선택된 하나와 맞물리도록 이동가능한 멈춤쇠, 및 상기 멈춤쇠 치형부로부터 상기 멈춤쇠의 맞물림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동작하게 상기 멈춤쇠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2. 제1 항에 있어서,
    물품 그립핑 부재의 상기 제1 쌍 및 상기 제2 쌍은 제1 위치에 형성되고, 물품 그립핑 부재의 제3 쌍 및 제4 쌍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는 상기 행거의 상기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상기 본체는 그 깊이보다 더 큰 폭 및 높이를 갖고, 상기 행거의 상기 본체 및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단일 성형으로 플라스틱으로 주입-성형되고, 성형 후에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물품에 상기 행거를 고정하기 위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 양자는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물품 지지 핑거를 갖고, 상기 물품 지지 핑거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아암의 상기 멈춤쇠 치형부는 사용시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상기 고정 아암상의 적어도 2개의 멈춤쇠 치형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수평이고 서로로부터 180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 및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의 각각의 상기 쌍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물품이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10. 본체, 및 적어도 4개의 하향으로 매달리는 물품 그립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그립핑 부재 중 2개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하향으로 매달리는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상기 물품 그립핑 부재 중 2개는 분리되는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이고, 각각의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각각의 상기 고정 물품 그립핑 부재를 향하여 그리고 수직선에 대한 소정 각도의 이동축에 평행하게 선형으로 이동가능하여 물품을 그 사이에 고정하고,
    각각의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는 행거의 상기 본체를 향하여 상기 이동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고정 아암을 갖고, 상기 고정 아암은 상기 고정 아암상에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의 상기 고정 아암의 각각의 하나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아암 수용 채널은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가능한 래치는 상기 고정 아암상의 상기 멈춤쇠와 맞물려 2개의 물품 그립핑 부재 사이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아암 수용 채널과 연관되고, 레버는 상기 행거로부터 물품을 풀기 위해 상기 멈춤쇠로부터 상기 래치의 맞물림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동작하게 상기 래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공통 판은 상기 아암 수용 채널 양자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고정 아암상의 상기 멈춤쇠로부터 상기 래치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제2 방향으로 인간의 손의 손가락 또는 엄지에 의해 눌러질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고, 가드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소정 각도의 평면에서 상기 레버 주위에서 연장하도록 상기 본체상에 형성되고, 상기 가드는 부주의한 작용으로부터 상기 레버를 보호하고 상기 레버를 동작하는 데에 있어서 인간의 손에 고정점 또는 잡는 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12. 제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동 물품 그립핑 부재의 상기 고정 아암은 상기 고정 아암상에 형성되는 멈춤부를 갖고, 각각의 상기 아암 수용 채널과 물리적으로 간섭하는 상기 멈춤부에 의하여 상기 고정 아암이 상기 아암 수용 채널내로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물품을 거는 행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110425A 2008-06-17 2008-11-07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 KR101035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40,419 US7753241B2 (en) 2008-06-17 2008-06-17 Hanger with double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US12/140,419 2008-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35A KR20090131235A (ko) 2009-12-28
KR101035776B1 true KR101035776B1 (ko) 2011-05-20

Family

ID=3986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425A KR101035776B1 (ko) 2008-06-17 2008-11-07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53241B2 (ko)
EP (1) EP2135529A1 (ko)
JP (1) JP5066044B2 (ko)
KR (1) KR101035776B1 (ko)
AU (1) AU2008207598B2 (ko)
CA (1) CA2639456C (ko)
GB (2) GB2462224B (ko)
HK (1) HK1135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4029B2 (en) * 2011-03-08 2013-05-21 Target Brands, Inc. Reinforced hanger and associated packaged product assembly
US20130146725A1 (en) * 2011-12-10 2013-06-13 Matthew D. Noble Merchandizing hanger
US8720842B2 (en) * 2012-06-25 2014-05-13 Wei-Jyh Huang Hanger device for a car mat
CN103462463A (zh) * 2013-09-05 2013-12-25 常熟市尚湖镇美雅妮商业展示用品厂 一种卡扣式衣架
US9301625B2 (en) 2013-10-16 2016-04-05 Kraco Enterprises, Llc. Hanger for displaying floor mats
USD771403S1 (en) * 2014-07-22 2016-11-15 Who-Rae Australia, Llc Hanger container for car floor mats
US9265361B1 (en) * 2014-08-20 2016-02-23 Target Brands, Inc. Merchandise hanger, associ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102405660B1 (ko) 2015-04-06 2022-06-07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의 선회브레이크 장치
USD815852S1 (en) 2016-07-19 2018-04-24 Who-Rae Australia, Llc Floor mat hanger
US10631677B2 (en) 2017-05-12 2020-04-28 Target Brands, Inc. Hanger with securement element
USD873036S1 (en) 2018-11-08 2020-01-21 Vertical Air Solutions LLC Hanger
USD942261S1 (en) * 2018-11-19 2022-02-01 Plasticolor Molded Products Inc. Parts 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482A2 (en) 1999-02-16 2000-08-23 International Retail Services Group, Ltd. Apparatus for securely retaining a plurality of garment hangers
JP2001286371A (ja) 2000-04-10 2001-10-16 Sanwa Kk 吊り下げ具
US20040034903A1 (en) * 2000-10-06 2004-02-26 Blair Mary Lynne Protective sports hat insert device
US20070145085A1 (en) * 2007-03-30 2007-06-28 David MacNeil Hanger with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038A (en) * 1968-12-23 1971-01-26 Ctp Ind Inc Combined hook and handle
US3698043A (en) * 1970-03-10 1972-10-17 Batts John T Inc Molded garment clamp
US3698607A (en) * 1970-03-10 1972-10-17 Batts John T Inc Garment clamping hanger
US4054234A (en) * 1972-03-09 1977-10-18 John Thomas Combination garment hanger
US3745616A (en) * 1972-09-05 1973-07-17 Batts John T Inc Clamp with improved latch
US3841478A (en) * 1972-12-21 1974-10-15 Pretty Prod Inc Merchandise packaging device
CA1063801A (en) 1976-01-02 1979-10-09 John H. Batts Hanger for article display
US4034903A (en) * 1976-01-02 1977-07-12 John Thomas Batts, Inc. Hanger for article display
US4236280A (en) * 1979-02-22 1980-12-02 Courtesy Mold And Tool Corporation Releasable tie
USD287085S (en) * 1984-11-26 1986-12-09 Thomson-Leeds Company, Inc. Floor mat hanger
DE8703708U1 (ko) 1987-03-12 1987-05-14 Kurz Kunststoffe Gmbh, 7452 Haigerloch, De
BR6700621U (pt) 1987-04-13 1987-07-21 Giampiero Colognori Cabide
US4856654A (en) * 1988-05-26 1989-08-15 Akro Corporation Package of automobile mats with mounting pads for mounting mats on an automobile carpet
CA63641S (fr) * 1988-07-28 1989-07-11 2549 1622 Quebec Inc Support
GB8905510D0 (en) * 1989-03-10 1989-04-19 Braitrim London Ltd Expandable garment hanger
US5350092A (en) * 1989-08-01 1994-09-27 Spotless Plastics Pty. Ltd. Garment hanger and clip
US5027480A (en) * 1990-05-18 1991-07-02 Rainsford Pty Limited Garment clip
US5178306A (en) * 1992-02-11 1993-01-12 Nicoleon Petrou Hanger with clips
US5257694A (en) * 1992-11-16 1993-11-02 Sagaz Industries, Inc. Retail floor mat display system
CA2154181C (en) * 1993-02-05 1999-10-12 William Joseph Hunt Clip for a garment hanger
US5957345A (en) * 1996-05-28 1999-09-28 Petrou; Nicoleon Garment hanger clamp pads with side clips
DE29801641U1 (de) * 1998-01-31 1998-05-28 Seisler Walther Vorrichtung zum Halten von Kleidungsstücken, insbesondere von gestrickten oder gewirkten Kleidungsstücken mit einer Aufhängeeinrichtung
US6226839B1 (en) * 1999-01-05 2001-05-08 Adel Odeh Sayegh Securing means attachable to objects of varying size and shape
US6065652A (en) * 1999-04-12 2000-05-23 Ada Rose, Inc. Adjustable clothing hanger
DE29907308U1 (de) 1999-04-24 1999-07-22 Adolf Beck Gmbh Kunststoffvera Bügelaufhänger für flächige Materialien
USD475283S1 (en) * 2002-08-28 2003-06-03 Better Home Plastics Corp. Placemat package
JP2005144012A (ja) 2003-11-19 2005-06-09 Yamazaki Corp 穿刺保持具及び穿刺保持吊具
USD519157S1 (en) * 2004-07-20 2006-04-18 Copernicus Educational Products Inc. Chart hanger
USD525661S1 (en) * 2005-06-10 2006-07-25 Rally Manufacturing, Inc. Hanging display device for an article
GB2458576B (en) * 2007-03-30 2010-03-17 David Frederic Macneil Hanger with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482A2 (en) 1999-02-16 2000-08-23 International Retail Services Group, Ltd. Apparatus for securely retaining a plurality of garment hangers
JP2001286371A (ja) 2000-04-10 2001-10-16 Sanwa Kk 吊り下げ具
US20040034903A1 (en) * 2000-10-06 2004-02-26 Blair Mary Lynne Protective sports hat insert device
US20070145085A1 (en) * 2007-03-30 2007-06-28 David MacNeil Hanger with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2224B (en) 2010-07-07
US20090308899A1 (en) 2009-12-17
CA2639456C (en) 2012-02-07
JP5066044B2 (ja) 2012-11-07
EP2135529A1 (en) 2009-12-23
KR20090131235A (ko) 2009-12-28
GB2462224A (en) 2010-02-03
HK1135580A1 (en) 2010-06-11
GB2461105A (en) 2009-12-23
GB0918946D0 (en) 2009-12-16
AU2008207598A1 (en) 2010-01-07
US7753241B2 (en) 2010-07-13
GB2461105B (en) 2010-05-05
GB0815630D0 (en) 2008-10-08
AU2008207598B2 (en) 2010-07-29
CA2639456A1 (en) 2009-12-17
JP2009297494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776B1 (ko) 2 중 래치형 슬라이드식-조우 클램프를 가진 행거
US7389885B2 (en) Hanger with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US7124898B2 (en) Merchandising system
US20080011696A1 (en) Merchandising and product display system
US8087520B2 (en) Locking automobile mat hanger and display device
US20080156751A1 (en) Merchandising system
US5785189A (en) Display shelf device having a rigid structure
US20070170127A1 (en) Merchandising system
US6119906A (en) Hanger with integrated clips
US9301625B2 (en) Hanger for displaying floor mats
CN112190027A (zh) 酒柜
CA2475911A1 (en) Pinch grip hangers
JP5789358B2 (ja) スライド棚及び商品陳列棚
US20070084889A1 (en) Information display cap for a hanger
GB2458576A (en) Hanger
TW201103714A (en) Boom type hand tool hanger
US20070170133A1 (en) Merchandising system
WO2011061780A1 (ja) ハンガー
IL260350A (en) Madoff system
JPH11188985A (ja) 吊懸け式格納設備における吊懸け装置の構造
JPH09299214A (ja) ハンガー
JPH0595355U (ja) 陳列台
JPH0728436U (ja) 棚取付構造
WO2005009178A2 (en) Merchandi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