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605B1 -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605B1
KR101035605B1 KR1020090062726A KR20090062726A KR101035605B1 KR 101035605 B1 KR101035605 B1 KR 101035605B1 KR 1020090062726 A KR1020090062726 A KR 1020090062726A KR 20090062726 A KR20090062726 A KR 20090062726A KR 101035605 B1 KR101035605 B1 KR 10103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door
bar
hinge
cor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62A (ko
Inventor
탁동호
Original Assignee
탁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동호 filed Critical 탁동호
Priority to KR102009006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05D5/046Fla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또는 실내의 코너부 벽면을 이용하여 ㄱ자형으로 설치하는 수납장의 코너 도어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어를 완전히 열어젖히면 최소의 부피로 접혀져 코너부 공간을 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코너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로 수납부와 세로 수납부가 직각으로 만나게 배치되는 수납장에서 코너 도어에 부착하는 힌지를 형성함에 있어, 지지측 코너 도어의 자유단면에 부착되는 일측 브래킷과, 의지측 코너 도어에서 상기 지지측 코너 도어와 직각으로 연한 면에 상기 브래킷과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타측 브래킷과, 각기 일단이 상기한 각 브래킷에 핀으로 유착되는 2개의 바를 엑스자상으로 교차시키고 핀으로 결속시켜 의지측 코너 도어의 개문 각도를 키운 엑스 바(X-bar)와, 각 바의 자유단과 지지측 또는 의지측 코너 도어용 브래킷을 연결하여 의지측 코너 도어가 여닫힐 때 그 움직임을 쫓는 엑스 바의 작동을 안정시키는 링크와, 엑스바의 지정 괘도를 유도하는 만곡 안내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를 특징으로 한다.
코너 수납장, 코너 도어용 힌지, 엑스 바, 만곡 안내홈.

Description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HINGE FOR CORNER DOOR OF CABINET SINK}
본 발명은 수납장이 ㄱ자상으로 배열된 벽찬장, 싱크대 수납장, 거실 수납장 등에서 코너측 수납장용 도어를 설치하는 데 쓰이는 힌지에 관한 것이며, 특히 힌지에 의해 ㄱ자상으로 부착되는 코너 도어와 코너 도어 사이에 힌지의 축부로 인한 틈이 남지 않고, 코너 도어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도 않으며, 열어젖힌 코너 도어의 돌출정도가 작아 주방 내에서의 활동이 편한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예시한대로, 거실 수납장이나 벽찬장, 싱크대 수납장 중에는 가로 수납부(1)와 세로 수납부(2)가 직각으로 배열된 코너용 수납장이 알려져 있다. 이런 수납장은 가로 수납부(1)와 세로 수납부(2)가 직각으로 만나는 코너 수납부(1a,2a)에는 코너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코너 도어는 도 3과 같이 가로 수납부와 세로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ㄱ자형 도어로서, 도면상 좌측이 붙박이형 힌지로 부착된 지지측 코너 도어(3)와, 그 옆에 힌지(4)로 연결된 의지측 코너 도어(5)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지측 코너 도어(5)를 앞으로 당겨서 열어주면 지지측 코너 도어(3)까지 함께 열리게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지지측 코너 도어(3)와 의지측 코너 도어(5)가 코너 힌지(4)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로서, 양측 코너 도어가 닫혔을 때 코너 힌지(4)의 축부(4a) 외경에 상응하는 만큼 지지측 코너 도어(3)와 의지측 코너 도어(5) 간에는 필연적으로 틈새(W)가 벌어져 있다.
이 틈새(W)는 힌지축의 굵기보다 큰 벌림 간격이므로, 수납장이 허술해 보이고 품위와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며, 틈새(W)로 수납실 내부가 들여다보이기 때문에 흉하다.
상기한 틈새(W)를 없애려면 양쪽 도어의 힌지 설치자리에 홈을 파고, 그 홈 속에 힌지를 끼워서 고정시켜야만 틈이 벌어지지 않게 도어를 설치할 수 있지만, 홈을 파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도어에 흠집을 내야하는 등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도 2처럼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쉽게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른 문제점은 힌지의 양쪽 날개구조에 있다.
즉, 도 2와 같이 힌지의 양쪽 날개판(4b)의 끝 부분은 도어의 폭방향으로 직각되게 꼬부려서 도어의 뒷면에 밀착시킨 후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나사(6)를 체결하여 도어에 고정하는 부착부(4c)로 활용된다.
지지측 코너 도어(3)와 의지측 코너 도어(5)는 축부(4a)와 부착부(4c) 간의 폭(P;날개판 길이)에 맞는 도어 두께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폭(P)보다도 얇거나 두꺼운 도어(3)(5)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코너 도어의 두께에 제한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코너 도어는 힌지의 구조 때문에 도어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불합리하다.
또, 상기한 종래의 코너 힌지(4)는 축부(4a)의 구조에 의해서 의지측 코너 도어(5)를 완전히 열어젖히더라도 대략 45도 가량만 접어지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열려진 도어의 부피와 돌출정도(h)가 크고, 코너 도어를 최대로 열어젖혀도 입구의 공간이 좁아서 물품의 수납 활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로 연결되는 지지측 코너 도어와 의지측 코너 도어 사이에 틈이 남지 않게 밀착 조립될 수 있고, 코너 도어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는 범용성을 가지며, 코너 도어를 완전히 열어젖혔을 때의 부피와 돌출정도가 최소로 줄여지는 반면에 출입부 공간은 크게 늘려져 편하게 수납 활동을 할 수 있는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가로 수납부와 세로 수납부가 직각으로 만나게 배치되는 수납장에서 코너 도어에 부착하는 힌지로서, 지지측 코너 도어의 자유단면에 부착되는 브래킷과 의지측 코너 도어에서 상기 지지측 코너 도어와 직각으로 연한 면에 상기 브래킷과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브래킷과, 각기 일단이 상기한 각 브래킷에 핀으로 유착되는 2개의 바를 엑스자상으로 교차시키고 핀으로 결속시켜 의지측 코너 도어의 개문 각도를 키운 엑스 바(X-bar)와, 각 바의 자유단과 지지측 또는 의지측 코너 도어용 브래킷을 연결하여 의지측 코너 도어가 여닫힐 때 그 움직임을 쫓는 엑스 바의 작동을 안정시키는 링크로 이루어진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로 달성하게 된다.
지지측 및 의지측 코너 도어의 측면에 부착되는 브래킷은 코너 도어의 두께를 제한하는 요소가 없다. 그래서 적어도 브래킷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 두꺼운 코너 도어도 동일 규격의 힌지로 얼마든지 설치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코너 도어용 힌지가 범용성을 띈다.
또, 본 발명의 힌지를 사용하여 지지측 코너 도어에 의지측 코너 도어를 부착하면 이들 도어 간에 틈이 보이지 않게 조립되고 사용된다. 그래서 외양이 산뜻한 데다 코너쪽 수납실의 내부도 들여다보이지 않아서 품위가 돋보이고 상품성도 향상된다.
특히 힌지 설치를 위해서 도어에 홈을 파는 일이 없고 흠집의 발생 없이 힌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엑스 바와 링크에 의한 의지측 코너 도어를 완전히 열면 그 앞면이 지지측 코너 도어의 앞면에 가닿을 정도로 개문 각도가 크다.
이 같이 의지측 코너 도어의 개문 각도가 크면 도어를 완전히 열어 제칠 수 있어 수납실 출입부 공간을 크게 활용할 수 있고, 열려진 코너 도어를 반대편으로 밀어 붙여서 돌출정도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리나 설거지를 할 때 또는 그릇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공간에 넣거나 빼낼 때 거치적거리지 않아 활동하기가 편하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10)는 한 쌍의 브래킷(11)(12)과 엑스 바(13) 및 링크(14)와 가이드(15)로 이뤄진다.
일측의 브래킷(11)은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에 부착되어 엑스 바(13)의 제1 바(13a)와 링크(15)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이고, 타측의 브래킷(12)은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에 힌지로 부착되는 의지측 코너 도어(30)에서 상기 자유 단면(21)과 직각으로 놓이는 연결 단면(31)에 부착되어 엑스 바(13)의 제2 바(13b)와 링크(14)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이다.
일측 브래킷(11)은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에 부착하는 부착판(11a)의 하단에 제1 바(13a)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평부(11b)가 일체로 된 L형이며, 상기 평부(11b)의 일측단에는 만곡 안내홈(15a)을 가진 가이드(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대쪽 브래킷(12)은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연결 단면(31)에 부착하는 부착판(12a)의 하단에 제2 바(13b)의 고정단과 링크(14)의 고정단을 지지하는 평부(12b)가 일체로 된 L형이다. 양쪽의 브래킷(11)(12)은 결국 평부(11b)(12b)를 이용하여 다수의 링크를 마주 연결하여 절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엑스 바(13)는 제1 바(13a)의 중간에 제2 바(13b)의 중간을 걸친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핀(16)을 꽂아 연결한 것으로, 제1 바(13a)의 고정단은 평부(11b)에, 그리고 제2 바(13b)의 고정단은 평부(12b)에 각기 핀으로 유착되어 있다. 그래서 의지측 코너 도어(30)가 여닫힐 때 각자 그 핀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된다.
제1 바(13a)의 자유단은 링크(14)에 의해 평부(12b)에 연결되고, 제2 바(13b)은 ㄱ형으로 형성되고 그 앞쪽의 자유단에 부착된 핀이 만곡 안내홈(15a)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를 개폐할 때 만곡 안내홈(15a)을 따라서 가볍게 진퇴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엑스 바(13)와 링크(14)는 지지측 코너 도어(20)와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직각 폐문 상태의 유지와, 의지측 코너 도어(30)가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앞면에 평행에 가깝도록 열릴 수 있게 개문 각도를 결정하는 인자이기도 하다.
도 5에서,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에는 브래킷(11)의 부착판(11a)을 밀착시키고 나사를 박아 고정하며,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연결 단면(31)에는 브래킷(12)의 부착판(12a)을 밀착시켜 나사로 고정한다.
이때, 양측 코너 도어 사이에는 되도록 틈이 남지 않도록 힌지를 부착하여 겉으로는 반듯한 미감을 갖게 하고, 속이 들어나 보이지 않게 한다.
폐문 상태일 때, 링크(14)는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과 평행하고 제2 바(13b)는 만곡 안내홈(15a)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의지측 코너 도어(30)는 지지측 코너 도어(20)와 직각을 이룬다.
도 6는 닫혀있는 코너도어를 열어주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지지측 코너 도어(20)는 가만히 놔두고 의지측 코너 도어(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완전히 열면 제2 바(13b)와 링크(14)는 의지측 코너 도어(30)에 이끌려 가면서 평부(12b)의 핀 유착점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제 2바(13b)의 선단은 만곡 안내홈(15b)을 따라서 후 진 이동하며, 제1 바(13a)와 링크(14)에 이끌려서 선회하는 제2 바(13b)는 만곡 안내홈(15a)에 유도되어 안정된 괘도로 선회한다.
본 발명의 코너도어용 힌지는, 만곡 안내홈(15a)에 의해서 전체 연결부재가 괘도를 이탈하지 않고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므로 양쪽의 도어가 벌어지거나 틈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자리 선회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개문 종착점은 엑스 바(13)와 링크(14)의 기구운동이 한계점에 도달한 때로서, 이때는 제2 바(13b)의 선단부가 만곡 안내홈(15b)의 후단부에 도달한 시점이 되며, 의지측 코너 도어(30)가 지지측 코너 도어(20)에 평행에 가깝게 접근된 상태까지 열려진다.
도 7에서, 의지측 코너 도어(3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지지측 코너 도어(20)를 완전히 열면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자유단이 지지측 코너 도어(20)에 인접한 수납장 문(40)에 가닿는 순간 멈추게 된다.
이때, 열려진 도어의 부피와 돌출정도(h')는 의지측 코너 도어가 45도 정도로만 열리던 종래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리되면 싱크대 수납장의 경우 코너 도어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수납실 출입구 공간이 넓고 장애요소가 없기 때문에 물품의 수납활동이 자유롭고 주방 내 활동이 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가로 수납부와 세로 수납부가 직각을 이룬 수납장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코너 도어용 힌지의 평면적 구조 및 적용예시도
도 3은 코너 도어의 개문 상태 예시도
도 4는 양측 코너 도어가 본 발명에 의한 힌지로 연결된 상태도
도 5는 동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의지측 코너 도어의 개문상태도
도 7은 코너 도어의 개문 상태도
[도면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힌지
11,12 : 브래킷
11a, 12a : 부착판
11b, 12b : 평부
13 : 엑스 바
14 : 링크
15 : 가이드
15a : 만곡 안내홈
16 : 핀
20 : 지지측 코너 도어
30 : 의지측 코너 도어

Claims (1)

  1. 가로 수납부와 세로 수납부가 직각으로 만나게 배치되는 수납장의 코너 도어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힌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지지측 코너 도어(20)의 자유 단면(21)에 부착되는 브래킷(11)과;
    의지측 코너 도어(30)의 연결 단면(31)에 부착되는 브래킷(12)과;
    각기 일단이 상기한 각 브래킷(11)(12)의 평부(11b)(12b)에 핀으로 유착되는 제1 바(13a)와 제2 바(13b)의 중간을 교차시켜 핀(16)으로 유착한 엑스 바(13)와;
    일단은 브래킷(12b)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바(13a)의 자유단에 연결된 링크(14)와;
    ㄱ형의 제2 바(13b)와의 연결을 위해서 브래킷(11)의 평부(11b)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15)와;
    가이드(15)에 형성되며 제2 바(13b)의 자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만곡 안내홈(15a)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KR1020090062726A 2009-07-09 2009-07-09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KR10103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26A KR101035605B1 (ko) 2009-07-09 2009-07-09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26A KR101035605B1 (ko) 2009-07-09 2009-07-09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2A KR20110005162A (ko) 2011-01-17
KR101035605B1 true KR101035605B1 (ko) 2011-05-19

Family

ID=4361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26A KR101035605B1 (ko) 2009-07-09 2009-07-09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07A (ko) * 1990-10-17 1992-05-27 그렌 나이팅게일, 앤드류 맥켄지로브 개폐 수단용 매카니즘
JPH0620836A (ja) * 1991-10-18 1994-01-28 Limes:Kk 軟磁性多層膜の形成方法
JPH09221956A (ja) * 1996-02-20 1997-08-26 Ed Scharwaechter Gmbh & Co Kg 取り外し可能な自動車ドア用のヒンジおよび固定保持部材ユニット
KR19980057644U (ko) * 1997-02-06 1998-10-15 유계곤 나사풀림이 방지되는 도어(door)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07A (ko) * 1990-10-17 1992-05-27 그렌 나이팅게일, 앤드류 맥켄지로브 개폐 수단용 매카니즘
JPH0620836A (ja) * 1991-10-18 1994-01-28 Limes:Kk 軟磁性多層膜の形成方法
JPH09221956A (ja) * 1996-02-20 1997-08-26 Ed Scharwaechter Gmbh & Co Kg 取り外し可能な自動車ドア用のヒンジおよび固定保持部材ユニット
KR19980057644U (ko) * 1997-02-06 1998-10-15 유계곤 나사풀림이 방지되는 도어(door)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2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0762984B1 (ko)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욕실 수납장
RU2615113C2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US11920855B2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07961B2 (en) Door closure assembly
US5752756A (en) Modular basket-holding framework for left and right-handed corner cabinets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US6634727B2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KR101035605B1 (ko)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US5860717A (en) Drawer stop device
AU2009271760B2 (en) Door assembly
CN216617287U (zh) 一种推拉式隐藏门
KR20100137095A (ko) 수납장의 코너 도어용 힌지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JP6955727B2 (ja) 折戸の振止め金具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20170001974U (ko) 장식장용 조립식 도어
KR10161609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JPH04131485A (ja) 扉装置
KR102642588B1 (ko) 미닫이용 도어샷시의 연결장치
WO2024104370A1 (zh) 铰链机构及制冷设备
KR102609598B1 (ko) 경첩장치
KR102152852B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도어
WO2023155718A1 (zh) 铰链机构及制冷装置
JP4359358B2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