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98B1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98B1
KR101034898B1 KR1020090130364A KR20090130364A KR101034898B1 KR 101034898 B1 KR101034898 B1 KR 101034898B1 KR 1020090130364 A KR1020090130364 A KR 1020090130364A KR 20090130364 A KR20090130364 A KR 20090130364A KR 101034898 B1 KR101034898 B1 KR 10103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ignal
soft start
control sig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김형우
서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WM 방식의 구형파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WM 방식의 구형파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는, 내부 전류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공급하는 전류 분배부; 전류 분배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를 제1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제1 커패시터의 충전 또는 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삼각파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전류 분배부에서 공급받은 전류(I1)와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 전압을 전류량으로 변환시킨 전류(I2)를 합성하는 전류 합성부; 전류 합성부로부터 합성된 전류(I3)를 제2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오실레이터; 삼각파 발생부의 최초 삼각파 신호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을 제어하며, 소프트 스타트 기간 동안 삼각파 신호와 스위칭 소자의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생성한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부; 및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에 의해 제1 커패시터를 방전시키고, 소프트 스타트부의 동작을 재시작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고가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전자 파 장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스위칭 소자, 오실레이터, 소프트 스타트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switching device of switching mode power supply}
본 발명은 PWM 방식의 구형파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원 공급 장치와 관련하여 효율 증대 및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전원 장치를 1차측과 2차측으로 분리한 후, 1차측에 있는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on/off)함으로써,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효율이 높아 리니어 타입(linear type)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방식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효율을 증대시킬 수는 있다.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의 구동 방식으로 구형파 구동 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PWM 방식은 짧은 구간(약 4ms)으로 보았을 때 고정 주파수로 동작하며, 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 장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음향 노이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고정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간격(4ms)으로 변화시키게 되면, 전자파 장해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주파수 지터링(frequency jittering)이라고도 함)을 실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파수를 변조시키기 위하여 고가의 디지털 카운터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PWM 방식은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을 감시하고 출력이 일정하도록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PWM 방식은 초기 스타트 업(start-up)에서부터 정상 동작 및 동작 중지 전까지 스위칭 소자의 동작 및 출력을 제어한다. PWM 방식의 스위칭 소자는 정상 동작시 설정된 듀티비의 구형파 구동 신호로 동작하는데, 정상 동작시의 듀티비는 설계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예컨대, 정상 동작시의 듀티비는 35%, 40%, 45% 등으로 설정되고 최대 50%까지 설정된다. 경우에 따라 정상 동작시의 듀티비는 50%를 초과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초기 스타트 업시에 정상 동작시의 듀티비로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면, 갑작스런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소프트 스타트 방식이 제안되었다. 소프트 스타트 방식은 작은 듀티비의 구동 신호로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듀티비를 늘여 정상 동작시의 듀티비가 되게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고사이즈, 고 용량의 커패시터와 비교기를 구비하거나 고가의 디지털 카운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고가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전자파 장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WM 방식의 구형파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는, 내부 전류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공급하는 전류 분배부; 전류 분배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를 제1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제1 커패시터의 충전 또는 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삼각파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전류 분배부에서 공급받은 전류(I1)와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 전압을 전류량으로 변환시킨 전류(I2)를 합성하는 전류 합성부; 전류 합성부로부터 합성된 전류(I3)를 제2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오실레이터; 삼각파 발생부의 최초 삼각파 신호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을 제어하며, 소프트 스타트 기간 동안 삼각파 신호와 스위칭 소자의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생성한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부; 및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에 의해 제1 커패시터를 방전시키고, 소프트 스타트부의 동작을 재시작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류 합성부는 두 개의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며, 일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는 고정 전류값을 입력받고, 타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전압값을 MOSFET 또는 BJT에 의해 전류값으로 변환한 후, 두 개의 전류값을 합성하여 주기적으로 전류량을 변화시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스타트부는,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의 전압값과 미리 설정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을 설정하는 제1 비교기와, 제1 비교기와 연결되어,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 중 최초의 삼각파 신호인 경우에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SR 래치와, 삼각파 신호와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와,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와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와,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와 외부의 정상상태 PWM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구형파 구동 신호의 펄스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SR 래치는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리셋 또는 오토 리스타트 이후 최초의 삼각파 신호에 대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전부는 제1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MOSFET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별도의 고가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전자파 장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각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는 전류 분배부(110), 삼각파 발생부(120), 제어 신호 발생부(130), 전류 합성부(140), 오실레이터(150), 소프트 스타트부(160) 및 방전부(170)를 포함한다.
전류 분배부(110)는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내부 전류 공급원(180)으로부터 전류를 입력받으며, NMOSFET 전류 미러(current mirror) 회로와 PMOSFET 전류 미러 회로를 이용하여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킨 후, 전류 합성부(140) 및 삼각파 발생부(120) 각각에 공급한다.
삼각파 발생부(120)는 전류 분배부(110)로부터 입력받은 전류를 제1 커패시터(121)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커패시터(121)의 충방전 타이밍은 다음의 제어 신호 발생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조절된다. 삼각파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가변하기 위한 토대가 됨과 아울러, 소프트 스타트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제어 신호 발생부(130)는 제1 커패시터(121)의 전압값을 입력으로 하는 트랜스미트 게이트(transmit-gate)와 이와 연결된 인버터로 구성된다. 제어 신호 발생부(130)는 제1 커패시터(121)의 전압값을 미리 설정된 최대 충전 전압값 및 최소 방전 전압값과 비교하여 제1 커패시터(121)의 충전 또는 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삼각파 발생부(120)를 제어한다.
전류 합성부(140)는 전류 분배부(110)에서 공급받은 전류(I1)와 삼각파 발생부(120)의 삼각파 신호 전압을 전류량으로 변환시킨 전류(I2)를 합성하여 전류(I3)를 오실레이터(15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류 합성부(140)는 두 개의 전류 미러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일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는 고정된 전류값을 갖는, 즉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I1)를 입력받고, 타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전압값을 MOSFET 또는 BJT에 의해 전류값으로 변환한, 즉 동작 주파수를 가변하기 위한 전류(I2)를 입력받은 후, 두 개의 전류값을 합성하여 주기적으로 전류량을 변화시킨 전류(I3)를 구현한다.
오실레이터(150)는 전류 합성부(140)로부터 합성된 전류(I3)를 제2 커패시터(151)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2 커패시터(151)의 충방전 타이밍 또한 오실레이터(150)에 포함된 트랜스미트 게이트와 인버터에 의해 조절된다. 오실레이터(150)는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발진하는 소자로서, 오실레이터(150)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의 동작 주파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동작 주파수를 일정 시간 간격(대략 4ms)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소프트 스타트부(160)는 삼각파 발생부(120)의 최초 삼각파 신호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을 제어하며, 소프트 스타트 기간 동안 삼각파 신호와 스위칭 소자의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생성한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소프트 스타트부(160)는 제1 비교기(161), SR 래치(162), 제2 비교기(163), AND 게이트(164) 및 OR 게이트(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 센스 신호는 파워 MOSFET으로 구현되는 스위칭 소자의 소스 부분에 위치한 센스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PWM 신호 발생기용 제어 신호이다. 전류 센스 신호의 파형은 톱니파를 이룬다.
제1 비교기(161)는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의 전압값과 미리 설정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의 시간 길이는 기준 전압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SR 래치(162)는 제1 비교기(161)와 연결되어,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 중 최초의 삼각파 신호인 경우에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교기(163)는 삼각파 신호와 스위칭 소자의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AND 게이트(164)는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와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OR 게이트(165)는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와 외부의 정상상태 PWM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구형파 구동 신호의 펄스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덧붙여, SR 래치(162)는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리셋 또는 오토 리스타트 이후 최초의 삼각파 신호에 대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재설정한다.
방전부(170)는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에 의해 제1 커패시터를 방전시키고, 소프트 스타트부(160)의 동작을 재시작시킨다. 이를 위해, 방전부(170)는 제1 커패시터(121)와 연결되며,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MOSFET으로 이루어진다.
즉,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에 의해 소프트 스타트부(160)의 SR 래치(162)는 리셋 또는 오토 리스타트 이후 최초의 삼각파 신호에 대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재설정하며, 방전부(170)는 제1 커패시터(121)를 방전시킴으로써, 소프트 스타트부(160)의 동작은 다시 시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삼각파 신호의 첫 번째 파형만을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SR 래치(162)를 활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리셋이나 오토 리스타트 기능 동작시에는 삼각파 발생부(120)의 제1 커패시터(121)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부(170)를 추가함으로써, 리셋이나 오토 리스타트 기능 동작시에도 문제가 없도록 한다. 소프트 스타트 기간이 끝난 후, 정상 동작 상태에서는 SR 래치(162)에 의해 AND 게이트(164)의 입력을 하이(high)에서 로(low)값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소프트 스타트부(160) 의한 영향이 차단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는 삼각파 발생부(120)의 삼각파 신호를 이용한 소프트 스타트부(160)와 방전부(170)의 동작에 의해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 자 구동 장치는 별도의 고가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전자파 장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병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오실레이터(150)의 출력 파형으로 주기적으로 주파수가 가변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b)에서 소프트 스타트 신호가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이 소프트 스타트 기간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다른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실레이터(150)가 동작 중 리셋 신호가 들어왔을 때, 소프트 스타트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소프트 스타트는 첫 번째 삼각파 신호에 의해서만 동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각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의 다른 출력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류 분배부
120 : 삼각파 발생부
121 : 제1 커패시터
130 : 제어 신호 발생부
140 : 전류 합성부
150 : 오실레이터
151 : 제2 커패시터
160 : 소프트 스타트부
161 : 제1 비교기
162 : SR 래치
163 : 제2 비교기
164 : AND 게이트
165 : OR 게이트
170 : 방전부
180 : 내부 전류 공급원

Claims (5)

  1. PWM 방식의 구형파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에 있어서,
    내부 전류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공급하는 전류 분배부;
    상기 전류 분배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를 제1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삼각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삼각파 발생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충전 또는 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삼각파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상기 전류 분배부에서 공급받은 전류(I1)와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 전압을 전류량으로 변환시킨 전류(I2)를 합성하는 전류 합성부;
    상기 전류 합성부로부터 합성된 전류(I3)를 제2 커패시터에 충전 또는 방전하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오실레이터;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최초 삼각파 신호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을 제어하며, 상기 소프트 스타트 기간 동안 상기 삼각파 신호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생성한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부; 및
    외부의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커패시터를 방 전시키고, 상기 소프트 스타트부의 동작을 재시작시키는 방전부;
    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합성부는 두 개의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며, 일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는 고정 전류값을 입력받고, 타방의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전압값을 MOSFET 또는 BJT에 의해 전류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두 개의 전류값을 합성하여 주기적으로 전류량을 변화시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타트부는, 상기 삼각파 발생부의 삼각파 신호의 전압값과 미리 설정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을 설정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프트 스타트 가능 기간 중 최초의 삼각파 신호인 경우에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SR 래치와, 상기 삼각파 신호와 상기 전류 센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와, 상기 소프트 스타트 기간제어 신호와 상기 소프트 스타트 파형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와, 상기 소프트 스타트 제어 신호와 외부의 정상상태 PWM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구형파 구동 신호의 펄스폭 제어 신호를 출력 하는 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R 래치는 상기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리셋 또는 오토 리스타트 이후 최초의 삼각파 신호에 대하여 소프트 스타트 기간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연결되며, 상기 리셋 신호 또는 오토 리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MOSFET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KR1020090130364A 2009-12-24 2009-12-24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KR10103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64A KR101034898B1 (ko) 2009-12-24 2009-12-24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64A KR101034898B1 (ko) 2009-12-24 2009-12-24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898B1 true KR101034898B1 (ko) 2011-05-17

Family

ID=4436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364A KR101034898B1 (ko) 2009-12-24 2009-12-24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8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637A (ja) * 1995-05-22 1996-11-29 Nemic Lambda Kk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ソフトスタート回路
KR20070044536A (ko) * 2005-10-25 2007-04-30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2007244086A (ja) 2006-03-08 2007-09-20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ソフトスタート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637A (ja) * 1995-05-22 1996-11-29 Nemic Lambda Kk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ソフトスタート回路
KR20070044536A (ko) * 2005-10-25 2007-04-30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2007244086A (ja) 2006-03-08 2007-09-20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ソフトスタート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103B1 (ko) 공진형 전원 스위치장치
TWI606746B (zh) 用於在使用展頻切換頻率時具有減少閃爍的led的脈寬調變控制
KR20050113244A (ko) 가스 방전 처리의 전력 공급 유닛
KR900015425A (ko)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CN101572499A (zh) 具间歇省电模式管理电路的切换式控制器
TW201249083A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rossing power switch of switched-mode power converter and the circuit using the same
JP2004304987A (ja) 多出力dc−dcコンバータ
KR101034898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US8847648B2 (en) Voltage pulse train generator, application to the control of an ultrasound piezoelectric injector
JP2004120922A (ja) 電源制御回路
KR101198309B1 (ko)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스위칭소자 구동장치
KR100995914B1 (ko) 대기전력 저감용 스위치모드 전원공급장치
JPH10248256A (ja) 節電機能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2130413B1 (en) Method of ignition regulation of discharge lamp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allast circuit
JP4269716B2 (ja) ゲート駆動用電源装置
US20050168163A1 (en) Power source device
KR101034867B1 (ko) 전자파 장해 저감용 전원장치
JP200418038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00801980B1 (ko) 차지 펌프 디씨/디씨 컨버터
US20100315848A1 (en) Time Domain Voltage Step Down Capacitor Based Circuit
KR101197806B1 (ko) 데드타임 발생회로
JP2005038814A (ja) 放電灯点灯装置、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
US200600554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two-channel or multi-channel pulse-width modulated rectangular pulses
KR100817104B1 (ko) Pwm ic 전원제어를 이용한 smps 대기전력절감장치
KR950035523A (ko) 램프 점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