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424B1 -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424B1
KR101034424B1 KR1020090056259A KR20090056259A KR101034424B1 KR 101034424 B1 KR101034424 B1 KR 101034424B1 KR 1020090056259 A KR1020090056259 A KR 1020090056259A KR 20090056259 A KR20090056259 A KR 20090056259A KR 101034424 B1 KR101034424 B1 KR 10103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angform
shaft
support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965A (ko
Inventor
김용상
춘 수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5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42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을 건물 축조에 맞춰 해체하고 인양 및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갱폼을 승강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동시에 갱폼의 추락 방지와 해체 이동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를 제공하고, 통상의 앵커 볼트로 건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앵커 플레이트(2)와, 이 앵커 플레이트(2)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1쌍의 축(3)과 1쌍의 스토퍼(4)와, 한쪽 변의 중간부가 접시공(9)을 통해 축(3)으로 관통 지지되고 하단의 한쪽이 스토퍼(4)에 걸려 지지되는 1쌍의 전면 가드(5)와, 중간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타원공(10)을 통해 축(3)으로 관통 지지되고 스토퍼(4)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부에 경사면(11)이 형성된 1쌍의 후면 가드(6)와, 축(3)의 상방에서 통상의 갱폼 포스트(8)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주 보게 배치되고 전면 가드(5) 및 후면 가드(6)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1쌍의 선회 지지판(7)과, 1쌍의 축(3)과 스토퍼(4) 사이로 부착되는 마감판(12)으로 구성되고, 1쌍의 전면 가드(5)는 마주 보는 끝 부분이 마주 보는 쪽의 선회 지지판(7) 상면 또는 하측으로 연장 위치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성의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이다.
갱폼, 갱폼 지지, 추락, 안전, 승강 이동

Description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Gang form guider having function for prevent falling}
본 발명은 건축 공사에 사용되는 갱폼 설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건물 외벽을 따라 갱폼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고 예기치 않게 갱폼이 떨어지는 일이 없게 되어 있는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의 축조 방식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 각 층의 콘크리트 바닥과 대들보 및 내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행하고 있다.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에 조립된 거푸집의 안으로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되면 다시 수작업으로 해체해야 하는 등,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분리 및 재설치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갱폼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골조 프레임을 종횡으로 연결 고정시켜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 되게 조립하고, 이 골조구조물의 내측과 상단 후방으로 작업용 발판과 거푸집을 일체로 부착 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 옹벽 타설을 하고, 양생 후에는 다시 해체하고 타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일정 높이 인양시킨 위치에서 재조립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갱폼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점은 건물 규모가 클수록 갱폼의 조립작업이 어렵게 되고 만일 추락되면 사고도 대형화하게 된다.
일부 갱폼 장치에서는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만 갱폼 해체, 인양 및 재조립에 수반되는 작업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된 바 없다.
갱폼을 형성하는 거푸집은 2장을 대향 배치하여 벽 두께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 사이를 타이 바로 연결하여 가고정되게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 및 슬라브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추락방지구는 갱폼이 떨어지지 않도록 바깥쪽을 붙잡고 있게 설치되고 해체되는 갱폼은 타워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인양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갱폼 설치-콘크리트 타설-양생-추락방지구 설치-타워 크레인 갱폼에 연결-타이 바 제거- 갱폼 해체 및 인양의 순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대단히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특히 타워 크레인의 연결 시점이 타이 바 제거하기 전이 되므로 그 후의 작업 완료시간 동안 사용이 중지되기 때문에 전체적 공정 관리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갱폼을 건물 축조에 맞춰 해체하고 인양 및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갱폼을 승강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동시에 갱폼의 추락 방지와 해체 이동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통상의 앵커 볼트로 건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1쌍의 축 및 1쌍의 스토퍼와, 한쪽 변의 중간부가 접시공을 통해 축으로 관통 지지되고 하단의 한쪽이 스토퍼에 걸려 지지되는 1쌍의 전면 가드와, 중간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타원공을 통해 축으로 관통 지지되고 스토퍼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1쌍의 후면 가드와, 축의 상방에서 통상의 갱폼 포스트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주 보게 배치되고 전면 가드 및 후면 가드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1쌍의 선회 지지판과, 1쌍의 축과 스토퍼 사이로 부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고, 1쌍의 전면 가드는 마주 보는 끝 부분이 마주 보는 쪽의 선회 지지판 상면 또는 하측으로 연장 위치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갱폼 가이더는 갱폼에 일체로 부착된 포스트를 승강방향으로 안내하여 갱폼의 이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갱폼이 일정 위치로 상승 위치할 때에 포스트가 구비한 걸림편이 가이더의 선회 지지판을 타고 넘어 감에 따라 안전하고 확실하게 가이더에 지지됨으로써 안내와 동시에 추락 방지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가이더를 형성하고 있는 전면 가드는 접시공을 통해 축에 지지되고 또 후면 가드는 수직 장공을 통해 축에 지지되고 전면 가드와 후면 가드는 모두 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회 지지판은 전면 가드의 접시공을 지점으로 하여 일정 각도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어서 갱폼을 완전 해체 하지 않고 타이 바만 제거한 상태로도 타설 면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이 단순화 되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는 건물 축조 현장에서 설치된 갱폼의 해체작업과 인양작업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하면서도 작업 전반에 걸쳐 갱폼의 포스트가 선회 지지판에 걸려져 추락방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므로 대형 사고의 우려도 없다.
양 선회 지지판에 연결된 전면 가드와 후면 가드는 갱폼의 포스트 외곽을 둘러싸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회 지지판의 경사 또는 슬라이드 이동 시에도 선회 지지판으로부터 포스트가 벗겨져 나가는 일이 없게 되어 작업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앵커 볼트(도시 생략함)가 관통되는 앵커공(1)이 양측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앵커 플레이트(2)의 양측으로 축(3)과 스토퍼(4)가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축(3)에 는 각각 1쌍의 전면 가드(5)와 후면 가드(6)가 관통 지지된다.
전면 가드(5)와 후면 가드(6)의 상단은 1쌍의 선회 지지판(7)에 일체로 연결되고, 또 선회 지지판(7)은 내측에 갱폼의 포스트(8)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내측에 통로를 형성하게 설치되고, 그 끝부분은 선회 지지판(7)의 상측 또는 하측을 지나 상호 엇갈리게 놓인다.
또, 전면 가드(5)는 축(3)에 지지되는 부위가 접시공(9)으로 형성되고, 후면 가드(6)는 축(3)에 지지되는 부위가 상하로 길쭉한 타원공(10)으로 형성되며, 스토퍼(4)에 걸리게 되는 하단부에는 마주 보는 방향으로 경사면(11)이 형성된다.
축(3)과 스토퍼(4)의 끝 부분에는 마감판(12)이 부착되고 볼트(13)로 고정되어 견고하게 조립된다.
앵커 플레이트(2)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어서 갱폼 포스트(8)를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갱폼 포스트(8)는 1쌍의 선회 지지판(7)에 걸려 지지되는 삼각 돌기(1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삼각돌기(14)는 갱폼 포스트(8)가 상승 이동할 때 선회 지지판(7)을 도 2의 "A" 위치로 밀어 올려 개방하면서 상승 통과하게 되고, 이때 전면 가드(5)는 "B" 위치로 이동되어 겹친 상태를 유지시켜 줌에 따라 선회 지지판(7) 사이가 어긋나지 않게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또 후면 가드(6)는 "C" 위치로 이동하여 하단의 경사면(11)이 상호 맞대지게 됨으로써 선회 지지판(7)은 더 이상 선회하지 못하고 일정 위치(자중의 작용으로 복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때문에 선회 지지판(7)은 삼각돌기(14)에 밀려 선회되더라도 자중으로 복귀할 수 있는 정도로만 선회하여 삼각돌기(14)가 통과하면 즉시 닫히게 된다.
갱폼 포스트(8)는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갱폼 가이더를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갱폼의 상향 이동이 무리 없이 진행되는 것이다.
다음에 건물 공사를 예로 본 발명의 가이더를 사용하여 갱폼을 상승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갱폼을 조립하여 소정의 벽체, 슬라브를 타설하고 양생되면 갱폼을 해체한다.
본 발명의 가이더를 여러 개 준비하고 갱폼 포스트(8)에 관통시켜 끼운 다음 각 가이더를 앵커 볼트로 건물 외벽의 적당한 위치로 분산시켜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부착 고정시키고 갱폼 포스트는 갱폼과 일체로 조립한다.
조립된 갱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양생되면 갱폼의 타이 바를 제거하여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으로 분리하고, 외측 거푸집을 타설된 외벽에서 떼어낸 다음 타워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다음 위치로 이송한다.
외측 거푸집을 바깥쪽으로 밀면 가이더의 중심이 전면 가드(5)의 접시공(9)으로 옮겨지면서 후면 가드(6)의 타원공(10) 하측단이 축(3)의 하단 외주로 접촉할 때까지 도 3의 "D" 위치로 기울어지고 이것으로 갱폼을 완전 해체하지 않아도 타설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더 전체는 축(3)을 타고 약 15∼20cm 정도 슬라이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갱폼을 1차 분리한 다음 유압 잭 등으로 밀어내면 더 쉽게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갱폼을 떼어낼 수 있다.
분리된 갱폼은 현장에서 즉시 타워 크레인이나 윈치로 상승 이동되고 재설치된다.
갱폼의 상승과정에서 갱폼 포스트(8)의 삼각돌기(14)는 선회 지지판(7)을 밀어 젖히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삼각돌기(14)에 간섭된 선회 지지판(7)의 선회반경은 후면 가드(6)의 경사면(11)이 맞닿을 때까지로 제어되고, 갱폼 포스트(8)의 삼각돌기(14)가 완전히 통과하여 간섭이 없어지면 자중으로 복귀하면서 갱폼 서포트(8)의 삼각돌기(14) 하측을 닫아주게 되어 갱폼은 상승 이동된 위치에 정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더는 갱폼을 공사 진도에 맞춰 간단하게 상승 이동시키면서 건물의 외벽, 슬라브 등을 타설할 수 있게 한다.
종래에는 갱폼 설치하고 콘크리트 양생되면 완전 해체하여 다음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옮기고 재조립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이더를 적용한 건물 공사에서는 콘크리트 양생 후에 타이 바만 제거하여 갱폼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으로 분리한 다음, 외측 거푸집을 분해하지 않고 그대로 다음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상승 이동시키고 내측 거푸집과 재조립하면 되므로 공정수가 상당히 생략되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을 측면에서 본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앵커공 2 앵커 플레이트
3 축 4 스토퍼
5 전면 가드 6 후면 가드
7 선회 지지판 8 갱폼 서포트
9 접시공 10 타원공
11 경사면 12 마감판

Claims (1)

  1. 통상의 앵커 볼트로 건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앵커 플레이트(2)와, 이 앵커 플레이트(2)의 양측에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1쌍의 축(3)과 1쌍의 스토퍼(4)와, 한쪽 변의 중간부가 접시공(9)을 통해 축(3)으로 관통 지지되고 하단의 한쪽이 스토퍼(4)에 걸려 지지되는 1쌍의 전면 가드(5)와, 중간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타원공(10)을 통해 축(3)으로 관통 지지되고 스토퍼(4)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부에 경사면(11)이 형성된 1쌍의 후면 가드(6)와, 축(3)의 상방에서 통상의 갱폼 포스트(8)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주 보게 배치되고 전면 가드(5) 및 후면 가드(6)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1쌍의 선회 지지판(7)과, 1쌍의 축(3)과 스토퍼(4) 사이로 부착되는 마감판(12)으로 구성되고, 1쌍의 전면 가드(5)는 마주 보는 끝 부분이 마주 보는 쪽의 선회 지지판(7) 상면 또는 하측으로 연장 위치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KR1020090056259A 2009-06-24 2009-06-24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KR10103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59A KR101034424B1 (ko) 2009-06-24 2009-06-24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59A KR101034424B1 (ko) 2009-06-24 2009-06-24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965A KR20100137965A (ko) 2010-12-31
KR101034424B1 true KR101034424B1 (ko) 2011-05-12

Family

ID=4351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259A KR101034424B1 (ko) 2009-06-24 2009-06-24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560B (zh) * 2019-03-07 2021-03-19 湖北仁泰恒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脚手架安全锁
CN111946045A (zh) * 2020-07-08 2020-11-17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棘轮定位防坠的爬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84A (ko) * 2002-08-30 2004-03-09 황승준 속도조절이 가능한 뷰렛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20070057465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100892615B1 (ko) 2008-07-28 2009-04-08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84A (ko) * 2002-08-30 2004-03-09 황승준 속도조절이 가능한 뷰렛
KR20070057465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100892615B1 (ko) 2008-07-28 2009-04-08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96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431B1 (ko)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0918970B1 (ko)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200437465Y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CN110512719A (zh) 一种高层住宅大跨度间隔式连廊高空支模钢平台施工工法
KR101034424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폼 가이더
CN102912996A (zh) 一种钢管混凝土柱高空施工安全防护体系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519197B1 (ko) 엘리베이터 개구부 추락 방지망
GB2426278A (en) A climbing formwork system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EP2503077A1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adaptable to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having a variable vertical projection
US20070096006A1 (en) Overhead beam assembly
EP4006265A1 (en) Anchor for a self-climbing structure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200418042Y1 (ko) 건축물의 승강기 통로 시공용 거푸집 장치
KR100945240B1 (ko)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KR200455026Y1 (ko) 벽면 이격수단이 구비된 갱폼 레일 조립체
KR200410995Y1 (ko) 갱폼 고정 수단
GB2533141A (en) Hydraulic lifting arrangement
KR102599080B1 (ko)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CN220058728U (zh) 楼板预留孔洞的浇筑装置
CN212836618U (zh) 一种用于预制立柱混凝土浇筑的柱顶整体式操作平台
EP1941114A2 (en) Overhead bea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