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225B1 -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225B1
KR101034225B1 KR1020100111119A KR20100111119A KR101034225B1 KR 101034225 B1 KR101034225 B1 KR 101034225B1 KR 1020100111119 A KR1020100111119 A KR 1020100111119A KR 20100111119 A KR20100111119 A KR 20100111119A KR 101034225 B1 KR101034225 B1 KR 10103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heat
nickel
cooker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만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상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상공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상공업
Priority to KR102010011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제품의 품질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솥 몸체; 상기 내솥 몸체 외면에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된 니켈 도금층; 및 상기 니켈 도금층의 외면에 안료 및 다이아몬드 분말이 혼합되어 포함된 내열도료가 코팅되어 형성된 내열도료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surface reinforcement inner pot for cooker and co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을 높이고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되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솥이 안착되는 조리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로서, 보통 전기를 이용하는 밥솥이 일반적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밥솥에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내솥이 가열되어 그 내솥에 담겨 진 쌀과 같은 조리물이 익혀지게 조리된 후에 보온이 되도록 하는 전기밥솥이 있고, 전기유도 물질로 만들어진 식기를 전류에 의해 만들어진 전자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조리가 되게 한 후 보온이 되도록 하는 전자유도밥솥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자유도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원을 이용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이 상기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면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한편, 전기밥솥 및 전자유도밥솥의 내솥은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서 발열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의 맛,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 등이 직접 결정되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서 전기밥솥용 내솥에 대한 연구, 그 중에서도 전기밥솥용 내솥에 발열이 우수한 금속을 도금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Cu) 도금 내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인데, 통상 동은 저항이 낮은 금속으로서 전기를 잘 통과시키지만 발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동을 아주 얇게 가공하게 된다면, 전기 통로가 좁아짐과 동시에 강력하게 발열하는 성질이 있어, 이러한 동의 성질을 이용하여 내솥에 동도금을 하게 된다면 발열이 우수한 내솥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동도금의 특성상 오븐(내솥)의 외면에 도금되는 동도금부와 동도금부의 표면을 보강하기 위한 코팅부의 밀착성이 떨어져 쉽게 박리되고 내솥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솥을 조리기 내부에 안착시킬 경우 또는 내솥을 식탁 등의 바닥에 안치할 경우에 부딪힘에 의해 코팅층에 스트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손으로 잡을 경우 지문 등이 묻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잇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열성을 높이고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되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솥 몸체; 상기 내솥 몸체 외면에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된 니켈 도금층; 및 상기 니켈 도금층의 외면에 안료 및 다이아몬드 분말이 혼합되어 포함된 내열도료가 코팅되어 형성된 내열도료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열도료에 혼합되는 상기 안료는 1~5 중량%이며,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은 700~1200 메쉬로서 0.2~5 중량%이며,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의 두께는 3~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열도료는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 중 선택된 수지 계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료는 나노칼라안료, 금분말, 구리분말 및 50~75 ℃에서 변색되는 시온안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료에는 3000~5000 메쉬의 토르마린 분말 1~10 중량%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탈지, 중화 및 세척된 내솥 몸체의 외면에 18~25 ℃에서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하여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니켈 도금층을 30~50 ℃에서 예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예열된 니켈 도금층에 안료,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 및 토르마린 분말이 포함된 3~10 ㎛ 두께의 내열도료를 코팅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의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은 다이아몬드 분말이 첨가된 내열도료가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표면이 강화되어 제품 외면의 스크래치 및 지문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은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시온안료가 첨가되어 코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리 후의 내솥을 만져보지 않아도 색상을 보고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적정 온도를 알 수 있게 해주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은 토르마린 분말이 첨가된 내열도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별도의 가열이 없이도 상온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물 분자의 활성효과, 탈취효과, 항균 및 탈취 효과를 통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이 안착된 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의 코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이 안착된 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은 음식물이 담겨져 조리기(100)의 본체(30)에 안착되어 가열됨으로써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100) 내부에서 가열되는 내솥은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서 발열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의 맛,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이 직접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은 도금 및 코팅 처리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솥 몸체(21)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은 내솥 몸체(21), 니켈 도금층(23) 및 내열도료 코팅층(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솥 몸체(21)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니켈 도금층(23)은 상기 내솥 몸체(21) 외면에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니켈 도금층(23)은 상기 내솥 몸체(21)와 후술하는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18~25 ℃에서 2~5 분 동안 니켈 스트라이크로 이루어진다. 즉, 니켈 스트라이크 단계는 염산과 니켈이 혼합된 염화니켈 120 g/ℓ와 염산 240 g/ℓ, 물을 섞어서 스트라이크 액을 만든 후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에 스트라이크를 침으로써 알루미늄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도금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착성이 좋은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은 상기 니켈 도금층(23)의 외면에 안료 1~5 중량% 및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27) 0.2~5 중량%가 포함되되, 3~10 ㎛의 두께로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열도료는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 중 선택된 수지 계열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상기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에 색상을 주기 위한 것으로 나노칼라안료, 금분말, 구리분말 및 50~75 ℃에서 변색되는 시온안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료는 1~5 중량%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그의 양이 1 중량% 미만이 되면 색상이 나타나지 않는 등의 안료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밀착성에 영향을 주어 외면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온안료를 통하여 사용자가 조리 후의 내솥을 만져보지 않아도 색상을 보고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적정 온도를 알고 상기 내솥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료는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27) 0.2~5 중량%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의 첨가는 상기 내솥 몸체(21)의 스크래치 및 지문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께(㎛)
\입도(mesh)
500 mesh 700 mesh 900 mesh 1100 mesh 1200 mesh 1300 mesh 1500 mesh
2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3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4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6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8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10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12 ㎛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불량
표 1은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의 입도 및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두께에 따른 지문 발생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두께가 10 ㎛ 이하일 때와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이 1200 메쉬 이하일 때 지문 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두께는 3 ㎛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내솥 몸체(21)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코팅층의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서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은 3~10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두께를 기준으로 1200 메쉬 이하일 때 지문 방지 효과가 있지만, 700 메쉬 미만이 되면 분말이 커져서 코팅층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매끈한 코팅막을 얻기가 힘들 수 있다. 그리고, 1200 메쉬를 초과하면 분말을 분산시키기 어렵고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외면에서 지문 방지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700~1200 메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0.2~5 중량%가 첨가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그의 양이 0.2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상기 다이아몬드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서인조 다이아몬드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열도료는 3000~5000 메쉬의 토르마린 분말 1~10 중량%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르마린 분말은 별도의 가열이 없이도 상온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물 분자의 활성효과, 탈취효과, 항균 및 탈취 효과를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토르마린 분말은 3000~5000 메쉬의 입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입도가 3000 메쉬 미만으로 분쇄된 경우에는 입도가 커서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에서의 균일한 혼합이 저하되어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5000 메쉬를 초과하면 음이온 및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은 다이아몬드 분말이 첨가된 내열도료가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내솥 몸체(21) 외면의 스크래치 및 지문 등을 방지하여 표면이 강화되어 제품의 품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시온안료가 첨가되어 코팅되어 사용자가 조리 후의 내솥을 만져보지 않아도 색상을 보고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적정 온도를 알 수 있게 해주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의 코팅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의 코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의 코팅방법은 니켈 도금층(23)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니켈 도금층(23)의 예열 단계 및 내열도료 코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니켈 도금층(23)을 형성하는 단계는 탈지, 중화 및 세척된 내솥 몸체(21)의 외면에 18~25 ℃의 상태에서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솥 몸체(21)는 도금 공정 전의 전처리(s101)가 필요한데, 먼저, 육안검사에 의해 외관이 불량한 내솥 몸체(21)를 가려내고 외관이 양호한 내솥 몸체(21)를 1차 선별한 후 작업에 들어간다.
그리고, 선별한 상기 내솥 몸체(21) 외면의 기름 및 먼지 등을 1차적으로 제거하도록 2~4 분 동안 40~45 ℃에서 예비탈지를 실시하고 물로 수세작업을 거친다. 여기서, 본탈지로서 2~5 분 40~45 ℃에서 전해탈지를 실시하여 기름 및 이물질 등의 잔류물을 제거하고 물로 수세 작업을 한다.
한편, 상기 탈지공정은 온도범위가 40 ℃ 미만인 경우 탈지액의 활성이 낮아서 목적하는 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온도범위가 4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정 처리시간의 적절한 조절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을 상온에서 pH 2~3 이내로 중화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중화공정은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에 잔류하는 도금 간섭물질들을 중화 및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을 가볍게 에칭함으로써 알루미늄 재질의 상기 내솥 몸체(21) 외면에 밀착성이 좋은 니켈 도금층(2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중화공정은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에 고른 니켈 도금층(2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물로 수세 작업을 거친 후,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하여 니켈 도금층(23)을 형성한다(s102). 여기서, 니켈 스트라이크 단계는 염산과 니켈이 혼합된 염화니켈과 물, 염산을 섞어서 스트라이크 액을 만든 후 상기 내솥 몸체(21)의 외면에 스트라이크를 침으로써 알루미늄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도금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착성이 좋은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니켈 도금층(23)은 18~25 ℃에서 2~5 분 동안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그의 온도가 18 ℃ 미만이 되면 상기 코팅층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고 25 ℃를 초과하게 되면 급격한 도금의 진행으로 상기 도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금 시간은 2~5 분 동안 실시되는데, 상기 도금 시간은 2 분 이상이면 충분하지만 시간이 2 분 미만이 되면 상기 코팅층의 밀착성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작업 상황을 고려하여 도금 시간을 적절히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니켈 스트라이크 도금액은 pH 1~2의 것으로 사용하며, 밀착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를 적절히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니켈 도금층(23)이 형성되고, 물로 수세 작업을 한 뒤, 상기 니켈 도금층(23)의 각종 이온 활동으로 인한 도금 불량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인 순수를 사용하여 상기 니켈 도금층(23)을 세척하는 순수세 작업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료의 코팅을 위한 예열 단계를 거친다(s103). 상세히, 상기 예열 단계는 30~50 ℃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예열 온도가 30 ℃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층의 흐름 현상이 발생하고 광택이 저하되며,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지고 코팅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열된 니켈 도금층(23)에 안료, 다이아몬드 분말(27) 및 토르마린 분말이 포함된 내열도료를 코팅한다(s104). 상세히, 상기 내열도료는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 중 선택된 수지 계열 70~80 중량%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열도료에 상기 안료 1~5 중량%,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27) 0.2~5 중량% 및 3000~5000 메쉬의 토르마린 분말 1~1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 한 뒤, 상기 니켈 도금층(23)의 외면에 코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상기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에 색상을 주기 위한 것으로 나노칼라안료, 금분말 및 구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료는 1~5 중량%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그의 양이 1 중량% 미만이 되면 원하는 색상이 나타나지 않는 등의 안료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밀착성에 영향을 주어 외면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료는 50~75 ℃에서 변색되는 시온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온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로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색깔이 없어지기 시작했다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원래의 칼라로 되돌아 오게 되며, 인체에 무해하다.
그리고, 상기 시온안료는 -15℃에서 65℃까지 온도별로 색깔이 변하는 각 그레이드가 있으며, 20℃에서 2℃ 상승할 때 변하는 안료, 31℃, 43℃, 65℃에서 각각 변하는 안료 그레이드가 있다.
또한, 두 가지 시온안료를 조합하거나 시온안료와 일반안료를 조합하여 다른 색상을 얻을 수도 있으며, 온도 차이가 있는 3가지 시온안료를 조합하여 또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등 개발하기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요구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맞는 온도범위의 시온안료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조리 후의 내솥을 만져보지 않아도 색상을 보고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적정 온도를 알고 상기 내솥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료는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27) 0.2~5 중량%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상기 내솥 몸체(21)의 내스크래치 및 내지문 효과를 위하여 첨가하는데, 그의 입도가 700 메쉬 미만이 되면 코팅층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매끈한 코팅막을 얻기가 힘들 수 있다. 그리고, 1200 메쉬를 초과하면 분말을 분산시키기 어렵고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외면에서 스크래치 및 지문 방지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은 0.2~5 중량%가 첨가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그의 양이 0.2 중량% 미만이 되면 상기 다이아몬드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열도료에 첨가되는 토르마린 분말은 3000~5000 메쉬의 1~1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르마린 분말은 별도의 가열이 없이도 상온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물 분자의 활성효과, 탈취효과, 항균 및 탈취 효과를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토르마린 분말은 입도가 3000 메쉬 미만으로 분쇄된 경우에는 입도가 커서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에서의 혼합력이 저하되어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5000 메쉬를 초과하면 토르마린 고유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25)은 3~10 ㎛의 두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전술한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27)과 관련하여 상기 내솥 몸체(21)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면서도 코팅층의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 3~10 ㎛의 두께로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의 경도 및 내마모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내열도료가 코팅되면 180~200 ℃에서 40~50 분 동안 열처리를 실시(s105)하여 상기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20)이 코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21: 내솥 몸체
23: 니켈 도금층
25: 내열도료 코팅층
27: 다이아몬드 분말
30: 본체
100: 조리기

Claims (5)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솥 몸체;
    상기 내솥 몸체 외면에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된 니켈 도금층; 및
    상기 니켈 도금층의 외면에 안료, 다이아몬드 분말, 그리고 3000~5000 메쉬 및 1~10 중량%의 토르마린 분말이 혼합되어 포함된 내열도료가 코팅되어 형성된 내열도료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료에 혼합되는 상기 안료는 1~5 중량%이며,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은 700~1200 메쉬로서 0.2~5 중량%이며,
    상기 내열도료 코팅층의 두께는 3~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료는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 중 선택된 수지 계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료는 나노칼라안료, 금분말, 구리분말 및 50~75 ℃에서 변색되는 시온안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4. 삭제
  5. 탈지, 중화 및 세척된 내솥 몸체의 외면에 18~25 ℃에서 니켈 스트라이크로 도금하여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니켈 도금층을 30~50 ℃에서 예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예열된 니켈 도금층에 안료, 700~1200 메쉬의 다이아몬드 분말 및 토르마린 분말이 포함된 3~10 ㎛ 두께의 내열도료를 코팅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의 코팅방법.
KR1020100111119A 2010-11-09 2010-11-09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KR10103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19A KR101034225B1 (ko) 2010-11-09 2010-11-09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19A KR101034225B1 (ko) 2010-11-09 2010-11-09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225B1 true KR101034225B1 (ko) 2011-05-12

Family

ID=4436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119A KR101034225B1 (ko) 2010-11-09 2010-11-09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44B1 (ko) 2012-04-27 2013-03-18 (주)드림셰프 주방기구 코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659A (ja) 2006-12-21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2010022448A (ja) * 2008-07-16 2010-02-04 Panasonic Corp 炊飯器
KR20100013520A (ko) * 2008-07-31 2010-02-10 최둘남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JP2010075494A (ja)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調理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659A (ja) 2006-12-21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2010022448A (ja) * 2008-07-16 2010-02-04 Panasonic Corp 炊飯器
KR20100013520A (ko) * 2008-07-31 2010-02-10 최둘남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JP2010075494A (ja)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調理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44B1 (ko) 2012-04-27 2013-03-18 (주)드림셰프 주방기구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458B2 (ja) 熱伝導促進用金属が含まれている器具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KR100871877B1 (ko) 세라믹 코팅 철강재 가열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8518723A (ja) 誘導加熱可能な調理器具及び給仕器具、誘導加熱可能な製品の製造方法、及び誘導加熱可能な製品を作製するための被覆方法
KR101244761B1 (ko) 조리기용 내구성강화 내솥
KR101034225B1 (ko) 조리기용 표면강화 내솥 및 그의 코팅방법
JP2006015115A (ja) 調理機器
JP2008154659A (ja) 調理器
CN110129713B (zh) 一种加热器具及其制备方法
CN109930103A (zh) 一种加热器具及其制备方法
CN205866645U (zh) 烤盘组件和电热烹饪器具
KR100690576B1 (ko) 은나노마블코팅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066539B1 (ko) 전기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JP2012057188A (ja) 加熱調理器用部材
KR100648864B1 (ko) 숯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 주방 조리 용기의 코팅 방법
JP3148424U (ja) 内底面に粗面が形成された金属製調理器
JPH11267030A (ja) 調理用鍋
KR101185774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JP5927422B2 (ja) 炊飯器
CN208769539U (zh) 一种加热器具
KR102409467B1 (ko) 다단계 표면 처리된 국솥 또는 부침기
KR101954793B1 (ko)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JP4857736B2 (ja) 炊飯器
KR101184422B1 (ko)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CN201119746Y (zh) 一种带陶瓷膜层的金属炊具
CN110123146B (zh) 一种加热器具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