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610B1 -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 Google Patents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610B1
KR101033610B1 KR1020100114276A KR20100114276A KR101033610B1 KR 101033610 B1 KR101033610 B1 KR 101033610B1 KR 1020100114276 A KR1020100114276 A KR 1020100114276A KR 20100114276 A KR20100114276 A KR 20100114276A KR 101033610 B1 KR101033610 B1 KR 10103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tunnel
point
reflected wave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세
김성환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공영세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공영세,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10011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1Analysis for determining seismic cross-sections or geo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2Generating seismic energy
    • G01V1/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2Transmitting seismic signals to recording or process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중인 터널 내부에서 인위적인 진동을 발진하고 반사파를 수진하여 분석함으로써 굴착 경로상 지반정보를 파악하는 탄성파 탐사에 관한 것으로, 터널 막장 전면에 다수의 수진기(21)를 설치하여 수진망을 구축하고 수진점과 근접한 동수(同數)의 가진점을 설정하여 막장 전방측으로 탄성파를 발진하고 다수의 수진기(21)로 반사파를 동시에 수진하되, 설정된 전체 가진점에 대하여 반복 발진을 실시하여 동일한 탄성파 전파경로 및 반사점을 가지는 측정치를 비롯한 대규모 반사파 측정 자료를 신속하게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굴착중 터널 전방의 지반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터널 측면부 탐사결과 외삽을 통한 터널 전방측 추정으로 인한 오류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써 터널 굴착시 전방측 지반상태의 정확한 예측 및 영상화와 이를 통한 정밀하고 효율적인 굴착계획 수립 및 지보공 설계가 가능하여 시공 품질을 제고하고, 붕락 등 터널 굴착중 사고 위험을 저감하여 공기를 단축하며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MULTI POINT RECEIVING TYPE TUNNEL FACE SEISMIC PREDICTION METHOD}
본 발명은 굴착중인 터널 내부에서 인위적인 진동을 발진하고 반사파를 수진하여 분석함으로써 굴착 경로상 지반정보를 파악하는 탄성파 탐사에 관한 것으로, 터널 막장 전면에 다수의 수진기(21)를 설치하여 수진망을 구축하고 수진점과 근접한 동수(同數)의 가진점을 설정하여 막장 전방측으로 탄성파를 발진하고 다수의 수진기(21)로 반사파를 동시에 수진하되, 설정된 전체 가진점에 대하여 반복 발진을 실시하여 동일한 탄성파 전파경로 및 반사점을 가지는 측정치를 비롯한 대규모 반사파 측정 자료를 신속하게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굴착중 터널 전방의 지반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탄성파탐사는 국지적 지질조사, 지하자원 탐사 및 지질공학적 응용을 목적으로 비교적 천부(淺部) 지각에 대하여 실시되며, 발파 또는 타격 등을 통하여 인공적으로 탄성파를 발생시킨 후 지층 경계면에서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탄성파를 기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탐사대상 지반의 층서구조 및 지반물성 등의 정보를 파악하는 지구물리탐사법이다.
상이한 밀도 또는 탄성을 가지는 지층을 통과하는 탄성파는 층간 전파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경계면에서 반사 및 굴절 현상을 나타내는데, 인위적으로 발진된 파의 반사파 또는 굴절파를 수진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경계면의 거리 또는 해당 지층의 물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중 반사파를 수진하는 탐사법을 탄성파 반사법 탐사라 한다.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퇴적분지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油田) 탐사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탐사법으로서, 육상 또는 해상에 설정된 측선(測線)을 따라 등간격으로 발파 또는 타격을 통한 가진(加振)을 실시하고, 수진기(21)를 통하여 반사파를 수진함으로써 측선 하부의 지질 층서 및 물성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터널 굴착공사에 있어서 막장 전방 지반 상태의 예측에 응용되고 있는데, 굴착중 터널의 측벽에 소규모 발파를 실시하여 단층 또는 파쇄대 등의 특이지층대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탄성파를 수진함으로써 붕락 예측 및 지보 설계 등에 활용된다.
터널 굴착 경로상 지반상태 예측에 적용되는 탄성파 반사법 탐사 기법은 전술한 육상 지질조사 및 유전 탐사 등에 활용되는 탐사 기법을 전용한 것으로, 측선(測線)을 따른 등간격 가진(加振)을 답습하여, 기 굴착된 터널 막장 후방으로 장거리 선형 가진점을 설정하고 최후 가진점의 후방측에 수진기(21)를 설치하여 반사파를 수진하게 된다.
즉,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수진기(21) 및 발파공(22) 설치상태가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일단 가진점의 선형 배치가 가능할 정도의 터널 굴착이 선행된 상태에서 막장면(10) 후방측으로 다수의 발파공(22)을 일렬로 등간격 배치하고, 발파공(22) 배치선상의 최후 발파공(22) 후방측에 수진기(21)를 설치하여, 발파공(22)에서 순차적으로 발생된 탄성파의 반사파를 수진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착중 터널의 평단면을 상정하고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경계면 추정방식을 도해한 것으로서, 이를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굴착중 터널의 측벽에 일렬로 배치된 발파공(22) 즉, 도면상 역삼각형으로 표시된 가진점의 배치선의 측방에 단층 또는 파쇄대 등에 의한 불연속면 즉, 탄성파의 반사 또는 굴절 현상을 수반하는 전파속도 변화 경계면의 존재를 가정하면, 입사각과 반사각은 동일하므로 상이한 주시(走時)를 가지는 가진점(Sn, 동 도면상 n은 1 내지 4)별 탄성파의 전파경로는 가진점의 경계면에 대한 영상점(影像點, In)을 설정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 2개소 이상의 가진점이 설정되어 동수(同數)의 수진자료가 수집되면 해당 지층의 탄성파 전파속도를 정확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진점 및 수진점(R)간 기하학적 관계에 의하여 가진점 배치선과 경계면간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다층 지반에서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 방식 설명도로서, 탄성파가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 지반을 통과하면서 굴절 및 반사된 후 수진점에 수진된 측정치가 동 도면 하단부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각 경계면의 위치 및 주향(走向)을 추정하게 된다.
이렇듯 인위적인 탄성파 가진 및 수진을 통하여 터널 굴착공사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장기간의 공사 중단 및 주변 지반 교란이 수반되는 시추조사 등의 직접 조사 없이도 터널 계획 경로상의 지반상태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근본적으로 터널 막장면(10) 전방측이 아닌 기 굴착된 터널의 측방측 지반을 탐사한 후 이를 토대로 터널 막장면(10) 전방을 추정하는 방식인 바, 그 신뢰도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굴착중 터널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에서는 기 굴착된 터널 측벽에 통상 50개소 정도의 발파공(22)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하여 가진점을 설정하고, 가진점 배치선의 후단에 수진점을 설정하여 반사파를 수진하게 되는데, 이때 수진된 반사파를 통하여 지반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범위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측방부 지반으로서, 터널 막장면(10) 전방측에 대한 직접 탐사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며, 터널 측방부 지반의 탐사 결과를 외삽(外揷)함으로써 터널 막장면(10) 전방의 굴착 계획경로상 지반상태를 추정하는 것이다.
탄성파 탐사를 비롯한 굴착중 터널에 대한 지구물리탐사에 있어서 주 관심사는 터널 굴착 계획 경로상의 지반상태로서 터널 막장면(10) 전방측의 층서구조 및 지질상수 등의 획득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터널 측방부 탐사결과를 토대로 막장면(10) 전방측 지반을 외삽 추정하는 방식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실질적인 탐사라 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또한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내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굴착중 터널 막장면(10) 인근에서 경계면의 주향이 변화하는 지반에 대하여 종래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실시할 경우 실제 경계면과 추정치 사이에 심대한 오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대규모 붕락 또는 굴착 지연을 유발하여 안전사고 발생, 공기 지연 및 공사비 상승 등의 심각학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탄성파 탐사의 전통적 적용 분야인 야외탐사 및 해상탐사 기법을 답습한 방식으로서, 장거리 선형(線型) 측선을 전제로 수행되는 바, 50개소 내외의 가진점을 1m 내외의 간격으로 직선 배치할 수 있는 터널 벽면 구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최소 50m 이상의 굴착이 진행된 이후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실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탄성파 반사법 탐사 조건으로서의 최소 굴착 구간 제약은 터널 굴착 계획 경로상 지반상태에 대한 정보가 전무한 상태에서 터널 굴착을 개시하여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산지 터널에서 표층부에 풍화대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점을 감안할 때, 종래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탐사 필요성이 가장 큰 굴착 개시 구간에 대한 탐사가 불가능한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탄성파 반사법 탐사에 있어서 터널 막장면(10) 전방측 지반에 대한 직접 탐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 기법은 장거리 장간격 선형 측선을 전제로 한 일반적인 야외탐사 또는 해상탐사 기법을 그대로 답습한 기법으로서, 기 굴착된 터널 벽면에 다수의 가진점을 선형으로 장거리 등간격 배치하고 있으며, 수집된 자료의 처리기법 또한 장거리 선형 측선 방식을 전용하고 있는 바, 터널 막장면(10)에 대한 적용은 불가능 하였다.
특히, 터널 막장면(10)은 그 폭이 터널 벽면에 비하여 협소하여 장거리 측선을 형성할 수 없으며, 설령 종래 터널 측면 측정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가진점 및 수진점 배치를 터널 막장면(10)에 구현한다 하여도 입사각 및 반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는 즉, 입사파의 전파경로와 반사파의 전파경로의 중첩 가능성이 클 수 밖에 없는 특성이 있으므로, 입사파와 반사파간 간섭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한 신호대 잡음비의 저하로 정도가 저하되어 유의(有意)한 탐사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터널 막장면(10)에 다수의 가진점을 배치하되 가진점과 동수(同數)의 수진점을 가진점과 동일 내지 지근(至近) 인접 지점에 배치하여 다점 가진 및 다점 수진을 통한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실시함으로써, 제한된 터널 막장면(10) 구간에서 최대한의 반사파 자료를 수집하고, 특히 동일한 전파경로의 탄성파 자료를 취합하여 중합(重合, stacking)함으로써, 고 신호대 잡음비(High S/N ratio)를 실현하였다.
즉, 본 발명은 굴착중 터널에 대한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에 있어서, 굴착중 터널의 막장면(10)에 다수의 수진기(21)를 설치하는 수진점설정단계(S11)와, 상기 수진기(21)와 동위치(同位置) 내지 지근(至近) 위치의 막장면(10)상에 수진기(21)와 동수(同數)의 가진점을 설정하는 가진점설정단계(S12)와, 상기 다수의 가진점에 순차적으로 물리적 충격(impact source)을 가하여 막장면(10) 전방측 지반에 탄성파를 발진하는 가진단계(S21)와, 상기 가진점의 발진 사상(事象)별 반사파를 수진기(21)별로 수진하여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수진단계(S22)와,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사파의 주시(走時)를 통하여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를 산출하는 경계면산출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계면산출단계(S30)가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발진 사상별 수진기(21)별 반사파 수진기록 중 동일한 전파경로를 가지고 상호 역방향의 전파방향을 가지는 반사파 기록을 발췌하는 발췌단계(S31)와, 발췌된 반사파 기록을 중합하여 신호 파형을 증폭하고 잡음을 소거하는 신호보강단계(S32)와, 증폭된 반사파 신호의 주시(走時)를 통하여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를 산출하는 보강산출단계(S3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터널 측면부 탐사결과 외삽을 통한 터널 전방측 추정으로 인한 오류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써 터널 굴착시 전방측 지반상태의 정확한 예측 및 영상화(imaging)와 이를 통한 정밀하고 효율적인 굴착계획 수립 및 지보공 설계가 가능하여 시공 품질을 제고하고, 붕락 등 터널 굴착중 사고 위험을 저감하여 공기를 단축하며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파 탐사를 위한 최소 굴착 구간을 확보하지 않고 갱구부에서 탐사가 가능하므로 터널 굴착 개시 구간에 대한 탐사가 가능하여, 터널 시공시 빈발하는 굴착 초기 붕락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수진기 및 발파공 설치상태 설명도
도 2는 종래 터널 탄성파 반사법 탐사의 경계면 추정방식 설명도
도 3은 다층 지반에서의 탄성파 반사법 탐사 방식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굴착중 터널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터널 막장면 수진기 및 가진점 배치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터널 막장면 가진 및 수진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터널 막장면 다점 수진방식 설명도
도 8은 도 7에서의 동일 전파경로 발췌도
도 9는 동일 전파경로 반사파 중합을 통한 잡음 저감 방식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터널 막장면 가진망 및 수진망 구축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경계면산출단계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굴착중 터널을 예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및 막장면(10) 정면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착중 터널 막장면(10)에 다수의 수진기(21)를 막장면(10)을 횡단하는 직선상에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수진점을 설정하고 수진기(21)와 동수(同數)의 가진점을 수진기(21)와 동위치(同位置) 내지 지근(至近)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 가진점이란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탄성파를 발진하는 지점으로서 발파공(22) 또는 타격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진기(21)가 설치되는 수진점과 가진점이 동일한 위치 또는 수 cm 이내의 지근 위치에 설정되는 바, 가진점으로서 발파공(22)을 적용할 시 수진기(21)가 탈락될 수 있으므로 에어해머(air hammer) 또는 장약총(shot gun)을 통한 타격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가진점은 장약을 위한 천공이 아닌 타격위치를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설정된다.
수진점 및 가진점의 설정이 완료되면 전체 수진점의 수진기(21)를 수진 대기상태로 가동한 상태에서 전체 가진점에 대한 순차적 탄성파 발진 즉, 물리적 타격이 이루어 지며, 각각의 수진기(21)를 통하여 각 가진점의 발진 사상(事象, event)별 반사파를 수진기(21)별로 수진하여 수진기(21)와 연결된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및 기억소자 등의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도 6은 터널 막장면(10)에 설정된 다수의 가진점에서 발진된 탄성파가 막장면(10) 전방측의 지질학적 불연속면 즉, 경계면에서 반사된 후 가진점과 동수의 수진기(21)에 도달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터널 측면 측정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와 달리 막장면(10) 전방측 지반에 대한 직접 탐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파 발진 및 수진 경로를 보다 단순하게 표현한 것으로 총 4개소의 가진점(Sn, n은 1 내지 4) 및 수진점(Rn, n은 1 내지 4)이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진점(Sn)별 1회 타격을 상정하면 가진점(Sn)과 수진점(Rn)이 동일한 경우를 포함하여 총 n2(도면상 n은 4)회의 발진 사상을 확보할 수 있어, 동일한 수의 가진점이 설정되는 종래의 터널 측면 측정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에 비하여 월등히 방대한 반사파 수진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방대한 반사파 수진자료를 기초로 반사파의 주시(走時) 및 파형 등을 분석함으로써 터널 막장면(10) 전방 지반의 층서구조 및 지질상수 등을 산출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진점 및 가진점의 설정 내지 반사파 수진자료 분석의 수행과정이 도 11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도 11의 흐름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터널 막장면(10)에 다수의 수진기(21)를 배치하여 수진선(受振線) 또는 수진망(受振網)을 구축하는 수진점설정단계(S11)로 본 발명이 개시된다.
이후 수진기(21)와 동수 및 지근의 가진점이 배치되는 가진점설정단계(S12)가 수행되며, 가진점 설정이 완료되면 가진점별 타격 발진이 실시되는 가진단계(S21)와 발진 사상별 전체 수진점의 반사파 측정치가 수집되어 전자적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수진단계(S22)가 수행되는데, 이들 가진단계(S21) 및 수진단계(S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가진점에 대하여 반복 수행된다.
최종단계인 경계면산출단계(S30)에서는 수진단계(S22)에서 기록된 반사파의 주시 즉, 발진후 유의(有意)한 파형의 반사파 수진시 까지의 경과 시간을 통하여 터널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 및 주향 등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다수의 수진점 및 수진점과 동수, 동위치의 가진점 설정 방식은 단순히 방대한 반사파 수진자료를 확보하여 탐사 정도(精度)를 제고하는데 그 효과가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동일한 전파경로를 가지는 한쌍의 발진 사상 수진기록을 발췌하여 중합(重合, stacking)함으로써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효과 또한 나타낸다.
터널 벽면에 비하여 협소한 막장면(10)의 제한된 구간에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특성상 탄성파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을 뿐 아니라 단시간의 주시를 나타낼 가능성이 크므로, 정밀한 신호처리를 위한 높은 수준의 신호대 잡음비가 요구되는데, 도 12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췌단계(S31) 내지 보강산출단계(S33)의 구성을 통하여 신호대 잡음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반사파 신호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가진점 및 발진점의 개소수(n)에 대하여 반복되는 발췌단계(S31) 및 보강단계(S32)를 통하여, 도 8에서와 같이 동일한 전파경로를 가지고 상호 역방향의 전파방향을 가지는 한쌍의 반사파 수진기록을 발췌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발췌된 수진기록 파형을 합성하는 중합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경계면별 반사파의 주시를 반영하는 신호는 보강간섭되고 잡음은 상쇄간섭되어 소거됨으로써 신호대 잡음비가 개선되는 것이다.
이후 보강산출단계(S33)에서는 중합된 파형 즉, 증폭된 신호의 주시를 통하여 터널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 및 주향 등을 산출하게 되며, 이로써 탐사 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서로 평행한 다층의 수진선(受振線)상에 등간격의 수진점을 설정하여 일층 조밀한 수진망(受振網)을 구축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주 수진선인 수평방향 다층 수진선 외에 수직 또는 경사방향의 수진선 또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수진망을 구축하여 현장 탐사를 실시한 후, 수진선의 변경 설정은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수진기록을 후처리(post-processing)하는 내업(內業)과정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현장여건 및 굴착계획에 따른 다양한 탐사 결과 제공이 가능하다.
10 : 막장면
21 : 수진기
22 : 발파공
S11 : 수진점설정단계
S12 : 가진점설정단계
S21 : 가진단계
S22 : 수진단계
S30 : 경계면산출단계
S31 : 발췌단계
S32 : 신호보강단계
S33 : 보강산출단계

Claims (2)

  1. 삭제
  2. 굴착중 터널에 대한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으로서, 굴착중 터널의 막장면(10)에 다수의 수진기(21)를 설치하는 수진점설정단계(S11)와, 상기 수진기(21)와 동위치(同位置) 내지 지근(至近) 위치의 막장면(10)상에 수진기(21)와 동수(同數)의 가진점을 설정하는 가진점설정단계(S12)와, 상기 다수의 가진점에 순차적으로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막장면(10) 전방측 지반에 탄성파를 발진하는 가진단계(S21)와, 상기 가진점의 발진 사상(事象)별 반사파를 수진기(21)별로 수진하여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수진단계(S22)와,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사파의 주시(走時)를 통하여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를 산출하는 경계면산출단계(S30)로 이루어지는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산출단계(S30)는
    전자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발진 사상별 수진기(21)별 반사파 수진기록 중 동일한 전파경로를 가지고 상호 역방향의 전파방향을 가지는 반사파 기록을 발췌하는 발췌단계(S31)와;
    발췌된 반사파 기록을 중합하여 신호 파형을 증폭하고 잡음을 소거하는 신호보강단계(S32)와;
    증폭된 반사파 신호의 주시(走時)를 통하여 막장면(10)과 경계면간 거리를 산출하는 보강산출단계(S3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KR1020100114276A 2010-11-17 2010-11-17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KR10103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76A KR101033610B1 (ko) 2010-11-17 2010-11-17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76A KR101033610B1 (ko) 2010-11-17 2010-11-17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610B1 true KR101033610B1 (ko) 2011-05-11

Family

ID=4436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76A KR101033610B1 (ko) 2010-11-17 2010-11-17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6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0422A (zh) * 2012-08-10 2012-12-19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隧道超前监测方法及系统
KR101558219B1 (ko) 2014-07-17 2015-10-12 주식회사 에프에스 공통반사표면법을 이용한 탄성파 데이터 처리방법
CN105891881A (zh) * 2014-05-15 2016-08-24 蔡晓刚 一种水平界面vti介质转换点ccp道集抽取方法
KR20170040569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층구조의 해석력 향상 기능을 갖는 공통반사표면과 공통회절표면법을 이용한 탄성파 데이터의 복합처리방법
KR101901344B1 (ko) 2017-09-29 2018-09-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사 입사각을 이용한 지하구조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3835122A (zh) * 2021-09-30 2021-12-24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桩侧旁孔反射波法确定桩侧位置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174A (ja) * 1992-03-02 1993-09-24 Toda Constr Co Ltd 切羽前方探査方式
JPH06185287A (ja) * 1992-12-18 1994-07-05 Oyo Corp トンネル切り羽の前方予知方法
JPH1137834A (ja) 1997-07-18 1999-02-12 Shimizu Corp トンネル切羽弾性波速度測定法
JP2001249186A (ja) 2000-03-03 2001-09-14 Fujita Corp トンネル切羽前方地質探査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174A (ja) * 1992-03-02 1993-09-24 Toda Constr Co Ltd 切羽前方探査方式
JPH06185287A (ja) * 1992-12-18 1994-07-05 Oyo Corp トンネル切り羽の前方予知方法
JPH1137834A (ja) 1997-07-18 1999-02-12 Shimizu Corp トンネル切羽弾性波速度測定法
JP2001249186A (ja) 2000-03-03 2001-09-14 Fujita Corp トンネル切羽前方地質探査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0422A (zh) * 2012-08-10 2012-12-19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隧道超前监测方法及系统
CN105891881A (zh) * 2014-05-15 2016-08-24 蔡晓刚 一种水平界面vti介质转换点ccp道集抽取方法
KR101558219B1 (ko) 2014-07-17 2015-10-12 주식회사 에프에스 공통반사표면법을 이용한 탄성파 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040569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층구조의 해석력 향상 기능을 갖는 공통반사표면과 공통회절표면법을 이용한 탄성파 데이터의 복합처리방법
KR101842656B1 (ko) 2015-10-05 2018-03-27 주식회사 에프에스 지층구조의 해석력 향상 기능을 갖는 공통반사표면법과 공통회절표면법을 이용한 탄성파 데이터의 복합처리방법
KR101901344B1 (ko) 2017-09-29 2018-09-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사 입사각을 이용한 지하구조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3835122A (zh) * 2021-09-30 2021-12-24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桩侧旁孔反射波法确定桩侧位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610B1 (ko) 터널 전면 다점 수진식 탄성파 반사법 탐사방법
KR101547508B1 (ko) 전방 지질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957521B (zh) 一种用于隧道长距离三维超前地质预报方法
CN102866417A (zh) 一种地下溶洞地震跨孔ct探测及层析成像装置及方法
CN202837558U (zh) 一种地下溶洞地震跨孔ct探测及层析成像装置
Yamamoto et al. Imaging geological conditions ahead of a tunnel face using three-dimensional seismic reflector tracing system
US11940580B2 (en) Heterogeneous subsurface imaging systems and methods
CN110687607B (zh) 一种斯通利波探测方法及系统
CN113474683A (zh) 使用随钻地震(swd)采集地震数据
CN105719433A (zh) 一种基于孔内地震波的超前预报方法
CN112857698B (zh) 一种基于声表面波检测墙体渗漏的方法
RU2402791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енных параметров пласта методом отраженных волн
JP6522918B2 (ja) 弾性波速度測定方法
CN106149770A (zh) 灌注桩桩基施工期间同步进行的大直径灌注桩孔壁岩体完整性探测方法
CN208334667U (zh) 一种用于软岩隧道长距离三维超前地质预报装置
CN113050085A (zh) 一种超前地质预报的方法
CN106772637B (zh) 一种煤矿井下基于槽波的超前探测方法
Ulugergerli et al. Detection of cavities in gypsum
CN110850472A (zh) 一种基于冲击波激发震源的可变偏移距超前探测断层方法
CN109991654A (zh) 一种瓦斯突出掘进工作面瓦斯包随掘超前探测装置及探测方法
KR20010035239A (ko) 시추공을 이용한 탄성파 탐사방법
JP2004138447A (ja) 岩盤の物性評価方法
RU2280267C1 (ru) Способ сейсмическ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свай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JP6396074B2 (ja) 堰堤の弾性波探査方法及び堰堤の健全度診断支援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Liu et al. A system for inspecting karst voids during construction of cast-in-place pile found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