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376B1 -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 Google Patents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376B1
KR101033376B1 KR1020110016669A KR20110016669A KR101033376B1 KR 101033376 B1 KR101033376 B1 KR 101033376B1 KR 1020110016669 A KR1020110016669 A KR 1020110016669A KR 20110016669 A KR20110016669 A KR 20110016669A KR 101033376 B1 KR101033376 B1 KR 10103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etaining wall
inlet chamber
pla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웅
Original Assignee
장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웅 filed Critical 장기웅
Priority to KR102011001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7Plastics thermo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강 등의 공사시 발생되는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인 옹벽에 대해 녹화를 시킬 수 있는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수위 상승시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된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볼트를 매개로 식생체의 몸체가 옹벽에 직접 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생공간이 하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어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몸체의 양측벽에 구비된 부력체가 수위 상승시 같이 상승하면서 측면을 커버함으로써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Vegetation box for tree-planting around the rivers}
본 발명은 하천, 강 등의 공사시 발생되는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인 옹벽에 대해 녹화를 시킬 수 있는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수위 상승시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된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강 등의 공사시 발생된 경사지, 즉 법면 등지에는 우기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인 옹벽을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옹벽으로 법면을 포장하게 되면 토사의 유실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식물이 식생할 수 없어 그 공간만큼 자연녹지가 줄어들게 됨은 물론이고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콘크리트 옹벽 대신에 식생블럭을 설치하여 그 식생블럭에 식물을 식생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식생블럭은 초기 공사시 설치는 가능하지만 이미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옹벽에 대해서는 이 옹벽을 철거하기 전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옹벽을 설치하기 전 식생블럭을 설치하더라도 식생블럭에 식재된 식물은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그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이 없어 유속으로 인해 식물은 물론이고 식물을 식생하기 위한 식생토까지 쉽게 유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유실되면 식생토를 다시 충진해야 됨은 물론이고 식물까지 다시 식생해야 되는 유지비용 증가와 더불어 유지관리에 있어서 큰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수위 상승시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된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옹벽 하측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식생토가 충진되는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며 하측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유입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고정 설치되어 하천옹벽의 경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옹벽 상부까지 녹화시킬 수 있도록 식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메쉬판; 및 상기 몸체의 유입실 내부에 구비되어 수위 상승으로 인해 유입공으로 물이 유입되면 부력으로 상승된 수위만큼 유입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위 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유속으로 식물이나 식생토의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을 끼움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공간은 식생되는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도록 상측에 비해 하측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볼트를 매개로 식생체의 몸체가 옹벽에 직접 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생공간이 하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어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몸체의 양측벽에 구비된 부력체가 수위 상승시 같이 상승하면서 측면을 커버함으로써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나"는 b-b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체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3의 c-c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나"는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는 크게 몸체(100), 메쉬판(200) 및 부력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하천옹벽 하측부분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식물이 식생되는 식생토가 충진되는 식생공간(110)이 형성되되, 상기 식생공간(110)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측 및 전면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일측벽, 바람직하게는 양측벽에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122)이 형성되는 유입실(1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실(120) 상측 즉, 몸체(100)의 양측벽 상측에는 유입실(120)로 후술할 부력체(3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실(120)과 연통되는 출몰공(126)을 가지는 덮개(124)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출몰공(126)은 상기 유입실(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실(120)의 바닥면에는 유입공(122)을 막음하지 못하도록 요철부(128)를 형성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110)은 상측에 비해 하측을 넓게 형성하여 상측보다 하측에 식생토가 많이 충진되도록 하여 식생토가 안정적으로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100)의 후면판 상면에는 브라켓(13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쉬판(20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하여 메쉬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서 식물이 몸체(100)의 전면과 더불어 상측으로 뻗어 성장하여 옹벽의 상측 부분까지 녹화시킬 수 있도록 성장을 유도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쉬판(200)은 몸체(100)의 일측에 미도시 된 고정수단(볼트)을 매개로 고정설치 될 수 있으나 몸체(100)에 형성된 브라켓(130)으로 하향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뒤 단단히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력체(300)는 물 위에 뜨는 소재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양측벽에 형성된 유입실(120) 내부에 구비되어 덮개(124)의 출몰공(126)을 통해 외부로 출몰 작동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300)의 하면에는 상기 덮개(124)의 출몰공(126)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3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124)의 출몰공(126) 폭이 유입실(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부력체(300)가 상승되더라도 그 플랜지부(310)가 출몰공(126) 하면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부력체(300)는 평소에는 자중에 의해서 유입실(12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유입공(122)으로 물이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수위만큼 유입실(120)의 상측 즉, 덮개(124)의 출몰공(126)을 통해 상부로 돌출 작동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의 사용 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체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면, 하천에 형성된 법면(400)에 설치된 옹벽(410)의 전면 하측에는 본 발명의 식생체가 설치되는데, 식생체의 몸체(100)는 파선으로 도시된 앵커볼트(B)를 매개로 옹벽(410)에 단단히 고정 설치되고, 식생공간(110)에는 식생토가 충진되어 식물이 식생되어 있으며, 식생된 식물은 그 전면과 상측으로 연장된 메쉬판(200)을 따라 성장하면서 옹벽(410)에 대한 녹화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후면판을 매개로 앵커볼트(B)에 의해 옹벽(410)에 직접 고정 설치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110)은 하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식물은 성장시 뿌리를 깊고도 넓게 내릴 수 있어 성장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뿌리의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식생공간(110)으로부터 쉽게 유실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마철과 같은 경우 집중호우로 인해 식생체가 설치된 곳까지 점차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몸체(100)의 양측벽 하측에 형성된 유입공(122)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하천의 수위 상승에 맞춰 유입실(120) 내부의 수위 또한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실(120) 바닥면에는 요철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력체(300)의 하면이 유입공(122)을 직접 막지 않게 되므로 물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면, 유입실(120) 내부에 구비된 부력체(300)가 수위 상승에 의해 같이 상승하여 덮개(124)의 출몰공(126) 상측으로 돌출되고 식생공간(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속으로 인해 식물이나 식생토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수위 상승에 따라 몸체(100)의 양측벽에 구비된 부력체(300)가 같이 상승하면서 물이 측벽을 넘어 유입되어 그 유속으로 인해 식생공간(110) 내에 충진된 식생토나 식물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시켜 식물이나 식생토의 유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식물이나 식생토의 유실이 최소화되면 그 만큼 유지비용이 절감됨은 물론이고 차후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편리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다시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면 유입실(1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다시 유입공(12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부력체(300)는 자중에 의해 유입실(120) 내부로 점차 하강된 후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식생체는 앵커볼트(B)를 매개로 옹벽(410)에 직접 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식생공간(110)이 하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어 식물의 성장성이 우수하고, 몸체(100)의 양측벽에 구비된 부력체(300)가 수위 상승시 같이 상승하면서 측면을 커버함으로써 유속에 의해서도 식물이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몸체 110 : 식생공간
120 : 유입실 122 : 유입공
124 : 덮개 126 : 출몰공
130 : 브라켓 200 : 메쉬판
300 : 부력체 310 : 플랜지부
400 : 법면 410 : 옹벽

Claims (3)

  1. 하천옹벽 하측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식생토가 충진되는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며 하측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유입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고정 설치되어 하천옹벽의 경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옹벽 상부까지 녹화시킬 수 있도록 식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메쉬판; 및
    상기 몸체의 유입실 내부에 구비되어 수위 상승으로 인해 유입공으로 물이 유입되면 부력으로 상승된 수위만큼 유입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위 상승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유속으로 식물이나 식생토의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부력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판을 끼움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은 식생되는 식물의 뿌리가 광범위하게 뻗을 수 있도록 상측에 비해 하측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KR1020110016669A 2011-02-24 2011-02-24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KR10103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69A KR101033376B1 (ko) 2011-02-24 2011-02-24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69A KR101033376B1 (ko) 2011-02-24 2011-02-24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376B1 true KR101033376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69A KR101033376B1 (ko) 2011-02-24 2011-02-24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229A (zh) * 2020-12-31 2021-03-26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水位变幅带的新型重力式生态挡墙及植物保护方法
CN116335096A (zh) * 2023-05-25 2023-06-27 山东建筑大学 一种河道生态缓冲带及其污染物拦截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1936A (ja) * 1994-09-12 1996-03-26 Maeda Okugai Bijutsu Kk 河川浄化用護岸化粧構造
JP2006037365A (ja) 2004-07-22 2006-02-09 San Bures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KR20100092836A (ko) * 2009-02-13 2010-08-23 (주) 에코월드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0982559B1 (ko) 2009-11-24 2010-09-1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계단식 옹벽에 설치되는 친환경 화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1936A (ja) * 1994-09-12 1996-03-26 Maeda Okugai Bijutsu Kk 河川浄化用護岸化粧構造
JP2006037365A (ja) 2004-07-22 2006-02-09 San Bures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KR20100092836A (ko) * 2009-02-13 2010-08-23 (주) 에코월드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0982559B1 (ko) 2009-11-24 2010-09-1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계단식 옹벽에 설치되는 친환경 화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229A (zh) * 2020-12-31 2021-03-26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水位变幅带的新型重力式生态挡墙及植物保护方法
CN116335096A (zh) * 2023-05-25 2023-06-27 山东建筑大学 一种河道生态缓冲带及其污染物拦截方法
CN116335096B (zh) * 2023-05-25 2023-07-25 山东建筑大学 一种河道生态缓冲带及其污染物拦截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0499B (zh) 调节水深进行选择性取水的取水装置
JP2003325052A (ja) 植栽ポット
CN205576842U (zh) 生态河道护岸
KR101033376B1 (ko) 하천옹벽 녹화용 식생체
JP6532278B2 (ja) ミズゴケ湿原再生方法及び再生基盤
CN208578051U (zh) 一种预防泥石流生态护坡结构
CN107258368B (zh) 挺水植物深水区种植浮箱
CN203866774U (zh) 箱式生态景观挡墙
CN209307984U (zh) 一种节地高效生态的新型塑料构件
JP2700374B2 (ja) 人工浮島
CN214883385U (zh) 一种城市山区河道生态护岸结构
CN209412949U (zh) 一种利用道路雨水培养植物美化道路的装置
CN207863036U (zh) 围圈式一体化集雨节水器
CN112359777A (zh) 一种城市山区河道生态护岸结构
CN206768733U (zh) 生态护坡堤结构
JPH1136262A (ja) 護岸際の植生方法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CN221142749U (zh) 一种河道支护预制桩
KR200358532Y1 (ko) 호안블록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CN214832373U (zh) 一种城市生态河道护岸
CN213868146U (zh) 一种海绵城市下凹式绿地
CN215774465U (zh) 一种种植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