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279B1 - 극간인대용 집게 - Google Patents

극간인대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279B1
KR101033279B1 KR1020090050322A KR20090050322A KR101033279B1 KR 101033279 B1 KR101033279 B1 KR 101033279B1 KR 1020090050322 A KR1020090050322 A KR 1020090050322A KR 20090050322 A KR20090050322 A KR 20090050322A KR 101033279 B1 KR101033279 B1 KR 10103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igament
tongs
present
interspi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626A (ko
Inventor
이상헌
설동근
리차드 더비
Original Assignee
익스메딕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스메딕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익스메딕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상위와 하위의 두 척추극돌기(spinous process)사이의 극간인대(interspinous ligment)에 끼워지는 인공삽입물로, 유선형이며 추체 인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제 1 암(arm) 및 제 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극돌기, 임플란트

Description

극간인대용 집게{forceps for interspinous ligment}
본 발명은 극간인대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상위와 하위의 두 척추 극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척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척추 극돌기의 넓고 좁은 모양에 따라 설계되어 척추체의 전후 전위를 줄일 수 있는 극간인대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척추(spinal column)는 인대, 근육, 척추골 및 추간판이 주 구성요소인 생체-기계적 구조체이다. 척추의 생체-기계적 기능으로는, 몸무게 전달 및 머리와 몸통과 팔이 골반과 다리로 굽혀지는 움직임을 포함하는, 이른바 신체를 지지하는 기능과, 이들 부분들 사이에서의 복잡한 생리적 움직임 기능과, 척수(spinal cord)와 신경근의 보호 기능이 있다.
한편, 현대 사회가 고령화 되어감에 따라, 척추 질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례를 들면, 고령화에 따라 척추 협착증(척추의 중심관<central canal> 및 측방향 협착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과 퇴행성 척추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척추 협착증은 추공 면적(즉,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의 감소를 가져와서 경추 및 요추부 신경근을 압착하게 되어 신경근 통증을 유발한 다. 척추 협착증의 다른 증상으로는 척수병증이 있는데, 이는 경추 및 요추부위 척추 통증 및 근육 약화를 유발한다. 척추의 신장 및 동측성 회전(ipsilateral rotation)은 또한 추공 면적을 감소시키게 되며 통증, 신경근 압축 및 신경계 손상을 가져온다. 이와 반대로, 척추의 굽힘은 추공 면적을 증가시킨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척추 영역뿐만 아니라 흉관 및 허리 영역의 디스크 높이의 감소로 인해 퇴행성 증폭반응(degenerative cascade)이 야기되고, 이와 함께 운동 분절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퇴화되어 분절의 불안정성이 야기되며 극단적으로 척추 협착증이 야기된다. 퇴화 과정 중에 디스크는 탈출되거나 그리고/또는 내부가 헐게 되어 만성적으로 아프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척추의 전방 (디스크) 및 후방(척추후관절 및 척추간공) 구조체 모두로부터 유발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환자들은 펴거나 굽히는 위치를 견딜 수 없다.
이러한 협착증과 관련된 통증은 약물치료 및/또는 외과수술에 의해 경감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 특히 고령자를 위한 중한(생명의 위험을 수반하는) 외과 수술의 필요성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척추 협착증에 의해 야기되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척추에 대한 손상이나 척추의 퇴행에 의해 야기되는 여타의 통증과 같은 상태를 완화시키는 척추 임플란트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렇게 요구되는 임플란트는 추공 면적을 증가시키며 척추의 신경 및 혈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척추골들 사이의 공간을 신연 또는 증가시킨다. 또한 극돌기 모양에 맞게 모양이 설계되어 있어 척추체의 전방전위를 막아 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척추 임플란트는 척추의 추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 시술 시, 척추 임플란트를 척추에 침투시키기 위하여 주변 조직의 손상이 많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극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기존의 제품들도 기존의 구조 유지에 중요한 극간인대를 제거하거나 극돌기뼈를 부분절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척추 임플란트를 노인들에게 시술할 때, 노인들의 뼈는 약해서 뼈와 스크류가 잘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몇 달간 허리 보조기를 하여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에 임플란트를 시술하지 않고,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척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접한 상위와 하위의 두 척추극돌기(spinous process) 사이의 극간인대(interspinous ligment)에 끼워지는 인공삽입물로, 유선형이며 추체 인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제 1 암(arm) 및 제 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의 길이의 범위가 2~4cm이고, 높이의 범위가 0.5~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극간인대용 집게의 내부가 금속이고, 외부는 고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이 티타늄(Ti)이고, 상기 고분자가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극간인대용 집게가 상기 제 1 암과 제 2 암에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위치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암과 상기 제 2 암 사이에 중심부를 더 포함하 고, 상기 중심부는 상 제 1 암과 제 2 암보다 위아래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시술 시, 척추극간 임플란트(interspinal spacer)와 같이 인대를 제거하지 않으므로,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시술이 간편하고, 추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 불안정한 척추부위에 발생하는 추체들이 서로 어긋나 앞뒤로 밀리는 것, 즉 척추 전후방 전위를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10)는 인접한 상위와 하위의 두 척추극돌기(spinous process)사이의 극간인 대(interspinous ligment)를 에워싸며 끼워지고, 유선형이며, 추체 인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제 1 암(arm: 110)과 제 2 암(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암(110)과 제 2 암(120)의 형상이 유선형임으로, 제 1 및 제 2 척추극돌기와 마주닿는 면 및 인대와 마주닿는 면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극간인대용 집게 주변의 조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암(110)과 제 2 암(120)이 추체 인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외부의 힘이 척추에 작용하여도,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상위와 하위에 연접해 있는 두 척추극돌기들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고, 추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암(110, 120)의 길이의 범위는 2~4cm이고, 높이의 범위는 0.5~2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집게가 최소 크기로 추체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극간인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는 집게와 인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고정홀(미도시)과 상기 고정홀에 위치하는 고정기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기구(140)도 고정홀에 위치할 수 있고, 극간인대를 뚫어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를 고정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는 내부(10a)와 외부(10b)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는 극간인대용 집게가 추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인체에 무해하고,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티타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티타늄의 강도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의 범위는 0.3 내지 0.9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는 극간인대용 집계의 주변조직에 집계가 맞닿을 때, 주변조직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는 인체에 무해하고,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기존에 척추 임플란트에 사용해오던 각종 폴리머 즉, PTFE, FEP, PFA, PEEK, 카본 파이버 레인포스드 폴리머(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픽 카본 파이버 폴리머(Peek Carbon Fiber 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와 유사하나, 제 1 암(110')과 제 2 암(120') 사이에 중심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130)는 상기 제 1 암(110') 및 제 2 암(120') 보다 위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부(130)로 인해, 외부 충격이 척추에 가해졌을 때, 추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추체들이 서로 어긋나 앞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와 마찬가지로 고정홀(미도시)과 고정홀에 위치하는 고정기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과 고정기구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시술 시, 척추임플란트와 같이 인대를 제거하지 않으므로,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시술이 간편하고, 추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간인대용 집게는 척추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추체들이 서로 어긋나 앞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극간인대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Claims (6)

  1. 인접한 상위와 하위의 두 척추극돌기(spinous process)사이의 극간인대(interspinous ligment)에 끼워지고, 유선형이며 추체 인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제 1 암(arm) 및 제 2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암의 길이의 범위는 2~4cm이고, 높이의 범위는 0.5~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간인대용 집게의 내부는 금속이고, 외부는 고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티타늄(Ti)이고, 상기 고분자는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간인대용 집게는 상기 제 1 암과 제 2 암에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위치하는 고정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과 상기 제 2 암 사이에 중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상기 제 1 암과 제 2 암보다 위아래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간인대용 집게.
KR1020090050322A 2009-06-08 2009-06-08 극간인대용 집게 KR10103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22A KR101033279B1 (ko) 2009-06-08 2009-06-08 극간인대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22A KR101033279B1 (ko) 2009-06-08 2009-06-08 극간인대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26A KR20100131626A (ko) 2010-12-16
KR101033279B1 true KR101033279B1 (ko) 2011-05-09

Family

ID=4350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322A KR101033279B1 (ko) 2009-06-08 2009-06-08 극간인대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2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5766A1 (en) 2007-01-19 2009-04-23 Matthew Thomp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5766A1 (en) 2007-01-19 2009-04-23 Matthew Thomp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26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999B2 (en) Interspinous process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EP2446843B1 (en) Interspinous spacer assembly
US9028532B2 (en) Flexible, sliding, dynamic implant system, for selective stabilization and correction of the vertebral column deformities and instabilities
US20080021466A1 (en) Spin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20120239089A1 (e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JP2009535108A (ja) 棘突起間固定器
JP2013523348A (ja) 椎間インプラント
JP2011143246A (ja) 関節運動式棘突起間クランプ
US10575880B2 (en) Lateral spine stabilization devices and methods
KR20140090987A (ko) 조절 가능한 척추 연신 임플란트
CN201977917U (zh) 非融合弹性棒脊柱内固定系统
AU2016342867C1 (en) Interspinous omnidirectional dynamic stabilization device
JP2011092712A (ja) 棘突起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埋込み方法
US2012001642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transverse process dynamic stabilization
JP2018118047A (ja) 棘突起間充填ブロック及び棘突起間安定化装置
CN101972179B (zh) 一种可调式颈椎椎间融合器
US8882810B2 (en) Crossover spinous process implant
US20110004249A1 (en) Flexible spinal fixation device and rod thereof
WO2007050220A1 (en) Laminar hook spring
JP5311235B2 (ja) 脊椎整復フレーム
KR101033279B1 (ko) 극간인대용 집게
US9398926B2 (en) Interspinous stabilization device
KR101216212B1 (ko) 척추고정용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RU2370232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тазового кольца
KR101397441B1 (ko) 극돌기 안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