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034B1 -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 Google Patents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034B1
KR101033034B1 KR1020080066671A KR20080066671A KR101033034B1 KR 101033034 B1 KR101033034 B1 KR 101033034B1 KR 1020080066671 A KR1020080066671 A KR 1020080066671A KR 20080066671 A KR20080066671 A KR 20080066671A KR 101033034 B1 KR101033034 B1 KR 10103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porcelain
ceramics
orna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444A (ko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영 filed Critical 김수영
Priority to KR102008006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0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6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using a modelling surface, e.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2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producing a copy from an origi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부착되거나 진열대에 올려진 베이스부재에 도자기의 일부분을 입체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손쉽게 도자기를 감상할 수 있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도자기의 일부분이 입체 형상으로 노출되는 조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재에 절단한 도자기의 전면을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자기가 깨질 위험이 없으며, 벽걸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도자기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되살려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즐기고 감상할 수 있다.
도자기, 자기, 절단, 단면, 벽걸이, 액자

Description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Decoration using ceramics}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부착되거나 진열대에 올려진 베이스부재에 도자기의 일부분을 입체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손쉽게 도자기를 감상할 수 있는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가소성(可塑性)이 뛰어난 점토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고열로 소성한 기물로서, 토기나 도기, 석기, 자기를 포함한다.
도자기의 제작 공법에는 물레 성형, 주입 성형(이장 성형), 가압 성형, 토출 성형, 손 성형 등이 있고, 주로 무른 점토나 점토물을 물레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건조시켜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도자기는 주로 전후 및 좌우가 상호 대칭인 둥근 형태여서 감상시 어느면에서 보더라도 동일한 일면의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우리의 우수한 도자기들은 한정된 장소에서만 감상할 수 있어 우리 문화재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장식품이나 기념품으로서 전체를 다 이용하는 경우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특성상 파손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도자기의 감상시 주로 180°정도의 일면만 보인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도자기의 일부만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손쉽게 도자기를 감상할 수 있는 장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도자기의 일부분이 입체 형상으로 노출되는 조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절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절단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형부는 상기 도자기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면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마련된 결합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형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투광성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을 더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재에 절단한 도자기의 전면을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자기가 깨질 위험이 없으며, 벽걸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도자기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되살려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즐기고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국보급 문화재를 모방한 이미테이션 도자기를 이용하여 관광기념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우리나라의 청자나 백자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알리고 보급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의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자기를 이용한 공예품은 크게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재(10)와, 베이스부재(10)의 전면에 지지되는 조형부와, 베이스부재(10)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20)과, 커버(40)를 가진다.
베이스부재(10)는 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부착수단(20)에 의해 벽면에 부착된다. 부착수단(20)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베이스부재(10)의 후면 상부에 나사(25)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23)과, 브라켓(23)에 결합된 삼각형의 고리(21)로 구성된다. 따라서 벽면에 못, 나사 등의 걸이가 형성된 경우 걸이에 고리(21)를 끼움으로써 벽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외에도 베이스부재(10)의 후면에 접착제를 직접 도포하여 벽면에 접착시키거나 못 또는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재(1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턱(13)이 형성되고, 턱(13)에는 커버(40)와 베이스부재(10)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15)가 체결되는 홀(19)이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0)의 전면에는 도자기를 이용한 조형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도자기라 함은 점토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고열로 소성한 질그릇, 오지그릇, 사기그릇 등 기물의 총칭어로서, 진흙을 원료로 하여 빚어서 비교적 낮은 온도로 소성한 도기나 석기, 백토 따위를 원료로 하여 빚은 다음 비교적 고온으로 소성한 자기, 그리고 토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조형부는 도자기를 구성하는 일 부분만이 베이스부재(10)의 전면에 입체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조형부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이등분 한 2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30)를 베이스부재(10)에 설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몸체(30)의 절단면이 베이스부재(10) 방향으 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벽에 걸어놓고 감상시 도자기의 절단면은 보이지 않고 몸체(30)의 외관만 보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의 대칭면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 대칭인 도자기를 이용한다. 이 경우 하나의 도자기를 대칭면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하여 상호 대칭인 2개의 몸체로 이등분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몸체(30)를 베이스부재(10)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도자기는 전후 및 좌우가 상호 대칭구성이기 때문에 도자기는 360°모든 방향에서 관찰시 동일한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호 대칭인 도자기를 이등분하여 2개의 몸체를 형성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몸체만을 이용함으로써 전면에서 감상시 절단되기 전의 도자기의 모습과 동일한 모습으로 감상됨과 동시에 장식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국보 제 68호인 청자상감 운학문 매병을 이미테이션 제작하여 이등분한 몸체 중 하나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도자기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되살려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즐기고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국보급 문화재를 이미테이션하여 제작하고 관광기념상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우리나라의 청자나 백자의 아름다움을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알리고 보급시킬 수 있다.
한편, 조형부는 도자기를 이등분하여 절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삼등분 이상으로 절단하여 그 중 하나의 몸체만으로 이용하거나, 비대칭적으로 절단하여 이등분 된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자기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주둥이가 형성된 상부 몸체나 바닥이 형성된 하부몸체를 조형부로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10)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절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절단면과 결합되는 결합부(17)를 가진다. 따라서 몸체(30)를 베이스부재(10)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몸체(30)의 절단면이 결합부(17)의 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끼움 결합시켜 설치한다. 이외에도 고정도구를 이용하여 베이스부재(10)의 전면에 몸체(30)를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10)는 도시된 사각의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타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부재는 판지나 합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는 한지를 입혀 전통적인 멋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다.
커버(40)는 후면이 개방된 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베이스부재(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턱(13)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의 후면에서 관통되는 나사(15)에 의해 체결된다.
커버(40)는 내부에 수용된 조형부가 잘 보이도록 투광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이나 강화유리를 이용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5)는 사각의 형상뿐만 아니라 전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 조형부가 고정된 베이스부재(10)를 벽면에 부착하여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품은 벽면에 부착되지 않고 진열대나 선반 위에 놓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형부가 설치된 베이스부재(10)의 후면에는 베이스부재(1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후면판(51)이 설치된다. 그리고 후면판(51)의 가장자리에는 측벽(5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식품은 이중 액자의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사각의 배면판(61)과, 배면판(6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사각의 제 1프레임(63)을 가지는 제 1액자(60)의 내부에 제 2액자(70)가 설치된다. 제 2액자(70)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된다. 제 2액자(70)는 배면판(61)에 결합되며 조형부가 설치된 베이스부재(71)와, 베이스부재(7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 2프레임(73)으로 구비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2액자(70) 중 상부 액자에는 국보 제 68호인 청자상감 운학문 매병을 이미테이션 제작하여 이등분한 몸체 중 하나의 몸체(30)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모습을, 하부액자에는 국보 제 116호인 청자상감 모란문 표형병을 이미테이션 제작하여 이등분한 몸체 중 하나의 몸체(35)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도 하부액자에는 상기 상부액자에 설치된 몸체와 이등분된 다른 몸체 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액자의 내부에 제 2액자가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프레임에는 조형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광성의 커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의 사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부재 13: 턱
17: 결합부 20: 부착수단
30: 조형부 40: 커버
51: 후면판 53: 측벽
60: 제 1액자 70: 제 2액자

Claims (6)

  1. 세워져 형성된 판형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도자기의 일부분이 입체 형상으로 노출되는 조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형부는 상기 도자기를 절단하여 잘라진 몸체 중 절단면이 상기 베이스부재로 향하도록 설치된 어느 하나의 몸체이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입되는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절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절단면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투광성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KR1020080066671A 2008-07-09 2008-07-09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KR10103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671A KR101033034B1 (ko) 2008-07-09 2008-07-09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671A KR101033034B1 (ko) 2008-07-09 2008-07-09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44A KR20100006444A (ko) 2010-01-19
KR101033034B1 true KR101033034B1 (ko) 2011-05-09

Family

ID=4181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671A KR101033034B1 (ko) 2008-07-09 2008-07-09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575A (ko) 2015-09-21 2017-03-29 장정우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20190135614A (ko) 2018-05-29 2019-12-09 조경희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102239432B1 (ko) * 2019-05-14 2021-04-12 김경동 도판형 도자기 장식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판형 도자기 장식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766A (ja) * 1994-09-16 1996-04-02 Kuniyoshi Sago 素焼きの陶器製壁掛け式芳香容器
KR20040012654A (ko) * 2003-12-30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0412654Y1 (ko) * 2006-01-18 2006-03-29 김승원 이중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766A (ja) * 1994-09-16 1996-04-02 Kuniyoshi Sago 素焼きの陶器製壁掛け式芳香容器
KR20040012654A (ko) * 2003-12-30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0412654Y1 (ko) * 2006-01-18 2006-03-29 김승원 이중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44A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14037S1 (en) Spacer wedge
USD529398S1 (en) Bottle containing a liquid detergent containing suspended beads
KR101033034B1 (ko)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USD545478S1 (en) Wall mounted light fixture
USD556297S1 (en) Vanity
USD543724S1 (en) Vanity
USD497486S1 (en) Surface configuration of a display wall
USD555897S1 (en) Glass holder
CN201061450Y (zh) 带有立体天空造型构件的佛龛
USD543725S1 (en) Vanity
KR200442457Y1 (ko) 인조보석장식판
CN206841055U (zh) 一种工艺品及版画书
JP3193315U (ja) 納骨壇用扉、納骨壇及びそれを用いた納骨壇列
CN204393977U (zh) 可组拼成多个形态的方相框组件
USD602135S1 (en) Plumbing fixture support
CN217944776U (zh) 一种能发音的陶瓷香蕉摆件
US20040103853A1 (en) Hanging Aquarium
JP3187724U (ja) 額縁
CN205680387U (zh) 一种发光牌
USD516943S1 (en) Personalizable ornament
KR200297696Y1 (ko) 장식 액자
CN204609193U (zh) 组合装饰玻璃
JP3150923U (ja) 立体額縁
USD461274S1 (en) Lamp support arm and hanging rods unit
JP3199831U (ja) 飾り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