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14A -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 Google Patents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14A
KR20190135614A KR1020180060845A KR20180060845A KR20190135614A KR 20190135614 A KR20190135614 A KR 20190135614A KR 1020180060845 A KR1020180060845 A KR 1020180060845A KR 20180060845 A KR20180060845 A KR 20180060845A KR 20190135614 A KR20190135614 A KR 2019013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ranch
hinge
scre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희
Original Assignee
조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희 filed Critical 조경희
Priority to KR102018006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614A/ko
Publication of KR2019013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02A40/2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의 재배지(하우스나 밭 등)에 설치되는 메인 용수관으로 부터 작물이 위치한 다양한 방향으로, 물줄기를 별도로 분기시킬 목적으로 메인용수관에 장치하여 메인용수관과 분기용 파이프 및 분기호스를 연결하는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에 관한것으로 농업용수 분기용 새들의 구조를 개선하여보다 새들의 조립이 편리하고 설치시에 새들이 지면으로 밀착하게 하여 수밀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수 있도록 한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기구를 가진 분기몸체와 받침구를 분할구성하여 하부를 경첩결합하므로서 분기구몸체와 받침구가 절첩되게 구성하며 분기구몸체 및 받침구의 상부에는 각각 반분형의 반분나사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며 분기구몸체 및 받침구의 반분나사를 대향하여 밀착시키면 원통형의 테이퍼나사가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테이퍼형나사에 내측에 테이퍼암나사를 가진 조임구를 나사결합하므로서 분기구몸체와 받침구의 내면이 관형으로 구성되어 용수관고정부로 형성되어 조임부를 풀고 경첩부를 펼쳐서 메인용수관을 투입하고 조임부를 잠금하면 메인용수관이 결합되므로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분기구본체 및 받침구가 경첩으로 일체로 조립구성되므로서 설치작업시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특히 메인용수관에 장치된 새들의 저면부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새들이 조립된 메인용수관이 지면으로부터 뜨는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Agricultural water pipe branch organizations}
본 발명은 농작물의 재배지(하우스나 밭 등)에 설치되는 메인 용수관으로 부터 작물이 위치한 다양한 방향으로, 물줄기를 별도로 분기시킬 목적으로 메인용수관에 장치하여 메인용수관과 분기용 파이프 및 분기호스를 연결하는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에 관한것으로 농업용수 분기용 새들의 구조를 개선하여보다 새들의 조립이 편리하고 설치시에 새들이 지면으로 밀착하게 하여 수밀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수 있도록 한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수를 운반하는 용수관은 급수원으로부터 농업용수를 이송하는 구경이 큰 메인용수관에 다방향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기관 또는 분기호스가 메인용수관에 결합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메인용수관에 분기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관접속부재가 용수관분기용새들이며 통상 메인용수관의 분기위치에 분기구멍을 뚫고 분기관결합부를 가지는 새들을 메인용수관의 분기구멍의 외측을 감싸서 결합하여 분기구멍으로 공급되는 용수는 분기관으로 투입되고 새들은 분기구멍의 외주를 감싸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용수관분기구의 종래 구성을 보면 통상 플랜지형의 용수관분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반분체로 분할된 받침구(401')와, 일측에 결합구(2')를 가지며 결합구(2')의 내측에 통수공(106')을 가지는 반분형의 분기구(1')로 분할구성하고 받침구(401')와 분기구(1')의 내면을 호형으로 형성하여 반분체의 받침구(401) 및 분기구(1')를 결합하면 내측에 용수관결합홈(101')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반분체로 되는 받침구(401') 및 분기구(1')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는 종래 용수관분기구는 받침구(401') 및 분기구(1')의 접촉면 양단을 외측으로 돌출시켜 플랜지(3')를 형성하고 플랜지에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와 조임함으로서 받침구(401')와 분기구(1')가 볼트(B')와 너트(N')의 조임에 의해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종래의 분기구는 다수의 볼트(B') 및 너트(N')를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서 조립시간이 많이 걸려 시설시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볼트(B')와 너트(N')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어 분해가 어렵게 되며 특히 분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다양한 재질의 부품이 사용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출원 제 2010-0006444호와 같이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절개홈(101)을 형성하여 절개된 양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하고 절개홈(101)에 의해 분리되는 양단부 외측에 외향돌출하며 반분형의 조임나사(3)에 외주에 파지홈(402)을 가지며 내측에 암나사(401)를 형성하여서 되는 조임구(4)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있으나 이는 메인용수관의 외주를 감싸는 휘어질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므로서 그 고정강도가 약하게 되어 사용과정에서 계절 및 낮과 밤의 온도차로 인한 합성수지의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고 파이프의 흔들림 및 주변 기계의 소음에 따른 진동과 지나다니는 운반기기등에 의한 외부적환경에 따라 기밀상태가 약해지거나 물이 새는 현상이 발생하여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온도변화에 큰 변동성을 갖는 합성수지 사출제품인 분기용 새들과 새들이 결합하는 메인용수관은 기온이 올라가는 낮(온도상승)에는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는 밤(온도강하)이 되면 수축하기 때문에 양단부가 휘어질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는 상기 선등록출원은 그 팽창비률에 따라 쉽게 누수가 발생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점차적으로 그 기밀력이 약해지게 되는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10-00064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새들이 충분한 강도를 가질수 있도록 두껍게 형성하면서도 새들의 조립 및 결합성을 보다 간편하게 하여 결속력 및 수밀성이 우수한 새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용수의 누수방지와 절감효과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기구를 가진 분기몸체와 받침구를 분할구성하여 하부를 경첩결합하므로서 분기구몸체와 받침구가 절첩되게 구성하며 분기구몸체 및 받침구의 상부에는 각각 반분형의 반분나사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며 분기구몸체 및 받침구의 반분나사를 대향하여 밀착시키면 원통형의 테이퍼나사가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테이퍼형나사에 내측에 테이퍼암나사를 가진 조임구를 나사결합하므로서 분기구몸체와 받침구의 내면이 관형으로 구성되어 용수관고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은 조임부를 풀고 경첩부를 펼쳐서 메인용수관을 투입하고 조임부를 잠금하면 메인용수관이 결합되므로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분기구본체 및 받침구가 경첩으로 일체로 조립구성되므로서 설치작업시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특히 메인용수관에 장치된 새들의 저면부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새들이 조립된 메인용수관이 지면으로 부터 뜨는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구성부품의 수가 적어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 할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가'선 단면예시도
도 4는 도 1의 마-마'선 단면예시도
도 5는 도 1의 나-나'선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첩을 나타낸 저면예시도
도 7의 (다)와(라)는 분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임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9는 종래 새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에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2에서와 같이 분기구몸체(1)와 받침구(2)가 반분형의 관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경첩(A)이 구성되고 상부에 조임부(B)가 구성되어 절첩가능한 관체로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분기구몸체(1)는 반분형관체의 중앙부에 외향돌출하는 분기구(14)가 형성되며 분기구(14)의 중앙부에 분기공(15)을 형성한다.
상기의 분기공(15)은 분기구(14)의 중심에서 분기구몸체(1)를 관통하여 형성하며 분기공(15)의 둘레에는 기밀패킹(16)이 장치된다.
또한 분기공(15)의 일단부는 도7의 (마)에서와 같이 분기구몸체(1)의 내측에서 돌출하는 고정돌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향 돌출하는 고정돌부는 끝의 지름이 작고 분기구몸체(1)에 근접할 수록 그 지름이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구몸체(1)는 하부에 경첩돌부(11)와 경첩홈(12)이 이웃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받침구(2)의 경첩돌부(21) 및 경첩홈(22)과 치합하여 경첩(A)를 구성한다.
또한 분기구몸체(1)의 상부에는 반원형테이퍼로 형성되며 외주에 나사산 반분나사(13)가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또한 후술하는 받침구(2)의 반분나사(23)와 밀착하여 전체적으로 완성된 테이퍼나사로 구성되며 내경이 테이퍼암나사(31)로 구성되며 외측에 파지돌부(32)를 가진 조임구(3)를 결합하여 조임부(B)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분기구는 도7의 (다)(라)에서와 같이 분기구(14)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암나사(18) 또는 수나사(19)를 형성하여 분기관을 나사결합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분기구(14)의 외주에 복수의 고정돌환(17)을 형성한 것은 분기관 및 분기호스를 직접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며 암,수나사(18)(19)를 구성하는 것은 분기관에 공급되는 용수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 등의 분기접속구를 결합하기 위함이며 이는 결합하는 분기접속구의 조립수단에 의해 결정됨으로 그 구성을 특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받침구(2)는 상기 분기구몸체(1)와 대향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경첩돌부(21)와 경첩홈(22)이 교차로 구비하되, 분기구몸체(1)의 경첩돌부(11)와 경첩홈(12)에 치합하도록 형성하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구몸체(1)의 경첩돌부(11)는 받침구(2)의 경첩홈(22)에, 분기구몸체(1)의 경첩홈(12)에는 받침구(2)가 투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분기구몸체(1) 및 받침구(2)의 경첩돌부(11)(21)에는 중심부에 핀공(111)(211)이 형성되어 회동핀을 핀공(111)(211)에 투입하므로서 분기구몸체(1)와 받침구(2)는 하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경첩(A)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구(2)의 상부에는 반원형테이퍼로 형성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반분나사(23)가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며 분기구몸체(1)의 반분나사(13)와 대칭으로 밀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하여 전체적으로 완성된 테이퍼나사로 구성된다.
전술한 상기 조임구(3)는 외측 둘래에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돌부(32)를 구성한 것으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외주에 다수의 음각된 파지홈을 형성하거나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히 조임 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은 먼저 조임부(B)의 조임캡을 분리하면 분기구몸체(1)와 받침구(2)가 경첩(A)을 기준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메인용수관을 분기구몸체(1)와 받침구(2)사이에 투입하고 조임부(B)의 조임캡을 잠금하면 메인용수관에 새들이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메인용수관은 외경이 균일하지 못하고 치수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있때 조임부(B)는 도 8에서와 같이 그 조임량이 조정되며 체결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메인용수관의 외경이 크면 분기구몸체(1) 및 받침구의 대향하는 반분나사(13)(23) 사이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반분나사(13)(23)의 끝부분(테이퍼나사의 굵기가 가늘어지는 부분)에서 체결되는 것이며 반대로 메인용수관의 외경이 작으면 반분나사(13)(23)의 믿부분 즉 테이퍼나사의 굵기가 굵은부분에서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인용수관의 외경치수편차는 조임부(B)의 반분나사 및 테이퍼암나사(31)의 테이퍼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할 것이다.
A : 경첩 B : 조임부
1 : 분기구몸체 11,21 : 경첩돌부
111,211: 핀공 12,22 : 경첩홈
13,23 : 테이퍼반분나사 14 : 분기구
15 : 분기공 16 : 기밀패킹
2 : 받침구 3 : 조임구
31 : 테이퍼암나사 32 : 파지돌부
4 : 회동핀 5 : 용수관
6 : 용수관고정부

Claims (2)

  1. 반분형관체의 중앙부에 외향돌출하는 분기공을 가진 분기구(14)가 형성되며 분기구(14)의 중앙부에 분기공(15)을 형성하며 하부에 경첩돌부(11)와 경첩홈(12)이 이웃하여 형성되며 분기구몸체(1)의 상부에 반원형테이퍼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반분나사(13)가 상향 돌출된 분기구몸체(1)와:
    상기 분기구몸체(1)와 대향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경첩돌부(21)와 경첩홈(22)이 교차로 구비하되, 분기구몸체(1)의 경첩돌부(11)와 경첩홈(12)에 치합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반원형테이퍼로 형성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반분나사(23)가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구(2)와:
    내경이 테이퍼암나사(31)로 구성되며 외측에 파지돌부(32)를 가진 조임구(3):
    로 분할구성하여 분기구몸체(1)과 받침구(2)하부의 경첩돌부11)(21) 및 경첩홈(12)(22)을 치합하고 회동핀(4)로 결합하여 경첩(A)을 구성하고 분기구몸체(1) 및 받침구(2)의 반분나사(13)(23)를 대향 밀착하여 테이퍼암나사(31)를 가진 조임구(3)를 나사결합하여 분기구몸체(1)와 받침구(2)의 내면이 용수관고정부(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분기구(14)는 외주에 수나사(19) 또는 암나사(18) 또는 다수의 고정돌환(17) 중 어느하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용수관 분기구.
KR1020180060845A 2018-05-29 2018-05-29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20190135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45A KR20190135614A (ko) 2018-05-29 2018-05-29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45A KR20190135614A (ko) 2018-05-29 2018-05-29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14A true KR20190135614A (ko) 2019-12-09

Family

ID=6883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45A KR20190135614A (ko) 2018-05-29 2018-05-29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6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44A (ko) 2008-07-09 2010-01-19 김수영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44A (ko) 2008-07-09 2010-01-19 김수영 도자기를 이용한 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41995A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FR2483540A1 (fr) Verin pneumatique ou hydraulique
KR20190135614A (ko)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20080097730A (ko) 관로 이음용 커플링 밴드
US1186621A (en) Pipe-coupling.
EP1724509B1 (en) A variable angle pipe connector
KR20070000842U (ko)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KR20170034575A (ko)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101262540B1 (ko)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KR20110011882U (ko) 용수관 분기용 새들
US11937563B2 (en) Greenhouse
EP2213925B1 (en) Electroweldable fitting made of polyethylene for big-diameter ducts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102100996B1 (ko) 용수관 분기용 새들
TWM530891U (zh) 鏈扣裝置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IL268845B2 (en) A saddle for splitting a water pipe
KR100526893B1 (ko) 밀폐가 확실하고 연결이 간편한 지관이음용 커플링
KR0120525Y1 (ko) 농업용 호스의 분기장치
KR200226892Y1 (ko) 접이형 플랜지가 일체로 부착된 관
JP3924459B2 (ja) 管接続具
JPH0155713B2 (ko)
JP3227187U (ja) 蛇口取付具
KR200489222Y1 (ko) 농업용 물통소켓
KR20020084534A (ko) 관이음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