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15B1 -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 Google Patents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915B1
KR101032915B1 KR1020090060550A KR20090060550A KR101032915B1 KR 101032915 B1 KR101032915 B1 KR 101032915B1 KR 1020090060550 A KR1020090060550 A KR 1020090060550A KR 20090060550 A KR20090060550 A KR 20090060550A KR 101032915 B1 KR101032915 B1 KR 10103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printing
plate cylinder
mova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983A (ko
Inventor
장완섭
Original Assignee
장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섭 filed Critical 장완섭
Priority to KR102009006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27Ink rail devices for inking ink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8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ink ejecting means, e.g. pumps, nozzles

Landscapes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인쇄판이 부착된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쇄유닛의 구조를 특수하게 개선하여 일단 판실린더에 인쇄판이 대각으로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인쇄판을 떼어내지 않음은 물론 인쇄작업 또한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서도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인쇄판을 정위치에 오도록 교정하여 줄 수 있는 고품질 고품격의 라벨인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는 기본적으로 베이스판(400) 상측으로 좌/우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a)(1b)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정역모터(1c)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3)에 인쇄판(4)이 부착되는 판실린더(10)를 결합하고,
상기 판실린더(10) 상측으로는 판실린더(10)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고무롤러(31)를 포함하는 다수의 롤러(30)들을 설치하며,
상기 고무롤러(31)를 포함하는 다수의 롤러(30)들과 연계설치되어 판실린더(10)에 부착된 인쇄판(4)에 인쇄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부(20)를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인쇄유닛(1)을 만들어,
상기 인쇄유닛(1)을 라벨인쇄기(100) 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0)에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 설치하여된 라벨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1)의 베이스판(400)을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는 메인베이스판(410)과,
상면에 인쇄유닛(1) 몸체가 고정설치되는 가동베이스판(430)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가동베이스판(430)을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후단에 힌지결합공(410a)을 형성하여 가동베이스판(430)의 후단을 힌지(431)결합하고,
상기 메인베이스판(410)의 전방 양측면에는 볼트체결공(412)을 형성하여 이 볼트체결공(412)에 각각 상부보다 하부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정볼트(61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600)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고정편(60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정볼트(610) 조정시 가동베이스판(430)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판실린더(10)가 장착된 인쇄유닛(1)이 동시에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짐에 그 특징 있다.

Description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The label printer where the diagonal direction control of the cylinder is possible}
본 발명은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실린더에 인쇄판이 대각으로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 인쇄판을 떼어내지 않음은 물론 인쇄작업 또한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서도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인쇄판을 정위치에 오도록 교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한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라벨인쇄기는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의 인쇄유닛(1)이 설치되는데,
이 인쇄유닛(1)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에 인쇄판(4)이 부착되는 판실린더(10)가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판실린더(10)의 상측에는 잉크공급부(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싱기 잉크공급부(20)와 판실린더(10)는 판실린더(10)에 부착된 인쇄판(4)에 인쇄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롤러(30)들과 연계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원단이 판실린더(10)와 이 판실린더(10)와 밀 착회전되는 고무롤러(31)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인쇄판(4)에 새겨진 도안이 잉크색상대로 인쇄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라벨인쇄기(100)를 이용하여 라벨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도안이 새겨진 인쇄판(4)을 인쇄유닛(1)에 설치된 판실린더(10)의 표면에 부착하는 작업을 선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라벨인쇄기(100)는 인쇄유닛(1)에 판실린더(10)를 착탈식(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와같이 판실린더(10)를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인쇄판(4)을 설치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판실린더(10)를 인쇄유닛(1)으로부터 분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먼저 록킹핀(11)를 빼내서 고정플랜지(12)를 제거하여야 하며,
그런다음 판실린더스패너(6)를 이용하여 판실린더(10)를 고정하고 있는 판실린더고정너트(13)를 분해하여야만 회전축(3)에 축결합된 판실린더(10)를 분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판실린더(10)가 분해되면 이를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로 구성된 판부착기(200)의 실린더고정축(210)에 고정한 후 판실린더(10) 표면에 양면접착테이프(5)를 붙인 다음 그 위에 도안이 새겨진 인쇄판(4)을 붙여야 한다.
이때, 상기 인쇄판(4)이 정위치에 부착되도록 판실린더(10) 및 투명커 버(220)에 형성된 눈금(221)을 참조하여 붙이게 되며 붙인 후에는 인쇄판(4)을 잘 문질러 주어 판실린더(10)와 인쇄판(4)의 접착부위에 공기방울(기포)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같이 하여 인쇄판(4)의 부착이 완료되면 판부착기(200)로 부터 판실린더(10)를 빼낸 다음 이 판실린더(10)를 분해의 역순 즉, 판실린더(10)를 인쇄유닛(1)에 구비되는 회전축(3)에 다시 결합한다음 판실린더(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판실린더스패너(6)를 이용하여 판실린더고정너트(13)를 나사결합하고,
그런후에는 고정플랜지(12)를 결합하고 록킹핀(11)를 결합하여 판실린더(10)를 원래대로 조립하여야 한다.
이후 라벨인쇄기(100)를 가동하여 라벨인쇄 결과를 시험 테스트하여 봄으로써 판실린더(10)의 정확한 위치에 인쇄판(4)이 부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약 라벨인쇄가 잘못된 경우에는 인쇄판(4)이 잘못 부착된 것이 분명하므로 이때에는 상기 인쇄유닛(1)으로부터 판실린더(10)를 분해하고 인쇄판(4)을 재부착한 다음 분해했던 판실린더(10)를 다시 재조립하는 방법을 반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판실린더(10) 착탈식(분해 조립식) 인쇄유닛(1)이 구성된 종래의 라벨인쇄기(100)를 사용하게 되면,
인쇄판(4)을 판실린더(10) 표면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고도의 숙련자가 필요함은 물론 인쇄판(4)을 정위치에 부착설치 하거나 새로 교체하는데 따르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고 실질적인 인쇄가동시간이 크게 줄어드는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업능률이 현 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판실린더(10)의 빈번한 분해/조립에 따른 판실린더(10)나 회전축(3)의 마모나 훼손으로 인하여 판실린더(10)의 조립상태가 나빠져 인쇄상태가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도 역시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본인에 의해 동일자 특허출원되는 라벨인쇄기가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3a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인쇄판(4)이 판실린더(10)의 정위치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측면커버체(300)에 구비된 유닛이송스위치(310)를 조작하여 정역모터(1c)를 가동시켜 인쇄유닛(1)몸체를 인쇄원단 진행방향으로 전/후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과,
상기 인쇄유닛(1) 하측의 메인베이스판(410) 전방의 전면판(411)에 결합된 리드스크류(500)를 조정손잡이(510)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별도로 안착시킨 가동베이스판(420)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어 가동베이스판(420) 상면에 고정설치된 인쇄유닛(1)을 인쇄원단 폭방향으로 좌/우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되어 있어서,
상기 인쇄판(4)이 판실린더(10)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는 인쇄유닛(1)끼리의 간격조절용 이송모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발명은 판실린더(10)에 인쇄판(4)이 대각선으로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여 줄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인쇄판(4)이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에는 판실린더(10)에서 인쇄판(4)을 떼어낸 다음 이를 인쇄판(4)이 삐뚤어지지 않게 다시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만 하였다.
그런데 이와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라벨인쇄기(100)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만약 6도 인쇄의 경우에는 인쇄유닛(1) 6개중 어느 하나의 인쇄유닛(1)에 부착된 인쇄판(4)이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라 할지라도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6개의 인쇄유닛(1) 전체를 모두 정지시켜 주어야 한다.
따라서, 한번 라벨인쇄기(100)를 정지시키게 되면 인쇄판(4)을 다시 부착하는 작업을 하는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물론,
많은 양의 인쇄원단이 그대로 불량처리되어지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하였다.
더군다나 이러한 작업을 수차례 반복하게 되면 재료의 낭비는 더욱 더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판실린더 착탈식(분해/조립식) 인쇄유닛이 장착된 라벨인쇄기는 물론 본인의 동일자 특허출원되는 발명에서와 같이 판실린더 고정식 인쇄유닛이 장착된 라벨인쇄기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쇄판이 부착된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쇄유닛의 구조를 특수하게 개선하여 일단 판실린더에 인쇄판이 대각으로 삐뚤어지게 부착된 경우 가 발생하더라도 인쇄판을 떼어내지 않음은 물론 인쇄작업 또한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서도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인쇄판을 정위치에 오도록 교정하여 줄 수 있는 고품질 고품격의 라벨인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는 베이스판 상측으로 좌/우 한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정역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에 인쇄판이 부착되는 판실린더를 결합하고,
상기 판실린더 상측으로는 판실린더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들을 설치하며,
상기 다수의 롤러들과 연계설치되어 판실린더에 부착된 인쇄판에 인쇄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부를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인쇄유닛을 만들어,
상기 인쇄유닛을 기기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 설치하여된 라벨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의 베이스판을 기기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메인베이스판과,
상면에 인쇄유닛 몸체가 고정설치되는 가동베이스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가동베이스판을 메인베이스판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메인베이스판 후단에 힌지결합공을 형성하여 가동베이스판의 후단을 힌 지결합하고,
상기 메인베이스판의 전방 양측면에는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이 볼트체결공에 각각 상부보다 하부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정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고정편의 상부에 결합된 조정볼트 조정시 가동베이스판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판실린더가 장착된 인쇄유닛이 동시에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는 판실린더에서 인쇄판을 떼어내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 인쇄작업 또한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서도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인쇄판을 정위치에 오도록 교정하여 줄 수 있으므로 인쇄원단의 로스량을 최대한 줄여 주면서도 양질의 라벨인쇄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판실린더의 대각방향을 조정전에 미리 또다른 가동베이스판을 이송시켜 이의 상면에 힌지결합된 채로 안착되어진 가동베이스판 상면에 고정설치된 인쇄유닛을 인쇄원단 폭방향으로 좌/우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인쇄판이 정위치에 붙지 않은 것까지도 미리 손쉽고 간편하게 모두 교정할 수 있는 잇점도 동시에 발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라벨인쇄기는 인쇄원단의 소모량을 절약하면서도 인쇄품질 또한 기존의 여타한 라벨인쇄기보다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커다란 잇점이 있는 것이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인쇄판의 부착이 용이한 라벨인쇄기는 첨부도면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의 인쇄유닛(1)이 설치되는데,
이 인쇄유닛(1)에는 정역모터(1c)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에 인쇄판(4)이 부착되는 판실린더(10)가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판실린더(10)의 상측에는 판실린더(10)에 부착된 인쇄판(4)에 인쇄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30)들과 연계설치되는 잉크공급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쇄유닛(1)은 하측의 베이스판(400)이 라벨인쇄기(100) 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어져 인쇄원단 진행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인쇄판의 부착이 용이한 라벨인쇄기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상기 인쇄유닛(1)의 베이스판(400)을 라벨인쇄기(100) 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는 메인베이스판(410)과,
상면에 인쇄유닛(1) 몸체가 고정설치되는 가동베이스판(430)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가동베이스판(430)을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후단에 힌지결합공(410a)을 형성하여 가동베이스 판(430)의 후단을 힌지(431)결합하고,
상기 메인베이스판(410)의 전방 양측면에는 볼트체결공(412)을 형성하여 이 볼트체결공(412)에 각각 상부보다 하부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정볼트(61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600)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고정편(60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정볼트(610) 조정시 가동베이스판(430)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판실린더(10)가 장착된 인쇄유닛(1)이 동시에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또다른 가동베이스판(420)을 안착시킨다음 이 가동베이스판(420)을 메인베이스판(410) 전방의 전면판(411)에 구비되는 조정손잡이(510)를 가지는 리드스크류(500)에 나사결합하여 조정손잡이(510)를 이용 리드스크류(500)를 회전시켜 가동베이스판(420)을 좌/우로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이 가동베이스판(420) 후단에 가동베이스판(430)의 후단을 힌지(431)결합한다음 상기 가동베이스판(420)의 전방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421)에 조정볼트(61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600)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 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인쇄유닛(1)에 장착된 판실린더(10)에 인쇄판(4)을 부착한 상태에서 라벨인쇄기(100)를 시험가동하면서 인쇄상태를 살피던 중 판실린더(10)에 인쇄판(4)이 대각으로 삐뚤어지게 부착된 사실을 발견하게 되면 그 즉시 메인베이스판(410)의 전방 양측면에 각각 하부가 볼트체결 되어진 상태의 고정편(600) 상부에 결합된 조정볼트(610)를 풀거나 조여서 가동베이스판(430) 측면을 푸쉬하여 가동베이스판(430) 전방을 힌지(431)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시켜 주면 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가동베이스판(430)의 상면에는 판실린더(10)가 장착된 인쇄유닛(1)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인쇄유닛(1)이 가동베이스판(4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판실린더(10)의 대각방향이 조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판실린더(10)에서 인쇄판(4)을 떼어내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 인쇄작업 또한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면서도 판실린더(10)의 대각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인쇄판(4)을 정위치에 오도록 교정하여 줄 수 있으므로 인쇄원단의 로스량을 최대한 줄여 주면서도 양질의 라벨인쇄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도5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가동베이스판(420)의 양측면에 볼트체결된 고정편(600)에 구비된 조정볼트(610)를 조정하면 가동베이스판(430)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동베이스판(430) 상면에 설치된 인쇄유닛(1)이 동시 회전되므로 판실린더(10)의 대각방향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판실린더(10)의 대각방향을 조정전에 미리 상기 메인베이스판(410)의 전면판(411)에 결합된 조정손잡이(510)를 이용 리드스크류(500)를 회전시켜 가동베이스판(420)을 좌/우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가동베이스판(420) 상면에 고정설치된 가동베이스판(430) 및 인쇄유닛(1) 몸체 또한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켜 인쇄유닛(1)을 인쇄원단 폭방향으로 좌/우 조정까지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더 편리하고 완벽하게 양질의 라벨인쇄를 할 수 있다.
도1a,도1b,도1c는 종래 인쇄라벨기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1a는 일반적 인쇄라밸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상태 측면도.
도1b는 종래 인쇄유닛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c는 판실린더의 분해 상태도.
도2는 인쇄판 부착용 판부착기의 사용상태도.
도3a,도3b,도3c는 본인의 동일자 특허출원된 인쇄라벨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상태도로서,
도3a는 인쇄유닛의 요부 구성상태 사시도.
도3b는 인쇄유닛의 정역모터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c는 인쇄유닛의 요부 구성상태 정면도.
도4a,도4b,도4c는 본 발명의 인쇄라벨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상태도로서,
도4a는 인쇄유닛의 전체 구성상태 사시도.
도4b는 인쇄유닛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4c는 인쇄유닛의 요부 작동상태도.
도5a,도5b,도5c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도5a는 또 다른 가동베이스판을 설치한 상태 측면도.
도5b는 또 다른 가동베이스판을 설치한 상태 사시도.
도5c는 도5a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인쇄유닛 1c:정역모터
3:회전축 4:인쇄판
5:양면접착테이프 10:판실린더
20:잉크공급부 30:롤러
31:고무롤러 100:라벨인쇄기
300:측면커버체 310:유닛이송스위치
320:프린팅/조그스위치 400:베이스판
410:메인베이스판 411:전면판
412,421:볼트체결공 420,430:가동베이스판
431:힌지 500:리드스크류
510:조정손잡이 600:고정편
610:조정볼트

Claims (2)

  1. 베이스판(400) 상측으로 좌/우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a)(1b)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정역모터(1c)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3)에 인쇄판(4)이 부착되는 판실린더(10)를 결합하고,
    상기 판실린더(10) 상측으로는 판실린더(10)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고무롤러(31)를 포함하는 다수의 롤러(30)들을 설치하며,
    상기 고무롤러(31)를 포함하는 다수의 롤러(30)들과 연계설치되어 판실린더(10)에 부착된 인쇄판(4)에 인쇄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부(20)를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인쇄유닛(1)을 만들어,
    상기 인쇄유닛(1)을 라벨인쇄기(100) 본체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0)에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 설치하여된 라벨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1)의 베이스판(400)을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는 메인베이스판(410)과,
    상면에 인쇄유닛(1) 몸체가 고정설치되는 가동베이스판(430)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가동베이스판(430)을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후단에 힌지결합공(410a)을 형성하여 가동베이스판(430)의 후단을 힌지(431)결합하고,
    상기 메인베이스판(410)의 전방 양측면에는 볼트체결공(412)을 형성하여 이 볼트체결공(412)에 각각 상부보다 하부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조정볼트(61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600)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고정편(60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정볼트(610) 조정시 가동베이스판(430)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431)를 중심으로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판실린더(10)가 장착된 인쇄유닛(1)이 동시에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판(410) 상면에 또다른 가동베이스판(420)을 안착시킨다음 이 가동베이스판(420)을 메인베이스판(410) 전방의 전면판(411)에 구비되는 조정손잡이(510)를 가지는 리드스크류(500)에 나사결합하여 조정손잡이(510)를 이용 리드스크류(500)를 회전시켜 가동베이스판(420)을 좌/우로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베이스판(420) 후단에 가동베이스판(430)의 후단을 힌지(431)결합한다음 상기 가동베이스판(420)의 전방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421)에 조정볼트(61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편(600)의 하부를 볼트체결하여 조정볼트(610)를 이용 가동베이스판(430)의 전방이 후방의 힌지(431)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KR1020090060550A 2009-07-03 2009-07-03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KR10103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50A KR101032915B1 (ko) 2009-07-03 2009-07-03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50A KR101032915B1 (ko) 2009-07-03 2009-07-03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83A KR20110002983A (ko) 2011-01-11
KR101032915B1 true KR101032915B1 (ko) 2011-05-06

Family

ID=4361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550A KR101032915B1 (ko) 2009-07-03 2009-07-03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5696A (zh) * 2021-01-18 2021-06-04 王秋萍 一种无纺布生产用印花夹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441Y1 (ko) * 1988-05-24 1990-07-26 주식회사 삼우기계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JPH0584891A (ja) * 1991-09-27 1993-04-06 Tokyo Electric Co Ltd シート巻付装置
KR0168228B1 (ko) * 1995-06-29 1999-05-01 김주용 인쇄기의 인쇄위치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9018586A (ja) 2007-07-13 2009-01-29 Heidelberger Druckmas Ag 印刷機内の版板を交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441Y1 (ko) * 1988-05-24 1990-07-26 주식회사 삼우기계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JPH0584891A (ja) * 1991-09-27 1993-04-06 Tokyo Electric Co Ltd シート巻付装置
KR0168228B1 (ko) * 1995-06-29 1999-05-01 김주용 인쇄기의 인쇄위치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9018586A (ja) 2007-07-13 2009-01-29 Heidelberger Druckmas Ag 印刷機内の版板を交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5696A (zh) * 2021-01-18 2021-06-04 王秋萍 一种无纺布生产用印花夹持装置
CN112895696B (zh) * 2021-01-18 2021-12-31 兰溪市睿恒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用印花夹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83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353B2 (en) Intaglio printing press with mobile carriage supporting ink-collecting cylinder
US9579881B2 (en) Rotary screen printing press
JP3604785B2 (ja) 印刷機のシリンダ洗浄装置
JPH07106628B2 (ja) コ−タ−機能を兼備する印刷機
GB2259056A (en) Dampening unit for an offset printing machine
KR101032915B1 (ko)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US4688483A (en) Clamping device for a printing plate of an offset printing machine
CN209756412U (zh) 一种印刷机正反版印刷翻转机构
JP4527247B2 (ja) 輪転印刷機のインキ壷装置
KR101032914B1 (ko) 인쇄판의 부착이 용이한 라벨인쇄기 및 인쇄판 부착방법
JPH0725000A (ja) 印刷機の版胴に版板を見当合せに対応して正確に張設するための装置
CN211138525U (zh) 印刷设备用印刷辊调节装置
US20180257365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CN213167375U (zh) 一种机组式多色印刷机
CN219028836U (zh) 一种ps版全轮转标签胶印机的压轮机构
CN219883551U (zh) 一种平张喷墨印刷机喷墨滚筒防鼓纸、乱纸机构
CN201033480Y (zh) 塑杯彩绘机
CN220410011U (zh) 一种柔版印刷机的挡墨片夹紧装置
JP3272660B2 (ja) 印刷機のシリンダにおける面材取り付け装置
KR100669894B1 (ko) 마그네틱 실린더를 갖는 라벨 인쇄기
CN117734296A (zh) 全自动无纺布双色丝网印刷机
KR200409120Y1 (ko) 인쇄기용 인쇄원단 가이드장치
KR20110107678A (ko) 인쇄 장치용 닥터링 유닛
GB2243330A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2011116126A (ja) 転写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