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82B1 -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82B1
KR101032782B1 KR1020090032333A KR20090032333A KR101032782B1 KR 101032782 B1 KR101032782 B1 KR 101032782B1 KR 1020090032333 A KR1020090032333 A KR 1020090032333A KR 20090032333 A KR20090032333 A KR 20090032333A KR 101032782 B1 KR101032782 B1 KR 10103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ir pressure
resin
air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818A (ko
Inventor
전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9003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에 의해 동선(銅線)이 보호되는 전선의 내부로 공기압을 이용하여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동선과 피복 사이에 발생되는 공극을 완전하게 밀폐시켜 방수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며 상기 수지를 접속단자와 전선이 연결된 부위에 일정량 적하시키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수용탱크를 이동시키는 지그;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에 적하된 수지가 상기 전선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압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방수, 수지, 압력

Description

전선용 방수처리장치{DEVICE OF COATING FOR PREVENTING LEAK IN CABLE}
본 발명은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복에 의해 동선(銅線)이 보호되는 전선의 내부로 공기압을 이용하여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동선과 피복 사이에 발생되는 공극을 완전하게 밀폐시켜 방수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라고 불리는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란 전자제품의 각종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커넥터가 암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쌍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암수 커넥터에는 전선이 연결된다.
여기서, 수 커넥터는 내부에 통상 4개의 접속핀을 가지는 스플라이스팩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된 후, 이 스플라이스팩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플라이스팩이 끼워진 부위가 캡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암 커넥터는 수 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핀홀에는 접속핀이 삽입되는 압착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압착단자에 외부의 전선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선을 커넥터나 또는 전기부품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선 을 접속단자에 연결한 후 접속단자를 커넥터나 또는 전기부품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접속단자에 전선을 연결할 때에는 전선의 피복과 동선을 접속단자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자에 고정된 전선 부위에 수지를 도포하여 전선을 방수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선 방수처리 방법은 접속단자와 전선이 연결된 부위에 단순하게 수지를 도포하여 방수처리 하므로, 수지가 동선과 피복 사이로 침투되지 않아 전선을 완전하게 방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선 방수처리 방법은 전선을 방수처리 한 후 전선을 물에 입수시켜 방수처리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별도의 방수검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 방수처리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속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위에 방수용 수지를 도포한 후 공기압을 이용하여 수지를 전선의 피복 내부로 주입시켜 동선과 피복 사이에 발생되는 공극을 완전하게 밀폐시킴으로써, 방수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압을 통해 전선의 피복 내부로 수지를 주입시킨 후 피복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전선의 방수처리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전선의 방수처리와 방수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며 상기 수지를 접속단자와 전선이 연결된 부위에 일정량 적하시키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수용탱크를 이동시키는 지그;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에 적하된 수지가 상기 전선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압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는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거치되는 지지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상기 전선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탱크의 수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봉과;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수직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용탱크가 고정되는 제2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에는 상기 제2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탱크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는 상기 전선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측정기는 상기 전선의 내부가 감안된 상태의 공기압 및 상기 전선의 내부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각각 측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과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튜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기압 측정기가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는 폴리 염화비닐, 페놀수지 및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접속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위에 방수용 수지가 적하된 후 전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동선과 피복 사이로 수지가 주입되어 의해 충진되므로, 전선이 완전하게 밀폐되어 방수효과가 상승된다.
또한, 수지를 통해 전선이 방수 처리된 후 전선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선의 방수처리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방수처리와 방수검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의해 방수 처리되는 전선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탱크(110)와, 이 수용탱크(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120) 및 전선(10)에 연결되어 전선(10)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전선(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 조절기(130)를 포함한다. 또한, 방수처리장치(100)에는 전선(1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140)가 더 포함된다.
전선(10)은 전류가 통전되는 동선(11)과 이 동선(11)을 보호하기 위한 피복(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에 접속단자(20)가 연결된다. 또한, 전선(10)은 그 일단부의 피복(13) 일부가 박피된 후, 피복(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동선(11)이 접속단자(20)에 고정된다. 이처럼 접속단자(20)가 연결된 전선(10)은 그 연결된 일단부가 수용탱크(110)에서 적하되는 수지에 의해 방수 처리된다.
수용탱크(110)는 수지가 수용되는 케이스(111)와, 이 케이스(111)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지가 배출되는 노즐(113)과, 케이스(111)를 밀폐시키며 튜브(101)를 통해 공기압 조절기(130)에 연결되는 덮개(1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용탱크(110)는 공기압 조절기(130)로부터 케이스(11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수지가 전선(10)으로 일정량씩 적하된다. 이때, 수용탱크(110)는 노즐(113)에 의해 수지가 전선(10)의 정확한 부위로 배출된다.
한편, 공기압 조절기(130)에 의해 수용탱크(110)에서 배출되는 수지의 토출양은 공기압 조절기(130)에서 수용탱크(110)로 가해지는 공기압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압 조절기(130)의 제어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도시생략)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용탱크(110)가 설치되는 지그(120)는 수용탱크(110)가 상하, 좌우 이동 및 회전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수용탱크(110)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지그(120)는 베이스블록(121)과, 이 베이스블록(1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가이드봉(123)과, 이 제1 가이드봉(123)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125)과, 이 이동블록(12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탱크(110)가 고정되는 제2 가이드봉(127)을 포함한다.
베이스블록(121)은 지지대(14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 제1 가이드봉(123)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동블록(125)에는 제1 가이드봉(123)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봉(123)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구멍(125a)과, 제2 가이드봉(127)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봉(127)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구멍(125b)이 각각 형성 된다. 이때, 이동블록(125)의 제1 및 제2 가이드구멍(125a, 125b)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제1 가이드봉(123)과 제2 가이드봉(127)이 수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동블록(125)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봉(123, 127)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125c)가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스톱퍼(125c)가 이동블록(125)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봉(123, 127)에 접촉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봉(123, 127)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125c)가 이동블록(125)에 체결되는 볼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이드봉(123, 127)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이동블록(125)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봉(123, 127)의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봉(127)에는 수용탱크(110)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129)가 결합된다. 거치대(129)에는 수용탱크(110)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탱크(110)의 케이스(111)및 노즐(113)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고정구멍(129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그(120)는 제1 가이드봉(123)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록(125)을 통해 수용탱크(110)가 상하로 이동되고, 이동블록(125)의 제2 가이드구멍(125b)에서 이동되는 제2 가이드봉(127)을 통해 수용탱크(110)가 좌우로 이동되며, 제1 가이드봉(123)에서 회전되는 이동블록(125) 및 이동블록(125)에서 회 전되는 제1 가이드봉(123)을 통해 수용탱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압 조절기(130)는 튜브(101)를 통해 전선(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전선(10)의 피복(13)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피복(13)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또한, 공기압 조절기(130)에는 전선(10)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이 표시되는 게이지(131) 및 수용탱크(110)로 공급되는 공기압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3)가 각각 마련된다.
한편, 수용탱크(110)에 의해 접속단자(20)와 전선(10)의 연결부위에 수지가 적하된 상태에서 공기압 조절기(130)가 전선(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전선(10)에 적하된 수지가 압력에 의해 피복(13)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동선(11)과 피복(13) 사이로 주입되어 충진된다. 이로 인하여, 수지가 전선(10)의 피복(13) 내부로 일정거리 침투되면서 동선(11)과 피복(13) 사이가 수지에 의해 완전하게 밀폐되어 방수 처리된다.
더하여, 수지가 전선(10)에 흡입되어 전선(10)이 방수 처리된 후 전선(10)이 밀폐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기압 조절기(130)에서 전선(10)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공기압 조절기(1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전선(10)의 밀폐된 부위로 배출되지 않고 전선(10)의 내부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선(10)이 밀폐된 것이므로, 별도의 방수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전선(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때 공기가 전선(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면 전선(10)이 밀폐된 상태가 아니므로, 전선(10)이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전선(10)에 수지를 더 적하시킨 후 공기압 조절기(130)를 통해 전선(10) 내부의 공기압을 감압시켜 전선(10) 내부에 수지를 더 침투시킨다.
즉, 공기압 조절기(130)를 통해 전선(10)의 내부를 감압 또는 전선(1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전선(10)의 방수처리 및 방수검사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수처리장치(100)에는 전선(10)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전선(10)과 공기압 조절기(130)를 연결하는 튜브(101)에 연결되어 전선(10)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기(150)가 더 포함된다.
공기압 측정기(150)는 전선(10)의 내부 공기가 감압된 상태의 공기압 및 방수 처리된 전선(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 상태의 공기압이 각각 측정된다. 이를 위하여 공기압 측정기(150)에는 전선(10)과 공기압 조절기(130)를 연결하는 튜브(101)에서 각각의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튜브(101)에 각각 연결되는 보조튜브(103)가 더 마련된다. 그리고 공기압 측정기(150)에는 각각의 보조튜브(103)를 통해 측정되는 공기압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각각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40)에는 전선(10)의 접속단자(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141)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지로는 폴리 염화비닐, 페놀수지 및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접속단자(20)가 접속된 전선(10)을 지지대(140)에 고정시킨 후, 그 타 단부가 공기압 조절기(130) 및 공기압 측정기(1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튜브(10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단자(20)와 연결된 전선(10) 부위에 수지가 일정량 적하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패널을 조작하면 공기압 조절기(130)가 작동되면서 공기압 조절기(130)에서 압축공기가 수용탱크(110)로 일정시간 동안 공급된다.
그리고 전선(10)과 연결된 공기압 조절기(130)가 전선(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전선(10) 내부가 감압되면서 전선(10)에 적하된 수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 피복(13)의 내부로 흡입되어 동선(11)과 피복(13) 사이로 주입되어 충진된다. 이로 인하여, 수지가 전선(10)의 피복(13) 내부로 일정거리 침투되면서 동선(11)과 피복(13) 사이가 수지에 의해 방수 처리된다.
이후, 수지가 전선(10)에 흡입되어 전선(10)이 방수 처리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기압 조절기(130)를 이용하여 전선(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전선(10)의 방수검사를 진행한다. 이때, 공기압 조절기(1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전선(10)의 밀폐된 부위로 배출되지 않고 전선(10)의 내부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선(10)이 완전하게 밀폐된다.
또한, 방수검사를 통해 전선(10)이 완전하게 밀폐되어 있지 않으면 수지를 더 적하시킨 후 전선(10)을 또 다시 방수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선(10)의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수처리장치(100)는 공기압 조절기(130) 및 공기압 측정기(150)를 통해 전선(10)의 방수처리와 방수검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 음은 물론 전선(10)에서 불량 발생시 방수처리 및 방수검사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전선(10)의 불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방수처리장치에 의해 방수 처리되는 전선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방수처리장치 10 : 전선
11 : 동선 13 : 피복
20 : 접속단자 110 : 수용탱크
120 : 지그 130 : 공기압 조절기
150 : 공기압 측정기

Claims (10)

  1. 내부에 수지가 수용되며 상기 수지를 접속단자와 전선이 연결된 부위에 일정량 적하시키는 수용탱크; 상기 수용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수용탱크를 이동시키는 지그;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에 적하된 수지가 상기 전선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압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탱크의 수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연결된 접속단자가 거치되는 지지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상기 전선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봉;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수직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용탱크가 고정되는 제2 가이드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상기 제2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탱크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측정기는 상기 전선의 내부가 감안된 상태의 공기압 및 상기 전선의 내부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각각 측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상기 공기압 조절기는 튜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기압 측정기가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 염화비닐, 페놀수지 및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KR1020090032333A 2009-04-14 2009-04-14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KR10103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33A KR101032782B1 (ko) 2009-04-14 2009-04-14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33A KR101032782B1 (ko) 2009-04-14 2009-04-14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18A KR20100113818A (ko) 2010-10-22
KR101032782B1 true KR101032782B1 (ko) 2011-05-09

Family

ID=4313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333A KR101032782B1 (ko) 2009-04-14 2009-04-14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06B1 (ko) * 2013-08-26 2015-03-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의 방수장치
KR102644319B1 (ko) * 2023-06-30 2024-03-05 박성욱 발수성 및 유연성을 갖는 접지용 코팅 전선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246A (ja) * 1996-03-12 1997-11-28 Yazaki Corp 電線束の防水加工方法及び防水加工装置
JP2007052991A (ja) 2005-08-17 2007-03-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電線及びその防水処理方法
JP2007287647A (ja) 2006-03-22 2007-11-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芯線の止水処理構造及び電線芯線の止水処理方法
JP2008053015A (ja) * 2006-08-23 2008-03-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水剤の浸透促進方法及び防水剤の浸透検査方法並びに電線の防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246A (ja) * 1996-03-12 1997-11-28 Yazaki Corp 電線束の防水加工方法及び防水加工装置
JP2007052991A (ja) 2005-08-17 2007-03-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電線及びその防水処理方法
JP2007287647A (ja) 2006-03-22 2007-11-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芯線の止水処理構造及び電線芯線の止水処理方法
JP2008053015A (ja) * 2006-08-23 2008-03-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水剤の浸透促進方法及び防水剤の浸透検査方法並びに電線の防水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18A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0645B (zh) 车载电线类的止水处理方法
US20120134076A1 (en) Partially compound-filled power suppl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032782B1 (ko) 전선용 방수처리장치
US104810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charging socket to supply electric energy to an energy reservoir of a vehicle
US7165983B1 (en) Access cover configured to receive a testing device
CN104505675B (zh) 一种高耐压密封连接器及其电缆制作方法
CN104682156A (zh) 一种高密度电连接器的灌封工艺方法
US8525525B2 (en) Conductivity test jig, conductivity test apparatus having conductivity test jig, and a method of testing conductivity
JP5721900B2 (ja) 差込み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のためのハウジングの密封法
RU2659354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US8111167B2 (en) Level indicator and process for assembling a level indicator
KR101692638B1 (ko)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US1002062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water-tight plug connector
CN114814300A (zh) 用于航天器低频电缆测试的转接装置
CN111999003B (zh) 气密检测与导通检测结合用治具
CN111458540A (zh) 连接器件以及电子设备
EP2333794A1 (en) Water stop treatment device of wire terminal and water stop treatment method
CN105899961A (zh) 导通检查装置和导通检查单元
KR101046442B1 (ko) 전선의 방수처리방법
CN212514676U (zh) 连接器件以及电子设备
JP6687093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止水具を備えた止水構造
CN208621259U (zh) 线束防水测试工装
KR101892646B1 (ko) 프로브 카드 저누설전류 측정장치
KR101095907B1 (ko) 검사용 소켓
JP201005594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コネクタホルダ並びに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