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646B1 - 박막형 연결체 - Google Patents
박막형 연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2646B1 KR101032646B1 KR1020080097411A KR20080097411A KR101032646B1 KR 101032646 B1 KR101032646 B1 KR 101032646B1 KR 1020080097411 A KR1020080097411 A KR 1020080097411A KR 20080097411 A KR20080097411 A KR 20080097411A KR 101032646 B1 KR101032646 B1 KR 101032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substrate
- pressing member
- fram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형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기판의 패드와 제2기판의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박막형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마주보며 상기 제1기판의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세워지며 걸림부가 마련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기판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각각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도전부를 구비하는 탄성도전시트; 및
상기 제2기판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그 제2기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그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는 제2기판의 단자가 탄성도전시트의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제1기판, 프레임, 도전시트, 제2기판, 가압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박막형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두께가 감소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며 확실한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박막형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결체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착탈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부품의 일종이다. 즉, 연결체는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전원등의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를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자들 사이의 간격(피치)가 좁아지게 되어 이러한 단자를 들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협피치 연결체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협피치 연결체는 소형화가 요구되는 LCD 패널,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되며, 연결체에 대한 기술력은 단자와 단자사이의 피치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와, 전체적인 연결체의 높이를 얼마나 낮출 수 있는 지가 관건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협피치 연결체산업은 금형 설계/ 제작기술, 사출/프레스 기술, 완성품업체와의 협력관계, 최신 제조설비에 필요한 지속적인 자금 투자 등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연결체(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연결체에서는, 일단은 제1기판(110)에 암연결체(140)가 장착되고, 이 암연결체(140)에 대응하는 수연결체(120)는 제2기판(130)에 설치된다(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각각의 암연결체(140) 및 수연결체(120)는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30)에 SMT 납땜처리되어 실장된다. 이러한, 제2기판(130)을 제1기판(110)과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암연결체(140)와 수연결체(120)를 접속한다. 암연결체(140)와 수연결체(120)의 접속 구조는 다양하지만, 전형적으로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암연결체(140)와 수연결체(120) 간에 상호 연결되어야 할 탄성 콘택터(접촉편)(150, 150')가 있고, 양자의 하우징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하우징 부분(160, 160')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로연결 방식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콘택터(150, 150')가 서로 걸어맞춤됨에 따라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암수 간의 물리적 접속상태가 자체의 기구적 구조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암수 연결체가 함께 작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기구적 구조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접속력이 잦은 사용에 의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하우징 부분의 마모가 발생하는 것 이외에도 탄성 콘택터 자체도, 부식, 탄성력 저하, 스파크에 의한 산화 등에 의해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둘째, 탄성 콘택터 사이의 거리를 기계적으로 좁히는 것도 한계가 있어 협피 치 연결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탄성 콘택터의 폭을 지나치게 줄이게 되면, 그 가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가공된 탄성콘택터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최소피치가 대략 0.4mm 정도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전기적 접속이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콘택터의 상하길이를 일정길이 이상으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결체의 상하높이를 줄일 수 있는데도 한계가 있다. 즉, 전체적인 높이를 지나치게 낮추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콘택터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작아서 안정적인 전기적인 연결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넷째, 암수연결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가 고장나도 전체 연결체 쌍을 교환해야 하며, 기판에 납땜으로 장착한 연결체의 해체가 곤란하고 다른 부품에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기판을 포함한 어셈블리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등 유지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연결체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반복하여 탈부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피치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결체의 결합 부품이 파손되어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박막형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막형 연결체는, 제1기판의 패드와 제2기판의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박막형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마주보며 상기 제1기판의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세워지며 걸림부가 마련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기판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각각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도전부를 구비하는 탄성도전시트; 및 상기 제2기판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그 제2기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그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는 제2기판의 단자가 탄성도전시트의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 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는 원형단면의 제1수용홀와, 그 제1수용홀로부터 상단으로 개구되며 그 제1수용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인 제2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제1걸림부의 제1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는 원형단면의 제1걸림턱과,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제2걸림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삽입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도전시트는 상기 돌출부는 덮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가압부재의 배면과, 상기 제2시트의 가장자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 가압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기판이 그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결합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 기판이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되는 제2결합위치를 위치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원형단면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수용홀과, 각각의 제2수용홀로부터 인접한 제2수용홀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그 제2수용홀을 상단과 연결시키며 그 제2수용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3걸림부; 및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되며 원형단면의 제3수용홀과, 그 제3수용홀로부터 상단을 연결하는 제3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4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다수의 제2수용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걸림턱; 및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는 제4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그 제1측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수용홀과, 상기 마주보는 측벽에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였을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 한 제1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홀에 걸릴 수 있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가 한 쌍의 제3수용홀에서 하측에 배치된 수용홀에 끼워걸렸을 때 제1턱부와 걸어맞추어질 수 있도록 제1측면에 형성된 제1단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제 2측벽에는 상기 제1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후면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에는 상기 후면턱부와 끼워걸릴 수 있는 후면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그 제1측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수용홀 및 그 제2수용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4수용홀과 결합되는 제2돌기와, 상기 제2돌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4수용홀 중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4수용홀에 끼워걸렸을 때 상기 제5수용홀에 걸릴 수 있는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제3돌기는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프레임과 가압부재는 그 프레임의 배면과 가압부재의 상면이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힌지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기판이 그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결합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기판이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되는 제2결합위치를 위치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힌지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1결합위치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은 프레임의 하판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힌지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되는 테이퍼형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은 가압부재의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두께가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힌지연결된 가압부재가 회전하여 프레임에 근접하게 이동할 때에 탄성변형함으로서 그 가압부재가 프레임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가압부재의 회전이 완료되어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기판이 상기 탄성도전시트와 접촉한 후에는 원래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압부재와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주보는 제1측벽을 향하여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형성된 제2턱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제2기판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를 상기 탄성도전시트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이 상기 프레임의 하판에 대해서 수평하게 될 수 있는 위치에서 위치고정할 수 있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기판이 상기 탄성도전시트와 접촉한 후에 제5걸림부가 원래위치로 복귀할 때 그 복귀를 허용하도록 하는 제2단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프레임에는 그 중앙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하판과, 상기 돌출하판으로부터 세워지며 힌지구멍이 형성되는 제3측벽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힌지구멍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삽입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형 연결체에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회전축과 수직한 면인 제1측면이 포함되고, 상기 걸림턱은 그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4돌기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측면과 대응되는 제1측벽이 포함되고,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제1걸림위치에 왔을때 그 제4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7수용홀과, 상기 가압부재가 제2걸림위치에 왔을때 그 제4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8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박막형 연결체는, 암수 연결체를 사용하지 않고 암수한몸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인 커텍터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기판과 제2기판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제1기판 및 제2기판과는 분리된 별도의 가압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반복적인 탈부착에 의한 기구적 파손이 발생하여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도전시트는 그 도전성 실리콘 내에 마련된 미세 도전입자들의 결합에 의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피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의 결합 및 작동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박막형 연결체(1)는, 제1기판(10), 프레임(20), 탄성도전시트(30), 제2기판(40), 가압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10)은 소정 영역의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의 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제1기판(10)의 위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판의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사각형의 삽입구멍(21b)이 형성된다. 프레임(20)의 재질은 구조적인 강도가 높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유연한 철, 베릴륨-구리 합금,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금속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20)은, 하판(21)와 측벽(22, 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21)는 상기 제1기판(10)과 마주보면서 접촉하고, 삽입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말하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하판에는 그 하판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1a)가 그 삽입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22, 23)는 상기 하판(21)의 각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기 하판(21)과는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측벽(22, 23)에는 걸림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측벽(22, 23)는 하판(21)의 테두리마다 1개씩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예 1에서는 길이가 짧은 테두리에는 한 쌍의 제1측벽(22)이 마련되고, 길이가 긴 테두리에는 한 쌍의 제2측벽(23)를 마련되었다. 상기 제2측벽(23)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압부재(5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제2기판(40)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걸림부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는 제1수용홀(22a)과 제1슬릿(22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용홀(22a)은 원형단면을 가지는 구멍이며, 상기 제1슬릿(22a')은 그 제1수용홀(22a)을 제1측벽(22)의 상단의 면까지 연결시키고 후술한 걸림턱이 삽입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걸림부(23a)는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되며 직사각형 단면의 관통구멍이다.
상기 탄성도전시트(30)는, 두께방향(즉 상하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가압되었을 때 두께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나타내는 다수의 도전부(31)를 가진다. 이러한 탄성도전시트(30)는 삽입구멍(21b)을 통하여 상기 제1기판(10)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각각의 도전부(31)는 각각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패드를 상하방향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이러한 탄성도전시트(30)는 전체적으로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며, 그 도전부(31)에는 다수의 도전입자(32)가 밀집하여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도전시트(30)는 프레임(20)의 하면에 배치된 돌출부(21a)는 덮으면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도전시트(30)는, 도전부(31)와 지지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부(31)는 다수의 도전입자(32)가 실리콘 고무에 파뭍힌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도전부(31)를 서로 절연시키면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도전입자(32)는 니켈입자를 코어로 하여 그 표면에 금이 도금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금된 금의 피복량은 상기 니켈입자에 대하여 5 ~ 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의 피복량이 니켈입자에 대하여 5 질량 %보다 낮게 되면, 전체적인 도전성능이 감소하게 될 염려가 있으며, 15질량% 보다 많게 되면, 강도면에서 불리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도전입자(32)의 입경은 12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입자(32)의 입경이 120㎛ 보다 작은 경우에는 동일한 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너무 많은 도전입자(32)들이 서로 접촉되어야 하므로 전기적 연결효율이 감소할 염려가 있으며, 도전입자(32)의 입경이 150㎛보다 큰 경우에는 도전부(31)가 가압될 수 있는 높이가 줄어들게 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2기판(40)은 상기 도전부(31)와 대응되는 부분에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단자(41)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기판(40)은 제1기판(10)보다 상 대적으로 유연한 플랙시블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기판(40)의 단자(41)는 상기 하측에 배치된 도전부(31)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그 단자가 각각의 도전부(31)와 1 대 1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제2기판(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40)과 상기 탄성도전시트(30)를 제1기판(10)쪽으로 가압하여 제2기판(40)의 단자와 제1기판(10)의 패드가 확실하게 전기적 접촉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부재(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기판(4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기판(40)의 하측에 마련된 탄성도전시트(30)의 도전부(31)와 제2기판(40)의 단자(41)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와 함께 도전부(31)의 하단(35)은 상기 제1기판(10)의 패드와 접촉하면서 전체적으로 제1기판(10)과 제2기판(40)의 패드와 단자(41)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부재(50)에는 제2기판(4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그 수용공간은 가압부재(50)의 배면과 상기 제2시트(40)의 가장자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5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2기판(40)은 그 지지턱(51)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50)에 제2기판(40)에 수용되면, 그 가압부재(50)는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된다.
가압부재(5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면과 하면과, 제1측면 및 제2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면(52)은 직육면체에서 폭이 좁은 측면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측벽(22)과 마주보는 부 분이다. 상기 제2측면(53)은 직육면체에서 폭이 넓은 측면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측벽(23)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상기 가압부재(50)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가압부재(50)의 걸림턱이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는 그 제2기판(40)의 단자가 탄성도전시트(30)의 도전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은 제1걸림턱(52a)과 제2걸림턱(5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턱(52a)은 상기 제1측면(52)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그 제1수용홀(22a)에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제1수용홀(22a)과 대응되는 원형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2걸림턱(53a)은 상기 제2측면(53)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제2걸림턱(53a)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2걸림부(23a)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1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패드가 마련된 제1기판(10)을 마련한 후에, 상기 제1기판(10)의 위에 탄성도전시트(30)가 형성된 프레임(20)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부재(50)과 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가압부재의 상면에 소정의 이동수단을 흡착시키고, 그 이동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제1기판으로 운반한다. 이후에, 서로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50)과 프레임(20)을 서서히 하강시키면서 제1기판에 올려놓고, 그 이동수단은 흡착을 해제한 후에 상승시킨다. 그 이후에 소정의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프레임과 제1기판을 서로 접합한다. 이와 함께, 제1기판(10)의 패드와 탄성도전시트(30)의 도전부(31)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상태 에 놓인다. 이후에, 서로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와 프레임을 분리해낸 후에, 제2기판(40)을 가압부재(50)의 지지턱(5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용공간 내로 밀어넣고, 상기 가압부재(50)를 상기 프레임(20)에 대하여 다시 고정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기판(40)이 삽입된 가압부재(50)를 하강시키면서 그 제1측면(52) 및 제2측면(53)을 각각 프레임(20)의 제1측벽(22) 및 제2측벽(23)에 대면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0)의 제1걸림턱(52a)은 제1측벽(22)의 제1슬롯(22a') 내로 삽입되면서 제1수용홀(22a)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0)의 제2걸림턱(53)은 제2측벽(23)에 눌린 상태에서 하강하다가 제2걸림부(23a)의 내부에 걸려 상기 걸림부(23a)와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50)가 프레임(20)에 고정결합되면, 상기 제2기판(40)의 단자(41)들은 각각 도전부(31)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이며, 상기 가압부재(50)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도전부(31)가 압축되면서, 그 도전부(31)에 배치된 다수의 도전입자(32)들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제2기판(40), 탄성도전시트(30), 제1기판(10)은 서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 소정의 제1기판(10)의 단자(41)로부터 전기가 흐르게 되면, 상기 탄성도전시트(30)를 통과하여 제2기판(40)으로 전달되게 된다. 소정의 전기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가압부재(50)를 분리해낸다.
이러한 실시예 1의 박막형 연결체(1)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암수연결체(120, 140)를 사용하여 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암수한몸을 가지는 프레임(20) 및 탄성도전시트(30)를 사용 하여 전체적인 연결체(1)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전체높이에 있어서는, 대략 1.2mm 이하를 만들 수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기판과 암커텍터(140) 또는 수커텍터(1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연결체(120, 140)가 파손되면 기판(110, 130)과 함께 교체를 해야하는 데 반하여, 본 실시예에 제1기판(10)과 제2기판(40)의 가압이 제1기판(10) 및 제2기판(40)과는 분리된 별도의 가압부재(5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반복적인 탈부착에 의한 가압부재(50)의 걸림부(54)가 파손되면, 상기 가압부재(50)만을 교체함으로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서로 접촉되는 탄성 콘택터는 그 줄일 수 있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적어도 0.4mm 이하의 피치를 가지는 단자들은 서로 연결시키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배향된 도전입자(32)를 가지는 도전부(31)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0.2mm 이하의 피치를 가지는 단자(41)들도 전기적인 연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한 구성을 중심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2>
도 8 는 실시예 2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 및 작동도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의 측벽이 서로 마주보는 제1측벽(22)과, 그 제1측벽(2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측벽(22)에는 제2수용홀(22b, 22c)과 제2슬릿(22b')으로 이루어진 제3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걸림부의 제2수용홀(22b, 22c)은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슬릿(22b')은 각각의 제2수용홀로부터 인접한 제2수용홀을 연결하거나 또는 제1측벽(22)의 상단면을 개구되도록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슬릿(22b')은 상기 제2수용홀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b)로부터 제1측벽(22)의 상단면을 연결하고, 상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b)과 하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c)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측벽(23)에는 원형단면의 제3수용홀(23b)과 그 제3수용홀(23b)로부터 제2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3슬릿(23b')으로 이루어진 제4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50)에는 상기 제1측벽(22)과 마주보는 제1측면(52)과 상기 제2측벽(23)과 마주보는 제2측면(22)이 형성된다. 걸림턱은 제3걸림턱(52b, 52c)과 제4걸림턱(5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걸림턱(52b, 52c)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다수의 제2수용홀(22b, 22c)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가 마련된다. 상기 제4걸림턱(53b)은 상기 제2측면(53)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수용홀(23b)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 2의 특징은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기판이 그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결합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기 판이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되는 제2결합위치를 위치이동가능한 것이다. 제1결합위치는 도 9에 도시한 가압부재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고, 제2결합위치는 도 10에 도시한 가압부재의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효과는 후술하겠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는 다음과 같은 작용한다. 가압부재(50)의 제3걸림턱 중에서 하측에 위치한 제3걸림턱(52c)이 프레임(20)의 제1측벽(22)에 형성된 제2수용홀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b)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슬릿(22b')을 통하여 삽입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를 제1결합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가압부재와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흡착기구를 가진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재와 프레임을 함께 기판 상에 배치시킨다. 이후에, 상기 프레임을 제1기판에 SMT(표면실장)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40)을 지지턱(5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어넣으면서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이후에, 가압부재(50)를 더욱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걸림턱 중에서 하측에 위치한 제3걸림턱(52c)이 제2수용홀 중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c)에 안착시켜 가압부재를 제2결합위치로 위치이동한다. 이와 함께 가압부재(50)의 제3걸림턱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 제3걸림턱(52b)이 제2수용홀 중에서 상측에 배치된 제2수용홀(22b)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기판(40)의 단자는 제1기판(10)의 패드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부재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1 차결합위치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결합위치로 위치이동가능하게 한 이유는, 프레임과 가압부재를 제1기판(10)으로 이동시켜 그 기판에 표면실장시키기 위해서는 프레임과 가압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한 몸체로 이룬 상태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러한 표면실장 이후에 다시 제2기판을 가압부재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가압부재를 다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분리작업은 기계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는등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1차, 2차결합으로 서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프레임과 가압부재의 이동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차결합을 수행하고, 그 상태에서 제2기판을 삽입한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결합을 수행하면 간편하게 제1기판과 제2기판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프레임과 가압부재를 결합한 후에 다시 분리해내는 등의 별도의 불필요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더욱 편리하다.
<실시예 3>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실시예 1 및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에서 프레임(20)의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22)과, 상기 제1측벽(2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22)에 형성되며 그 제1측면(22)을 관통하며 상하방향 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수용홀(22d, 22e)과, 상기 마주보는 측벽에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50)와 접촉하였을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1턱부(22f)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3수용홀(22d, 22e)은 제1측벽(22)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제1턱부(22f)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턱부(22f)는 제1측벽(22)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아래로 굽어진 "ㄱ" 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제1측벽(22)을 향하여 탄성변형가능한 상태에 놓여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측벽(23)에는 상기 제1턱부(22f)와 대응되는 형상의 후면턱부(23c)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가압부재(50)에는 상기 제1측벽(22)과 마주보는 제1측면(52)과, 상기 제2측벽(23)과 마주보는 제2측면(5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52)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수용홀(22d, 22e)에 걸릴 수 있는 제1돌기(52d)와, 상기 제1돌기(52d)가 한 쌍의 제3수용홀(22d, 22e)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3수용홀(22e)에 끼워걸렸을 때 제1턱부(22f)와 걸어맞추어질 수 있도록 제1측면(52)에 형성된 제1단턱(52f)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50)의 제2측면(53)에도 상기 후면턱부(23c)와 끼워걸릴 수 있는 후면단턱(53c)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3의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가압부재(50)를 가압하여 상측의 제3수용홀(22d)에 끼워걸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50)와 프레임(20)을 제1기판(10)을 향하여 이동 운반하고, 그 프레임(20)을 제1기판(10)에 표면실장한다. 이후에, 제2기판(40)을 수용공간 내에 삽입 하고, 가압부재(50)를 하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제1돌기(52d)가 하측에 위치한 제3수용홀(22e)에 끼워걸리게 한다. 이와 함께 제1단턱(52f)은 제1턱부(22f)에 함께 끼워걸리며, 후면단턱(53c)은 후면턱부(23c)에 끼워걸리게 된다.
<실시예 4>
도 14은 실시예 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4의 프레임(20)에서,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22)과, 상기 제1측벽(2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22)에 형성되며 그 제1측면(22)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수용홀(22g, 22h) 및 그 제4수용홀(22g, 22h)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수용홀(22i)을 포함한다. 상기 제4수용홀(22g, 22h)은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5수용홀(22i)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측벽(2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3개의 후면홈(2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0)에는 상기 제1측벽(22)과 마주보는 제1측면(52)과, 상기 제2측벽(23)과 마주보는 제2측면(5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52)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4수용홀(22g, 22h)과 결합되는 제2돌기(52e)와, 상기 제2돌기(52e)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52f)가 상기 제4수용홀(22g, 22h) 중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4수용홀(22h)에 끼워걸렸을 때 상기 제5수용 홀(22i)에 걸릴 수 있는 제3돌기(52f)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52e)는 제4수용홀(22g 22h)과 대응되는 사각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3돌기(52f)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역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53)에도 상기 후면홈(23d)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면돌기(53d)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3개정도 배치된다.
이러한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가압부재(50)를 가압하여 제2돌기가 상측의 제4수용홀(22g)에 끼워걸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50)와 프레임(20)을 제1기판(10)을 향하여 이동 운반하고, 그 프레임(20)을 제1기판(10)에 표면실장한다. 이후에, 제2기판(40)을 수용공간 내에 삽입하고, 가압부재(50)를 하측으로 밀어넣어 제2돌기(52e)가 하측에 위치한 제4수용홀(22h)에 끼워걸리게 한다. 이와 함께, 제3돌기(52f)는 제5수용홀(22i)에 끼워걸리게 한다. 즉, 가압부재(50)가 제2결합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제2돌기(52e) 및 제3돌기(52f)가 제4수용홀(22h)과 제5수용홀(22i)에 각각 끼워걸리게 되어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하다. 또한, 후면돌기(53d)도 후면홈(23d)에 끼워걸리게 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5>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는 상술한 실시예들와는 달리 프레임(20)과 가압부 재(5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 있다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임(20)과 가압부재(50)는 그 프레임(20)의 배면과 가압부재(50)의 상면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기판이 그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결합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기판이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되는 제2결합위치를 위치이동가능한다.
프레임(20)의 하판(21)은 직사각형 형태의 부분과, 그 직사각형 형태의 부분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돌출된 돌출하판(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세워지는 마주보는 측벽(24)이 마련되고, 그 측벽에는 힌지연결가능한 힌지구멍(27)이 마련된다.
또한, 프레임(20)의 측벽에는 프레임의 직사각형 부분 중에서 짧은 길이를 가진 모서리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제1측벽(22)이 마련되고, 걸림부는 마주보는 제1측벽(22)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턱부(22j) 및 걸림홈(22k)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턱부(22j)는 마주보는 제1측벽(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가능하도록 상기 제1측벽(2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힌지연결된 가압부재(50)가 회전하여 프레임(20)에 근접하게 이동할 때에 탄성변형함으로서 그 가압부재(50)가 프레임(20)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가압부재(50)의 회전이 완료되어 가압부재(5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기판(40)이 상기 탄성도전시 트(30)와 접촉한 후에는 원래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압부재(50)와 프레임(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원래위치"란 상기 제2턱부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기 전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홈(22k)은 상기 가압부재(50)의 수용공간에 제2기판(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50)를 상기 탄성도전시트(30)로부터 일정간격이상 이격시켜 상기 가압부재(50)의 상면이 프레임의 하판(21)에 대해서 수평하게 될 수 있는 위치에서 임시고정할 수 있도록 움푹패인 홈이다.
가압부재(50)는 힌지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가 테이퍼 각도는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여 걸림돌기(52h)가 걸림홈(22k)에 결합되었을 때 그 가압부재의 상면이 프레임(20)의 하판(21)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가 될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가압부재(50)에는 제1측벽(22)과 마주보는 제1측면(5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제2단턱(52g)과 걸림돌기(52h)를 포한한다. 상기 제2단턱(52g)은 상기 가압부재(5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기판(40)이 상기 탄성도전시트(30)와 접촉한 후에 제2턱부(22j)가 원래위치로 복귀할 때 그 복귀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턱형상을 이룬다. 상기 걸림돌기(52h)는 상기 걸림홈(22k)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걸림홈(22k)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측면(52)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한편, 가압부재(50)에는 상기 관통공(27)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54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힌지돌기(54a)가 상기 관통공(27)에 삽입됨에 따 라 상기 가압부재(50)는 상기 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가압부재(50)를 회전시켜(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다) 상기 프레임(20)에 대해서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가압부재(50)의 걸림돌기(52h)가 상기 프레임(20)의 걸림홈(22k)에 삽입됨으로서 1차적으로 위치고정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50)의 윗면은 프레임의 하판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가압부재의 윗면에 이동기구의 흡착부를 접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 및 프레임을 제1기판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프레임을 상기 제1기판에 표면실장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기판(40)을 상기 가압부재(50)의 수용공간에 삽입한다. 제2기판(4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가압부재(50)는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2단턱(52g)과 제2턱부(22j)가 서로 걸어맞추어지도로 하여 상기 가압부재(50)와 프레임(20)이 2차로 위치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2차로 위치고정되는 경우에는 제2기판(40)의 단자와 제1기판(10)의 패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이와 같이 2차고정시에는 가압부재의 윗면이 상기 제1기판에 대해서 대략 5도 정도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가 전체적으로 테이퍼지도록 하는 이유는, 프레임과 가압부재를 함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에 소정의 흡착기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부재가 프레임의 하판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가 되지 않고 기울여져 있는 경우에는 그 이동수단에 배치된 소정의 흡착기구가 가압부재의 상면에 제대로 흡착되지 못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힌지결합되는 가압부재 및 프레임의 경우에는 도 12에서와 같은 1차결합시에는 그 가압부재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동수단이 그 가압부재의 상면을 용이하게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21은 실시예 6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도 2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는 도 21의 후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 6는 실시예 5과 유사하게 프레임(20)과 가압부재(50)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은 유사하다. 즉, 제1측벽에는 제2턱부(22l)이 배치되고, 가압부재의 제1측면에는 그 제2턱부(22l)과 끼워걸릴 수 있는 제2단턱(52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측벽에는 걸림돌기(52i)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2측면에는 그 걸림돌기(52i)가 끼워걸릴 수 있는 걸림홈(미도시)가 배치된다. 걸림돌기(52i)와 걸림홈(미도시)은 가압부재(50)가 1차결합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제2턱부(22l)와 제2단턱(52j)은 2차결합위치에 놓여져 있게 한다.
다만, 실시예 6에서는 프레임(20)과 가압부재(50)의 힌지연결 부위에 있어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는 관통공(27)이 직사각형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세워진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예 6에서는 그러나 관통공(27)이 직사각형의 하면으로부터 세워진 제1측벽(22)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재(50)의 힌지돌기(52k)는 그 관통공(27)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기판이 삽입되는 부분와 반대측의 제2측벽(23)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후면구멍(23e)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50)에는 상기 후면구멍(23e)에 삽입될 있도록 제2측면(53)으로부터 돌출되는 후면돌기(5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돌기(53e)는 상기 후면구멍(23e)에 삽입된다. 이러한 후면돌기(53e)는 가압부재(50)가 프레임(20)에 2차 위치고정되었을 때 그 후면구멍(23e)의 일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재(50)가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7>
도 25 및 도 26은 실시예 7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8은 도 25 및 도 26의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7은 실시예6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가압부재(50)에는 힌지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되는 테이퍼형상(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50')은 가압부재의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두께가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50'')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는 이유는, 실시예 6과 같이 힌지연결된 부분의 반대측 부분은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를 증가시키는 형태를 추가함에 따라 전체적인 가압부재(5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이동수단(미도시)의 흡착부는 가압부재(50)의 중앙부분(50')에 놓이게 되어 용이하게 상기 가압부재를 제1기판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되며, 측면 부분(50'')에서는 그 가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실시예 8>
도 29는 실시예 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며, 도 30 및 31은 도 2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도 2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8은 실시예 5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5의 가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7과 같이 가압부재에 힌지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되는 테이퍼형상(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실시예 8에서도 실시예 5의 가압부재에 반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부분(50'')이 반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부분(50')과 함께 배치하여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9>
도 33는 실시예 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34은 도 3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5는 도 3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9에서 상기 가압부재(50)에는 회전축과 수직한 면인 제1측면(52)이 포함되고, 상기 걸림턱은 그 제1측면(22)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4돌기(52k)이다.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제1측면(22)과 대응되는 제1측벽(22)이 포함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압부재(50)가 제1걸림위치에 왔을때 그 제4돌기(52k)를 수용할 수 있는 제7수용홀(22n)과, 상기 가압부재(50)가 제2걸림위치에 왔을때 그 제4돌기(52k)를 수용할 수 있는 제8수용홀(22o)을 포함한다.
가압부재(50)는 제1결합위치에서, 제4돌기(52k)가 제7수용홀(22n)에 끼워걸림으로서 가압부재(50)와 프레임(20)을 1차결합할 수 있다. 이후에, 제2기판(40)을 가압부재(50)의 삽입공간에 수용한 후에는, 그 가압부재(50)를 눌러 제2결합위치에서, 제4돌기(52k)가 제7수용홀(22n)로부터 이탈하여 제8수용홀(22o)에 끼워걸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때에서 상기 가압부재(50)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를 이루고 있어 제1결합위치에 놓였을 때, 프레임의 하판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에 놓이게 하는 특징을 구비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다른 박막형 연결체는 다양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해석에 의하여 결정되는 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정해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결합 및 작동도.
도 8 는 실시예 2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분리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 및 작동도.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1의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은 실시예 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4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6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1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1의 후면도.
도 25 및 도 26은 실시예 7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5 및 도 26의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8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30 및 31은 도 2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도 2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는 실시예 9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의 사시도.
도 34은 도 3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1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 는 도면.
도 35는 도 33에 따른 박막형 연결체가 2차 결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박막형 연결체 10...제1기판
20...프레임 30...탄성도전시트
40...제2기판 50...가압부재
Claims (25)
- 제1기판의 패드와 제2기판의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박막형 연결체에 있어서,상기 제1기판과 마주보며 상기 제1기판의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세워지며 걸림부가 마련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상기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기판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각각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도전부를 구비하는 탄성도전시트; 및상기 제2기판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그 제2기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그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는 제2기판의 단자가 탄성도전시트의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용공간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기판이 그 수용공간 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제1결합위치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기판이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되는 제2결합위치를 위치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는 원형단면의 제1수용홀와, 그 제1수용홀로 부터 상단으로 개구되며 그 제1수용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1걸림부; 및상기 제2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인 제2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제1걸림부의 제1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는 원형단면의 제1걸림턱과,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제2걸림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삽입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탄성도전시트는 상기 돌출부는 덮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가압부재의 배면과,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 가압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원형단면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수용홀과, 각각의 제2수용홀로부터 인접한 제2수용홀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그 제2수용홀을 상단과 연결시키며 그 제2수용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3걸림부; 및상기 제2측벽에 형성되며 원형단면의 제3수용홀과, 그 제3수용홀로부터 상단을 연결하는 제3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4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7항에 있어서,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다수의 제2수용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걸림턱; 및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는 제4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그 제1측벽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수용홀과,상기 제1측벽에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하였을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1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9항에 있어서,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수용홀에 걸릴 수 있는 제1돌기와,상기 제1돌기가 한 쌍의 제3수용홀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3수용홀에 끼워걸렸을 때 제1턱부와 걸어맞추어질 수 있도록 제1측면에 형성된 제1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0항에 있어서,제 2측벽에는 상기 제1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후면턱부가 형성되고,상기 제2측면에는 상기 후면턱부와 끼워걸릴 수 있는 후면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걸림부는 제1측벽에 형성되며 그 제1측벽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수용홀 및 그 제4수용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2항에 있어서,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는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는 제2측면이 형성되되,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4수용홀과 결합되는 제2돌기와, 상기 제2돌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4수용홀 중에서 하측에 배치된 제4수용홀에 끼워걸렸을 때 상기 제5수용홀에 걸릴 수 있는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3돌기는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과 가압부재는 그 프레임의 배면과 가압부재의 상면이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힌지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연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81933 | 2008-08-21 | ||
KR1020080081933 | 2008-08-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3710A KR20100023710A (ko) | 2010-03-04 |
KR101032646B1 true KR101032646B1 (ko) | 2011-05-06 |
Family
ID=4217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7411A KR101032646B1 (ko) | 2008-08-21 | 2008-10-02 | 박막형 연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264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6860A (ko) * | 2020-02-21 | 2021-08-31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의 제조방법 |
KR20210106749A (ko) * | 2020-02-21 | 2021-08-31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와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소켓 조립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4255B1 (ko) * | 2020-03-05 | 2022-05-03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 |
CN111502191B (zh) * | 2020-04-28 | 2024-09-17 |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 板材定厚装置及定厚方法 |
KR102229483B1 (ko) * | 2020-11-17 | 2021-03-17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1493A (ko) * | 2002-05-28 | 2003-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모트 셧오프 밸브를 부착한 가스 라인을 갖는 고 에너지이온 주입 설비 |
KR200391493Y1 (ko) * | 2005-04-07 | 2005-08-04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 실리콘 콘택터를 이용한 회로연결 장치 |
-
2008
- 2008-10-02 KR KR1020080097411A patent/KR101032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1493A (ko) * | 2002-05-28 | 2003-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모트 셧오프 밸브를 부착한 가스 라인을 갖는 고 에너지이온 주입 설비 |
KR200391493Y1 (ko) * | 2005-04-07 | 2005-08-04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 실리콘 콘택터를 이용한 회로연결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6860A (ko) * | 2020-02-21 | 2021-08-31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의 제조방법 |
KR20210106749A (ko) * | 2020-02-21 | 2021-08-31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와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소켓 조립체의 제조방법 |
KR102341975B1 (ko) * | 2020-02-21 | 2021-12-21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 |
KR102349967B1 (ko) * | 2020-02-21 | 2022-01-12 | 신종천 |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3710A (ko) | 2010-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8561B2 (en) | Connector having a pivoting member with enhanced dust proofing | |
KR101030804B1 (ko) | 인터페이스와 그 제조방법, 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을 포함한 테스트 장치 | |
US726156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60110974A1 (en) | Connector | |
US8647129B2 (en) | Housingless connector | |
CN201029193Y (zh) | 电连接器 | |
KR101032646B1 (ko) | 박막형 연결체 | |
WO2005096456A1 (ja) | コネクタ | |
KR101539873B1 (ko) | 기판 접속용 단자 | |
TW200536192A (en) | 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board to circuit board | |
JP2004221067A (ja) | コネクタ | |
CN110061375A (zh) |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 |
CN101192735A (zh) | 电连接器 | |
JP2004063081A (ja) |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 |
JP3674769B2 (ja) | 電気的な接続装置、電気的な接続装置を有する電池、および電池を有する電子機器 | |
JP4927454B2 (ja) | コネクタ | |
EP1303006A2 (en) | Circuit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device | |
US6955545B1 (en) | Two piece ball grid array | |
KR100942158B1 (ko) | 박막형 커넥터 | |
CN202178413U (zh) | 板对板连接器 | |
SG176336A1 (en) | Sim card connector and sim car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JPH11242977A (ja) | Icソケット | |
JP3072246U (ja) | コネクタ | |
JP2019129137A (ja) |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4837631B2 (ja) | 電気接続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