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00B1 - 롤 밀 장치 - Google Patents

롤 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00B1
KR101032100B1 KR1020100065451A KR20100065451A KR101032100B1 KR 101032100 B1 KR101032100 B1 KR 101032100B1 KR 1020100065451 A KR1020100065451 A KR 1020100065451A KR 20100065451 A KR20100065451 A KR 20100065451A KR 101032100 B1 KR101032100 B1 KR 10103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s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붕
Original Assignee
임민정
현대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민정, 현대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민정
Priority to KR102010006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롤을 이용하여 처리 재료를 밀링 처리나 분산 또는 코팅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 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의 양단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핸들의 축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개재하고, 이 유압실린더가 발휘하는 완충작용을 이용하여, 핸들 조작에 의한 수평 조절시 롤 간의 접촉에 따른 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압 및 간극 조절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롤의 간극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변형력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핸들 조작에 따른 유압의 압력값을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양측의 압력값을 보면서 좌우측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과 롤이 길이 방향 전체로 선접촉되는 평행 상태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 정확한 "0"점을 맞출 수 있는 롤 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밀 장치{Roll mill}
본 발명은 롤 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롤을 이용하여 처리 재료를 밀링, 분산, 압연 또는 코팅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 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밀 장치는 인쇄 잉크, 도료, 세라믹, 약품, 식품, 전자재료 등의 제조 공정에 쓰이는 각종 처리 재료를 밀링 처리나 분산 또는 코팅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
보통 롤 밀 장치는 회전수가 같거나 또는 다른 복수 개의 롤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이렇게 배치한 롤 사이에 생기는 압축 작용과 전단 작용을 이용하여 처리 재료를 미립 또는 코팅화하는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전방 롤, 중앙 롤, 후방 롤의 3개의 롤이 전후방향으로 인접 배치되고, 이때의 각 롤은 후방 롤, 중앙 롤, 전방 롤의 순서로 회전 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 처리 재료는 2개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또 롤 간의 속도비 차이로 인해 인입시 전단되어, 3개의 롤 사이를 거치는 동안 미립화된다.
이러한 롤 밀 장치의 경우, 롤 간의 접촉에 의한 마찰 등으로 인해 마모가 생기면서 롤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간극은 재료의 누설, 품질의 저하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수시로 장치를 세운 다음,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간극의 조절은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절하는데, 이를 위해 전방 롤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핸들이 연결되고, 후방 롤의 좌측과 우측에도 각각 핸들이 연결되어, 좌우측의 핸들을 조작하여 롤과 롤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선접촉되도록 롤과 롤 간의 평행 상태를 맞추면서 간극을 조절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롤 밀 장치의 간극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10)의 양단에 있는 롤 축(11)에는 베어링 하우징(12)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스크류 플랜지(13)가 장착되며, 핸들(14)의 축(19)은 베어링 하우징(12)의 스크류 플랜지(13)에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14)을 돌리게 되면, 베어링 하우징(12)이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되고, 이와 함께 롤(10) 또한 전후진 하게 되면서 롤 간의 수평, 즉 "0"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의 "0"점 조절은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얼 게이지(미도시)를 보면서 맞추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롤 밀 장치에서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핸들의 축은 베어링 하우징의 볼트-너트 체결 구조에 의한 간극 조절 방식은 볼트-너트의 나사 피치가 보통 1mm 이상이므로 미크론(μ) 단위의 조작이 불가능하며 나사의 유격(공차)이 있는 경우에 정밀한 조절을 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둘째, 롤 간의 간극 조절시 수동조작으로 핸들을 회전시켜가면서 롤 간의 수평을 맞춰야 하므로, 어느 한쪽이 기울어지는 등 정확하게 수평을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때, 롤 간의 수평을 재차 맞추기 위하여 핸들을 다시 조작하는 경우, 한쪽 핸들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쪽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롤 간의 한쪽 단부는 접촉된 상태에서 다른쪽 롤 간의 단부만 가압되면서 롤에 변형력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롤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위의 단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해서는 양쪽의 핸들을 동시에 조작하면서 수평을 맞춰야 하는데, 롤이 접촉되어 있는 쪽의 핸들을 살짝 풀어가면서 대략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이와 동시에 롤이 떨어져 있는 쪽의 핸들을 조이면서 수평을 맞춰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미세 조정시에 한쪽이 기울어진 경우 어느 정도로 핸들을 돌려야 하는지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롤의 수평 또는 밀착 상태를 미세하게 조절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롤의 양단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핸들의 축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개재하고, 이 유압실린더가 발휘하는 완충작용을 이용하여, 핸들 조작에 의한 수평 또는 밀착 조절시 롤 간의 접촉에 따른 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간극 조절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롤의 간극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변형력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롤 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 조작에 따른 유압의 압력값을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양측의 압력값을 보면서 좌우측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의 수평상태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 정확한 "0"점을 맞출 수 있는 롤 밀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롤 밀 장치는 복수 개의 롤을 이용하여 재료의 미립화 처리가 가능하며,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간극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간극 조절장치는 롤의 양단 롤 축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베어링 하우징에 그 피스톤 로드가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베어링 하우징과 함께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롤 간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을 완충하는 유압실린더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본체에 그 핸들 축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베어링 하우징 및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롤 전체를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롤 간극 조절시 롤측에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유압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극 조절장치의 경우,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측정기와, 상기 유압측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압측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압력값을 확인하면서 롤의 전체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 밀 장치는 재료의 미립화 처리된 사이즈를 측정된 압력값 별로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추후 재료를 동일한 사이즈로 미립화 처리하는 경우에 재료의 해당 사이즈에 맞는 압력값으로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극 조절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롤 밀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롤 간의 간극 조절을 위한 수평 및 밀착 조절 시에 종래와 같은 스크류 체결 방식이 아닌 유압 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핸들을 회전시켜도 롤이 나사의 피치만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의 압력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하므로 조작이 부드럽고 미크론 단위의 미세 간극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롤 간의 간극 조정시 롤의 한쪽에 과부하가 걸려도 유압에 의해 완충되므로, 롤에 변형력이 발생되지 않아 롤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장치의 내구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작업자가 롤의 좌우측의 압력값을 보면서 롤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롤 간의 간극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0"점 조정과 미세한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처리재료의 미립자화된 사이즈를 측정된 압력값 별로 데이터화 할 수 있어 추후에 동일한 사이즈로 밀링 또는 코팅 처리하는 경우, 해당 사이즈에 맞는 압력값으로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하면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밀한 밀링이 가능하게 되고, 또 숙력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데이터화된 자료를 가지고 작업을 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롤 밀 장치의 간극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롤 밀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에서 간극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에서 간극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의 간극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간극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극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롤 밀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 밀 장치는 회전수가 다른 복수 개의 롤(10), 예를 들면 전방 홀(10a), 중앙 롤(10b), 후방 롤(10c)을 포함하며, 이때의 3개의 롤(10)은 전후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 롤(10)의 회전속도는 후방 롤(10c)부터 전방 홀(10a)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각 롤(10)의 양단 롤 축(11)은 베어링 하우징(12)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양편의 베어링 하우징(12)은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블럭(100)상에서 슬라이드 지지되면서 롤(1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은 롤(10) 간의 연계적인 회전을 위한 기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롤 밀 장치에는 롤(10)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인 간극 조절장치(15)가 마련되며, 이때의 간극 조절장치(15)는 간극의 미세 조정시 롤(10)의 한쪽에 과부하가 걸려도 유압을 이용하여 이를 완충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간극 조절장치(15)는 롤(10)과 함께 움직이는 베어링 하우징(12)과 조작수단인 핸들(14)의 핸들 축(19)을 밀페된 내부에 오일이 채워져 있는 유압실린더(17)를 매개로 연결하여, 즉 핸들(14)의 핸들 축(19)과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의 뒷부분을 나사 결합구조로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 로드(16)와 베어링 하우징(12)을 나사 결합구조로 고정되게 연결하여, 핸들(14)을 좌우로 돌리면 롤(10)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12)과 유압실린더(17) 전체가 함께 전후진되면서 "0"점을 맞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극 조절장치(15)는 전방 롤(10a), 중앙 롤(10b), 후방 롤(10c)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롤 구조에서 전방 롤(10a)과 후방 롤(10c)의 각 좌우 양측에 구비된다.
즉, 4개의 핸들(14)에 각각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전방 롤(10a)의 양측과 후방 롤(10c)의 양측에 모두 4개의 간극 조절장치(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하는 장치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에서 간극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극 조절장치(15)는 작업자의 수동조작이 가능한 핸들(14)과, 롤(10) 간의 접촉시 발생하는 반반력을 완충하는 유압실린더(17) 등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14)의 조작을 통해 유압실린더(17)를 매개로 하여 롤(10) 및 베어링 하우징(12) 전체를 전후진시키면서 간극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14)은 가이드 블럭(100)의 수직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핸들 하우징(22)에 그 핸들 축(19)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22) 내에 개재되어 있는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핸들 하우징(22)과 핸들 축(19) 간에는 안전핀(23)이 관통 체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롤측으로부터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안전핀(23)이 부러지면서 롤(10)을 포함하는 설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7)는 유압을 이용하여 압력을 완충하는 수단으로서, 롤(10)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12)과 핸들(14)의 핸들 축(19)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베어링 하우징(12)과 핸들 축(19)을 중간에서 이어주게 된다.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 로드(16)는 베어링 하우징(12)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서로 일체식으로 고정되고, 실린더 본체(18)의 후방에는 스크류 플랜지(13)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때의 스크류 플랜지(13)가 핸들 축(19)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서로 간의 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핸들(14)의 조작에 의해 핸들 축(19)이 회전하면 스크류 플랜지(13)는 스크류 전동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 이러한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17)를 포함하는 롤(10) 전체가 전후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에는 오일이 채워져 있는 본체 내부와 연결되는 유압측정기(20)가 구비되며, 이때의 유압측정기(2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은 외부의 디스플레이(21)에 제공되어, 롤 간극 조절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측정기(20)와 장치의 일측 또는 장치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2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17)의 내부 압력변화를 감지한 유압측정기(20)의 압력값이 디스플레이(21)에 제공되면, 작업자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롤 양측의 각 압력값을 확인해가면서 양측의 압력값이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하여, 롤(10)의 전체적인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롤 밀 장치에서는 처리재료의 미립화된 사이즈를 압력값별로 데이터화할 수 있는 수단과 방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간극 조절장치(15)의 유압실린더(17)에 있는 유압측정기(20)로부터 제공되는 압력값과 이때의 압력값 하에 처리되어 미립화된 재료의 사이즈를 컴퓨터나 메모리, 장치의 제어반(미도시)에 있는 컨트롤러 등과 같은 별도의 저장장치에 입력하여 데이터화 함으로써, 추후 재료를 동일한 사이즈로 미립화 처리하는 경우, 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보고 재료의 해당 사이즈에 맞는 압력값으로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하면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한 밀링 및 코팅이 가능하게 되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데이터화된 자료를 가지고 작업을 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미립화된 재료의 사이즈는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한 후에 작업자의 입력조작 등을 통해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롤 간극 조절시 핸들(14)의 조작에 의해 전후진하는 유압실린더(17)를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이드 롤(24)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롤(24)은 가이드 블럭(100)상에 수직 설치되면서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의 하부를 밀착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17)의 전후 이동시 가이드 롤(24)에 의한 안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유압실린더(17)의 움직임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 밀 장치의 간극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롤 간의 간극을 조절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밀 장치의 간극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간극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간극 조절은 전방 롤 양측과 후방 롤 양측 모두 4곳의 핸들(10)을 돌려가면서 하게 되는데, 전방 롤이나 후방 롤 모두 조절방식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후방 롤(10c)에 속해 있는 핸들(10)을 조작하여 롤(10)의 간극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 롤(10c)에 배속되는 양쪽의 핸들(14)을 돌리면, 핸들 축(19)의 회전에 의해 유압실린더(17)와 베어링 하우징(12) 및 후방 롤(10c)이 전진하게 되고, 이때 중앙 롤과의 접촉에 따른 반력에 의해 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 로드(16)가 후퇴하면서 오일이 압축되며, 이와 함께 유압실린더(17)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0" 점을 맞추는 중에 후방 롤(10c)이 중앙 롤과 접촉한 상태에서 핸들(14)을 돌리는 경우, 중앙 롤에 대한 후방 롤(10c)의 반발력이 유압실린더(17) 내부의 유압보다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 피스톤 로드(16)가 후퇴하면서 후방 롤(10c)도 후퇴하게 된다. 여기서, "0" 점을 맞춘다는 의미는 롤과 롤이 롤 길이 방향으로 전체로 선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0" 점은 기계 상부에 설치된 아나로그 게이지(1/1000 다이얼 게이지)를 보면서 조절한다.
이때, 피스톤 로드(16)가 후퇴하는 쪽의 유압실린더(17) 내부는 오일이 압축되면서 유압이 커지게 된다.
이렇게 증가한 압력은 유압측정기(20)에 의해 측정되고, 이때의 압력값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
이때, 중앙 롤과 접하는 후방 롤(10c)의 양측 압력값이 모두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표시되는 압력값을 보면서 양측의 압력값이 동일하게 되도록 양쪽의 핸들(14)을 적절히 돌리서 후방 롤(10c)을 전진 및 후진 시키면, 후방 롤(10c)의 수평상태를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압력값을 확인해가면서 후방 롤(10c)의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때문에 롤 전체의 수평을 맞추면서 롤 간의 간극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 간의 간극 미세 조정시 롤의 한쪽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유압실린더(17)의 유압에 의해 완충되므로, 롤측에 변형력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밀 장치는 베어링 하우징과 핸들의 축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롤 간극 조절시 반발력에 의한 과부하로부터 롤을 포함하는 장치를 보호할 수 있고, 또 작업자가 롤 좌우측의 압력값을 보면서 롤 간극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롤 간의 "0"점을 맞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롤 좌,우측의 압력값을 각각 체크하여 처리재료의 미립자화된 사이즈를 측정된 압력값 별로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령은 전방 롤, 중앙 롤 및 후방 롤의 3개의 롤을 사용하여 롤 밀 장치에 사용한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을 하였지만, 3개의 롤이 아닌 2개의 롤을 사용하는 롤 밀 장치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10 : 롤 10a : 전방 롤
10b : 중앙 롤 10c : 후방 롤
11 : 롤 축 12 : 베어링 하우징
13 : 스크류 플랜지 14 : 핸들
15 : 간극 조절장치 16 : 피스톤 로드
17 : 유압실린더 18 : 실린더 본체
19 : 핸들 축 20 : 유압측정기
21 : 디스플레이 22 : 핸들 하우징
23 : 안전핀 24 : 가이드 롤

Claims (5)

  1. 복수 개의 롤(10)을 이용하여 재료의 미립화 처리가 가능하며, 롤(10)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간극 조절장치(15)를 포함하는 롤 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극 조절장치(15)는 롤(10)의 양단 롤 축(11)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베어링 하우징(12)에 그 피스톤 로드(16)가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베어링 하우징(12)과 함께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밀폐된 내부에 채워져 있는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여 롤(10) 간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을 완충하는 유압실린더(17)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에 그 핸들 축(19)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베어링 하우징(12) 및 유압실린더(17)를 포함하는 롤(10) 전체를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는 핸들(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7)에 설치되어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측정기(20)와, 상기 유압측정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압측정기(2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 압력값을 확인하면서 롤(10)의 전체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미립화 처리된 사이즈를 측정된 압력값 별로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추후 재료를 동일한 사이즈로 미립화 처리하는 경우에 재료의 해당 사이즈에 맞는 압력값으로 롤(10)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10)이 전방 롤(10a), 중앙 롤(10b), 후방 롤(10c)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간극 조절장치(15)는 전방 롤(10a)과 후방 롤(10c)의 각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7)의 실린더 본체(18)의 하부를 밀착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17)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밀 장치.
KR1020100065451A 2010-07-07 2010-07-07 롤 밀 장치 KR10103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51A KR101032100B1 (ko) 2010-07-07 2010-07-07 롤 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51A KR101032100B1 (ko) 2010-07-07 2010-07-07 롤 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100B1 true KR101032100B1 (ko) 2011-05-03

Family

ID=4436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451A KR101032100B1 (ko) 2010-07-07 2010-07-07 롤 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1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6430A (zh) * 2012-09-28 2014-04-09 邢征 一种三辊粉碎机
KR101566895B1 (ko) * 2015-05-20 2015-11-09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유격조절장치가 구비된 롤 크러셔
KR101692348B1 (ko) * 2015-08-27 2017-01-03 (주) 나노기술 3롤의 개별 제어를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745A (ja) * 1990-08-10 1992-03-26 Ube Ind Ltd ロールプレス
JPH0768191A (ja) * 1993-09-02 1995-03-14 Sanritsu Kikai Shoji Kk 圧扁機
US20050154364A1 (en) * 2003-12-23 200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aid material
KR20090031028A (ko) * 2007-09-21 2009-03-25 이문호 콤팩트한 구조의 분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745A (ja) * 1990-08-10 1992-03-26 Ube Ind Ltd ロールプレス
JPH0768191A (ja) * 1993-09-02 1995-03-14 Sanritsu Kikai Shoji Kk 圧扁機
US20050154364A1 (en) * 2003-12-23 200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said material
KR20090031028A (ko) * 2007-09-21 2009-03-25 이문호 콤팩트한 구조의 분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6430A (zh) * 2012-09-28 2014-04-09 邢征 一种三辊粉碎机
KR101566895B1 (ko) * 2015-05-20 2015-11-09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유격조절장치가 구비된 롤 크러셔
KR101692348B1 (ko) * 2015-08-27 2017-01-03 (주) 나노기술 3롤의 개별 제어를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00B1 (ko) 롤 밀 장치
DE102017117782B3 (de) Ausrichtvorrichtung zum Ausrichten einer Messhilfe einer Prüfvorrichtung
EP1927836B1 (de) Betätigungsvorrichtung zum Prüfen von Drehmomentschlüsseln
US7765844B2 (en) Prestressed rolling mill housing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ional features
CN103308404A (zh) 基于可调式拉伸-弯曲预载荷的原位纳米压痕测试仪
EP2096424A2 (de) Betätigungsvorrichtung zum Prüfen von Drehmomentschlüsseln
DE3822486A1 (de) Einrichtung zum messen der bahnspannung einer warenbahn
CN203337492U (zh) 基于可调式拉伸-弯曲预载荷的原位纳米压痕测试仪
CN109724782B (zh) 强度试验测试装置
DE102012009139A1 (de) Prüfstand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r Lamellenkupplung
CN115356035A (zh) 一种螺栓拧紧转矩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1929830A (zh) 一种夹送辊辊轴轴承间隙测量方法
JP6065411B2 (ja) ロールプレス装置
US3613428A (en) Rolling mills
US6227025B1 (en) Rolling method using rolling guide
CN108931366A (zh) 轴套磨损试验设备
DE10201107862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Lage einer Walze eines Walzwerks
DE202020106561U1 (de) Mobile Kalibriervorrichtung zum Kalibrieren einer Vielzahl von unterschiedlichen Rollenbremsprüfständen, System und Anordnung
DE102010001717B3 (de) Tangentialkraftmessvorrichtung
DE102016216720A1 (de) Lagerungsanordnung
DE102009050264A1 (de) Vorrichtung an einer Spinnereivorbereitungsmaschine, z.B. Karde, Strecke, Kämmmaschine oder Flyer, mit einem Tastwalzenpaar
CN212168531U (zh) 精轧机轧辊箱及精轧机组
DE102014107127B4 (de) Pulverpresse
DE2448240A1 (de) Werkzeug zum festen anziehen von befestigungsmitteln
JP2012218060A (ja) エッ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