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590B1 -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590B1
KR101031590B1 KR1020100091740A KR20100091740A KR101031590B1 KR 101031590 B1 KR101031590 B1 KR 101031590B1 KR 1020100091740 A KR1020100091740 A KR 1020100091740A KR 20100091740 A KR20100091740 A KR 20100091740A KR 101031590 B1 KR101031590 B1 KR 10103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ampling
output
ramp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명진
김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0009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90B1/ko
Priority to PCT/KR2011/006837 priority patent/WO201203649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8Readout circuits for addressed sensors, e.g. output amplifiers or A/D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용 픽셀 독출 직접 회로는,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샘플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PIXEL READOUT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PROCESSING MOVING IMAGES AND IMAGE SEN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에 이용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ROIC)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용 픽셀 독출 집적 회로는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내의 각 픽셀들의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신호(전하)를 감지하여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압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며, 최종적인 영상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출력하는 회로이다.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는 행과 열로 배치된 다수의 픽셀들로 구성된 픽셀 어레이를 갖는다. 픽셀의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전하량은, 제어 게이트에 의해 하나의 행마다 순차적으로, 데이터라인을 통해 증폭부로 입력된다. 증폭부는 입력된 전하량을 전압으로 변환 및 증폭하고, 이어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이하 CDS 회로라 칭함)에서 리셋 전압과 신호 전압을 각각 샘플링하여 출력한다. 다음 단에서 리셋 전압과 신호 전압 사이의 차이로서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샘플링 회로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서, 이후에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DSP)를 하려면 외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그런데, 처리 시간이 수십 μs에 불과한 강력한 성능의 ADC를 사용하더라도, 수많은 픽셀로부터 발생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디지털 변환하면 초당 1 ~ 4 프레임의 처리 속도 밖에 제공할 수 없어 이미지 센서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표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샘플링 회로의 아날로그 출력을 내부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픽셀 독출 직접 회로는,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상기 샘플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램프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샘플링 신호와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까지 계수된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는 램프 비교기; 및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램프 비교기는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램프 신호와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고,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독출 주기에 이은 제3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디지털 출력 값을 외부에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셀 독출 집적 회로는
상기 증폭부와 상기 샘플링부 사이에,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출력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픽셀 독출 방법은,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픽셀 독출 방법은,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램프 신호와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고,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용 픽셀 독출 집적 회로에 따르면, 픽셀의 영상 신호를 내부에서 변환한 디지털 출력으로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별도로 강력한 성능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용 픽셀 독출 집적 회로에 따르면, 외부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 속도가 빨라 정지 영상 뿐 아니라 동영상 표현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용 픽셀 독출 집적 회로에 따르면, 잡음을 개선하여 종래의 이미지 센서보다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증폭부부터 샘플링부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디지털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디지털 변환부에 램프 파형을 공급하는 램프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신호 파형을 예시한 파형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독출 집적 회로(10)는 증폭부(11), 필터링부(12), 샘플링부(13) 및 변환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1)는 픽셀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 데이터라인(Dataline)을 통해 출력된 전하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전압 신호(CIOUT)로 출력한다.
필터링부(12)는 증폭된 전압 신호(CIOUT)에서 원하지 않는 고주파 대역의 잡음을 제거 또는 감소시킨다. 포토다이오드 자체의 열잡음, 증폭부(11) 및 샘플링부(13)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스위칭 동작에 의한 고주파 잡음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샘플링부(13)는 증폭된 전압 신호(CIOUT)를 샘플링하되, 저주파 대역의 잡음과 오프셋 잡음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전압 신호(CIOUT)를 입력 전후 시점에서 각각 한 차례씩 샘플링해서 샘플링 신호(CDSOUT)로 출력한다.
변환부(14)는 샘플링 신호(CDSOUT)를 디지털 출력 값(VOUT)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에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변환부(14)는 내부에서 생성한 램프 파형(RAMP)과 앞서 샘플링부(13)의 샘플링 신호 출력(CDSOUT)을 비교하고, 비교 출력(COMPOUT) 값을 트리거 신호(trigger)로서 사용하여 그 때의 카운터 값을 디지털 출력 값(VOUT)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증폭부부터 샘플링부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의 입사에 의해 픽셀의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전하량(QIN)이 데이터라인(Dataline)을 통해 인가된다.
데이터라인은 증폭부(11)의 연산 증폭기(111)의 (-) 단자로 연결되어 있다. 연산 증폭기(111)의 (+) 단자는 기준 전압(VREF1)에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111)의 (-)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피드백 커패시터(CF)가 연결된다. 전하량(QIN)은 피드백 커패시터(CF)에 전달되어 충전된다. 피드백 커패시터(CF)의 충전 전압은 전하와 커패시턴스의 비율 즉 QIN/CF로 결정된다.
피드백 커패시터(CF)의 양단은 제1 스위치(S1)가 연결되고, 리셋(RST)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S1)가 통전되면 피드백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압이 초기화되고, 이때 연산 증폭기(111)의 출력 단자는 기준 전압(VREF1)을 나타낸다.
초기화된 이후에, 연산 증폭기(111)의 출력 단자에 나타나는 증폭 전압 신호(CIOUT)는 기준 전압(VREF1)에 피드백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압을 더한 레벨로 나타난다.
매 차례의 독출 주기(Ts) 초기에 리셋(RST) 신호가 인가되며, 초기화가 끝나면서 독출 주기가 끝날 때까지 피드백 커패시터(CF)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필터링부(12)는 저항(RIN)과 커패시터(CL)로 이루어진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12)의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증폭 전압 신호(CIOUT)는 샘플링부(13)의 연산 증폭기(131)의 (-) 단자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 비율에 따라 증폭되며, 연산 증폭기(131)의 (+) 단자에 입력되는 제2 기준 전압 값(VREF2)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링 신호 출력(CDSOUT)을 발생시킨다.
샘플링부(13)는 오프셋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입사광의 입사 전후에 각각 한 차례씩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한 값들의 차이를 실제 샘플링될 신호의 크기로 출력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와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 독출 주기(Ts) 초기에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H1)에 의해 제2 스위치(S2)가 닫히면서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 전압이 초기화된다. 몇 클럭 후에 제2 스위치(S2)가 열리면서, 제2 커패시터(C2)에 상기 증폭 전압 신호(CIOUT)에 상응하는 전압 레벨이 충전된다.
이어서, 독출 주기(Ts)의 말기에,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H2)가 잠시 활성화되면서 제3 스위치(S3)가 닫히고, 홀드 커패시터(CH)가 충전되며, 홀드 커패시터(CH)에 충전된 전압이 샘플링 신호(CDSOUT)로서 출력된다. 잠시 후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H2)가 비활성화되면, 홀드 커패시터(CH)는 충전된 전압의 크기를 다음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H2)의 활성화가 있을 때까지 홀드하며, 샘플링 신호(CDSOUT) 값은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디지털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앞 단의 샘플링부(13)에서 출력된 샘플링 신호(CDSOUT)를 디지털 변환부(14)에서 적당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출력(VOUT)으로 출력한다.
디지털 변환부(14)는 간단하면서 속도가 빠른 디지털 변환기로서, 램프 비교기(141) 및 레지스터(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샘플링 신호(CDSOUT)는 램프 비교기(141)에서 램프 신호(RAMP)와 비교된다. 램프 신호(RAMP)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 리셋 신호(ADC_RST)의 활성화 펄스가 있을 때에 램프 초기 전압으로 초기화되었다가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하는 파형을 가진다.
램프 비교기(141)는 비교 초기에 램프 신호(RAMP)가 샘플링 신호(CDSOUT)보다 클 때에는 낮은 전압 레벨의 비교 출력(COMPOUT)을 출력하다가, 램프 신호(RAMP)가 점점 작아져서 샘플링 신호(CDSOUT)보다 작아지는 시점에 상승 에지를 가지면서 높은 전압 레벨로 올라가는 비교 출력(COMPOUT)을 출력한다. 이러한 비교 출력(COMPOUT)은 레지스터(142)가 카운터 값을 입력받아 저장할 트리거로서 작용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점증하는 램프 신호(RAMP)가 이용될 수도 있다.
레지스터(142)는 변환 리셋 신호(ADC_RST)의 펄스 인가와 함께 클럭 신호(CLK)에 맞춰 카운터로부터 계수 값(Counter)을 인가받다가, 비교 출력(COMPOUT)의 상승 에지가 있을 때에 그 때의 계수 값(Counter)을 샘플링 신호(CDSOUT)의 크기에 상응하는 디지털 출력(VOUT)으로서 저장한다.
이어서 레지스터(142)는 독출 제어 신호(Read/out)가 활성화된 동안에 저장된 디지털 출력(VOUT)을 디지털 값으로 출력한다.
한편, 카운터는 변환 리셋 신호(ADC_RST)의 펄스 인가와 함께 클럭 신호(CLK)에 맞춰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면서 계수 값(Counter)을 레지스터(142)에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중의 독출 집적 회로의 신호 파형을 예시한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독출 집적 회로(10)는 독출 주기(Ts)마다 한 차례씩 전하량을 입력받고, 증폭하며, 샘플링하고, 램프 신호와 비교하며, 계수 값을 디지털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광의 입사부터 디지털 출력(VOUT)까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독출 주기의 첫 클럭에서 증폭부(11)의 증폭 전압 신호(CIOUT)가 리셋 신호(RST)에 의해 초기화된다. 이어서 샘플링부(13)의 제2 커패시터(C2)가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H1)에 의해 초기화된다. 이어서 한 클럭(Tp) 정도 후에, 픽셀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 데이터라인이 연결되면서 전하량(QIN)이 인가된다. 전하량(QIN)에 의해 증폭부(11)의 증폭 전압 신호(CIOUT)가 발생한다.
첫 독출 주기의 후반부에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H2)가 인가되면서 샘플링부(13)의 홀드 커패시터(CH)에 증폭 전압 신호(CIOUT)가 전달되고, 샘플링 신호(CDSOUT) 값이 변화한다. 샘플링 신호(CDSOUT) 값은 다음 독출 주기까지 유지된다.
두 번째 독출 주기에서, 디지털 변환부(14)가 변환 리셋 신호(ADC_RST)에 의해 리셋되고 램프 신호(RAMP)가 램프 기준 전압부터 천천히 감소되는 파형을 가지고 램프 비교부(141)에 인가된다.
램프 신호(RAMP)와 이전 독출 주기의 샘플링 신호(CDSOUT)가 서로 비교되다가, 램프 신호(RAMP)가 이전 독출 주기의 샘플링 신호(CDSOUT)보다 작아지는 순간, 램프 비교기(141)에서 낮은 전압 레벨로 출력되던 비교 출력(COMPOUT)이 높은 전압 레벨로 상승한다.
한편 변환 리셋 신호(ADC_RST)에 의해 카운터가 초기화되면서 카운트를 재개하고, 계수 값을 레지스터(142)에 출력한다. 램프 비교기(141)에서 비교 출력(COMPOUT)이 상승하는 순간을 트리거로 하여, 레지스터(142)는 그 시점의 계수 값(Counter)을 저장한다.
세 번째 독출 주기에서, 독출 제어 신호(Read/out)가 활성화되는 동안, 레지스터(142)는 이전 독출 주기 때 저장된 계수 값(Counter)을 디지털 출력(VOUT)으로서 출력한다.
이렇듯, 독출 집적 회로(10)는 첫 번째 독출 주기에 전하량의 입력, 증폭 및 샘플링 신호 생성을 제1 단위 동작으로 수행하고, 두 번째 독출 주기에 샘플링 신호와 램프 신호의 비교 및 계수 값의 획득과 저장을 제2 단위 동작으로 수행하며, 세 번째 독출 주기에 독출 제어 신호(Read/out)가 활성화된 동안에 디지털 출력(VOUT)으로서 앞서 저장된 계수 값의 출력을 제3 단위 동작으로 수행한다.
각 단위 동작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동시적으로 각 스테이지에서 파이프라인 수행된다.
제1 단위 동작은 독출 주기(Ts) 전체에 걸쳐 수행될 수 있고, 제2 단위 동작은 증폭 신호(CIOUT)의 정착(settling) 이후부터 대체로 독출 주기의 후반부에 상응하는 비교 구간 동안에, 제3 단위 동작은 대체로 독출 주기의 전반부에 상응하는 출력 구간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비교 구간, 출력 구간 사이 또는 전후에는 짧은 초기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독출 주기에, 증폭부(11), 필터링부(12) 및 샘플링부(13)는 현재 포토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입사광에 대한 제1 단위 동작을 수행한다. 샘플링부(13)에서 샘플링 신호(CDSOUT)가 홀드되는 시점은 독출 주기의 후반부에 나타나며, 따라서 그 시점 이전까지는 샘플링부(13)는 이전 독출 주기에 홀드된 샘플링 신호(CDSOUT)를 갖고 있다.
또한, 현재 독출 주기의 출력 구간 동안에, 레지스터(142)는 이전 독출 주기의 비교 구간에 결정되어 저장된 계수 값을 디지털 출력(VOUT)으로 출력한다. 이 디지털 출력(VOUT)은 실제로는 2 독출 주기 전에 입사된 입사광에 의한 출력이다.
나아가, 현재 독출 주기의 비교 구간 동안에, 디지털 변환부(14)의 램프 비교기(141)는 이전 독출 주기에 홀드된 샘플링 신호(CDSOUT)를 램프 신호(RAMP)와 비교한다. 비교 구간이 끝나기 전에 램프 신호(RAMP)는 최소치에 도달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속도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 스테이지의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동작을 분배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두 스테이지의 파이프라인 방식, 예를 들어 광의 입사, 증폭, 샘플링을 첫 스테이지에서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 및 변환된 값의 출력을 두 번째 스테이지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파이프라인을 채택하지 않고 하나의 긴 독출 주기 동안에 광의 입사, 증폭, 샘플링과 디지털 변환 및 출력까지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독출 주기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더 길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증폭부 111 연산 증폭기
12 필터링부 13 샘플링부
131 연산 증폭기 14 디지털 변환부
141 램프 비교기 142 레지스터
CF 피드백 커패시터 CH 홀드 커패시터

Claims (11)

  1.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샘플링부; 및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램프 신호의 크기가 상기 샘플링 신호의 크기와 같아지는 시점까지 계수된 계수 값을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는 픽셀 독출 직접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는 램프 비교기; 및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램프 비교기는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램프 신호와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고,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독출 주기에 이은 제3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디지털 출력 값을 외부에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와 상기 샘플링부 사이에,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출력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픽셀 독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9.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램프 신호의 크기가 상기 샘플링 신호의 크기와 같아지는 시점까지 계수된 계수 값을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독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 신호와 상기 샘플링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상기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독출 방법.
  11.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광이 입사되었을 때에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전하량을 전압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압 출력 신호를 샘플링 제어 신호에 따라 샘플링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독출 주기에 이은 제2 독출 주기 동안에, 상기 제1 독출 주기 동안에 샘플링된 상기 샘플링 신호를 램프 신호와 비교하여 양 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비교 출력을 출력하고, 상기 램프 신호가 초기화된 이후부터 계수가 시작되는 계수 값을 입력받다가, 상기 비교 출력이 인가될 때의 계수 값을 디지털 출력 값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픽셀 독출 방법.
KR1020100091740A 2010-09-17 2010-09-17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KR10103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40A KR101031590B1 (ko) 2010-09-17 2010-09-17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PCT/KR2011/006837 WO2012036497A2 (ko) 2010-09-17 2011-09-16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40A KR101031590B1 (ko) 2010-09-17 2010-09-17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590B1 true KR101031590B1 (ko) 2011-04-27

Family

ID=4405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740A KR101031590B1 (ko) 2010-09-17 2010-09-17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1590B1 (ko)
WO (1) WO20120364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470B2 (en) * 2012-08-14 2015-09-15 Luxen Technologies, Inc. Digital image processing readout integrated circuit (ROIC) having multiple sampling circui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267B2 (ja) * 1990-09-17 1998-07-23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前置増幅回路
KR20070060437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급 전원 및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의 기준 전압 발생기, 칼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장치, 이미지 센서, 및 칼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267B2 (ja) * 1990-09-17 1998-07-23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前置増幅回路
KR20070060437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급 전원 및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의 기준 전압 발생기, 칼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장치, 이미지 센서, 및 칼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497A3 (ko) 2012-05-31
WO2012036497A2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051B2 (en) Frame-wise calibration of column-parallel ADCs for image sensor array applications
JP4065380B2 (ja) Cmosイメージセンサ
US8390486B2 (en) Automatic offset adjustment for digital calibration of column parallel single-slope ADCs for image sensors
JP6035419B2 (ja) 高速画像センサのための二段の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KR101181310B1 (ko)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미지 센서
JP2013058909A (ja) 固体撮像装置
US10681297B2 (en) Single-slope comparison device with low-noise,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device and CMOS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20140048683A1 (en) Readout integrated circuit for dynamic imaging
KR20190020408A (ko) 고 선형성의 투-스텝 싱글-슬롭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9071778B2 (en) Ad converting circuit, photoelectric converting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driving method for ad converting circuit
CN114503545B (zh) 双斜坡像素读出
TW201639353A (zh) 具有功率雜訊過濾功能的影像感測電路及其控制方法
KR20190021664A (ko) 고해상도 및 고속의 투-스텝 싱글-슬롭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20150102206A1 (en) Readout circuit for image sensors
KR20190056760A (ko) 저잡음 싱글-슬롭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CN114402531A (zh) 图像传感器中的快速多重采样
KR101031590B1 (ko)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속도를 가지는 픽셀 독출 집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US20230134892A1 (en) Analogue to digital converter for image sensor readout
CN112398472B (zh) 一种用于图像传感器的误差量化10位单斜adc
CN115002361A (zh) 一种测量电流或电容的数字积分电荷-数字转换电路
KR20100131729A (ko) 비스위칭 방식을 이용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20190363727A1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913788B2 (en) Round robin sensor device for processing sensor data
KR20130008410A (ko) 컨버터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JP2017108317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