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574B1 -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574B1
KR101031574B1 KR1020090057248A KR20090057248A KR101031574B1 KR 101031574 B1 KR101031574 B1 KR 101031574B1 KR 1020090057248 A KR1020090057248 A KR 1020090057248A KR 20090057248 A KR20090057248 A KR 20090057248A KR 101031574 B1 KR101031574 B1 KR 10103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restart
information
program
restar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637A (ko
Inventor
유석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앰
Priority to KR102009005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5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 측에서 수행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송출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스트림을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재시작 서비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실제 송출 정보,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PROVIDING RESTART SERVICE OF BROADCAS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변화에 따라 방송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예컨 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지상파 위주에서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 그리고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방식인 소위 IP-TV 서비스, 지상파 및 위성 DMB 서비스 등으로 방송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으므로, 스포츠, 영화, 홈쇼핑,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DMB 등의 다양한 방송 형태가 가능하다. 따라서 시청자는 다양한 방송 매체 중에서 원하는 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과,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과, EPG 서버(300)와, 수신기(400)를 포함한다.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과,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과, EPG 서버(300)는 각각 별도의 사업자 측에서 운영될 수도 있으나, 구성에 따라서는 동일한 사업자 측에서 운영될 수도 있다.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은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통신망을 통하여 수신기(400)로 전송한다.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은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면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 즉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전송한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예컨대 디지털 방송에 포함되는 각 채널에 대해서 각 채널 내에 편성된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지속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종류,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 다중 여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정보를 생성하여 EPG 서버(300)에 전송한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정보는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지속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종류,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 다중 여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PG 서버(300)는 각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200A, 200B)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정보를 수신한 후 취합하여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에게 전송한다.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은 EPG 서버(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정보를 수신한 이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형태로 신호 처리하여 수신기(400)로 전송한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예컨대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이 수신 기(400)로 전송하는 방송 신호 중에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SI(System Information)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기(400)는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신호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수신기(4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한 후 신호 처리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공한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특히 다수의 채널이 존재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예컨대 방송 채널별, 시간별, 날짜별, 장르별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예약 녹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그래픽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시청하지 않고 중간 부분부터 시청한다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이미 방송된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다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또는 광고 시간 동안에 다른 채널을 보다가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로 전환하여서 처음 부분부터가 아니라 중간 부분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는 경우 등이 발생한다.
방송 프로그램을 다시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 사업자 시스템(100)은 예컨대 VOD(Video-On-Demand)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며, 사용자 는 수신기(400)를 통하여 VOD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VOD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까지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지상파 방송의 경우,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이 VOD 형태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대략 24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 측에서 수행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송출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방송 프 로그램에 대한 재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스트림을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의 시간 정보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이 다수 개 결합된 그룹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의 송출 시작 시간 정보, 상기 광고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SI(System Information) 신호 내에 삽입되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재 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실행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메시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메시지 또는 아이콘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수신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수신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상기 광고에 대해서 빨리 감기, 일시 정지 및 스킵(ski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상기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 도중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수신기 측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하여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 이내에 재시작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를 이하 "재시작 서비스"로 지칭한다.
우선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송출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한다(S110).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는 정확한 방송 시간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 EPG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편성 정보는 사전에 작성된 일간/주간/월간 편성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예컨대 15분 단위 또는 30분 단위로 구분되어 작성된다. 따라서 EPG 서버가 제공하는 편성 정보를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실제 방송 프로그램의 정확한 송출 시간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송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실제 송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은,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서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되는 "실제 편성 기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장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라는 명칭의 특허 출원에 상세히 개시되며, 상기 특허 출원의 기재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된다.
실제 송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의 시간 정보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이 다수 개 결합된 그룹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송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시작 시간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송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의 송출 시작 시간 정보, 광고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110을 통하여 실제 송출 정보가 포함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 또는 방송 사업자 시스템을 운영하는 측에서는 제공하는 다수 개의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재시작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0에서 수신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한다(S130).
단계 S130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등의 경우 예컨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SI(System Information) 신호 내에 삽입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한다.
또는 다른 형태의 디지털 방송의 경우, 단계 S130에서는 해당 디지털 방송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내에 삽입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단계 S130에서 생성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한다(S150).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시작 서비스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만 제공 가능하다면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해당 시간 동안만 표시된다.
예컨대 17:00분부터 18:00분까지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5분후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직전까지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17:05분 이후부터 18:00분 직전까지만 표시될 수 있다.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나타내는 미니바(mini bar) 화면 내에 메시지 박스(51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실행하는 경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수신기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실행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표시되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장보가 아이콘(520) 형태로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프로그램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가 메시지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서 미니바(mini bar) 화면 내에 메시지 박스(510)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메시지 박스(530) 내에는 좀 더 상세하게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재시작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사항이 표시된다.
메시지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예컨대 메시지 박스(510) 또는 제2 메시지 박스(5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 5초 정도만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는 메시지 박스(510) 또는 제2 메시지 박스(53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50을 통하여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가 표시된 이후에, 방송 프로그 램에 대한 재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170).
예컨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의 표시 방식에 따라서 수신기에 대응하는 화면에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한 후, 수신기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재시작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 지정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생성되며, 수신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후 단계 S170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여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190).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은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후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은 수신기의 식별 정보 또는 수신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의 식별 정보 또는 수신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방송 사업자 시스템 측에서 재시작 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확인 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스트림을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S210).
방송 사업자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과 더불어, 수신기에서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스트림을 생성하여 수신기에게로 전송한다.
방송 사업자 시스템에서 재시작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구성은,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서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특허 출원에 상세히 개시되며, 상기 특허 출원의 기재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된다.
한편 단계 S210에서는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10을 통하여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 예컨대 빨리 감기 또는 일시 정지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제공 도중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바 그래프(540) 형태로 재시작 서비스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바 그래프(540) 내에는 재시작 서비스의 현재 진행 상태에 대한 제1 바(542)와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진행 상태에 대한 제2 바(544)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재시작 서비스의 현재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메시지(546)와,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메시지(548)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재시작 서비스의 현재 제공 상태가 아이콘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 박스(550) 형태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6에서는 재시작 서비스가 현재 4배속 빨리 감기로 제공된다는 상태가 제3 메시지 박스(550) 내에 표시된다.
또한 재시작 서비스를 종료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다시 보기 위한 메시지가 제4 메시지 박스(560) 형태로 표시된다.
단계 S210에서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 도중에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메시지 박스(560)를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에 대해서 지정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 입력은 생성되며, 수신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후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을 중단하고, 다시 원래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공한다.
한편 단계 S210에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를 사용자가 임의로 빨리 감기를 수행하거나 스킵(skip)을 한다면 광고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광고에 대해서는 빨리 감기, 일시 정지 및 스킵 기능은 실행되지 않도록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110에서 수신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내의 실제 송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의 송출 시작 시간 정보, 광고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210에서는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는 도중에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광고가 제공되는 시간에 대해서는 빨리 감기, 일시 정지 및 스킵 기능은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광고 부분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사항을 표시하는 안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던 도중에 광고 부분에 대해서 빨리 감기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5 메시지 박스(570)가 표시되어, 광고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데이터, 즉 코드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지칭한다.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컨대 ROM, RAM 등의 메모리와, CD-ROM, DVD-ROM 등의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 기 저장 매체,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며,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처음 부분을 시청하지 못한 경우라도 실제 송출 정보를 반영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재시작 스트림을 수신하여 용이하게 처음 부분부터 시 청할 수 있으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시작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재시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원래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 제공 도중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광고 부분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사항을 표시하는 안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송 사업자 시스템 200: 프로그램 공급자 시스템
300: EPG 서버 400: 수신기
510: 메시지 박스 520: 아이콘
530: 제2 메시지 박스 540: 바 그래프
542: 제1 바 544: 제2 바
546: 제1 메시지 548: 제2 메시지
550: 제3 메시지 박스 560: 제4 메시지 박스
570: 제5 메시지 박스

Claims (15)

  1.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 측에서 수행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송출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재시작 스트림을 상기 방송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의 시간 정보 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이 다수 개 결합된 그룹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송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광고의 송출 시작 시간 정보, 상기 광고의 실제 송출 지속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SI(System Information) 신호 내에 삽입되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실행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재시작 서비스 가능 정보를 메시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메시지 또는 아이콘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수신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수신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상기 광고에 대해서 빨리 감기, 일시 정지 및 스킵(ski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상기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재시작 스트림을 제공하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 도중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재시작 스트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57248A 2009-06-25 2009-06-25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3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48A KR101031574B1 (ko) 2009-06-25 2009-06-25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48A KR101031574B1 (ko) 2009-06-25 2009-06-25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37A KR20100138637A (ko) 2010-12-31
KR101031574B1 true KR101031574B1 (ko) 2011-04-27

Family

ID=4351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48A KR101031574B1 (ko) 2009-06-25 2009-06-25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775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구간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및 방법
KR20080051757A (ko) * 2006-12-06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서버 및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775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구간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및 방법
KR20080051757A (ko) * 2006-12-06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서버 및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37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 lineup
US10477263B2 (en) Use of multiple embedded messages in program signal streams
US8161412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US7516472B2 (en) Using broadcast television as a portal for video on demand solicitation
AU2007314276B2 (en) Method for enhancing television advertising viewership
CN104115506B (zh) 视频‑音频呈现装置上的节目切换显示控制
JP5147691B2 (ja) 番組関連情報の提示
US201402826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acr) based broadcast synchronization
US9591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dvertising via network generated overlays
EP157812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rogram guide
US10070169B2 (en) Automated program recording
US20100199308A1 (en) Channel Change Insert
EP2701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program replay service
KR101087666B1 (ko) 중간 광고를 포함하는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5185798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番組予約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方法
EP2662790A2 (e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n on-demand server
KR101031574B1 (ko)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24577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端末、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31572B1 (ko)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작 시스템
JP2011077893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JP2018129667A (ja) 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7710A (ja) 録画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KR101110991B1 (ko) 실시간 방송 시청 중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 시 시청자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16134824A (zh) 动态图像内容发布方法和系统
JP4738371B2 (ja) 番組出力方法及び視聴者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