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84B1 -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84B1
KR101030184B1 KR1020100114213A KR20100114213A KR101030184B1 KR 101030184 B1 KR101030184 B1 KR 101030184B1 KR 1020100114213 A KR1020100114213 A KR 1020100114213A KR 20100114213 A KR20100114213 A KR 20100114213A KR 101030184 B1 KR101030184 B1 KR 10103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ing terminal
information
charg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수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1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2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with provision for recharging the prepaid account or card, or for credit establishment
    • H04M17/204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with provision for recharging the prepaid account or card, or for credit establishment on-line recharging, e.g. cashless
    • H04M17/2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with provision for recharging the prepaid account or card, or for credit establishment on-line recharging, e.g. cashless by sending a message, e.g. SMS, MMS or 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국제 또는 국내 전화 통화 방식과 선불 카드 통화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번의 다이얼링(dialing)으로 착신자와 연결은 물론 통화권 설정, 잔액 통보 및 충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tellectual Direct Dial}
본 발명은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국제 또는 국내 전화 통화 방식과 선불 카드 통화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번의 다이얼링(dialing)으로 착신자와 연결은 물론 통화권 설정, 잔액 통보 및 충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통신 방식은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이나 이동 통신망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통신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통신 방식은 발신자가 유선 또는 무선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전통적인 통신 방식에 부가하여 선불카드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선불카드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국제 또는 국내 전화 발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예를 들어, 먼저 접속 번호를 입력하여 ARS 서버에 접속하고, ARS 서버에서 제공하는 음성 안내에 관한 언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하며, 이후 선불카드 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에 대한 이동 국가 코드(MCC)와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및 이동 식별자 번호(MIN)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결국, 전통적인 통신 방식은 1번의 다이얼링만으로 국내 또는 국제 통화를 할 수 있으나 별도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없이는 선불카드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또한 선불카드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단계의 다이얼링(dialing)을 수행해야만 선불카드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통화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인 국내 또는 국제 전화 통화 방식과 선불 카드 통화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번의 다이얼링으로 착신자와 연결은 물론 통화권 설정, 잔액 통보 및 충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화 가능 시간 정보는 상기 충전 잔액 정보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근거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ARS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발신자와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은 ARS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충전 단계 수행 후, 해당 충전 이력을 상기 발신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상기 충전 이력의 통지는 SMS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는,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발신정보 수신부;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한계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화 발신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화 한계 정보의 제공 후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인증번호 등록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금액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통화한계정보 제공부, 상기 인증번호 등록부, 및 상기 금액 충전부와 각각 연동하여 상기 통화 한계 정보의 제공 및 상기 발신자와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ARS 통신으로 수행하기 위한 ARS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화한계정보 제공부는 상기 충전 잔액 정보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통화 가능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금액 충전부는 상기 충전 수행 후 해당 충전 이력을 상기 발신단말로 통지할 수 있고, SMS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이력을 통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기능; 및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포함할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국내 또는 국제 전화 통화 방식과 선불 카드 통화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번의 다이얼링으로 착신자와 연결은 물론 선택적으로 통화권 설정, 잔액 통보 및 충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방법에서 서비스 설정 및 충전을 위한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 그 유무선 통신망(10)을 매개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지능망 서버(20), 발신단말(30), 및 착신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단말(30)→유무선 통신망(10)→지능망 서버(20)→유무선 통신망(10)→착신단말(40)의 경로를 따라 발신단말(30)과 착신단말(40)간의 통화로가 형성되어 전화 통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10)은 지능망 서버(20), 발신단말(30), 및 착신단말(40) 간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버(20)는 일반적인 국내 또는 국제 전화 통화 방식과 선불 카드 통화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번의 다이얼링으로 착신자와 연결은 물론 선택적으로 통화권 설정, 잔액 통보 및 충전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단말(30) 및 착신단말(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 화상, 및/또는 데이터 등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지능망 서버(20)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 통화로 형성부(24), 인증번호 등록부(25), 금액 충전부(26), 및 자동응답서비스(ARS) 통신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는 발신단말(30)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한번에 다이얼링(1 stage dialing)된 전화 발신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0)의 예컨대 교환기(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는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를 통해 전화 발신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발신단말(30)에 대하여 인증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충전 잔액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있는지, 예를 들어, 착신단말의 종류 및/또는 착신지 별로 설정된 기준 금액 이상의 충전 잔액이 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의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가 모두 만족하면 즉, 인증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충전 잔액이 기준 금액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발신단말(30)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는 예를 들어 해당 충전 잔액 정보 및 해당 착신자 전화번호에 따른 착신단말의 종류 및/또는 해당 착신지 등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통화 가능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해당 정보를 ARS 통신부(27)를 통한 ARS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로 형성부(24)는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를 통한 전화 발신 정보의 수신 시 유무선 통신망(10)을 매개로 해당 발신단말(30)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를 통한 통화 한계 정보의 제공 후 해당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유무선 통신망(10)을 매개로 해당 발신단말(30)과 해당 착신단말(40)간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번호 등록부(25)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해당 발신단말(30)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인증번호 등록부(25)는 ARS 통신부(27)를 매개로 해당 발신단말(30)과 ARS 통신하여 해당 발신단말(30)로부터 입력된 인증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액 충전부(26)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의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면, 해당 발신단말(30)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한다. 예를 들어, 금액 충전부(26)는 ARS 통신부(27)를 매개로 해당 발신단말(30)과 ARS 통신하여 해당 발신단말(30)로부터 선택된 충전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잔액이 남아 있다 하더라도, 발신단말(30)에서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직접충전 방식으로 미리 일정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금액 충전부(26)는 충전 수행 후 해당 충전 이력을 발신단말로 통지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해당 충전 이력을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ARS 통신부(27)는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 인증번호 등록부(25), 및 금액 충전부(26)와 각각 연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한계 정보를 ARS 음성정보로 해당 발신단말(30)에게 제공하고, 전술한 인증번호 등록부(25)의 등록 과정 및 금액 충전부(26)의 충전 과정을 ARS 통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 및 도 2의 지능망 서버(20)에 적용되므로 그 지능망 서버(2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는 발신단말(30)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고, 통화로 형성부(24)를 통해 해당 발신단말(30)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S301).
이어, 인증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를 통해 해당 발신단말(30)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고(S302), 단계 S302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잔액이 충분하여 모두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3)는 ARS 통신부(27)를 통한 ARS 방식으로 통화 한계 정보를 해당 발신단말(30)에게 제공한다(S303).
이어, 단계 S301에서 수신된 전화 발신 정보로부터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를 기초로 해당 발신단말(30)과 해당 착신단말(40)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양자(30과 40)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S304).
한편, 단계 S302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다고 판단되면(S305), 인증번호 등록부(25)는 ARS 통신부(27)를 통해 발신단말(30)과 ARS 통신하여 발신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를 등록하고 단계 S302로 돌아간다(S306).
한편, 단계 S302의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다고 판단되면(S307), 금액 충전부(26)는 ARS 통신부(27)를 통해 발신단말(30)과 ARS 통신하여 해당 발신단말(30)로부터 선택된 금액을 충전하고 단계 S302로 돌아간다(S308).
본 실시예에서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통화 가능 시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근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08에서의 충전 과정을 수행한 후 해당 충전 이력을 SMS를 이용하여 해당 발신단말(30)의 발신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법에서 서비스 설정 및 충전을 위한 과정의 흐름도로, 동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단말(30)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번호와 상대방 착신단말(40)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화 발신 정보를 연속하여 다이얼링하고 발신하는지 확인한다(S401). 확인결과, 특정 서비스 번호와 상대방 착신단말(40)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화 발신 정보가 연속하여 다이얼링되면 상기 지능망 서버(20)의 전화발신정보 수신부(21)는 유무선 통신망(10)을 매개로 해당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지능망 서버(20)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를 통해 해당 발신단말(30)에 대해 인증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S402), 해당 인증번호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그 인증번호가 현재 연계된 다른 단말에서 사용 중인가의 여부를 검증하여(S403), 다른 단말에서 사용중이라면 실패처리하고 사용중이 아니라면 수신된 전화발신정보의 서비스 접속번호가 본 실시예의 서비스를 위한 접속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한 후(S404), 맞는다면 수신된 전화발신정보에서 착신단말(40)의 전화번호를 추출(parsing)하고(S405), 그 추출된 착신전화번호에 근거하여 해당 착신단말(40)의 종류 및 착신지를 확인, 예를 들어, 해당 착신단말(40)의 종류가 모바일 단말인지 유선 단말(전화기, 컴퓨터)인지 등을 확인하고 착신지가 어느 국가의 어느 지역인지를 확인하는 착신 번호 번역 과정을 수행한다(S406).
이어, 지능망 서버(20)는 과금 초기화를 수행하여 과금을 시작하고(S407), 동시에 금액 충전부(26)를 통해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여(S408) 잔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 이상으로 충분하다면 통화한계정보 제공부(24) 및 ARS 통신부(27)를 통해 발신단말(30)에게로 현재의 충전 잔액 정보 및/또는 현재의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가능시간 정보 등을 발신단말(30)에게 ARS 음성정보 형태로 제공하고(S409), 해당 발신단말(30)과 상대방 착신단말(40)간을 유무선 통신망(10)을 매개로 서로 연결한다(S410).
마지막으로, 지능망 서버(20)는 발신단말(30)과 착신단말(40)간에 통화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시하여(S411) 통화중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408로 돌아가고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과금을 종료하고 본 과정을 모두 종료한다(S412).
한편, 전술한 단계 S402에서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22)를 통해 해당 인증번호가 등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인증번호 등록부(25)는 ARS 통신부(27)를 통해 인증번호를 입력하라는 멘트 및 서비스 설정을 원하면, 기설정된 버튼 예를 들면, 33# 버튼을 입력하라는 멘트를 발신단말(30)로 제공한다(S421). 단계 S421에서 발신단말(30)로부터 33# 버튼이 입력되면 도 5의 단계 S501부터 시작하고, 인증번호가 입력되면(S422) 인증번호 등록부(25)는 그 입력된 인증번호를 해당 발신단말(30)에 연계하여 등록한 후(S423) 단계 S403으로 돌아간다.
또 한편, 전술한 단계 S408에서 금액 충전부(26)는 충전 잔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ARS 통신부(27)를 통해 충전 잔액이 부족하다는 멘트 및 충전을 원하면 33# 버튼을 입력하라는 멘트를 발신단말(30)로 제공하고(S431), 33# 버튼이 입력되면 도 5의 단계 S501부터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잔액이 남아 있다 하더라도, 상기 S4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서비스접속번호+33#' 을 입력하면 상기 발신단말(30)은 상기 S501단계로 곧바로 건너뛰어 직접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도 4의 방법에서 서비스 설정 및 충전을 위한 과정의 흐름도로, 도 4의 단계 S421 또는 S431에서 발신단말(30)로부터 33# 버튼이 입력된 경우, 또는 상기 S401 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30)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접속번호+33#'를 입력받으면 시작되는 과정이다.
먼저, 도 4의 단계 S421 또는 S431에서 발신단말(30)로부터 33# 버튼이 입력되거나, 상기 S401 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30)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접속번호+33#'를 입력받음으로써 발생한 신호를 상기 지능망서버(20)가 전송받으면(S501), ARS 통신부(27)를 통해 예를 들어 5000원권, 10000원권 등의 각종 통화권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는 멘트를 발신단말(30)로 제공하고 해당 발신단말(30)로부터 하나의 통화권(즉, 충전금액)이 선택되면(S502), 주민등록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등의 본인인증을 위한 번호를 입력하라는 멘트를 발신단말(30)로 제공한다(S503).
이어, 발신단말(30)로부터 안내 멘트에 따라 본인인증을 위한 번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본인인증 번호가 맞는지 기설정된 해당 정보와 비교 확인하여(S504), 틀린다면 실패처리하고 단계 S503~S505를 기설정된 횟수, 예를 들면 3회 반복 후 종료한다.
단계 S504에서 본인 인증이 성공하면, 해당 발신단말(30)의 발신전화번호가 신규 발신번호인가를 판단하고(S506), 신규 발신번호이면 인증번호 등록부(25)를 통해 해당 신규 발신번호와 연계하여 인증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하여 등록하고(S507), 신규 발신번호가 아니라면 즉, 인증번호가 기등록된 발신번호이거나 단계 S507의 수행 후에는 금액 충전부(26)를 통해 단계 S502에서 선택된 해당 충전 금액을 해당 인증번호와 연계하여 충전한다(S508).
마지막으로, 지능망 서버(20)는 전술한 단계 S502~S508을 통한 서비스 설정 완료 및/또는 충전 이력을 단문메시지서비스(SMS) 통해 발신단말(30)로 통지한 후 전술한 도 4의 단계 S402, S403 또는 S409로 돌아간다.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무선 통신망
20: 지능망 서버
21: 전화발신정보 수신부
22: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
23: 통화한계정보 제공부
24: 통화로 형성부
25: 인증번호 등록부
26: 금액 충전부
27: ARS 통신부
30: 발신 단말
40: 착신 단말

Claims (17)

  1.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가능 시간 정보는 상기 충전 잔액 정보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근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ARS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 등록 여부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잔액 여부의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은 ARS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충전을 위해 기설정된 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계 수행 후, 해당 충전 이력을 상기 발신단말에게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이력의 통지는 SM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
  10.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발신정보 수신부;
    상기 발신단말에 대한 인증번호 등록 여부 및 충전 잔액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번호등록/충전잔액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모두 만족하면, 상기 발신단말에게 통화 한계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한계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화 발신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화 한계 정보의 제공 후 상기 전화 발신 정보에서 추출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단말과 해당 착신단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한계 정보는 충전 잔액 정보 및 충전 잔액에 대응하는 통화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한계정보 제공부는 상기 충전 잔액 정보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통화 가능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 등록 여부의 판단 결과, 인증번호가 미등록 되었으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인증번호 등록부; 및
    상기 충전 잔액 여부의 판단 결과, 충전 잔액이 기준금액보다 부족하거나,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적어도 특정 서비스 접속번호 및 충전을 위해 기설정된 번호가 포함되어 다이얼링된 전화 발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충전하는 금액 충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한계정보 제공부, 상기 인증번호 등록부, 및 상기 금액 충전부와 각각 연동하여 상기 통화 한계 정보의 제공 및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이용한 통신을 ARS 통신으로 수행하기 위한 ARS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충전부는 상기 충전 수행 후 해당 충전 이력을 상기 발신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충전부는 SMS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이력을 통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114213A 2010-11-17 2010-11-17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3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13A KR101030184B1 (ko) 2010-11-17 2010-11-17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13A KR101030184B1 (ko) 2010-11-17 2010-11-17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184B1 true KR101030184B1 (ko) 2011-04-18

Family

ID=440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13A KR101030184B1 (ko) 2010-11-17 2010-11-17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95B1 (ko) * 2023-04-10 2023-10-25 주식회사 원포유 수용자 전용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통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20B1 (ko) 2006-09-15 2008-09-22 (주) 사이버패스 선불 카드 충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불 카드 충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20B1 (ko) 2006-09-15 2008-09-22 (주) 사이버패스 선불 카드 충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불 카드 충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95B1 (ko) * 2023-04-10 2023-10-25 주식회사 원포유 수용자 전용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통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58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itiating a call
US9225847B2 (en)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ption control
RU2439702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закции между двумя серверами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проверкой достоверн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двух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JP2013534757A (ja) 通信の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2034316A1 (zh) 一种呼叫限制业务的实现方法和系统
KR20060129453A (ko) 통신료 과금 시스템, 초소형 무선 기지국, 통신료 과금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089709B1 (ko)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0184B1 (ko) 지능형 전화 통화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JP412718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移動体通信方法
KR100782052B1 (ko) 에스엠에스 콜백 서버를 이용한 국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1285599B1 (ko)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126245A1 (zh) 一种主被叫身份置换的方法及系统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0648066B1 (ko) 공중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선불 요금 충전 시스템 및방법
KR101392665B1 (ko) 과금 변경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100640078B1 (ko) 공중 전화기를 이용한 사이버머니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74138B1 (ko) 스마트 단말에서 통화 요금을 최적화하는 통화 연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통화 연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5888141B2 (ja) 呼接続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121969B1 (ko) 타인 단말 상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호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
KR101290068B1 (ko) 스마트 단말에서 통화요금 최적화와 통화품질 안정성을 보장하는 통화연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통화연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6641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이스 콜 처리방법
KR100351130B1 (ko) 이동 통신 전화의 법인 과금 서비스 방법
KR101059730B1 (ko) 착신자 지불 통화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