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060B1 -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060B1
KR101030060B1 KR1020090102824A KR20090102824A KR101030060B1 KR 101030060 B1 KR101030060 B1 KR 101030060B1 KR 1020090102824 A KR1020090102824 A KR 1020090102824A KR 20090102824 A KR20090102824 A KR 20090102824A KR 101030060 B1 KR101030060 B1 KR 10103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lamping
cable
spring
clamp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남
김종석
정선철
박경흠
조병학
이재경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Abstract

압입 시험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시켜 열화 현상을 손쉽게 측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집게용 스프링이 사이에 연결되어 양 옆을 누르면 벌어지는 집게 바, 클램핑 바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인 클램핑 스프링을 위치시켜 집게 안쪽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고, 케이블과 닿는 면에 베어링을 장착하는 클램핑 바, 및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상,하부로 배치시켜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일단에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본 발명은 압입시험 모듈이 포함된 로봇이 케이블 좌우 및 밑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케이블 위를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하고, 압입 시험 시에는 케이블위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간격을 이동하며 압입 시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하는 시간을 줄여 시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고정장치, 로봇, 케이블, 압입시험

Description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FIXED APPARATUS FOR CALBE INDENTATION TEST}
본 발명은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입 시험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시켜 열화 현상을 손쉽게 측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휴대용 케이블 노화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케이블에 고정시켜 압입시험을 수행하여 왔다. 상기 휴대용 케이블 노화 진단장치와 관련하여 김종석, 정선철에 의해 2008년 3월 19일자로 공개된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8-0024891호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공개된 특허는 압입 시험기 본체 하단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에 맞물려 전후 직선운동을 하여 케이블에 가압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은 케이블 주변에 케이블 트레이 같은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측정이 어렵고, 압입 시험을 수행할 때 마다 다시 케이블에 고정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 결과로, 종래의 방식은 압입 시험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측정 위치 간격도 체계화 되지 않아 시험결과의 오차가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주변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케이블의 열화 정도를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도록, 압입시험 로봇을 케이블에 안전하게 고정시켜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케이블 압입시험용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집게용 스프링이 사이에 연결되어 양 옆을 누르면 벌어지는 집게 바, 클램핑 바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인 클램핑 스프링을 위치시켜 집게 안쪽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고, 케이블과 닿는 면에 베어링을 장착하는 클램핑 바, 및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상,하부로 배치시켜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일단에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클램핑 바가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힘으로 인하여 집게 안쪽으로 접히지 않도록 클램핑 회전축 측 끝부분에서 상기 집게 바의 하단에 걸리게 하는 밀림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용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구 모양의 볼 캐스터 또는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축을 갖는 원기둥 모양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입시험 모듈이 포함된 로봇이 케이블 좌우 및 밑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케이블 위를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하고, 압입 시험 시에는 케이블위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간격을 이동하며 압입 시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하는 시간을 줄여 시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게 형태의 구조로 케이블로부터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시험용 로봇(200)과 고정장치(100)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압입시험용 로봇(200)이 케이블(300) 상.하.좌.우의 주변에 장애물이 있더 하더라도 케이블(300) 위를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압입시험용 로봇(200)을 케이블(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압입시험용 로봇(200)이 케이블(300)에서 압입시험을 수행할 경우에도 압입시험 로봇(200)을 케이블(300)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하에서는 고정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시험 로봇용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는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110), 집게용 스프링(120), 집게 바(130), 연결 바(140), 클램핑 바(145), 클램핑 바 회전축(150), 클램핑 볼 캐스터(160) 및 클램핑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한 다. 각 구성요소중 집게 바(130), 클램핑 바(145) 및 연결 바(140) 및 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집게 바(130)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집게 바(130)는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집게용 스프링(120)을 사이에 두고 집게용 스프링(120) 각 양 끝단에 연결되어 양 옆을 누르면 벌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집게용 스프링(120)은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관계로 양 집게 바(130)가 한쪽 방향으로 취우쳐 벌려지거나 닫히게끔 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다. 즉, 집게용 스프링(120)은 탄성력이 있는 코일 스프링 및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클램핑 바(145)는 실제 케이블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며, 내측에 클램핑 바 회전축(150)을 장착하고, 클램핑 바 회전축(150)에 토션 스프링인 클램핑 스프링(170)을 위치시켜 집게 안쪽 방향으로 클램핑 스프링(170)의 힘이 작용하도록 케이블과 닿는 면에 베어링(160)을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핑 바(145)에서 케이블에 직접 닿는 베어링(160)은 클램핑 바 회전축(150)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 모양의 볼 캐스터의 형태를 갖거나 압입시험용 로봇(200)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축을 갖는 원기둥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예컨대 볼 캐스터 형태의 베어링(160)은 압입시험용 로봇(200)이 케이블(300) 위를 이동할 시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이 결과로 압입시험시 압입시험용 로봇(200)을 케이블(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원기둥 모양의 형태도 볼 캐스터 형태의 베어링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예 컨대, 볼 캐스터 형태의 베어링(160)을 이후의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연결 바(140)는 집게 바(130) 및 클램핑 바(145)를 각각 상,하부로 배치시켜 집게 바(130) 및 클램핑 바(145)를 각각 일단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이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집게 바(130)와 클램핑 바(145)와의 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연결 바(140)는 케이블(300)의 두께가 위치에 따라서 다를 경우에 케이블(300)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고정되도록 클램핑 바(145)의 길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클램핑 바의 밀림 방지턱(19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핑 바의 밀림 방지턱(180)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추가하여 고정 장치에 형성되는데, 클램핑 바(145)에 형성된 클램핑 토션 스프링(170)에 의한 클램핑 바 회전축(150) 상에 형성되어, 클램핑 바(145)가 클램핑 스프링(170)의 힘으로 인하여 집게 안쪽으로 접히지 않도록 클램핑 바 회전축(150) 측 끝부분에서 집게 바(130)의 하단에 걸리게 끔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림 방지턱(180)으로 인하여, 클램핑 바(145)가 더 이상 집게 바(130) 안쪽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측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는 집게 바(130) 및 클램핑 바(145)의 각 일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바(140) 내에 볼트 구멍, 예컨대 긴 원모양의 볼트 구멍이 뚫린 형상(190)을 구비한다. 이러한 볼트 구멍(190)에는 집게 바(130) 및 클램핑 바(145)에 연결 바(140)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가능하며, 이를 통해 클림핑 바(145)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시험용 로봇과 고정장치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시험 로봇용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클램핑 바의 밀림 방지턱(19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측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장치 110 :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
120 : 집게용 스프링 130 : 집게 바
140 : 연결 바 145 : 클램핑 바
150 : 클램핑 바 회전축 160 : 클램핑 볼 캐스터
170 : 클램핑 토션 스프링

Claims (5)

  1. 케이블 압입시험용 로봇을 케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집게용 스프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집게용 스프링이 사이에 연결되어 양 옆을 누르면 벌어지는 집게 바,
    클램핑 바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인 클램핑 스프링을 위치시켜 집게 안쪽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고, 케이블과 닿는 면에 베어링을 장착하는 클램핑 바, 및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상,하부로 배치시켜 상기 집게 바 및 클램핑 바를 각각 일단에 연결하는 연결 바
    를 포함하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클램핑 바가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힘으로 인하여 집게 안쪽으로 접히지 않도록 클램핑 바 회전축 측 끝부분에서 상기 집게 바의 하단에 걸리게 하는 밀림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용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구 모양의 볼 캐스터 또는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축을 갖는 원기둥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집게 바와 클램핑 바와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090102824A 2009-10-28 2009-10-28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KR10103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24A KR101030060B1 (ko) 2009-10-28 2009-10-28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24A KR101030060B1 (ko) 2009-10-28 2009-10-28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060B1 true KR101030060B1 (ko) 2011-04-19

Family

ID=4405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24A KR101030060B1 (ko) 2009-10-28 2009-10-28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525B1 (ko) * 2016-10-12 2017-05-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지하 시설물 탐사장치용 접지수단
CN107966286A (zh) * 2017-11-15 2018-04-27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扭簧的角度及扭力的测试系统
CN113305816A (zh) * 2021-06-18 2021-08-27 中海辉固地学服务(深圳)有限公司 用于水下钢缆爬行机构的锁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13A (ko) * 2004-08-27 2006-05-19 넥쌍 데이타 전송 케이블을 설비에 연결하는 공구
KR100880879B1 (ko)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13A (ko) * 2004-08-27 2006-05-19 넥쌍 데이타 전송 케이블을 설비에 연결하는 공구
KR100880879B1 (ko)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525B1 (ko) * 2016-10-12 2017-05-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지하 시설물 탐사장치용 접지수단
CN107966286A (zh) * 2017-11-15 2018-04-27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扭簧的角度及扭力的测试系统
CN113305816A (zh) * 2021-06-18 2021-08-27 中海辉固地学服务(深圳)有限公司 用于水下钢缆爬行机构的锁定装置
CN113305816B (zh) * 2021-06-18 2024-04-30 中海辉固地学服务(深圳)有限公司 用于水下钢缆爬行机构的锁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60B1 (ko) 케이블 압입시험용 고정장치
US20160061702A1 (en) Supporting apparatus and torsion test measuring device using same
JP5042565B2 (ja) クランプセンサ
KR101216879B1 (ko) 케이블 압입시험 로봇의 클램핑장치
US10119848B2 (en) Inspection machine and attachment jig therefor
KR101788129B1 (ko) 마이크로미터 세팅지그
KR101267711B1 (ko)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JP2016530516A5 (ko)
CN209605792U (zh) 轴承圆度检测装置
CN103913383A (zh) 电磁线拉伸状态下的弯曲性能检测方法及装置
TWI470200B (zh) 輪胎檢測裝置
KR101446590B1 (ko) 스프링 횡강성 측정용 지그
KR101652222B1 (ko) 질량 특성 측정용 시험장치
CN103366973A (zh) 电容器夹具及双芯苞电容自动赋能机
CN112621595A (zh) 一种用于组装紧密机械的测试设备
CN207438051U (zh) 一种医用气体终端及医用气路中气体流量的计量装置
CN206488868U (zh) 铂电阻温度计检定用辅助工具
CN111273061B (zh) 一种用于变压器检测的夹具装置
KR100910108B1 (ko)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CN209513866U (zh) 一种用于示波器的探头固定装置
KR20140033801A (ko) 클램핑 지그와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 장치
JP2015166122A (ja)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および被挟持物の保持方法
CN107589317A (zh) 表面电荷测量探头运动装置及表面电荷测试方法
CN214622592U (zh) 一种酸度测定仪
JP2015194386A (ja) 回転曲げ疲労特性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