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108B1 -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108B1
KR100910108B1 KR1020070086712A KR20070086712A KR100910108B1 KR 100910108 B1 KR100910108 B1 KR 100910108B1 KR 1020070086712 A KR1020070086712 A KR 1020070086712A KR 20070086712 A KR20070086712 A KR 20070086712A KR 100910108 B1 KR100910108 B1 KR 10091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rod
durability
bushing
plat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850A (ko
Inventor
최규재
조철용
유경현
장강원
김환
이지선
강인묵
박태근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1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6Investigating twisting or coil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1Torsi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3/00Measuring and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부싱이 각각 설치된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1판과; 상기 기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을 축고정하는 타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의 축을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1판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토크로드의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일측고정부와; 상기 제 1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일측고정부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1엑츄에이터와; 상기 기판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판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2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 2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 그리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보 다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 제 2판에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토크로드의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쉽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기판, 제 1판, 타측 고정부, 구동모터, 일측고정부, 제 1엑츄에이터, 제 2엑츄에이터

Description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TESTING APPARATUS FOR TORQUE ROD}
도 1은 토크로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기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제 1판과 타측고정부 및 구동모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타측고정부와 일측고정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의 홈에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부싱과 일측부싱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측고정부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엑츄에이터와, 상기 제 1판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엑츄에이터 및 상기 일측고정부의 축에 설치된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 3엑츄에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일측고정부의 축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 3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토크로드, 5a; 일측 부싱,
5b; 타측 부싱, 10; 기판,
15, 35; 레일 30; 제 1판,
50; 제 2판, 70; 타측고정부,
73, 110; 고정부재, 73a, 110a; 홈,
75, 115; 축, 90; 구동모터,
100; 일측고정부, 115a; 회전부,
130; 제 1엑츄에이터, 150; 제 2엑츄에이터,
170; 제 3엑츄에이터.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제 1엑츄에이터 및 제 2엑츄에이터에 의해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 그리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 제 2판에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토크로드의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쉽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로드(5)는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전후 차륜간 인장, 압축, 비틀림 운동을 잡아주어 차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상용차량 현가장치 부품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부싱(5a)과 타측부싱(5b)이 각각 삽입설치된다.
이와 같은 토크로드(5)는 차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위치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만약 상기 토크로드(5)가 차량 주행기간 동안에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차량의 파손뿐 아니라 인명피해까지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크로드(5)의 철저한 내구성능 평가가 요구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토크로드(5)에 수직반복하중을 가해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검사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는 상기 토크로드(5)에 단순 수직 반복 하중만을 가하기 때문에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검사하기가 여의치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 2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 그리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 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음은 물론 제 2판에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토크로드의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쉽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부싱이 각각 설치된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1판과; 상기 기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을 축고정하는 타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의 축을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1판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토크로드의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일측고정부와; 상기 제 1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일측고정부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1엑츄에이터와; 상기 기판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판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 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2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일측고정부는 상기 제 1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는 제 2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판에는 X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고정부의 축에 설치된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측고정부와 상기 일측고정부에는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과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기판(10)의 일측 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제 1판(30)과 타측고정부(70) 및 구동모터(9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타측고정부(70)와 일측고정부(10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3, 110)의 홈(73a, 110a)에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부싱(5b)과 일측부싱(5a)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측고정부(100)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엑츄에이터(130)와, 상기 제 1판(30)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엑츄에이터(150) 및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축(115)에 설치된 회전부(115a)를 회전시키는 제 3엑츄에이터(17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일측고정부(100)의 축(115)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115a))가 상기 제 3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기판(10), 제 1판(30), 타측고정부(70), 구동모터(90), 일측고정부(100), 제 1엑츄에이터(130) 및 제 2엑츄에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판(30)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기판(10)의 타측에는 토크로드의 타측부싱을 축고정하는 타측고정부(70)가 고정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기판(10)상에는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축(75)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기판(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판(30), 상기 타측고정부(70) 및 상기 구동모터(90)가 설치될 수 있 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1판(30)은 상기 기판(10)의 일측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상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판(30)에는 상기 일측고정부(10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 1판(30)에는 상기 일측고정부(100)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술할 상기 제 1엑츄에이터가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판(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고정부(100)와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고정부(70)는 상기 기판(10)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을 축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타측고정부(70)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을 고정하는 고정부재(7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타측고정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토크로드(5)의 상기 타측 부싱(5b)을 축고정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90)는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축(75)과 체결되어 상기 기판(10)상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9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상기 축(75)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상기 고정부재(73) 또한 상기 축(7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상기 타측 부싱(5b)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토크로드(5)의 상기 타측 부싱(5b)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90)를 이용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을 일정각도로 정ㆍ역회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반드시 상기 구동모터(90)를 사용하여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상기 축(75)을 회전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상기 축(75)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고정부(100)는 상기 토크로드(5)의 일측 부싱(5a)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제 1판(30)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부(100)에는 상기 토크로드(5)의 일측 부싱(5a)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1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고정부(1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판(30)의 상측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 2판(50)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제 2판(50)은 상기 제 1판(30)상에 설치된 레일(35)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판(30)상에 설치된 레일(35)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상기 제 2판(50)으로 인해 상기 일측고정부(100)가 상기 제 1 판(30)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판(30)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토크로드(5)의 일측부싱(5a)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부(70)와 상기 일측고정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과 일측 부싱(5a)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73, 110)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크로드(5)의 타측 부싱(5b)과 일측 부싱(5a)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73a, 110a), 즉 상기 타측 부싱(5b)과 상기 일측 부싱(5a)이 삽입되는 홈(73a, 1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73, 110)에 상기 타측 부싱(5b)과 상기 일측 부싱(5a)을 쉽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는 상기 제 1판(3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일측고정부(100)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판(3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일측고정부(100)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의 로드(133)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제 1판(30)상에 설치된 레일(35)을 따라 상기 제 2판(50)이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판(50)에 상기 일측고정부(1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일측고정부(100) 또한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가 상기 일측고정부(100)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토크로드(5)를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는 상기 제 1판(30)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 또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판(30)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의 로드(153) 길이가 신장될 시 상기 기판(10)상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상기 제 1판(30)이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가 상기 제 1판(30)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토크로드(5)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90)와 상기 제 1엑츄에 이터(130) 및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에 의해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 그리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됨은 물론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판(50)에는 X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축(115)에 설치된 회전부(115a)를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3엑츄에이터(170)가 더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판(50)에 설치된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의 로드(173) 길이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축(115)에 설치된 회전부(115a)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의 로드(173)는 상기 회전부(115a)의 레일(115b)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이동부재(115c)상에 축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의 로드(173)가 X축 방향으로 신장될 시 상기 로드(173)와 축결합된 상기 이동부재(115c)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15a)의 상기 레일(115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상기 축(115)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1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상기 고정부재(110) 또한 상기 축(11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상기 일측 부싱(5a)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토크로드(5)의 상기 일측 부싱(5a)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의 로드(173)의 전후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115a)가 일정한 각도로 정ㆍ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토크로드(5)의 일측 부싱(5a)에 대한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타측고정부(70)의 축(75)을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상기 구동모터(90) 이외에 상기 일측고정부(100)의 상기 축(115)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115a)를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가 상기 제 2판(50)에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크로드(5)의 비틀림 내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 및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의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밝힌다.
더불어, 상기에서는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 및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를 사용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엑츄에이터(130), 상기 제 2엑츄에이터(150) 및 상기 제 3엑츄에이터(170) 대신에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상기 토크로드(5)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1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 2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 그리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기 때문 에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에 비해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실차 주행 하중을 바탕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판에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상기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측고정부와 상기 일측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과 일측부싱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과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을 쉽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양측에 부싱이 각각 설치된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 1판과;
    상기 기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을 축고정하는 타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의 축을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1판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토크로드의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일측고정부와;
    상기 제 1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일측고정부를 X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X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1엑츄에이터와;
    상기 기판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판을 Y축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Y축 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되는 상기 토크로드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2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고정부는 상기 제 1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는 제 2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판에는 X축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고정부의 축에 설치된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토크로드의 비틀림 내구성을 시험하는 제 3엑츄에이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고정부와 상기 일측고정부에는 상기 토크로드의 타측 부싱과 일측 부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타측 부싱과 상기 일측 부싱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070086712A 2007-08-28 2007-08-28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091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12A KR100910108B1 (ko) 2007-08-28 2007-08-28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12A KR100910108B1 (ko) 2007-08-28 2007-08-28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50A KR20090021850A (ko) 2009-03-04
KR100910108B1 true KR100910108B1 (ko) 2009-07-30

Family

ID=406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12A KR100910108B1 (ko) 2007-08-28 2007-08-28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92B1 (ko) * 2020-07-17 2021-02-05 (주)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167B (zh) * 2011-10-19 2013-12-11 天津津伯仪表技术有限公司 电动执行器免带载检测系统
CN108692958A (zh) * 2018-05-17 2018-10-23 荆州恒隆汽车技术(检测)中心 扭转滑移加载装置及试验工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8009A (ko) * 1984-05-30 1985-12-11 이해 토오크 로드 어셈블리의 반경 방향 및 비틀림방향 특성시험과 회전토오크 시험기
KR19980037443A (ko) * 1996-11-21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200414788Y1 (ko) 2006-02-14 2006-04-25 배응준 인장, 압축강도 및 내구성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8009A (ko) * 1984-05-30 1985-12-11 이해 토오크 로드 어셈블리의 반경 방향 및 비틀림방향 특성시험과 회전토오크 시험기
KR19980037443A (ko) * 1996-11-21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200414788Y1 (ko) 2006-02-14 2006-04-25 배응준 인장, 압축강도 및 내구성 시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기계학회논문집 14권 5호 pp.1320~13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92B1 (ko) * 2020-07-17 2021-02-05 (주)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50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232B2 (ja) 面状体の曲回試験装置。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CN108362586B (zh) 共振弯曲疲劳试验机
KR100910108B1 (ko) 토크로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0377373B1 (ko) 와이어의 복합 피로 시험기
KR101254049B1 (ko) 현가부재용 내구성 시험장치
KR101199255B1 (ko) 캐비닛 강성 측정용 시험장치
CN108593267A (zh) 一种光纤复合式试验机
KR102014702B1 (ko) 브레이크 호스의 내구시험 장치
CN208672293U (zh) 踏板寿命测试工装
KR20120133187A (ko) 현가부재용 내구성 시험장치
KR100586525B1 (ko) 차량용 창문 구동모터의 성능 시험방법 및 그를 위한 성능시험기
KR20090057496A (ko)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KR101159821B1 (ko) 도어모듈용 내구성측정 진동시험장치 및 그 표준화 방법
KR101326848B1 (ko) 서스펜션 모듈의 특성시험장치
KR100915587B1 (ko) 회전토크 측정장치용 안전장치
JP7042139B2 (ja) インターミディエイトシャフトのねじり試験装置
CN211927220U (zh) 一种倾斜调整装置及摇摆实验台
CN212159065U (zh) 新能源汽车驱动轴总成的可靠耐久性能试验装置
KR20140033801A (ko) 클램핑 지그와 이를 이용한 인장 시험 장치
KR100482085B1 (ko) 상용차용 스테빌라이저바아의 내구시험 장치
CN106225966A (zh) 模拟扭矩负载测试装置
KR200444571Y1 (ko) 타이어 주행시험기
KR100957031B1 (ko) 커넥팅 로드의 좌굴실험장치
KR101251965B1 (ko) 토크센서용 토크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