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174B1 -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 Google Patents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174B1
KR101029174B1 KR1020040072943A KR20040072943A KR101029174B1 KR 101029174 B1 KR101029174 B1 KR 101029174B1 KR 1020040072943 A KR1020040072943 A KR 1020040072943A KR 20040072943 A KR20040072943 A KR 20040072943A KR 101029174 B1 KR101029174 B1 KR 10102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circuit arrangement
circui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309A (ko
Inventor
마르쿠스 헤크만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2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드백 수단으로서 변압기를 가지는 하프-브릿지 회로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한 자체-발진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변압기의 2차측 권선은 베이스-이미터 경로와 병렬로 연결되지 않고, 콜렉터-이미터 경로와 직렬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피드백을 위해서 포화 변압기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N AC VOLTAGE FROM A DC VOLTAG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는 전자식 스위치들을 위한 개선된 구동회로를 가지는 도 1로부터 이어지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전자식 스위치들을 위한 또 다른 개선된 구동회로를 가지는 도 1로부터 이어지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명세서에서 저항기들은 문자 R, 커패시터들은 문자 C, 트랜지스터들은 문자 T, 다이오드들은 문자 D, 및 결합부(junction)들은 문자 J로 표시되고, 각각의 경우에 숫자가 이어진다. 또한, 명세서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진 엘리먼트들에 대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DC 전압으로부터 A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체-발진(self-oscillating) 인버터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버터들의 바람직한 응용분야는 기체 방전 램프들을 위한 동작 디바이스들이다.
생성된 AC 전압은 연결된 부하에 교류 전류를 만든다. 입력 DC 전압은 또한 직류 전류를 제공한다.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따라서 직류 전류로부터 교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성을 제한하지 않고서, AC 전압 및 DC 전압만이 아래 설명될 것이다.
하프-브릿지 및 풀-브릿지 회로들이 DC 전압으로부터 A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공지되었고, 아래에서 인버터로서 또한 언급된다. 특히, 하프-브릿지 회로들은 기체 방전 램프들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하프-브릿지는 교대로 개폐되는 2개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은 제어회로 또는 연결된 부하 회로로부터 구동된다. 상기 후자의 경우에, 하프-브릿지 자신이 피드백 수단을 사용해서 전자식 스위치들을 구동하고,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이러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자체-발진 하프-브릿지로 언급된다. 종래기술에서, 인버터를 구현하는 값싼 방법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을 가지는 자체-발진 하프-브릿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제어회로가 필요하지 않고, 값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국특허 5,563,777호(Miki)는 자체-발진 하프-브릿지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사용된 피드백 수단은 1차측이 부하 회로에 배치되고, 2차측이 전자식 스위치들을 구동하는 변압기이다.
전자식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2개의 메이크 콘택들 및 하나의 제어 콘택을 가진다. 부하 저항기는 메이크 콘택들 사이에 있고, 제어 저항기는 메이크 콘택과 제어 콘택 사이에 있다. 하프-브릿지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경우에, 이미터 및 콜렉터는 메이크 콘택들을 형성하고, 베이스는 제어 콘택을 형성한다. 제어 저항기는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위치한다. 하프-브릿지의 MOSFET의 경우에, 소스 및 드레인은 메이크 콘택들을 형성하고, 게이트는 제어 콘택을 형성한다. 제어 저항기는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위치한다.
미국특허 5,563,777호(Miki)는 변압기에 대한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먼저, 변압기는 피드백 수단으로서만 역할하는 별도의 변압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변압기는 포화되거나 포화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변압기는 2차측 권선들이 적용된 부하 회로의 인덕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부하 회로의 인덕터는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형성한다. 기체 방전 램프들을 동작시키는 응용에서, 상기 인덕터는 소위 램프 인덕터로서 사용된다. 다른 용용에서, 예컨대, 공진 근처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술한 별도의 변압기의 경우에, 인덕터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설계에서 포화되거나 포화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모든 실시예들은 제어 저항기와 병렬로 연결된 2차측 권선들을 가진다.
종래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단점들을 가진다: 불포화 변압기를 가진 실시예들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전자식 스위치를 닫는 것이 항상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스위칭 손실들을 때때로 가진다. 또한, 전자식 스위치들의 베이스 전류가 높은 값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구동 손실들이 때때로 생긴다.
포화 변압기를 가진 실시예들은 높은 구동 레벨때문에 높은 변압기 손실을 가진다. 또한, 포화 특성들이 높은 제조 허용치들을 필요로 한다. 이는 대량으로 생산된 변압기를 선택할 때 복잡한 선택과정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를 사용해서 효율적인 비용 및 낮은 손실로 자체-발진을 제공하는, DC 전압으로부터 AC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비용에 대한 해결책은 또한 높은 허용치를 필요로하지 않는 컴포넌트들이 요구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목적은 피드백 수단으로서 전자식 스위치의 부하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을 구비한 변압기를 가지는, DC 전압으로부터 AC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어 콘택은 전자식 스위치의 제어 저항기 및 2차측 권선이 하나의 메쉬에 있도록 연결된다.
2차측 권선은 종래기술처럼 제어 저항기와 병렬로 연결되지 않는다. 전자식 스위치는 메이크 콘택의 전압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구동된다. 전자식 스위치가 닫히는 시간 간격에서, 부하전류는 2차측 권선을 통해서 흐른다. 이어, 부하 전류는 또한 전자식 스위치를 구동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
하프-브릿지의 경우에, 일단 하나의 전자식 스위치가 개방되면 다른 전자식 스위치는 부동시간(dead time)이 경과한 때 닫힌다. 일반적으로, 이는 전자식 스위치들의 스위칭 부하가 경감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상기 부동시간은 예컨대, 부하제한(load shedding), 단락회로, 과부하 또는 부족부하와 같은 인버터의 모든 동작 상태에서 최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항상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비-최적 부동시간은 전자식 스위치들에서 전류 피크치들을 초래할 수 있고, 전자식 스위치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전자식 스위치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는 부하 저항기에 직렬로 연결된 유도성 효과를 가지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전류 피크치들이 전자식 스위치에 발생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는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 피크치들의 레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포화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전자식 스위치에 대한 낮은 구동 및 스위칭 손실들을 가능하게 만드는 자체-발진 인버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DC 전압원은 제 1 및 제 2 DC 전압 입력부(J1,J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DC 전압원의 양극은 J1에 연결되어야만 하고, 음극은 J2에 연결되어야만 한다.
제 1 직렬 장치는 제 1 전자식 스위치(T1), 저항기(R1), 및 제 1 의 2차측 권선(L12)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을 형성한다.
제 2 직렬 장치는 제 2 전자식 스위치(T2), 저항기(R2), 및 제 2 의 2차측 권선(L13)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를 형성한다.
2개의 직렬 장치들은 직렬로 연결되고, DC 전압 입력부(J1,J2)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2개의 직렬 장치들은 하프-브릿지를 형성한다. 2개의 직렬 장치들의 연결 지점에 AC 전압 출력부(K1)가 있다. 전자식 스위치들을 교대로 닫음으로써, AC 전압 출력부(K1)의 전위는 J1 및 J2 의 전위에서 교대한다.
비용의 관점에서, 전자식 스위치들은 바람직하게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의 형태이다. 그러나,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MOSFETs 또는 IGBTs와 같은 다른 전자식 스위치들이 또한 가능하다.
저항기들(R1,R2)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효과를 가지는 T1 및 T2에 네가티브 피드백을 각각 제공한다. 또한, 저항기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저항기들을 단락회로로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2차측 권선들(L12,L13)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서 중요한 요소는 전자식 스위치들의 단자들에 관한 배치이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차측 권선(L12)은 저항기(R1)를 통해서 T1의 이미터에 연결된다. 이어, 2차측 권선(L12)은 T1의 부하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다. T1의 부하 저항기 및 2차측 권선(L12)을 포함하는 상기 직렬 회로는 DC 전압 입력부(J1) 및 AC 전압 출력부(K1)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차측 권선(L13)은 저항기(R2)를 통해서 T2의 이미터에 연결된다. 이어, 2차측 권선(L13)은 T2의 부하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다. T2의 부하 저항기 및 2차측 권선(L13)을 포함하는 상기 직렬 회로는 DC 전압 입력부(J2) 및 AC 전압 출력부(K1) 사이에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프리휠링(freewheeling) 다이오드(D1,D2)는 T1 및 T2의 부하 저항기들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들은 또한 전자식 스위치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한 전체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소위 완충기(snubber) 커패시터(C5)는 AC 전압 출력부(K1) 및 DC 전압 입력부(J1)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커패시터는 AC 전압 출력부(K1)에서 전압의 플랑크 기울기를 감소시킨다. C5는 또한 J2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식 스위치들이 2차측 권선들(L12,L13)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구동되기 위해서, 각각의 제어 콘택은 각각의 제어 저항기 및 각각의 2차측 권선이 하나의 메쉬에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T1의 베이스는 저항기(R11)를 통해서 AC 전압 출력부(K1)에 연결되고, T2의 베이스는 저항기(R12)를 통해서 DC 전압 입력부(J2)에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에, 다이오드(D5,D6) 및 커패시터(C3,C4)는 T1 및 T2의 제어 저항기들과 병렬로 연결된다. 다이오드들(D5,D6) 및 커패시터들(C3,C4)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은 전자식 스위치들(T1,T2)의 구동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이루게 한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하가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부하 출력부들(J3,J4)을 가진다. J4에서 전위는 기준전위가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J4는 DC 전압 입력부(J2)에 연결된다. J4를 J1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전압분배기에 의해서 원하는 기준전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J4는 상기 기준전위에 연결된다.
리액턴스 네트워크는 AC 전압 출력부(K1)와 부하 출력부들(J3,J4) 사이에 연결되고, AC 전압 출력부(K1)에서의 임피던스를 부하 출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리액턴스네트워크는 1차측 권선(L11) 및 커패시터들(C1,C2)을 포함한다. 1차측 권선 및 커패시터(C1)는 직렬로 연결되고, AC 전압 출력부(K1) 및 부하 출력부(J3) 사이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2)는 부하 출력부들(J3,J4) 사이에 연결된다.
1차측 권선(L11)은 2차측 권선들(L12,L13)에 결합된다. 이어, 1차측 권선(L11) 및 2차측 권선들(L12,L13)은 변압기를 형성한다. 변압기 권선들의 각각의 권선 방향은 공지된 방법인 도트들로 표시된다. 1차측 권선(L11)은 제 1 단자에서 AC 전압 출력부(K1)에 결합되고, 제 2 단자에서 부하 출력부(J3)에 결합된다. 이어, 부하 전류는 1차측 권선(L11)을 통해서 흐른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부하들에 대해서, 부하 저항기(R3)는 부하 출력부들(J3,J4)에 연결된다. 리액턴스 네트워크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부하 전류는 1차측 권선을 통해서만 흐르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에 도시된 리액턴스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기체 방전 램프들이 R3와 합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경우에, C1은 부하 출력부들(J3,J4) 사이의 전압이 DC 전압 컴포넌트를 가지는 못하게 하는 블록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상기 경우에, 1차측 권선(L11)은 램프 인덕터의 기능을 가지고, C2와 함께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임의의 부하가 부가의 권선을 통해서 변압기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할로겐 백열등일 수 있다.
하프-브릿지는 풀-브릿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1차측 권선은 브릿지 가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경우에, 변압기는 등가의 방식으로 2개의 부가 전자식 스위치들을 구동하기 위해서 2개의 부가 2차측 권선들을 가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과 비교해서, 도 2 에서, 각각의 경우에 저항기(R21 또는 R22) 및 다이오드(D21 또는 D22)를 포함하는 직렬 회로들은 저항기들(R11,R12)과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식 스위치들(T1 또는 T2)의 개방이 개선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와 비교해서, 저항기들(R11,R22)은 각각의 인덕터(L31,L32)로 각각 대체된다. 또한, 저항기(R31,R32)는 각각의 다이오드들(D5,D6)과 직렬로 연결된다. 도 2 와 비교해서 도 3 의 회로에 적용된 상기 변화는, T1 및 T2의 개폐를 또한 개선한다. 우선, 상기의 결과로서, 스위칭 손실들이 감소되고, 리액턴스 네트워크 및 부하를 포함하는 부하 회로의 공진 성질들에 관한 스위칭 시간이 최적화된다. 인버터의 낮은 공진주파수, 예컨대 30㎑ 에서, D5 및 D6에 쇼트키(Schottky) 다이오드들을 사용하고 저항기들(R31,R32)을 단락시키는 것은 인버터의 전력손실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 수 있다.
도 2 와 비교해서, 도 3 은 다음의 부가 변화들을 가진다: 커패시터(C3) 및 다이오드(D1)는 도 2 에서처럼 T1의 이미터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R1 및 2차측 권선(L12)의 연결지점에 연결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커패시터(C4) 및 다이오드(D2)의 연결이 또한 다르다. 결과적으로, 소위 프리휠링 전류는 더 이상 저항기(R1 또는 R2)를 통해서 흐르지 않고, 이는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변화는 전자식 스위치들(T1,T2)의 스위칭 동작을 개선한다.
도 3 의 주요 컴포넌트들에 대한 아래 스펙사양은 230V의 DC 전압 입력부들(J1,J2)에서 2개의 36와트의 형광 램프들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압기 코어: EVD 25
L11: 128 턴들
L12: 4 턴들
L13: 4 턴들
C2: 12nF
R1, R2: 1Ω
L31, L32: 1mH
R21, R22: 39Ω
R31, R32: 4.7Ω
대략 50㎑의 인버터 공진주파수가 발생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때, 20㎑ 및 100㎑ 사이의 주파수범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형광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 동작 디바이스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부가하여, 상기 동작 디바이스는 시스템 AC 전압으로부터 DC 전압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시스템 전류 고조파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 디바이스는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디바이스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동작 디바이스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 디바이스는 무선 간섭을 억제하기에 적당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포화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전자식 스위치에 대한 낮은 구동 손실 및 스위칭 손실을 가능하게 하는 자체-발진 인버터를 형성하여 AC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DC 전압원이 연결될 수 있는 제 1 DC 전압 입력부(J1) 및 제 2 DC 전압 입력부(J2);
    적어도 하나의 AC 전압 출력부(K1);
    부하(R3)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하 출력부(J3,J4);
    2개의 메이크 콘택(make contact)들 및 하나의 제어 콘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스위치(T1,T2) ― 그 결과 부하 저항기가 상기 메이크 콘택들 사이에서 정의되고, 제어 저항기가 상기 제어 콘택 및 메이크 콘택 사이에서 정의됨 ―
    를 포함하고,
    하나의 메이크 콘택이 DC 전압 입력부(J1,J2)에 결합되고, 다른 메이크 콘택이 상기 AC 전압 출력부(K1)에 결합되며,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1차측 권선(L11)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L12,L13)을 구비한 변압기 ― 상기 1차측 권선의 제 1 단자는 상기 AC 전압 출력부(K1)에 결합되고, 상기 1차측 권선의 제 2 단자는 상기 부하 출력부(J3)에 결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권선(L12,L13) 및 상기 부하 저항기는 DC 전압 입력부(J1,J2)와 상기 AC 전압 출력부(K1) 사이에 연결되는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콘택은 상기 제어 저항기 및 상기 2차측 권선(L12,L13)이 하나의 메쉬에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2개의 전자식 스위치들(T1,T2)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스위치들(T1,T2)은 하프-브릿지 회로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전자식 스위치들(T1,T2)의 부하 저항기들은 2차측 권선(L12,L13)과 직렬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전자식 스위치들(T1,T2)의 제어 저항기들 및 2차측 권선들(L12,L13)은 하나의 메쉬를 형성하기 위해서 인덕터(L31,L32)를 통해서 각각 연결되는,
    A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다이오드(D21,D22) 및 저항기(R21,R22)를 포함하는 직렬 회로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인덕터들(L31,L32)과 병렬로 연결되는,
    A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는,
    형광 램프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디바이스.
KR1020040072943A 2003-09-18 2004-09-13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KR101029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3275A DE10343275A1 (de) 2003-09-18 2003-09-18 Schaltungsanordnung zum Erzeugen von Wechselspannung aus einer Gleichspannung
DE10343275.2 2003-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09A KR20050028309A (ko) 2005-03-22
KR101029174B1 true KR101029174B1 (ko) 2011-04-12

Family

ID=3417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43A KR101029174B1 (ko) 2003-09-18 2004-09-13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30566B2 (ko)
EP (1) EP1517592B1 (ko)
KR (1) KR101029174B1 (ko)
CN (1) CN100472929C (ko)
CA (1) CA2481537A1 (ko)
DE (1) DE10343275A1 (ko)
RU (1) RU2339151C2 (ko)
TW (1) TW2005242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963B2 (en) * 2003-04-04 2009-06-09 Lumidigm, Inc. Texture-biometrics sensor
US7560874B2 (en) * 2006-09-30 2009-07-14 Osram Sylvania Inc. Electronic ballast with improved inverter startup circuit
US8775104B2 (en) * 2007-12-17 2014-07-08 Jose R. Marti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289A (en) 1961-08-07 1964-01-07 Automatic Elect Lab Transistor tone generator
US3922582A (en) 1974-08-22 1975-11-25 Gte Sylvania Inc Current limited oxcillator arrangement
FR2700426A1 (fr) * 1993-01-08 1994-07-13 Courier De Mere Henri Edouard Convertisseur électronique à haut rendement.
US6259213B1 (en) 1999-02-11 2001-07-10 R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446B1 (ko) * 1986-05-30 1990-04-14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불활성 가스 방전등 장치
DE3829388A1 (de) * 1988-08-30 1990-03-0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einer last
JP3382012B2 (ja) * 1994-04-25 2003-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励式インバータ装置
DE4430397A1 (de) * 1994-08-26 1996-02-2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von Niederdruckentladungslampen
US5898278A (en) * 1995-08-09 1999-04-27 Pinbeam Ag Series resonant lamp circuit having direct electrode connection between rectifier and AC source
EP1346611A1 (en) * 2000-12-04 2003-09-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llast circuit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289A (en) 1961-08-07 1964-01-07 Automatic Elect Lab Transistor tone generator
US3922582A (en) 1974-08-22 1975-11-25 Gte Sylvania Inc Current limited oxcillator arrangement
FR2700426A1 (fr) * 1993-01-08 1994-07-13 Courier De Mere Henri Edouard Convertisseur électronique à haut rendement.
US6259213B1 (en) 1999-02-11 2001-07-10 R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30566B2 (en) 2006-04-18
US20050062438A1 (en) 2005-03-24
EP1517592B1 (de) 2016-09-28
DE10343275A1 (de) 2005-05-12
CA2481537A1 (en) 2005-03-18
RU2004127897A (ru) 2006-02-20
EP1517592A2 (de) 2005-03-23
TW200524261A (en) 2005-07-16
CN100472929C (zh) 2009-03-25
EP1517592A3 (de) 2008-01-16
KR20050028309A (ko) 2005-03-22
CN1599224A (zh) 2005-03-23
RU2339151C2 (ru)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786B1 (ko) 소형 형광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KR100458358B1 (ko) 램프동작용회로장치
JP6200810B2 (ja) Emiフィルタ用のピーク電流制限器を持つ照明用電源回路
US5332951A (en) Circuit for driving gas discharge lamps having protection against diode operation of the lamps
JP2003520407A (ja) 多ランプ動作用の電力帰還力率修正方式
US5399944A (en) Ballast circuit for driving gas discharge
KR100270897B1 (ko) 전자식 안정기
AU2003205038B2 (en) Drive for a half-bridge inverter
CN101960924B (zh) 可调光瞬时启动镇流器
KR101391202B1 (ko) 전압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연관된 방법
KR101029174B1 (ko) Dc전압으로부터 ac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US6677716B2 (en) Operating device for gas discharge lamp
JPH06310286A (ja) ランプ
US6208086B1 (en) Halogen power converter with complementary switches
US20040012345A1 (en) Operating device for gas discharge lamps
CA2357816C (en)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JP3937780B2 (ja) 電源装置
Blanco et al. An improved electronic transformer for low power halogen cycle lamps
WO2002034014A1 (en) Centrally-controlled electronic ballast with enhanced power savings
JP2007018841A (ja) マグネトロンフィラメント電源装置
KR100270944B1 (ko) 밸러스트 회로
JP2003007485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6231876A (ja) 高周波インバータ
Majumdar et al. A transformerless single switch ballast for operating compact fluorescent lamps from batteries
KR20030082408A (ko) 자동차의 백열 램프를 동작하기 위한 회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