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462B1 -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462B1
KR101028462B1 KR1020090015928A KR20090015928A KR101028462B1 KR 101028462 B1 KR101028462 B1 KR 101028462B1 KR 1020090015928 A KR1020090015928 A KR 1020090015928A KR 20090015928 A KR20090015928 A KR 20090015928A KR 101028462 B1 KR101028462 B1 KR 10102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on
ars
control
server
ho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859A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09001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세대별 댁내기기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댁내기기를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 위해 댁내시스템의 세대단말기에 구비된 모드(Mode)설정부에서 외출모드(Mode)로 설정시키는 단계; 상기 외출모드 설정에 이어, 상기 정보단말기를 통해 댁내기기에 대한 기능요소의 원격제어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지ARS서버에 접속시키기 위해 세대식별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 상기 세대인증절차를 거쳐서 원격제어시키고자 하는 상기 댁내기기에 해당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정보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받음과 함께, 상기 입력된 댁내기기ARS제어코드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에 생성된 제어코드와 매칭(Matching)되면 상기 단지ARS서버에 전송시키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에 매칭되는 제어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지서버를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 요청을 받은 세대의 세대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지ARS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에 매칭되는 해당 댁내기기의 기능요소를 제어시키기 위해 제3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홈네트워크, 단지ARS서버, 단지서버, 댁내기기, 기능요소, 원격제어

Description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HOME EQUIPMENT USING ARS SERVER}
본 발명은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 등과 같은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에 있어서 단지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이하 "ARS"라 한다.)서버를 이용하여 세대별 댁내기기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단말기를 통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한다.) 통신망으로 상기 단지ARS서버에 접속한 후 사용자가 제어시키고자 하는 댁내기기에 해당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댁내기기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은 최근들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비롯하여 가정집, 사무실 등에 걸쳐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차원에서 널리 적용되어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는 물론 단지내의 각종설비 및 상기 단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안 및 감시활동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 ARS서비스를 이용하여 댁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화국(예를 들면; KT 등)에 개별로 아날로그 유선전화 서비스에 가입신청을 해야만 가능하고, 또한 각 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기 내에 PSTN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회로를 내장시켜 주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인터넷 전화의 보급으로 인해 상기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ARS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도 역시 별도의 아날로그 유선전화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으면 이와 같은 ARS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 등에 있어서, 정보단말기를 통해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에 접속한 후 사용자가 제어시키고자 하는 댁내기기에 해당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댁내기기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댁내기기를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 위해 댁내시스템의 세대단말기에 구비된 모드(Mode)설정부에서 외출모드(Mode)로 설정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출모드 설정에 이어, 상기 정보단말기를 통해 댁내기기에 대한 기능요소의 원격제어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지ARS서버에 접속시키기 위해 세대식별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대인증절차를 거쳐서 원격제어시키고자 하는 상기 댁내기기에 해당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정보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받음과 함께, 상기 입력된 댁내기기ARS제어코드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에 생성된 제어코드와 매칭(Matching)되면 상기 단지ARS서버에 전송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 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에 매칭되는 제어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지서버를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 요청을 받은 세대의 세대단말기를 접속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지ARS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에 매칭되는 해당 댁내기기에 대한 기능요소를 제어시키기 위해 제3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댁내기기를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고자 댁내시스템에 구비된 세대단말기를 워크그룹스위칭부 및 단지서버를 거쳐서 상기 단지ARS서버에 접속시키기 위한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절차를 거쳐서 상기 세대단말기를 통해 제어상태정보에 포함되는 세대식별코드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단지내에 구축된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외출 또는 부재시에 외부에서 원하는 댁내기기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 시켜 줄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한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체적인 기술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공동주택 등과 같은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에 있어서, 전화기능을 포함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기능을 가진 회로가 내장된 단지ARS서버(100)를 이용하여 외출시에 세대별로 설치된 댁내기기(500)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제어수단으로는 정보단말기(700)를 통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망으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한 후 사용자가 제어시키고자 하는 댁내기기(500)에 해당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상기 정보단말기(700)에 구비된 문자, 숫자, 부호 등이 포함된 키입력버튼(710)으로 입력받아서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참고적으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이를 "자동응답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용어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응답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는 안내음성으로 된 각종 정보를 미리 기억장치(예를 들면;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고, 이때 사용자가 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응답시스템에 접속하면 안내음성에 따라 기기 등의 제어에 대한 사용법을 알려주거나, 또는 정보검색을 도와 주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전화국(예를 들면; KT 등)에 구비된 전화교환 설비에 전화회선을 접속하여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 상호간에 전화통화를 비롯한 전화교환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 구성한 망으로써, 이는 누구나 가입신청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댁내기기(500)의 원격제어에 포함되는 기능요소의 종류로는 전원의 온(On) 및 오프(Off), 온도의 업(Up) 및 다운(Down), 밸브(Valve)의 열림(Open) 및 닫힘(Close), 커튼(Curtain)의 열림(Open) 및 닫힘(Close), 전등조명의 밝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능요소에는 앞에서 열 거한 일실시사례들로 제한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부에서 정보단말기(700)가 PSTN망으로 접속되는 서버시스템(1000)을 비롯하여, 네트워크통신망(800)으로 서로 연결되는 각종 단지설비들이 구비된 단지설비시스템(3000) 및 워크그룹스위칭(Work Group Switching)부(600)에 의해 스위칭(Switching)제어되어 댁내기기(500)들이 구비된 댁내시스템(2000), 아파트 등 단지의 메인출입구 및 부출입구에 출입하는 방문자 및 차량들에 대한 감시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경비시스템(40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워크그룹스위칭부(600)는 단지서버(200)에 구비된 제2제어부(220) 또는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제3제어부(4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단지서버(200)와 세대단말기(4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단지서버(2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세대단말기(4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을 위한 신호접속을 스위칭(Switching)제어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워크그룹스위칭부(60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규모가 작은 아파트 단지 또는 빌딩, 기업체 등에서 수십 혹은 수백 노드(Node)의 그룹(Group) 내에 소규모 장치만으로 그룹의 노드를 한 곳에 모아 그룹 내의 각 단말기들 간에 통신을 원활하게 해주며, 또한 서버와의 통신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24개의 10/100Mbps 포트와 2개의 100Base-FX 또는 Gigabit Uplink 포트를 갖는 고성능의 Ethernet/Fast Ethernet N-Way Auto Negotiation 스위치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RMON(Remote Network MONitoring), Web 기반의 관리프로그램 등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대단말기(400) 및 경비실시스템(4000) 등의 각 단말기에 대한 특정 수의 노드(Node)를 묶어서 하나의 그룹 내에 두고 이들 간에 서로 통신하거나 단지서버(200)와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워크그룹스위치(Workgroup Switch)와 서버를 연결할 때는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상기 정보단말기(700)에는 휴대전화기를 비롯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일반유선전화 등과 같이 정보의 전송과 수신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단말기들을 더 포함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구비된 단지ARS서버(100)는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단지ARS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상기 단지ARS서버(100)는 아파트 등 단지공용으로 사용되며, 전화기능을 포함한 ARS기능을 가진 회로가 내장되며,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되는 정보단말기(700) 및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인증이 이루어지는 세대인증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세대인증부(140)에는 도 7에 나타낸 일실시사례와 같이 세대의 동 및 호수를 식별시켜주기 위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세대비밀번호(부호 생략함.)를 입 력받아서 제1제어부(120)에 의해 판별되어 그에 따른 인증절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는 단지ARS서버DB(160)가 구비되며, 상기 인증절차를 거친 세대단말기(400)가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600)를 거쳐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연결되어,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상태정보(910)에 포함되는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각각 생성시켜 주는 세대식별코드생성DB(160-2)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제어상태정보(910)는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어상태정보생성DB(160-1)에 생성시킴과 함께, 세대단말기(400)의 저장부(450)에 저장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대식별코드생성DB(160-2)에 생성되는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의 일실시사례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101동 801호 세대에 대한 세대식별코드는 "#101x0801"이고, 103동 2505호 세대에 대한 세대식별코드는 "#103x2505" 등으로 생성시켜 주게된다.
또한, 상기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에 생성되는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의 일실시사례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거실난방기를 온(On)제어시켜 주기 위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는 "#01xx01"이고, 그리고 상기 거실난방기를 오프(Off)제어시켜 주기 위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는 "#01xx02"이고, 또한 거실커튼을 온(On)(또는 "설치"라고도 한다.)제어시켜 주기 위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는 "#05xx01"이고, 그리고 상기 거실커튼을 오프(Off)(또는 "해제"라고도 한다.)제어시켜 주기 위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는 "#01xx02" 등으로 생성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문자, 숫자, 부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숫자, 부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고유하게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셋업(Setup)된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코딩(Coding)하여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열거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는 제2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연결수단인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외부의 PSTN망으로 연결되는 정보단말기(700) 및 단지서버(200)를 네트워크통신망(800)에 접속 및 해제시켜 주게 된다.
다음은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구비된 단지서버(200) 및 상기 단지서버(200)에 연결되는 단지설비시스템(300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단지서버 및 이와 연결된 단지설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상기 단지서버(200)는 단지설비시스템(3000)을 제어시키기 위해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2제어부(2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서 단지ARS서 버(100) 및 워크그룹스위칭부(600)를 거쳐 댁내시스템(2000)과 경비실시스템(4000) 상호간에 네트워크통신망(800)에 접속 및 해제시켜 주기 위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지설비시스템(3000)은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단지내에서 발생되는 보안을 비롯하여 전기 및 가스 계량기의 점검, 단지내 안전사고의 감시, 그리고 단지내의 각종 중요설비가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단지서버(200)에 구비된 제2제어부(220)의 제어를 받는 단지설비시스템(3000)에 포함된 단지설비들, 다시 말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출입구에 출입하는 방문자 및 차량등의 보안을 감시하기 위해 아파트 등의 메인출입구에 설치된 메인출입구CCTV를 비롯하여 단지내에 방송을 하기 위한 방송장비, 또한 단지내에 화재발생시에 소방을 하기 위한 소방장비, 그리고 단지내에 세대별 가스검침을 하기 위한 가스검침기 등 다양하게 구비되며, 상기 단지설비시스템(3000)에 포함된 상기 단지설비들에는 앞에서 열거한 일실시사례들로 제한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단지서버(200)에는 앞에서 언급한 아파트 등의 메인출입구에 설치된 메인출입구CCTV를 통해서 촬상된 방문자 및 차량 등의 영상정보를 비롯하여, 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장CCTV를 통해 촬상된 차량 등의 영상정보를 단지감시장치(250)에 구비된 화면부(부호 생략함.)에 디스플레이(Display)시켜 주게 된다.
다음은 상기 댁내시스템(2000)에 구비된 세대단말기(400) 및 상기 세대단말 기(400)에 연결되는 댁내기기(50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댁내시스템에 구비된 세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상기 세대단말기(400)는 댁내기기(500)를 제어시키기 위해 인터페이스부(440)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3제어부(4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제어부(420)는 인터페이스부(430)을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600)를 거쳐서 단지서버(200) 및 경비실시스템(4000) 상호간에 네트워크통신망(800)에 접속 및 해제시켜 주기 위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3제어부(420)는 단지ARS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에 매칭되는 해당 댁내기기(500)에 대한 기능요소를 제어시키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댁내기기(500)에는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대내에 구비 및 설치된 기기 내지는 설비들로써, 예를 들면 거실에 설치된 거실난방기를 비롯하여 큰방에 설치된 큰방에어콘, 거실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시키기 위한 거실조명스위치, 주방에 설치된 주방가스밸브 등이 포함되며, 이는 앞에서 열거한 일실시사례들로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댁내기기(500)를 정보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100)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 위해 외 출모드(Mode)를 설정시켜 주는 모드설정부(46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출모드(Mode)는 세대 구성원들이 외출시에 설정하고, 댁내에 돌아오면 다시 해제시켜 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대단말기(400)에는 첨부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상태정보생성DB(160-1)에 생성된 제어상태정보(910)를 또 다시 저장시켜 주는 저장부(450)가 구성된다.
이는 세대 구성원들이 단지ARS서버(100)에 인증절차를 거쳐 번거롭게 접속하지 않고서도 댁내기기(500)에 대한 제어이력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450)에 저장된 제어상태정보(910)는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리콜모드(Recall Mode)부(480)의 요청에 의해 화면부(47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화면부(470)에 디스플레이되는 2009년 01월 10일 22시 05분 05초에 세대단말기(400)를 통해 원격제어가 이루어진 제어상태정보(910)에 대해서 살펴보면, 101동 801호 세대의 거실에 설치된 거실난방기가 온(On)제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콜모드부(480)는 외출로 인한 부재시에 댁내기기(500)가 제어된 이력을 세대 구성원들이 다시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제어일시(부호 생략함.)를 비롯하여 세대식별코드(920),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지감시장치(250)에 구비된 화면부(부호 생략함.) 및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화면부(470)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열거한 일실시사례들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지ARS서버(100) 및 단지서버(200),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제1제어부(120) 및 제2제어부(220), 제3제어부(420)는 마이컴(Micom)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버시스템(1000) 및 댁내시스템(2000), 그리고 단지설비시스템(3000)에 대한 제반적인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언급된 인터페이스부(130)(230)(240)(430)(440)는 전기적인 신호 및 통신연결수단,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을 비롯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Terminal), 컨넥터(Connector) 등을 통해서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같은 통신수단으로 네트워크통신망(800)에 연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500)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해 제어상태정보(910)에 포함된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생성시키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해 단지ARS서버에 세대식별코드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생성시 키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댁내기기(500)를 정보단말기(700)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100)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고자 댁내시스템(2000)에 구비된 세대단말기(400)를 워크그룹스위칭부(600)와 단지서버(200)를 거쳐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시키기(S501) 위한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S502)가 구비된다.
상기 세대인증에는 도 7에 나타낸 일실시사례와 같이 세대의 동 및 호수를 식별시켜주기 위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세대비밀번호(부호 생략함.)를 단지ARS서버(100)에 구비된 세대인증부(140)에 입력받아서 제1제어부(120)에 의해 판별되어 인증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인증절차를 거쳐서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상태정보(910)에 포함되는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각각 생성시키는 단계(S503)(S5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는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ARS서버DB(160)에 포함된 세대식별코드생성DB(160-2)에 생성시켜 주는 단계(S50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ARS서버DB(160)에 포함된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에 생성시켜 주는 단계(S50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문자, 숫자, 부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숫자, 부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고유하게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셋업(Setup)된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코딩(Coding)하여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댁내기기(500)를 정보단말기(700)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100)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 위해 댁내시스템(2000)의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모드(Mode)설정부(460)에서 외출모드(Mode)로 설정시키는 단계(S60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출모드(Mode)는 세대 구성원들이 외출시에 설정하고, 댁내에 돌아오면 해제시켜 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출모드 설정에 이어, 상기 정보단말기(700)를 통해 댁내기기(500)에 대한 기능요소의 원격제어 요청을 받으면(S602),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시키기(S603) 위해 세대인증부(140)에서 상기 정보단말기(7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 입력을 요청하여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S604)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대인증에는 도 7에 나타낸 일실시사례와 같이 세대의 동 및 호수를 식별시켜주기 위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세대비밀번호(부호 생략함.)를 단지ARS서버(100)에 구비된 세대인증부(140)에 입력받아서 제1제어부(120)에 의해 판별되어 인증절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세대인증절차를 거쳐 원격제어시키고자 하는 상기 댁내기기(500)에 해당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정보단말기(700)에 구비된 문자, 숫자, 부호 등이 포함된 키입력버튼(710)을 통해 입력받음과 함께 이때, 상기 입력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에 생성된 제어코드와 매칭(Matching)되면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전송시키는 단계(S60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전송시킨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에 매칭되는 제어상태정보(910)를 생성하고(S606), 이어서 단지서버(200)를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600)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 요청을 받은 세대의 세대단말기(400)를 접속시키는 단계(S60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워크그룹스위칭부(600)는 단지서버(200)에 구비된 제2제어부(220) 또는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제3제어부(4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단지서버(200)와 세대단말기(4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단지서버(2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세대단말기(4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을 위한 신호접속을 스위칭(Switching)제어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지ARS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에 매칭되는 해당 댁내기기(500)의 상기 기능요소를 제어시키기 위해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제 3제어부(420)에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S6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댁내기기(500)의 원격제어에 포함되는 기능요소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원의 온(On) 및 오프(Off), 온도의 업(Up) 및 다운(Down), 밸브(Valve)의 열림(Open) 및 닫힘(Close), 커튼(Curtain)의 열림(Open) 및 닫힘(Close), 전등조명의 밝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능요소에는 앞에서 열거한 일실시사례들로 제한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제어상태정보(910)는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어상태정보생성DB(160-1)에 생성시킴과 함께 세대단말기(400)의 저장부(450)에 저장시키고(S609), 이어서 상기 저장부(450)에 저장된 제어상태정보(910)는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리콜모드(Recall Mode)부(480)의 요청에 의해 화면부(47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단계(S6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콜모드부(480)는 외출로 인한 부재시에 댁내기기(500)가 제어된 이력을 다시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제어일시(부호 생략함.)를 비롯하여 세대식별코드(920),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명확하게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 등과 같은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에 있어서 외출 또는 부재시에 외부에서 원하는 댁내기기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기술로써, 향후 대규모의 아파트 등에 그 적용성 및 활용 가치성이 매우 기대되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한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단지ARS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단지서버 및 이와 연결된 단지설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댁내시스템에 구비된 세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해 단지ARS서버에 세대식별코드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생성시키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반으로 구축된 단지내의 댁내기기를 원격제어시키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에서 생성 및 관리되는 세대식별코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ARS서버에서 생성 및 관리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단말기에 구비된 화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상태정보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 서버시스템 100 : 단지ARS서버
120 : 제1제어부
130, 230, 240, 430, 440 : 인터페이스부
140 : 세대인증부 160 : 단지ARS서버DB
160-1 : 제어상태정보생성DB 160-2 : 세대식별코드생성DB
160-3 :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 200 : 단지서버
220 : 제2제어부 240 : 단지서버DB
250 : 단지감시장치 2000 : 댁내시스탬
400 : 세대단말기 420 : 제3제어부
450 : 저장부 460 : 모드설정부
470 : 화면부 480 : 리콜모드(Recall Mode)부
500 : 댁내기기 600 : 워크그룹스위칭부
700 : 정보단말기 710 : 키입력버튼
800 : 네트워크통신망 910 : 제어상태정보
920 : 세대식별코드 930 : 댁내기기ARS제어코드
3000 : 단지설비시스템 4000 : 경비실시스템

Claims (8)

  1. 댁내기기(500)를 정보단말기(700)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100)에 접속하여(S501),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전원의 온 및 오프, 온도의 업 및 다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커튼의 열림 및 닫힘, 전등조명의 밝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고자 댁내시스템(2000)에 구비된 세대단말기(400)를 워크그룹스위칭부(600)와 단지서버(200)를 거쳐서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시키기 위해 세대인증부(140)에서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S502);
    상기 세대인증을 거친 세대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상태정보(910)에 포함되는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의 생성(S503) 및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생성시키는 단계(S50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는 세대식별코드생성DB(160-2)에 생성시켜 주는 단계(S50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에 생성시켜 주는 단계(S506);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 및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는 문자, 숫자, 부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코딩(Coding)하여 생성시켜 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5. 댁내기기(500)를 정보단말기(700)를 이용하여 PSTN통신망으로 단지ARS서버(100)에 연결하여 상기 댁내기기(500)에 대한 전원의 온 및 오프, 온도의 업 및 다운, 밸브의 열림 및 닫힘, 커튼의 열림 및 닫힘, 전등조명의 밝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기능요소를 원격으로 제어시키 위해 댁내시스템(2000)의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모드설정부(460)에서 외출모드로 설정시키는 단계(S601);
    상기 외출모드 설정에 이어 상기 정보단말기(700)를 통해 댁내기기(500)에 대한 상기 기능요소의 원격제어 요청을 받으면(S602),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접속시키기(S603) 위해 세대인증부(140)에서 상기 정보단말기(700)에 대한 세대식별코드(920) 입력을 요청하여 세대인증을 거치는 단계(S604);
    상기 세대인증을 거쳐 원격제어시키고자 하는 상기 댁내기기(500)에 해당되는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를 정보단말기(700)에 구비된 키입력버튼(710)을 통해 입력받고(S605), 상기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가 댁내기기ARS제어코드생성DB(160-3)에 생성된 제어코드와 매칭되면 상기 단지ARS서버(100)에 전송시켜 제어상태정보(910)를 생성하는 단계(S606); 및
    상기 제어상태정보(910)의 생성에 이어 단지서버(200)를 통해 워크그룹스위칭부(600)를 제어하여 원격제어 요청을 받은 세대의 세대단말기(400)를 접속시켜(S607), 상기 단지ARS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에 매칭되는 해당 댁내기기(500)에 대한 상기 기능요소를 제어시키기 위해 제3제어부(420)에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S6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그룹스위칭부(600)는 단지서버(200)에 구비된 제2제어부(220); 또는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제3제어부(4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단지서버(200)와 세대단말기(4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단지서버(2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세대단말기(400)와 경비실시스템(4000) 간에 전기적인 통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을 위한 신호접속을 스위칭 제어시켜 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정보(910)는 세대식별코드(920) 및 댁내기기ARS제어코드(9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어상태정보생성DB(160-1)에 생성시켜 세대단말기(400)의 저장부(450)에 저장에 이어(S609), 상기 세대단말기(400)에 구비된 리콜모드부(480)의 요청에 의해 화면부(47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단계(S61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KR1020090015928A 2009-02-25 2009-02-25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KR10102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28A KR101028462B1 (ko) 2009-02-25 2009-02-25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28A KR101028462B1 (ko) 2009-02-25 2009-02-25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859A KR20100096859A (ko) 2010-09-02
KR101028462B1 true KR101028462B1 (ko) 2011-04-14

Family

ID=4300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28A KR101028462B1 (ko) 2009-02-25 2009-02-25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869A (ko) * 2003-07-07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예약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5226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응답장치를 가지는 홈서버 및 그 작동방법
KR100729623B1 (ko) 2005-12-21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기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홈기기 제어장치
KR20080011581A (ko) * 2006-07-31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869A (ko) * 2003-07-07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예약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5226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응답장치를 가지는 홈서버 및 그 작동방법
KR100729623B1 (ko) 2005-12-21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기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홈기기 제어장치
KR20080011581A (ko) * 2006-07-31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859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050B1 (ko) 분산형 홈 네트워크용 통합형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구조
JP3906801B2 (ja) 集合住宅用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EP170147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in a virtual private network environment
EP3413518A1 (en) Security panel gateway system and method
KR2001010940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제어 감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415018B1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028462B1 (ko)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US20230388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s and detecting failures of networked devices
JP201210968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対応型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5640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홈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IT201900002525A1 (it) Sistema e metodo di intercomunicazione in corrispondenza di punti d'ingresso in edifici o aree limitate e per la gestione e il controllo remoto degli ingressi
JP6005509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
KR101231827B1 (ko) 스마트 워크 센터와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 연동 방법
KR100736134B1 (ko)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7903B1 (ko) 페이지 폰 자가 진단 듀얼 통신 시스템
CN111800437A (zh) 一种人工智能的安全网络系统
JP2009284250A (ja) 宅内監視制御システム、宅内監視制御方法、および監視制御装置
KR100879218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617020B1 (ko) 홈 네트워크 장치
US7227461B2 (en) Security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711763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42980A (ja) 通信システム、複合通信端末
KR20010100582A (ko) 아파트 단지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70075557A (ko) 홈 네트워크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KR20050092993A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