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020B1 - 홈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020B1
KR100617020B1 KR1020040062809A KR20040062809A KR100617020B1 KR 100617020 B1 KR100617020 B1 KR 100617020B1 KR 1020040062809 A KR1020040062809 A KR 1020040062809A KR 20040062809 A KR20040062809 A KR 20040062809A KR 100617020 B1 KR100617020 B1 KR 10061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module
user
equipment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208A (ko
Inventor
이종헌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0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 H04M7/0069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comprising a residential gateway, e.g. those which provide an adapter for POTS or ISD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댁내 장비에 접속되어 각 장비를 제어하는 홈브릿지와; 인터넷 망과 상기 홈브릿지의 사이에 구성되어, 원격지로부터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사용자의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홈 브릿지를 통한 제어를 구현하는 VoIP 전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장치.
VoIP,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장치{A Home Network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VoIP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에게 친숙한 전화기라는 인터페이스와 VoIP 인터넷 기술을 응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킹 기술은 각종 전자제품 및 가정 내의 전기, 기계장치의 제어를 통하여 자동화를 이루는 기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냉장고(1), VTR(2)과 같은 가전제품에서부터, 보일러(N)와 같은 난방제어기 등을 홈 게이트웨이(10)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이 때 홈 게이트웨이(10)와 장비(1,2,…N)간의 통신수단으로는 전력선 통신 (HomePlug), 전화선 통신(HomePNA), 유선/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Home RF) 등의 방식을 이용한다. 장비들마다 서로 상이한 통신방식을 알맞게 변환하여주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장비를 제어하는 것이 홈 게이트웨이(10)이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댁내의 전자, 기계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해 놓고,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집안 내에서 직접 홈 게이트웨이를 조작하거나, 원격지에서 홈 게이트웨이를 조작하여,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집안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거나 각종 검침 및 감시를 하게 된다. 홈 네트워크의 활용 예로는
- 가전기기 제어/감시: 사무실에서 퇴근하면서 집에 도착하기 전에 거실을 시원하게 하기 위해 휴대폰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에 접속하고 거실의 온도나 주변의 기후 여건 등을 알아보고, 에어컨을 적당한 온도로 작동시킨다.
- 재난 시 대응: 회사에서 야근 중 집의 방범이 걱정되는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에 접속하고 집의 운영모드를 방범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외부에서 침입이 발생하면 홈 게이트웨이에서 이를 탐지하여 조명을 켜고, 경보 신호를 보내고, 집주인에게 휴대폰으로 단문 메시지를 보낸다. 또한 이러한 위급 상황을 아파트 관리 사무소와 경비업체에도 전달하여 비상대기 요원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집주인은 인터넷을 통해 집에 설치된 웹 카메라로 집안의 상태를 살펴보고 위험사항의 조치여부를 확인한다.
- 원격 검침: 각 가정의 전기나 가스, 수도 사용량을 원격 검침 가능하게 하 여 검침원에 대한 인건비 등을 줄인다.
홈 게이트웨이는 연결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며 원격지에 연결되어 원격지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준다.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를 판별.
- 새로운 장비가 연결되거나 연결이 끊어진 장비를 인식하여 네크워크 자동 구성
- 장비나 서비스에 대한 등록
- 장비제어, 보안
- 브릿지 기능 : 브릿지 기능은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간의 연계를 위한 기능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공통의 표준 기술 (Ethernet, HomePNA, HomeRF, HomePlug 등)로 변환해 준다. 브릿지는 독립적인 장비로도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홈 게이트웨이가 브릿지 기능을 통합해 가는 추세이다.
홈 게이트웨이는 가정 생활하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전기기와 같이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즉, 대개의 가전기기가 전원만 꽂으면 동작을 하듯이 홈 게이트웨이도 특별한 조작이 없이도 쉽게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VoIP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정내의 각종 가전기기 및 전자, 기계장치의 통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의 특징은 종래의 홈 게이트웨이와 VoIP 전화기의 통합기능을 갖는 VoIP 전화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댁내 장비에 접속되어 각 장비를 제어하는 홈 브릿지와; 인터넷 망과 상기 홈 브릿지의 사이에 구성되어, 원격지로부터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사용자의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홈 브릿지를 통한 제어를 구현하는 VoIP 전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VoIP 전화기가,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해독하는 응용 프로그램 처리모듈과;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명령을 이용하여 댁내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재구성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홈 브릿지로 전달하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VoIP 전화기에 댁내 장비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가 부가되어 구성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액정표 시장치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VoIP 전화기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인식모듈이 부가된 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비(1, 2, N)를 접속하기 위한 홈 브릿지(200)와, 상기 홈 브릿지(200)에 연결되는 VoIP전화기(100)와, 상기 VoIP전화기(100)에 연결되는 인터넷 망으로 구성된다.
VoIP전화기(100)는 사용자가 굉장히 익숙한 구조로 되어 있고 지금까지 사용해 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음성을 처리하는 모듈이 들어 있어서 댁내에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원격지에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 창구로서 적합하다.
도 3은 VoIP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VoIP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듈(150)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해독하는 응용 프로그램 처리모듈(120)과;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명령을 이용하여 댁내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재구성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130)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홈 브릿지(200)로 전달하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VoIP전화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형 액정표시장치(LCD)와 음성 인식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터치 패널(또는 터치 스크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더넷 스위치는 2개 이상의 이더넷 포트를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장비들을 제어하는 홈 브릿지(200)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대형 LCD의 터치 패널을 통하여 또는 전화기 핸드셋이나 핸드프리장치를 통한 음성 명령을 한다. 이런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0)에서 처리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이러한 사용자의 명령을 응용프로그램 모듈(120)로 올려준다. 응용 프로그램 모듈(120)에서는 명령을 해독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130)로 보내준다.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130)에서는 해당 명령을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으로 재구성하여 이더넷 스위치(140)를 통하여 홈 브릿지(200)로 보내게 된다. 홈 브릿지(200)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장비(1,2…N)를 제어한다.
장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줄 경우에는 장비에서 홈 브릿지(200)로 상태정보가 전달되고, 이러한 정보는 전화기상의 LCD, LED,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을 경우에는, 전화기(10)로 인터넷을 통하여 댁내의 VoIP전화기(100)에 전화를 걸어 사용자 인증 절차를 마친다. 그 후에 음성이나 다이얼을 통하여 댁내에 있을 때에 마찬가지로 장비(1,2,…N)의 제어나 상태감시를 하게 된다.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을 경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컴퓨터(20)등을 통하여 VoIP전화기(100)의 WEB, Telnet등의 서비스에 원격 로그인 한다. 마찬가지로 인증 절차를 마친 후 WEB, Telnet등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장비(1,2,…N)의 상태를 보거나 제어한다. 기존의 VoIP전화를 할 때에는 전화기 모듈(도시되지 않음)에서 이를 처리하여 준다.
본 발명은 일반인에게 친숙한 전화기라는 인터페이스와 VoIP라는 인터넷 기술을 응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구성하므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기존의 홈 게이트웨이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이 필요 없게 되고, 단순한 브릿지 기능만을 필요로 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은 VoIP전화기가 대신하여 준다.
대형 LCD와 음성인식모듈, 웹, 텔렛등 기존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주고, 원격지에서의 제어 및 감시를 용이하게 하여준 다.

Claims (5)

  1. 삭제
  2.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댁내 장비에 접속되어 각 장비를 제어하는 홈브릿지(A)와,
    인터넷 망과 상기 홈브릿지의 사이에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b-1)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는 음성인식 모듈(b-2)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듈(b-3)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해독하는 응용 프로그램 처리모듈(b-4)과;
    상기 응용프로그램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명령을 이용하여 댁내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재구성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b-5)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홈 브릿지로 전달하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b-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격지로부터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사용자의 댁내 장비 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홈 브릿지를 통한 제어를 구현하는 VoIP 전화기(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전화기(B)에 댁내 장비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b-7)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b-7)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5. 삭제
KR1020040062809A 2004-08-10 2004-08-10 홈 네트워크 장치 KR10061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09A KR100617020B1 (ko) 2004-08-10 2004-08-10 홈 네트워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09A KR100617020B1 (ko) 2004-08-10 2004-08-10 홈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08A KR20060014208A (ko) 2006-02-15
KR100617020B1 true KR100617020B1 (ko) 2006-08-29

Family

ID=3712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809A KR100617020B1 (ko) 2004-08-10 2004-08-10 홈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13B1 (ko) * 2007-02-07 2008-08-19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08A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330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Zamora-Izquierdo et al. An integral and networked home automation solution for indoor ambient intelligence
CN102185966B (zh) 一种自适应互动智能电器群系统
CN104125125A (zh) 一种智能家居系统和控制方法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JP2008283433A (ja) ネットワーク家電システム
KR20030082670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0506168B1 (ko)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100452031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CN104536301A (zh) 智能家居终端集中控制系统
CN109120351A (zh) 一种应用于物联网中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KR100617020B1 (ko) 홈 네트워크 장치
KR100530370B1 (ko)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JP200527806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438769B1 (ko)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JP200413520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712694B1 (ko) 네트워크 전등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CN105404168A (zh) 一种用于药盒子内部的温度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211018823U (zh) 一种干节点信号转换电路
CN202799012U (zh) 一种可视固定电话
TWI769713B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CN102710843A (zh) 一种可视固定电话
KR101028462B1 (ko) 단지ars서버를 이용한 댁내기기의 원격제어방법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