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8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981B1
KR101027981B1 KR1020080127798A KR20080127798A KR101027981B1 KR 101027981 B1 KR101027981 B1 KR 101027981B1 KR 1020080127798 A KR1020080127798 A KR 1020080127798A KR 20080127798 A KR20080127798 A KR 20080127798A KR 101027981 B1 KR101027981 B1 KR 10102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plug
receptacle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73A (ko
Inventor
무네노부 요시다
노리유키 아카이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접촉 성능이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콘택트의 형상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전송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40)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1개 이상의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20)에 있어서, 콘택트(24, 30)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면과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28, 34)를 형성한 커넥터이다.
커넥터, 콘택트, 오목부, 리셉터클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전송 신호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킨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의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로 플러그 콘택트를 지지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로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하며, 결합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가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109522호 공보
최근, 비교적 소형인 커넥터에 대해서도 고속 전송·고주파 대응이 요구되고 있어,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콘택트의 전체 형상을 바꾸면 전송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환경하에 있어서 플러그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 사이에서 낮은 접촉 저항으로 안정적인 접촉 성능을 유지한다는 커넥터 본래의 역할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접촉 성능을 의식해서 플러그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의 접촉면 형상 을 설계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송 특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콘택트의 형상을 접촉면을 포함하여 설계해 버리면 원하는 접촉 성능이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즉, 종래는 전송 특성과 접촉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바와 같은 양립된 설계를 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전송 특성은 콘택트 형상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의 거리(피치)나 인슐레이터의 유전율, 커넥터의 구조 등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콘택트 형상뿐만 아니라 커넥터 전체의 설계를 변경·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상 커넥터는 제한된 공간에 소정의 신호선, 즉 콘택트를 배치하여 실장해야 하므로, 피치 치수나 강도의 면에서 설계적인 제약이 많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접촉 성능을 희생시키지 않고, 전송 특성 향상을 위해서만 커넥터 전체의 구조를 대폭 변경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커넥터는 2개의 물체(2종류의 콘택트, 또는 콘택트와 기판이나 셸)을 접촉시키는 것이므로 전송로의 도중에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요인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콘택트의 단면적을 작게 하면 전송 특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치 방향의 끼워 맞춤 어긋남(클리어런스)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콘택트의 폭은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콘택트의 강성이나 도체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콘택트의 판 두께도 어느 정도 필요하게 되므로 콘택트의 단면적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접촉 성능이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콘택트 형상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전송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면과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타입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를 1개 이상의 플러그 콘택트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그 플러그 커넥터와 끼워 맞췄을 때에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접촉하는 1개 이상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쪽으로 하고,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쪽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의 기본부재인 인슐레이터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는 상기 접촉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면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그 접속 대상물과 상기 접촉면의 접촉 위치와, 상기 오목부의 콘택트 길이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택트는 1개마다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1개 이상의 형상을 다른 오목부와 다르게 해도 된다.
상기 콘택트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콘택트에 오목부가 형성되면,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송 신호의 반사 손실이 작어지므로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가 접속 대상물과 콘택트의 접촉 성능(접촉 저항)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전송 특성과 접촉 성능이라는 다른 특성을 별개의 설계에 의해 대응시킬 수 있으므로 한쪽의 변경에 대한 다른 쪽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설계적으로 제한을 받는 콘택트의 전체 형상이나, 인접하는 콘택트간 거리, 또는 인슐레이터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의 유전율 등을 대폭적으로 변경하는 일이 없으므로 커넥터의 전송 특성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이므로 기존 설비로 생산할 수 있는 등 커넥터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적은 작아지지만 그 외의 부분의 단면적은 작아지지 않으므로 콘택트 전체적으로 보면 단면적을 어느 정도 크게 할 수 있 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콘택트의 접촉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경우는 콘택트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전송 특성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구성하면, 콘택트의 오목부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오목부에 의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인슐레이터에 비해 유전율이 낮은 공기의 층으로 되므로 전송 특성상 더욱 유리해진다.
오목부를 구비하지 않는 콘택트에 접속 대상물을 접촉시킨 경우는,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단면적과,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콘택트 및 접속 대상물의 합계 단면적 사이에는 접속 대상물의 단면적 만큼의 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상기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와 그 이외의 위치 사이에서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변화되므로 반사 손실이 커지고, 그 결과로서 전송 특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러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접속 대상물과 콘택트의 접촉면의 접촉 위치와, 오목부의 콘택트 길이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콘택트의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단면적과,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콘택트 및 접속 대상물의 합계 단면적의 차가 작아지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청구항 6이나 청구항 7과 같이 하면, 전송 특성이 다른(재질이나 기본 형상, 또는 커넥터 내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른) 복수의 콘택트의 전송 특성을 같게 하거 나, 또는 전송 특성이 같은 복수의 콘택트의 전송 특성을 의도적으로 다르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오목부의 수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커넥터에 요구되는 전송 특성에 맞추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면, 스탬핑 성형시에 오목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형상의 오목부라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특성의 조정 등을 위해 오목부의 형상을 변경할 경우, 스탬핑 금형의 변경은 오목부 형성을 위한 파트·공정만의 변경으로 대응 가능해서 대폭적인 설비 개조 등은 필요 없다.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 논리 연산 제어 장치(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에 내장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플러그 커넥터(2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의 합성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에 고정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24, 30)로 이루어져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1)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의 끼워 맞춤 오목부(44)에 끼워 맞출 수 있는 끼워 맞춤 볼록부(22)를 구비하고 있고, 플러그 인슐레이 터(21)의 내부 공간에는 2종류의 플러그 콘택트(24, 30)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콘택트(24, 30)는 모두 스탬핑 성형에 의해 얻어진 일체물이며, 스탬핑 성형해서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 스텐레스, 코르손계 동 합금)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면 니켈(Ni)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 도금, 주석(Sn)-동(Cu) 도금, 주석(Sn)-납(Pb) 도금)을 실시해서 제조한,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부재이다. 합계 10개의 플러그 콘택트(24)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한쪽의 끝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외부에 돌출되는 테일부(25)로 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24)의 다른 쪽의 끝부는 끼워 맞춤 볼록부(22)의 내측벽에 고정된 대략 직선 형상의 선단 접촉부(26)로 되어 있다. 한편, 합계 10개의 플러그 콘택트(3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한쪽의 끝부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외부에 돌출되는 테일부(31)로 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30)의 다른 쪽 끝부는 끼워 맞춤 볼록부(22)의 내측벽에 플러그 콘택트(24)와 대향하는 상태로 고정된 대략 직선 형상의 선단 접촉부(32)로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선단 접촉부(26, 32)의 대향면은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가 결합했을 때에 리셉터클 콘택트(46)(변형 접촉부(49))와 리셉터클 콘택트(52)(변형 접촉부(55))가 각각 접촉하는 편평한 접촉 평면(27, 33)으로 되어 있다. 한편, 각 선단 접촉부(26)와 각 선단 접촉부(32)에 있어서의 접촉 평면(27, 33)과는 반대측의 면(끼워 맞춤 볼록부(22)의 내벽부에 대한 고정면)에는, 선단 접 촉부(26, 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의 오목부(28, 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플러그 콘택트(24)의 테일부(25) 및 플러그 콘택트(30)의 테일부(31)는 회로 기판(CB1) 상의 회로 패턴에 납땜되어 있다.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40)의 전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4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의 합성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에 고정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46, 52)로 이루어져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는 중앙 돌출부(42)와, 중앙 돌출부(42)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주환상 벽부(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중앙 돌출부(42)와 외주환상 벽부(43) 사이의 공간은 플러그 인슐레이터(21)의 끼워 맞춤 볼록부(22)가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 맞춤 오목부(44)로 되어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44)에는 2종류의 리셉터클 콘택트(46, 52)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46, 52)는 모두 스탬핑 성형에 의해 얻어진 일체물이며, 스탬핑 성형해서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 스텐레스, 코르손계 동 합금) 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면 니켈(Ni)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 도금, 주석(Sn)-동(Cu) 도금, 주석(Sn)-납(Pb) 도금)을 실시해서 제조한, 탄성 및 도전성을 갖는 부재이다. 합계 10개의 리셉터클 콘택트(46)의 중간부는 중앙 돌출부(42)의 한쪽의 측면에 고정된 중간 고정부(47)로 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콘택트(46)의 한쪽의 끝부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의 외부로 돌출되는 테일부(48)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리셉터클 콘택트(46)의 다른 쪽의 끝부는 도시하는 만곡 형상으로 가공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변형 접촉부(49)로 되어 있다. 합계 10개의 리셉터클 콘택트(52)는 리셉터클 콘택트(46)와 대칭 형상이며, 중앙 돌출부(42)의 다른 쪽의 측면에 고정된 중앙 고정부(53)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의 외부로 돌출되는 테일부(54)와, 탄성 변형 가능한 변형 접촉부(5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콘택트(46)의 테일부(48) 및 각 리셉터클 콘택트(52)의 테일부(54)는 회로 기판(CB2) 상의 회로 패턴에 납땜되어 있다.
이상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의 끼워 맞춤 볼록부(22)를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 맞춤 오목부(44)에 끼워 맞춤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가 결합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0)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46)의 변형 접촉부(49)가 탄성 변형되면서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30)의 접촉 평면(33)에 접촉하고, 또한 각 리셉터클 콘택트(52)의 변형 접촉부(55)가 탄성 변형되면서 대응하는 플러그 콘택트(24)의 접촉 평면(27)에 접촉하므로, 플러그 콘택트(24, 30)와 리셉터클 콘택트(46, 52)를 매개로 하여 회로 기판(CB1, CB2)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트(24, 30)와 리셉터클 콘택트(46, 52)로 전송 신호가 흐르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콘택트(24)의 선단 접촉부(26)와 플러그 콘택트(30)의 선단 접촉부(32)에 각각 오목부(28, 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28, 34)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송 신호의 반사 손실이 작아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본 커넥터(10)의 구조를 간략화한 동일 기본 구조인 2종류의 커넥터(해석 모델)의 전송 신호의 반사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중의 곡선A는 플러그 콘택트에 오목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흐르는 전송 신호의 반사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곡선B는 플러그 콘택트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용 커넥터(도시 생략)를 흐르는 전송 신호의 반사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험에 있어서 사용된 각 콘택트의 피치(인접하는 것끼리의 간격)는 1㎜, 플러그 콘택트의 판 두께는 0.2㎜, 플러그 콘택트의 선단 접촉부의 길이는 5.75㎜, 플러그 콘택트의 폭은 0.54㎜, 오목부의 깊이는 0.1㎜, 오목부의 폭은 0.34㎜, 오목부의 길이는 1.8㎜, 플러그 콘택트의 높이(테일부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과의 접촉면부터 선단 접촉부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콘택트와의 접촉면까지의 거리)는 2.7㎜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재질은 액정 폴리머(LCP)를 상정하고 있고, 유전율은 4.0이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콘택트에 오목부(28, 34)가 형성된 경우는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사 손실이 작아져 있다.
특히,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접촉 평면(27, 33)과 변형 접촉부(49, 55)의 접촉 위치와, 오목부(28, 34)의 위치(플러그 콘택트(24, 30)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플러그 콘택트(24, 30)의 변형 접촉부(49, 55)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단면적과, 플러그 콘택트(24, 30)와 변형 접촉부(49, 55)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 콘택트(24, 30) 및 변형 접촉부(49, 55)의 합계 단면적의 차는 작아져 있다. 그 때문에, 선단 접촉부(26, 32)에 있어서의 변형 접촉부(49, 55)의 접촉 위치와 그 이외의 위치 사이의 임피던스 변화는 작아지고, 이 부분에서 반사 손실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오목부(28, 34)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용 커넥터에 비해 본 커넥터(10)는 전송 신호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28, 34)는 플러그 콘택트(24, 30)에 있어서의 접촉 평면(27, 33)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평면(27)과 변형 접촉부(55)의 접촉 성능(접촉 저항) 및 접촉 평면(33)과 변형 접촉부(49)의 접촉 성능(접촉 저항)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24, 30)의 전체 형상이나, 인접하는 콘택트간 거리, 또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 및 리셉터클 인슐레이터(41)의 유전율 등을 대폭 변경하는 일 없이 커넥터(10)의 전송 특성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 30)가 형성됨으로써 커넥터(10)의 조립성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24, 30)에 있어서의 오목부(28, 34)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적은 작아지지만 그 외의 부분의 단면적은 작아지지 않으므로, 플러그 콘택트(24, 30) 전체적으로 보면 단면적을 어느 정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가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를 도 11~도 29에 나타내는 형태로 형성해도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24)(플러그 콘택트(30))의 선단 접촉부(60)의 오목부(61)도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이며, 그 횡단면 형상은 모든 길이 방향 위치에 있어서도 도 12에 나타내는 형상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65)의 오목부(66)도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이다. 오목부(66)의 횡단면 형상은 모든 길이 방향 위치에 있어서도 도 12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오목부(66)의 종단면 형상은 도 14에 나타내는 형상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70)의 오목부(71)는 평면으로 봤을 때 삼각형이며, 그 횡단면 형상은 모든 길이 방향 위치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이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75)의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과의 반대면에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1쌍의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도 22에 나타내는 제 5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80)의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과의 반대면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도시하는 형상의 오목부(81)가 1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3~도 25에 나타내는 제 6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85)의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과의 반대면에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1쌍의 오목부(86)와, 평면으로 봤을 때 사다리꼴형 오목부(87)와,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의 오목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제 7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90)의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과의 반대면에는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고, 도 28에 나타내는 제 8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95)에는 오목부(9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제 9 변형예의 선단 접촉부(100)의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과의 반대면에는 모두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이고 단면 형상도 직사각형인 오목부(101, 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각 변형예와 같이 오목부의 위치, 크기, 형상, 배치 등을 변경함으로써 커넥터(10)의 전송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특성이 다른(재질이나 기본 형상이나 커넥터 내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른) 복수의 콘택트의 전송 특성을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전송 특성이 동일한 복수의 콘택트의 전송 특성을 의도적으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선단 접촉부(100)에서는 접촉 평면(27)(접촉 평면(33))에 있어서의 변형 접촉부(49)(변형 접촉부(55))과의 접촉부와 오목부(101, 102)의(선단 접촉부(100)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도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커넥터에 비해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콘택트(46, 52)의 변형 접촉부(49, 55)에 있어서 접촉 평면(27, 33)과의 접촉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각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플러그 콘택트(24, 30)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되고,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가 기판(접속 대상물)이나 셸(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타입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단면도
도 7은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8은 플러그 콘택트의 저면도
도 9는 도 7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와 비교예의 커넥터의 반사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제 1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 13은 제 2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 단면도
도 15는 제 3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16은 제 4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17은 제 4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저면도
도 18은 도 16의 ⅩⅧ-ⅩⅧ선 단면도
도 19는 제 5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20은 제 5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저면도
도 21은 제 5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 단면도
도 23은 제 6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24는 제 6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저면도
도 25는 제 6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측면도
도 26은 도 23의 ⅩⅩⅥ-ⅩⅩⅥ선 단면도
도 27은 제 7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28은 제 8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 29는 제 9 변형예의 플러그 콘택트의 주요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20 : 플러그 커넥터(커넥터)(접속 대상물)
21 : 플러그 인슐레이터 22 : 끼워 맞춤 볼록부
24, 30 : 플러그 콘택트 25, 31, 48, 54 : 테일부
26, 32, 60, 65, 70, 75, 80, 85, 90, 95, 100 : 선단 접촉부(접촉부)
27, 33 : 접촉 평면
28, 34, 61, 66, 71, 76, 81, 86, 87, 88, 91, 96, 101, 102 : 오목부
40 : 리셉터클 커넥터(커넥터)(접속 대상물)
41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42 : 중앙 돌출부
43 : 외주환상 벽부 44 : 끼워 맞춤 오목부
46, 52 : 리셉터클 콘택트 47, 53 : 중간 고정부
49, 55 : 변형 접촉부(접촉부) CB1, CB2 : 회로 기판

Claims (8)

  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1개 이상의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송신호의 반사 손실을 경감하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1개 이상의 플러그 콘택트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그 플러그 커넥터과 끼워 맞췄을 때에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접촉하는 1개 이상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쪽이며,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의 기본부재인 인슐레이터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면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접속 대상물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접촉면의 접촉 위치와, 상기 오목부의 콘택트 길이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1개마다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1개 이상의 형상을 다른 오목부와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를 스탬핑 형성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127798A 2008-07-24 2008-12-16 커넥터 KR101027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91418 2008-07-24
JP2008191418A JP2010033714A (ja) 2008-07-24 2008-07-2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73A KR20100011873A (ko) 2010-02-03
KR101027981B1 true KR101027981B1 (ko) 2011-04-13

Family

ID=4173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798A KR101027981B1 (ko) 2008-07-24 2008-12-16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33714A (ko)
KR (1) KR101027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9110B2 (ja) * 2012-05-28 2015-04-08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81991B2 (ja) 2012-08-07 2015-09-2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89547B1 (ko) * 2015-01-22 2016-12-26 주식회사 유니드 전기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
JP6801824B2 (ja) * 2018-05-16 2020-1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JP7257854B2 (ja) 2019-04-04 2023-04-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831A (ja) * 1991-12-03 1993-06-25 Fujitsu Ltd 高密度コネクタ
JP2002352916A (ja) * 2001-05-22 2002-12-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高速伝送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831A (ja) * 1991-12-03 1993-06-25 Fujitsu Ltd 高密度コネクタ
JP2002352916A (ja) * 2001-05-22 2002-12-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高速伝送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73A (ko) 2010-02-03
JP2010033714A (ja)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7415B1 (ja) コネクタ
WO2018025873A1 (ja) コネクタ
JP5947885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US8113884B2 (en) Connector
JP7032094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9891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027981B1 (ko) 커넥터
WO2018025875A1 (ja) コンタクト
JP6266734B1 (ja) コネクタ
JP2019160493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130126501A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20100035469A1 (en) Connector
WO2021132187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741820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1153435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2113218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4019021A1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