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691B1 -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691B1
KR101027691B1 KR1020080099451A KR20080099451A KR101027691B1 KR 101027691 B1 KR101027691 B1 KR 101027691B1 KR 1020080099451 A KR1020080099451 A KR 1020080099451A KR 20080099451 A KR20080099451 A KR 20080099451A KR 101027691 B1 KR101027691 B1 KR 10102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leg
scaffolding structure
leg portion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382A (ko
Inventor
박철웅
임형근
현재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6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창의 내부에서 작업자에게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비계 구조물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개발하여 화물창에 대한 각종 작업시 작업자의 가용작업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의 극대화를 구현함과 더불어 비계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창내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을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10)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과 경사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다리부(12) 및, 상기 지지 다리부(12)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의 이동을 구현하는 구름 접촉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 비계, 구조물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Movable scaffolding structure for working of cargo hold in LNG carrier}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내 단열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계 구조물을 화물창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개발하여 화물창에 대한 각종 보수 작업시 비계 구조물의 설치 및 해제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는 대기압하에서 비등점이 섭씨 -162도 정도인 초저온 액체로서 가격에 비해 열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청정 에너지로서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는 운반선에 의한 운송시 열 침입에 의한 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단열 기술이 무엇 보다 중요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 있어 화물창은 크게 모스형과 멤브레인형으로 구분되는 바, 멤브레인형의 경우에 화물창의 단열탱크 공사에 있어 고정식 비계 구조물(Scaffolding)을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단열탱크 내부에 대한 각종 작업을 수 행하게 된다. 현재 상업적으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운반선의 화물창은 크게 독립탱크형과 멤브레인형으로 구분되는 바, 멤브레인형 화물창의 단열탱크 공사 및 점검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의 내부에 다층의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을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단열을 위한 각종 작업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1) 내부에 설치되는 발판 형태의 다층식 구조물로서 그 크기는 상기 화물창(1)의 내부 공간 전체를 점유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의 하부는 상기 화물창(1)의 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5; Primary INVAR Strake)에 직접 고정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화물창(1)의 내부 단열 작업시에는 상기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을 다층으로 설치해야 하고 작업의 종료시에는 상기 다층의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을 순차적으로 다시 해체하여 제거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화물창(1)에 대한 단열 공사의 종료후 실시되는 누설 검사에 있어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물창(1)의 누설 부위에 대한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이때에는 상기 다층의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을 재 설치해야 하므로 비계 구조물의 해체후 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시수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된다.
특히, 누설 검사후 이루어지는 보수 작업은 상기 화물창(1)의 전체 공간 중 국부적인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데, 종래 고정식 비계 구조물(3)의 경우에는 누설이 발생된 부위 마다 일일이 재 설치하고 보수 작업의 종료후 해체하여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종래 비계 구조물(3)은 화물창(1)내에서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자의 가용작업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설치영역을 확장시켜야만 하는 데, 특히 작업자가 비계 구조물(3)을 매개로 작업위치에 원활하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비계 구조물(3)을 화물창(1)내 전 구역에 걸쳐 재 설치해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까지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물창의 내부에서 작업자에게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비계 구조물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개발하여 화물창에 대한 각종 작업시 작업자의 가용작업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의 극대화를 구현함과 더불어 비계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창내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을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과 경사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다리부 및, 상기 지지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이동을 구현하는 구름 접촉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고정 다리부와, 상기 고정 다리부에 대해 피벗 지점부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 다리부 및, 상기 선회 다리부에 대해 텔레스코픽 연결부를 매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 지점부는 상기 고정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선회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운팅 브라켓,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의 힌지점을 공유하여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걸쳐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는 상기 선회 다리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보조 다리부와, 상기 선회 다리부의 선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선회 다리부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회 다리부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부와, 상기 슬릿부의 외주면에 상기 조절너트와의 체결용 나사부 및, 상기 슬릿부의 선단측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다리부는 상기 걸림돌기와의 결합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걸림홈을 전 둘레에 걸쳐 다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름 접촉부는 상기 지지 다리부의 하측 선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휠 지지체와, 상기 휠 지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륜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륜은 무한궤도에 의해 감싸여 지고, 상기 다수의 회전륜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수단에 의해 자율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창 내벽부는 상기 구름 접촉부와의 접촉을 위한 보호용 바닥판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용 바닥판 부재는 상기 화물창 내벽부를 따라 평행하게 돌출된 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와 프라이머리 인바 텅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부 내에 안착되어 상기 화물창 내벽부를 균일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의하면,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대한 각종 작업시에 설치되는 다층식 비계 구조물을 이동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과 경사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각각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계 구조물의 가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계 구조물의 가용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화물창내에서 다층식 비계 구조물의 설치 범위를 최소화하여 비계 구조물의 설치와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화물창에 대한 각종 단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층식 비계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10)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과 경사방향으로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지지 다리부(12) 및, 상기 지지 다리부(12)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창내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의 이동을 구현하는 구름 접촉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10)는 상부에 다층식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상기 베이스 몸체부(10)가 지지하는 다층식 비계 구조물은 트러스 구조물과 이에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지지 다리부(12)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고정 다리부(16)와, 상기 고정 다리부(16)에 대해 피벗 지점부(18)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 다리부(20)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피벗 지점부(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다리부(16)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마운팅 브라켓(18a)과, 상기 선회 다리부(20)의 일단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18a)에 대해 힌지점을 공유하도록 결합되어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마운팅 브라켓(18b)을 포함하는 바,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18a)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18b)은 이들 중심을 관통하는 힌지핀(18c)을 매개로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18a)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18b)은 상기 힌지핀(18c)을 중심으로 방사상 으로 동일한 반경에 걸쳐 다수의 결합구멍(18d)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구멍(18d)중 특정의 부위에 체결핀(18e)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18a)에 대한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18b)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 다리부(16)에 대한 상기 선회 다리부(20)의 경사방향으로 각도가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지지 다리부(12)는 길이를 신축 자재하게 조절하는 텔레스코픽 연결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 다리부(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보조 다리부(24)와, 상기 선회 다리부(20)의 선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절너트(2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선회 다리부(20)는 선단에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슬릿부(20a)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부(20a)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너트(26)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20b)를 형성하며, 상기 슬릿부(20a)의 선단측 내주면에는 상기 보조 다리부(24)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0c)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 다리부(24)는 상기 걸림돌기(20c)와의 결합을 위해 선단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다수의 걸림홈(24a)을 전 둘레에 걸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하는 바, 상기 선회 다리부(20)와 상기 보조 다리부(24) 사이의 조립시 상기 걸림돌기(20c)와 상기 걸림홈(24a) 사이의 결합력은 상기 조절너트(26)에 의한 조임력을 매개로 증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상대 위치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결합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에 대한 상기 구름 접촉부(14)의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내에서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름 접촉부(14)는 상기 지지 다리부(12)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바,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름 접촉부(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하측 선단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휠 지지체(28)와, 상기 휠 지지체(28)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륜(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름 접촉부(14)가 상기 휠 지지체(28)에 대해 다수로 설치되는 회전륜(30)으로 구성한 것은 화물창 내벽부에 대한 접촉 면적으로 보다 넓게 설정하여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가지는 중량에 의한 화물창 내벽부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인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의 외주면에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무한궤도(32)가 감싸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 역시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가지는 중량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하여 화물창 내벽부에 전달함으로써 비계 구조물의 중량에 의한 화물창 내벽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회전륜(30)과 상기 무한궤도(32)는 각각 고무와 같은 완충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름 접촉부(14)에 있어,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동식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34)이 설치되어 상기 구름 접촉부(14)의 자율 운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이 상기 무한궤도(32)에 의해 감싸여질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은 일체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설치되는 화물창에는 상기 회전륜(30) 내지 상기 무한궤도(3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보호용 바닥판 부재(36)가 설치되는 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용 바닥판 부재(36)는 상기 화물창의 내부를 따라 상호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다수의 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38;Primary INVAR Strake)와 프라이머리 인바 텅(40;Primary INVAR Tongue)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부 내에 안착되어 상기 화물창의 표면을 균일한 높이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화물창내에서 상기 회전륜(30) 내지 상기 무한궤도(32)의 이동을 보다 자유롭게 해 준다. 이 경우, 화물창의 내벽부에 상기 보호용 바닥판 부재(36)의 설치범위를 확대시키면, 이동식 비계 구조물의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더욱 더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대한 각종 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종래 고정식 비계 구조물과는 달리 화물창내에서 이동 가능하므로 비계 구조물이 가지는 가용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작업범위에 따라 비계 구조물의 가용범위를 이동시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비계 구조물의 설치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최 소 구간에 걸쳐 설치한 다음 필요 작업부위로 발판 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비계 구조물의 설치와 해체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대한 보수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 운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내에 설치되는 다층식 비계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10)에 설치된 지지 다리부(12)가 피벗 지점부(18)를 매개로 경사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텔레스코픽 연결부(22)를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화물창내에서 다층식 비계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데, 특히 상기 피벗 지점부(18)는 고정 다리부(16)에 대한 선회 다리부(20)의 각도를 제1마운팅 브라켓(18a)과 제2마운팅 브라켓(18b)에 각각 다수로 형성된 결합구멍(18d)내에 체결핀(18e)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화물창 내벽부에 있어 경사진 부위에도 다수의 지지 다리부(12)중 특정의 지지 다리부(12)를 경사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에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22)는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바, 즉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삽입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조절너트(26)의 체결을 통해 상기 지지 다리부(12)의 전체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22)는 상기 선회 다리부(20)에 대한 상기 보조 다리부(24)의 결합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상기 조절너트(26)의 체결을 통해 상기 선회 다리부(20)와 상기 보조 다리부(24)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면, 상기 베이스 몸체부(10)에 대한 상기 구름 접촉부(14)의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화물창내에서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름 접촉부(14)는 휠 지지체(28)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륜(30)을 매개로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가지는 중량은 분산하여 화물창 내벽부에 전달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회전륜(30)의 공회전을 매개로 화물창내에서 다층식 비계 구조물의 이동까지도 가능하게 하므로, 화물창내에서 비계 구조물의 설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은 무한궤도(32)에 의해 감싸여지게 되면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가지는 중량을 더욱 더 넓은 범위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회전륜(30)중 어느 하나의 회전륜(30)은 구동수단(32)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자율 주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비계 구조물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있어 고정식 비계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식 비계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름 접촉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피벗 지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텔레스코픽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구름 접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보호용 바닥판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로서, 화물창의 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와 프라이머리 인바 텅 사이의 결합부에 보호용 바닥판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베이스 몸체부 12-지지 다리부
14-구름 접촉부 16-고정 다리부
18-피벗 지점부 20-선회 다리부
22-텔레스코픽 연결부 24-보조 다리부
26-조절너트 28-휠 지지체
30-회전륜 32-무한궤도
34-구동수단 36-보호용 바닥판 부재
38-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 40-프라이머리 인바 텅

Claims (9)

  1. 화물창내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물을 지지하는 베이스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고정 다리부와, 상기 고정 다리부에 대해 피벗 지점부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 다리부 및, 상기 선회 다리부에 대해 텔레스코픽 연결부를 매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다리부를 구비하는 지지 다리부; 및
    상기 지지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이동을 구현하는 구름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 지점부는 상기 고정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선회 다리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운팅 브라켓,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의 힌지점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걸쳐 상기 제1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2마운팅 브라켓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체결핀을 구비하며;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부는 상기 선회 다리부의 선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선회 다리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보조 다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 접촉부는 상기 보조 다리부의 하측 선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휠 지지체와, 상기 휠 지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륜을 구비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 다리부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부와, 상기 슬릿부의 외주면에 상기 조절너트와의 체결용 나사부 및, 상기 슬릿부의 선단측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다리부는 상기 걸림돌기와의 결합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걸림홈을 전 둘레에 걸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륜은 무한궤도에 의해 감싸여져 일체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륜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수단에 의해 자율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내벽부는 상기 구름 접촉부와의 접촉을 위한 보호용 바닥판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용 바닥판 부재는 상기 화물창 내벽부를 따라 평행하게 돌출된 프라이머리 인바 스트레이크와 프라이머리 인바 텅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부 내에 안착되어 상기 화물창 내벽부를 균일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0080099451A 2008-10-10 2008-10-10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102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51A KR101027691B1 (ko) 2008-10-10 2008-10-10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51A KR101027691B1 (ko) 2008-10-10 2008-10-10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82A KR20100040382A (ko) 2010-04-20
KR101027691B1 true KR101027691B1 (ko) 2011-04-12

Family

ID=4221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451A KR101027691B1 (ko) 2008-10-10 2008-10-10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31B1 (ko) 2013-11-05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엔지 선박의 인바 텅 설치용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01B1 (ko) * 2010-06-17 2013-09-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스템 발판의 지지대
CN102673734A (zh) * 2012-05-19 2012-09-19 曹先锋 一种折叠式船用分段搁置墩架
KR101487683B1 (ko) * 2013-08-0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단열보드
KR20160001148A (ko) 2014-06-26 2016-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의 이동식 타워 크레인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75241A (ko) 2014-12-19 2016-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점검용 케이블 리프팅 타워 크레인
KR101707403B1 (ko) 2014-12-24 2017-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KR101707404B1 (ko) 2014-12-29 2017-02-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
KR200492304Y1 (ko) 2016-06-22 2020-09-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그 리프팅을 위한 보조기구
KR101864644B1 (ko) 2016-11-14 2018-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식 화물창용 가설물
CN109367733B (zh) * 2018-10-25 2020-09-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胎架的调节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57Y1 (ko) * 1994-09-16 1999-05-01 전성원 자동차 부품조립용 지그베이스
KR20050001271A (ko) * 2003-06-24 2005-01-06 정재룡 선박내부 작업용 이동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57Y1 (ko) * 1994-09-16 1999-05-01 전성원 자동차 부품조립용 지그베이스
KR20050001271A (ko) * 2003-06-24 2005-01-06 정재룡 선박내부 작업용 이동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31B1 (ko) 2013-11-05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엔지 선박의 인바 텅 설치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82A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691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작업용 이동식 비계 구조물
US8430263B2 (en) Universal support arrangement for semi-membrane tank walls
US6863253B2 (en) Support base for equipment
EP2743172B1 (en) Tank support structure and floating construction
US20070228045A1 (en) Support Assemblies and Systems for Semi-Membrane Tanks
CN202138501U (zh) 一种适用于lng船货舱围护系统安装的工作平台
KR101505458B1 (ko) 매니폴드 장치
KR101276128B1 (ko) 펌프타워의 베이스 지지대 설치 구조
JP2013006613A (ja) 液化ガスタンク
KR101784914B1 (ko) 족장 장치
KR20100102265A (ko) 멤브레인 타입 엘엔지 탱크 및 그것의 유지보수 방법과 그에 이용되는 작업대 장치
KR200489942Y1 (ko) 배관 지지용 구조체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CN108986932B (zh) 用于多容器系统的模块化分层支承装置
KR20180000860U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의 지지구조
US10995872B1 (en) Pivoting support assembly
KR20120048195A (ko) 단열 탱크 내 작업대 지지 구조물
KR101549521B1 (ko) 헬리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01065013A2 (en) Bridge seat construction
US9581289B2 (en) Multipurpos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ment
KR102060485B1 (ko) 유체 이송 호스 지지용 새들
KR101310967B1 (ko) 펌프타워의 베이스 지지대 설치 구조
KR200485919Y1 (ko) 선박의 데크 관통용 파이프 서포트 장치
KR10245285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EP2685098B1 (en) Base frame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