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541B1 -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 Google Patents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541B1
KR101026541B1 KR1020100100017A KR20100100017A KR101026541B1 KR 101026541 B1 KR101026541 B1 KR 101026541B1 KR 1020100100017 A KR1020100100017 A KR 1020100100017A KR 20100100017 A KR20100100017 A KR 20100100017A KR 101026541 B1 KR101026541 B1 KR 10102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water
fluid
guid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0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5Multiple forks, i.e. more than one pair mounted on a single mast or with more than one ma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도록 형성한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수상부유체와; 상기 수상부유체의 외측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단이 수중 바닥면에 삽입 설치된 복수개의 파일부재를 포함하는 파일가이드부와; 상기 수상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상부유체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호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에는 각각 상기 수상부유체를 향해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1 롤러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FLOATING PIER WITH PILE-GUIDE}
본 발명은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도록 형성하여 수위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접안시설에서 사용하는 수상부유체는 철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씌운 폰툰(pontoon)이나, 부력제로 사용하는 F.R.P 수지 및 발포 스티로폼 부자를 중심으로 나무틀을 만들어 여러 개의 끈으로 엮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은 수상부유체의 대표적인 예가 부잔교인데, 부잔교는 물 위에 떠 있어 흔들리게 되므로 배를 정박하는데 불편하고 부잔교 상에서 활동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파도와 기타 외부요인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잔교를 물 위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잔교를 물 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속에 고정한 파일에 부잔교가 고정될 수 있도록 부잔교에 파일 가이드를 형성하여, 부잔교와 파일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잔교에 형성하는 파일 가이드의 구성이, 단순히 파일과 부잔교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므로, 파일과 파일 가이드의 결합을 편리하기 위하여, 파일의 지름보다 지름이 넓은 파일 가이드를 사용하므로, 파일 가이드와 파일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부잔교가 파도나 외부요인(사람들의 보행)으로 인하여 흔들릴 때 파일과 파일 가이드가 충돌하여 파일 가이드와 파일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과, 부잔교가 흔들리므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며, 파도와 같은 외부 요인에 대하여 전후 좌우 방향으로 요동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박을 정박하거나, 선박에 승하차를 위해 수상부유체 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수상부유체와; 상기 수상부유체의 외측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단이 수중 바닥면에 삽입 설치된 복수개의 파일부재를 포함하는 파일가이드부와; 상기 수상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상부유체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호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에는 각각 상기 수상부유체를 향해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1 롤러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방 보조파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전,후방 보조파일부재에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가이드부에 접촉하도록 된 제3 롤러부와, 상기 보조파일부재에 상기 제2 가이드부들과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4 가이드부에 접촉하도록 된 제4 롤러부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롤러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제2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압축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롤러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롤러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호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며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승강틀과, 상기 승강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 메일파일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승강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틀을 상기 수상부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진퇴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는 수상부유체가 파일가이드를 따라 승강하며, 파일가이드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선박의 정박과 부잔교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일가이드 및 수상부유체와 파일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연결유닛의 롤러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연결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연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이하 '상하유동장치'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유동장치(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하유동장치(100)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상부유체(10)와, 상기 수상부유체(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파일가이드부(20)와, 상기 수상부유체(10)와 파일가이드부(2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110)을 구비한다.
상기 수상부유체(10)는 내부에 부력공간(13)이 마련된 본체(12)와, 부력공간(13) 내에 충진된 부력부재(14)와, 본체(12)의 내벽면에 설치된 단열부재(15)와, 본체(12)의 외측벽면에 설치된 다수의 가드부재(16)를 구비한다.
본체(12)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고, 수상부유체(1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내부에 부력공간(13)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12)는 외부 충격에 대해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는 상기 부력공간(13)에 채워진 공기 및 부력부재(14)에 의해 생성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유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12) 내부의 부력공간(13)은 격벽(미도시)에 의해 세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부력공간(13)이 격벽에 의해 다수의 세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본체(12)의 일측이 파손되어 부력공간(13)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격벽에 의해 다른 세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본체(12)는 일정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부력부재(14)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스티로폼, 우레탄, 글라스울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된다. 부력부재(14)에 의해 본체(12) 외주면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부력공간(13)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부력공간(13)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부재(14)에 의해 본체(12)에 부력이 제공된다.
단열부재(15)는 본체(12)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본체(12) 외부의 열이 부력부재(1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부재(15)는 부력공간(13)을 용이하게 단열시킬 수 있게 스티로폼, 우레탄, 글라스울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열부재(15)는 본체(12)를 제작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에 설치되어 본체(12) 내벽면의 거푸집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가드부재(16)는 본체(12) 외측벽면에 본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본체(12)의 측벽면에 대해 돌출되게 본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가드부재(16)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가드부재(16)의 형태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반원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드부재(16)는 상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선박의 상단 측면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게 본체(1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부재(16)는 선박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본체(12)의 외벽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연질의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부유체(10)에 접근하는 선박은 가드부재(16)에 접촉하게 되고, 연질의 고무소재로 형성된 가드부재(16)는 완충작용을 하여 본체(12)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가드부재(16)는 본체(12)에 본딩된 것이 아니라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일가이드부(20)는 상기 수상부유체(10)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하단은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수직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파일가이드부(20)는 수상부유체(10)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 메인파일부재(21)와, 수상부유체(1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메인파일부재(22)를 포함하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는 각각 수상부유체(10)의 전단과 후단을 향해 노출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23)와,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들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유닛(110)은 상기 수상부유체(10)가 상기 파일가이드부(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상부유체(10)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23)에 접촉하는 제1 롤러부(111)와, 제2 가이드부(24)에 접촉하는 제2 롤러부(112)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24)는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들이 각각의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상부유체(1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제2 롤러부(112)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프레임(11)이 마련되어 있고, 제2 롤러부(112)는 이 보조프레임(11)에 설치되어 제2 가이드부(24)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롤러부(111,112)는 각각 수상부유체(10) 또는 보조프레임(11)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113)와, 제1 고정부재(113)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114)와, 제2 고정부재(1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롤러(115)와, 상기 제1, 제2 고정부재(113,114)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116)를 포함한다.
완충부재(116)는 압축변형이 가능한 고무재로 형성되어 수상부유체(10)가 파도나 바람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을 받을 경우 압축 변형되어 수상부유체(10) 또는 파일가이드부(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롤러(115) 역시 탄성변형이 가능한 우레탄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력이 가해질 때 완충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제2 롤러부(111,112)는 제1 고정부재(113)가 고정되는 본체(12) 또는 보조프레임(11)과 제1 고정부재(113) 사이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롤러(115)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라이너패드(117)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되는 라이너패드(117)의 숫자를 가감하여 본체(12) 또는 보조프레임(11)으로부터 회전롤러(115)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회전롤러(115)가 파일가이드부(20)에 적절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상하유동장치(100)는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들의 사이에 수상부유체(10)가 위치하며, 제1 롤러부(111)가 수상부유체(10)가 전,후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제2 롤러부(112)가 수상부유체(10)가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수상부유체(10)가 수면의 수위 변화시 파일가이드부(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는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상하유동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상하유동장치(200)는 수상부유체(10)의 크기가 대형화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서 파일가이드부(20)가 전,후방 보조파일부재(25,26)들을 더 포함하고, 연결유닛(210)이 제3 및 제4 롤러부(211,212)를 더 포함한다.
전방 보조파일부재(25)는 전방 메인파일부재(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후방 보조파일부재(26)는 후방 메인파일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전,후방 보조파일부재(25,26)에는 각각 제1 가이드부(23)와 나란한 방향에서 수상부유체(10)를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3 가이드부(27)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들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24)와 마주보도록 전,후방 보조파일부재(25,26)의 양측에 제4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닛(210)은 제3 가이드부(27)에 접촉하도록 수상부유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제3 롤러부(211)와, 제2 롤러부(112)가 지지되도록 마련된 보조프레임(11)에 고정되어 상기 제4 가이드부(28)에 접촉하는 제4 롤러부(212)를 구비한다.
수상부유체(10)의 크기에 따라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전,후방 보조파일부재(25,26)는 각각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들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방 메인파일부재(21)와 후방 메인파일부재(22)의 사이에도 별도의 보조파일부재가 설치되고 이 보조파일부재에 지지되는 롤러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상하유동장치(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상하유동장치(300)는 수상부유체(10), 파일가이드부(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연결유닛(310)의 제1, 제2 롤러부(111,112)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롤러(313)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제2 가이드부(23,24)에 지지되는 회전롤러(313)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되면 각각의 롤러부(111,112)에서 파일가이드부(20)와 접촉하는 접촉지점이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상부유체(10)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수상부유체(10)가 파도 등에 의해 롤링 또는 피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에는 상하유동장치(4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410)은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를 감싸는 승강틀(411)과, 이 승강틀(4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롤러(414)와, 승강틀(411)을 수상부유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진퇴가이드부재(415)를 구비한다.
승강틀(411)은 상호 결합되어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를 감쌀 수 있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제1, 제2 부재(412,413)를 구비하며, 제1, 제2 부재(412,413)는 각각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구된 양측이 상호 맞닿도록 제1, 제2 부재(412,413)를 결합하여 사각의 승강틀(411)을 형성한다. 승강틀(411)은 폭이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롤러(414)는 승강틀(411)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틀(411)에 의해 감싸지는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롤러(414)는 승강틀(411)의 네 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승강틀(411)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회전롤러(414)와 승강틀(411)의 사이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라이너패드(430)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라이너패드(430)의 설치 갯수를 통해서 회전롤러(414)가 승강틀(41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회전롤러(414)와 파일가이드부(20) 사이에 유격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431은 라이너패드(430)를 승강틀(411)에 고정시키고 회전롤러(414)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이다.
상기 진퇴가이드부재(415)는 수상부유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416)과, 이 고정판(416)으로부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21,22)를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연장로드(417)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로드(417)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과 하단의 절곡부(418)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승강틀(411)의 높이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로드(417)들 사이의 거리는 승강틀(411)의 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승강틀(411)은 연장로드(417)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장착되며, 승강틀(411)이 연장로드(417)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418)와 승강틀(411)에는 각각 상하면을 관통하고 연장로드(4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제2 장공(421,422)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틀(411)이 진퇴가이드부재(415)에 체결되면 제1, 제2 장공(421,422)을 관통하도록 체결핀(423)이 설치되어 승강틀(411)이 연장로드(417)의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갖되 그 유격이 제1, 제2 장공(421,422)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여 승강틀(411)이 진퇴가이드부재(4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수상부유체(10) 및 파일가이드부(20)는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으므로 모두 동일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서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는 상하유동장치뿐 아니라 선박계류시설, 낚시터, 해상공원, 마리나폰툰, 해양펜션, 부유식 방파제, 부교, 소파제 등 수상에 부유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10; 수상부유체
20; 파일가이드부
110, 210, 310, 410; 연결유닛

Claims (7)

  1. 삭제
  2.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된 수상부유체의 상하 유동을 상하유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유체의 외측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단이 수중 바닥면에 삽입 설치된 복수개의 파일부재를 포함하는 파일가이드부와;
    상기 수상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상부유체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호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에는 각각 상기 수상부유체를 향해 노출된 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1 롤러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된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기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방 보조파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전,후방 보조파일부재에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가이드부에 접촉하도록 된 제3 롤러부와, 상기 보조파일부재에 상기 제2 가이드부들과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4 가이드부에 접촉하도록 된 제4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롤러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제2 고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압축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롤러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6.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된 수상부유체의 상하 유동을 상하유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유체의 외측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단이 수중 바닥면에 삽입 설치된 복수개의 파일부재를 포함하는 파일가이드부와;
    상기 수상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일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상부유체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며,
    파일가이드부는 상기 수상부유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호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메인파일부재와 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며 상기 전,후방 메인파일부재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승강틀과, 상기 승강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 메일파일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상부유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틀을 상기 수상부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진퇴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KR1020100100017A 2010-10-13 2010-10-13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KR10102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017A KR101026541B1 (ko) 2010-10-13 2010-10-13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017A KR101026541B1 (ko) 2010-10-13 2010-10-13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541B1 true KR101026541B1 (ko) 2011-04-01

Family

ID=4404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017A KR101026541B1 (ko) 2010-10-13 2010-10-13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54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75B1 (ko) 2012-04-16 2012-09-14 주식회사 승화명품건설 부유구조물용 파일가이드
KR101359645B1 (ko) *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359654B1 (ko) 2012-06-29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KR101359647B1 (ko) *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410372B1 (ko)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101687988B1 (ko) * 2015-07-15 2016-12-20 김인홍 개량형 폰툰
KR101702475B1 (ko) * 2016-06-02 2017-02-03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부잔교 함선 고정 장치
KR101867263B1 (ko) * 2017-12-13 2018-07-19 주식회사 북극곰 수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계류시공장치
KR20190005582A (ko) * 2017-07-07 2019-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20190129517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KR20190131660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90135094A (ko) * 2018-05-28 2019-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36840A (ko) * 2018-05-31 2019-1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및 상기 계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167255B1 (ko) * 2019-11-28 2020-10-20 주식회사 씨웨이테크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KR102325566B1 (ko) 2021-09-14 2021-11-15 우광산업(주) 변위증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2495853B1 (ko) * 2021-09-27 2023-02-06 정복균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CN116039837A (zh) * 2023-03-30 2023-05-02 南通市海洋水建工程有限公司 一种海上风电浮式稳桩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07U (ko) * 1986-09-24 1988-04-1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707U (ko) * 1986-09-24 1988-04-15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45B1 (ko) *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359647B1 (ko) *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183275B1 (ko) 2012-04-16 2012-09-14 주식회사 승화명품건설 부유구조물용 파일가이드
KR101359654B1 (ko) 2012-06-29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KR101410372B1 (ko)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101687988B1 (ko) * 2015-07-15 2016-12-20 김인홍 개량형 폰툰
KR101702475B1 (ko) * 2016-06-02 2017-02-03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부잔교 함선 고정 장치
KR20190005582A (ko) * 2017-07-07 2019-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1964217B1 (ko) * 2017-07-07 2019-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1867263B1 (ko) * 2017-12-13 2018-07-19 주식회사 북극곰 수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계류시공장치
KR20190129517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KR102128793B1 (ko) 2018-05-11 2020-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KR20190131660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2128791B1 (ko) * 2018-05-17 2020-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90135094A (ko) * 2018-05-28 2019-1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2070841B1 (ko) 2018-05-28 2020-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136840A (ko) * 2018-05-31 2019-1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및 상기 계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83416B1 (ko) * 2018-05-31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및 상기 계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167255B1 (ko) * 2019-11-28 2020-10-20 주식회사 씨웨이테크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KR102325566B1 (ko) 2021-09-14 2021-11-15 우광산업(주) 변위증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2495853B1 (ko) * 2021-09-27 2023-02-06 정복균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CN116039837A (zh) * 2023-03-30 2023-05-02 南通市海洋水建工程有限公司 一种海上风电浮式稳桩平台
CN116039837B (zh) * 2023-03-30 2023-07-14 南通市海洋水建工程有限公司 一种海上风电浮式稳桩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41B1 (ko)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
EP133992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RU2011132406A (ru) Морское плавуче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добычи,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используемое в покрытой льдом и чистой воде
OA10480A (en) Deeo water offshore apparatus
BR102012004556A2 (pt) Estrutura flutuante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KR101284438B1 (ko)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1762286B1 (ko)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KR20150018691A (ko)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US4691661A (en) Self-adjusting breakwater for artificial harbors
CN105216971B (zh) 浮体定位桩
JP5037301B2 (ja) 既存建造物に対する免震構造施工方法および免震機構
US20060026910A1 (en) Earthquake shock resistance system
CN214460098U (zh) 一种带锚碇的扶壁结构
JP2008274733A (ja) 回転浮上式堤防
CN208937706U (zh) 一种土木工程用超声波测距装置
KR101693422B1 (ko) 부유식 해상공항
KR101627926B1 (ko) 요동저감형 부유식구조물
KR102186820B1 (ko) 앵커식 플로팅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N214875405U (zh) 一种高水位差浮式系揽桩基靠船墩结构
CN218027466U (zh) 一种可调式码头
KR102086155B1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RU25216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ледовой защиты для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расположенного на мелководном континентальном шельфе
JPH0472756B2 (ko)
CN218431654U (zh) 一种浮动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