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49B1 -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 Google Patents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49B1
KR101026449B1 KR1020080079640A KR20080079640A KR101026449B1 KR 101026449 B1 KR101026449 B1 KR 101026449B1 KR 1020080079640 A KR1020080079640 A KR 1020080079640A KR 20080079640 A KR20080079640 A KR 20080079640A KR 101026449 B1 KR101026449 B1 KR 10102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socket
marking device
pres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849A (ko
Inventor
김부현
Original Assignee
김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현 filed Critical 김부현
Priority to KR102008007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5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having a mechanism to mark the work when the selected torque is applied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구 또는 수동식 조임기구에 체결되어 나사 또는 렌치의 형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소켓에서 나사 또는 렌치등을 조임할 때, 작업완료 또는 작업전 표시를 마킹함으로 작업자의 편의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킹장치를 포함하는 소켓에 있어서,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조임결합구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서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된 조임결속구의 외면에 고정되는 마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장치는 유색의 마킹액이 도포된 마킹부를 포함한다.
소켓, 마킹장치, 전동드라이버, 수동드라이버

Description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Socket with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기구 또는 수동식 조임기구에 체결되어 나사 또는 렌치의 형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소켓에서 나사 또는 렌치등을 조임할 때, 작업완료 또는 작업전 표시를 마킹함으로 작업자의 편의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계장치는 다수개의 나사나 볼트등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이며, 기계제품의 조립라인의 작업자가 일일이 다수개의 나사나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산업용 기계장치의 각 구성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다 수개의 나사나 볼트를 수동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에게 매우 고된 체력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각 산업현장에서는 전동드라이버를 사용하여 기계장치의 나사나 볼트를 조임시킨다.
이러한 나사나 볼트 등을 회전시키는 전동드라이버는 각 볼트나 나사의 형상에 일치되는 소켓을 구비하여 각각의 볼트나 나사를 조임하게 된다. 상기 소켓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막대형상의 원형소켓과 육각 막대 형상의 육각소켓의 일 단 또는 양단에 십자형이나 일자형과 같은 다양한 리쎄스(RECESS)를 형성시켜 구비한 다음 상기 소켓의 종류에 알맞는 전동드라이버의 회전척에 상기 원형 또는 육각소켓의 일측을 삽입.고정시켜 전동드라이버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척에 고정된 소켓이 회전되도록 하여 나사 및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작업방식은 조여야될 볼트나 나사의 수가 많고, 또한 하나의 장비에 여러 명의 작업자가 작업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임완료된 곳과 조임이 안된 볼트와 나사가 시각적으로 구분이 잘 안가는 경우에는 조임되지 않은체로 출시되거나, 이미 조임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조임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작업완료 또는 작업전에 대한 표시가 작업자의 기억력 또는 시각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중복작업 또는 조임되지 않았는데 조임된것으로 착각하여 조임 되지 않은 체로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아울러 건설현장에 투입된 건설장비는 불량시공에 의한 2차 사고의 위험까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나 나사등의 기구를 조임시에 이를 마킹 할 수 있는 마킹장치를 소켓에 포함시키므로 작업전과 후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이 삽입된 볼트나 나사의 외측에 작업완료됨을 마킹할 수 있고, 상기 소켓이 길이나 볼트나 나사의 설치위치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한 팽창 및 수축됨이 가능한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킹장치를 포함하는 소켓에 있어서,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조임결합구에 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서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된 조임결속구의 외면에 고정되는 마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의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마킹장치는 유색의 마킹액이 도포된 마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2실시예의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있어 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어느 한 면이 개방되고, 하측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유색의 잉크가 도포된 마킹흡착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2실시예의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마킹부의 하측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를 상기 소켓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제4실시예의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소켓의 외면에서 상기 마킹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제5실시예의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프링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소켓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서 상기 소켓의 외면에 상기 고정링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켓의 선단에 마킹장치를 구비함에 따라서 볼트나 나사등의 기구를 조임과 동시에 작업완료를 표시할 수 있어 작업전 또는 작업완료가 명확히 표시되어 반복작업이 방지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켓이 삽입된 볼트나 나사의 외측에 작업완료됨을 마킹할 수 있 고, 상기 소켓이 길이나 볼트나 나사의 설치위치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한 팽창 및 수축됨이 가능함에 따라 대상 공구나 위치에 따라서 호환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20)가 구비된 소켓(10)은 일자형, 십자형, 다각형을 갖는 나사나 볼트(이하에서는 나사나 볼트를 조임결속구(40)라 총칭한다)를 회전시켜 조여주는 소켓(10)과, 상기 소켓(10)의 선단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조임결속구(40)의 외면에 마킹하는 마킹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10)은 일측 끝단에서 상기 조임결속구(40)에 체결되는 결합부(12)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타측끝단에서는 전동드라이버(30)의 회전척(31)이 삽입되는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에서 상기 결합부(12)를 연장해주는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원발명은 수동드라이버에도 적용가능하나, 일예를 위하여 전동드라이버와 그 회전척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11)는 내측에서 상기 전동드라이버(30)의 회전척(31)에 일치되는 체결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조임결속구(40)에 상보적인 형상, 예컨대, 다각형 외면을 가진 돌출부 또는 다각형 내면을 갖는 홈을 갖고서 상기 타측 끝단에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체결부(11)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2)까지 연결된다.
상기 마킹장치(20)는 인주와 같은 마킹잉크가 수용되는 마킹부(21)와, 상기 마킹부(2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22)와, 상기 결합부(12)에 고정되는 고정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마킹부(21)는 인주처럼 스탬핑 잉크를 머금은 직물지가 혼합된 마킹흡착포(212)와, 상기 마킹흡착포(212)를 수용하는 하우징(2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킹흡착포(212)는 인주를 적용함도 가능하며, 별도의 마킹잉크를 흡수된 직물지를 적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11)은 상기 마킹흡착포(212)가 노출되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에서 상기 결합부(12)가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개구(2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21)는 조임결속구(40)의 외면에 마킹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든 마킹부(21)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2)는 상기 하우징(211)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지지판(221)과, 일측끝단에 상기 지지판(221), 타측끝단에 고정수단(232)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12)와 연결부(13)의 외면에 안착되는 스프링(22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22)는 마킹부를 조임결속구(4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켜 마킹부(21)가 조임결속구(4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킹이 원할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221)은 상기 결합부(12)가 관통되도록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1)의 하면에 밀착되어 접착 또는 결합되어 상기 마킹흡착포(212)가 가압되면, 그 가압력을 상기 스프링(222)에 전달하고, 상기 스프링(222) 의 탄성력을 상기 하우징(211)에 전달한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스프링(222)의 타측끝단에 연결되어 원형의 링형상으로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정링(231)과, 상기 고정링(231)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상기 고정링(231)을 고정시키는 볼트같은 고정수단(2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231)은 원형으로서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232)이 체결되어 조이면,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밀착되어 그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22) 및 마킹부(21)를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그 작용설명은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20)가 구비된 소켓(10)은 상기 소켓(10)의 타측끝단에서 상기 체결부(11)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111)에 전동드라이버(30)의 회전척(31)이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2)는 고정링(231)과 스프링(222)과 하우징(211)을 관통하여 상기 마킹흡착포(212)의 상면에 돌출되며, 상기 고정링(231)은 상기 결합부(12)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12) 보다 직경이 더 큰 연결부(13)의 외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수단(232)을 상기 고정링(231)의 나사공에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기 고정수단(232)에 의해 상기 고정링(231)이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마킹장치(20)를 상기 소켓(10) 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설명은 상기 고정링(231)이 상기 연결부(13)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이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응용예 중 하나로서 상기 고정링(231)이 결합부(12)의 외면에 고정됨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231)의 위치는 상기 마킹흡착포(212)의 상면에 돌출되는 결합부(12) 선단의 길이에 따라서 조절가능하며, 이는 상기 고정수단(232)을 체결 또는 해제하면서 상기 마킹흡착포(212)의 상면에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마킹흡착포(212)가 조임결속구(40)의 표면에 압착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킹장치(20)가 상기 소켓(10)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체결부(11)에 상기 전동드라이버(30)의 회전척(31)을 체결하고, 상기 결합부(12)를 장비 내에 안착된 조임결속구(40)에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12)가 상기 조임결속구(40)에 체결되면, 상기 마킹부(21)는 상기 결합부(12)의 외면에 고정된 상기 마킹부(21)의 전면이 상기 조임결속구(40)의 머리(예를 들면, 나사의 머리부)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된 입구의 외면에 밀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부(12)가 상기 조임결속구(40)에 체결되면, 그 길이차이에 따라서 상기 마킹부(21)가 가압되고, 상기 탄성부(22)가 상기 마킹부(21)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마킹부(21)의 하우징(211)은 가압에 의한 손상이 없고, 상기 결합부(12)가 상기 조임결속구(40)의 조임을 완료한 후 이탈되더라고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마킹흡착포(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결속구(40)의 머리부 또는 입구 외면에 밀착됨에 따라 함유된 마킹잉크가 밀착된 부분에 칠해지므로 조임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나사나 볼트등을 포함하는 조임결속구(40)의 조임작업과 동시에 상기 마킹장치(20)를 통하여 마킹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일부러 마킹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완료와 미완료가 명확히 표시됨에 따라 제품의 불량이나 반복적인 작업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11 : 체결부
12 : 결합부 13 : 연결부
20 : 마킹장치 21 : 마킹부
22 : 탄성부 23 : 고정부
30 : 전동드라이버 31 : 회전척
40 : 조임결속구 211 : 하우징
211a : 개구 212 : 마킹흡착포
221 : 지지판 222 : 스프링
231 : 고정링 232 : 고정수단

Claims (6)

  1. 일단이 조임결속구에 체결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조임결속구를 마킹하는 마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킹장치는 마킹잉크를 수용하며, 상기 소켓이 상기 조임결속구에 체결시 상기 조임결속구에 의해 가압되는 마킹부와; 상기 마킹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킹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를 상기 소켓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 측면에 관통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는 고정링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링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장치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신축이 가능하여 마킹작업시 가압되는 마킹부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마킹잉크가 도포된 마킹흡착포와, 상기 마킹흡착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연결되는 지지판과, 일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링의 상면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6. 삭제
KR1020080079640A 2008-08-13 2008-08-13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KR10102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40A KR101026449B1 (ko) 2008-08-13 2008-08-13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40A KR101026449B1 (ko) 2008-08-13 2008-08-13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849A KR20100020849A (ko) 2010-02-23
KR101026449B1 true KR101026449B1 (ko) 2011-04-07

Family

ID=4209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40A KR101026449B1 (ko) 2008-08-13 2008-08-13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0709A (zh) * 2013-05-27 2013-08-14 黄勇 一种挖掘机快速打点标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982A (ja) * 1987-03-09 1988-09-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マ−キングソケツトレンチ装置
JP2000158356A (ja) * 1998-12-02 2000-06-13 Nec Corp トルクマーク機能付きトルクレン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982A (ja) * 1987-03-09 1988-09-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マ−キングソケツトレンチ装置
JP2000158356A (ja) * 1998-12-02 2000-06-13 Nec Corp トルクマーク機能付きトルクレン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849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314B1 (en) Torque wrench assembly
US5020280A (en) Grinding tool and spacer assembly for use therein
AU631099B2 (en) Securing nut apparatus
CN101283187A (zh) 可陷型的垫圈锁紧板
PL215333B1 (pl) Sposób zaciskania nakretki lacznika na plycie skrzyzowan kolejowych za pomoca narzedzia skretnego i narzedzie skretne do zaciskania nakretki, na plycie skrzyzowan kolejowych
WO2006123809A1 (ja) ねじによる部材締着部の防水構造
KR101026449B1 (ko) 마킹장치가 구비된 소켓
KR20070104225A (ko)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JP2013079722A (ja) ホースクランプ用トルクコントロールキャップ
US7866023B2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support of a scale and method for fastening the support, as well as a linear measuring device
JP4401162B2 (ja) ねじ部材締付け確認具
KR100501239B1 (ko) 조임토크 식별이 가능한 볼트
ITMI20091150A1 (it) Dispositivo per l'applicazione di un carico assiale predefinito e assieme di serraggio strutturale dotato di tale dispositivo
US3245676A (en) Quick acting plastic service t clamp
JP3883698B2 (ja) 手摺パイプ固着装置
JPH0739557Y2 (ja) ダブルナットの締め付け用工具
EP2987204B1 (en) Indicator device for machines and/or plants
JPH06307421A (ja) 機器の接続装置
CN217915128U (zh) 一种多规格航空接头松紧工具
JP3883850B2 (ja) 締め付け力設定用治具と、その設定方法
KR200310165Y1 (ko) 슬리브의 연결부위 조임량 확인장치
KR101564910B1 (ko) 조임 지그 박스 및 가공물의 고정 방법
JP3148481U (ja) ナット
KR200201195Y1 (ko) 렌치볼트용 홀더
KR200248998Y1 (ko) 볼트 체결력 측정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