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30B1 -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30B1
KR101026430B1 KR1020100070685A KR20100070685A KR101026430B1 KR 101026430 B1 KR101026430 B1 KR 101026430B1 KR 1020100070685 A KR1020100070685 A KR 1020100070685A KR 20100070685 A KR20100070685 A KR 20100070685A KR 101026430 B1 KR101026430 B1 KR 10102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tube
ba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이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운
Priority to KR102010007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장착되고 경사바와 수평바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들과,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함몰형성되는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경사바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함몰형성되는 경사프레임들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 또는 경사프레임과 경사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나사,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들과, 상기 수평프레임들과 경사프레임들의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 개재되고 나사, 볼트, 리벳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합성목재 발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비포장 경사로 시설공사에서의 비효율적인 고 비용구조, 난공사로 인한 작업환경의 어려움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효율은 증가하고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구조물의 구성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이동,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Staircase structure and Staircas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taircase structure}
본 발명은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로나 산책로의 비포장 경사로 시설공사에서의 비효율적인 고 비용구조와 난공사로 인한 작업환경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도 비 숙련자들이라 할지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을 주용도로 하는 대부분의 등산로나 산책로는 포장공사에 따른 제반 여건상의 어려움으로 인한 이유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이 포장을 하지 않은 비포장 상태에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포장 상태의 노면과 계단이 정비되지 않은 경사로의 경우는 사람의 통행량이 증가함에 비례하여 노면의 손상이 가중되었고, 특히 폭우로 인한 급류가 지나거나 해빙기 등의 계절에는 기후적인 원인에 의해 노면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노면의 경사도가 급격하거나 사질토와 같은 구간에서는 보행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슬립으로 인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최근 상기 경사로에는 콘크리트 및 골재를 이용하여 계단이나 시멘트 포장을 한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구조물은 그 재료의 운반을 하기 위해 차량통행이 가능한 곳까지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운반이 여의치못한 깊은 산속의 구간에서는 시공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포장되지 않은 등산로나 산책로 등의 경사진 노면에 계단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주로 목재나 목재와 같은 질감을 줄 수 있는 인조목을 이용하여 균일 내지 비슷한 크기의 사각형이나 원기둥 형태로 된 다수의 지지부재를 마련 준비하고, 각 지지부재의 원주방향에 그 지름부위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적당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각기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되게 배열하여 각 통공을 일열로 일치되게 한 후 조임쇠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 조립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목재나 인조목은 경사진 노면을 따라 설치할 경우에 계단의 수평작업이 어렵고 목재와 목재 또는 인조목과 인조목의 연결부분에 고정과 결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목재나 인조목으로 구성되는 계단구조물은 부식이나 파손시 일부의 교체작업이 어려워 작업효율과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비포장 경사로 시설공사에서의 비효율적인 고 비용구조, 난공사로 인한 작업환경의 어려움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계단구조물의 구성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이동,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경사로에 맞춰 보조경사프레임을 제작한 후, 상기 보조경사프레임에 수평형상의 경사바와 수평바를 결합하여 바닥고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경사로 대응하는 바닥고정부재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과 관의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비 숙련자들이라 할지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각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과 관이 대응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볼트, 나사 등을 결합시켜 간편하고 신속하게 각관을 결합시키면서도 고강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단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장착되고 경사바와 수평바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들과,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함몰형성되는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경사바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함몰형성되는 경사프레임들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 또는 경사프레임과 경사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나사,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들과, 상기 수평프레임들과 경사프레임들의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 개재되고 나사, 볼트, 리벳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합성목재 발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비포장 경사로 시설공사에서의 비효율적인 고 비용구조, 난공사로 인한 작업환경의 어려움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효율은 증가하고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단구조물의 구성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이동,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경사로에 맞춰 보조경사프레임을 제작한 후, 상기 보조경사프레임에 수평형상의 경사바와 수평바를 결합하여 바닥고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경사로 대응하는 바닥고정부재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과 관의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비 숙련자들이라 할지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각관을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과 관이 대응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볼트, 나사 등을 결합시켜 간편하고 신속하게 각관을 결합시키면서도 고강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의 내부에 별도의 지지구를 더 장착하여 고강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을 구성하는 바닥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11(b)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를 구성하는 경사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를 구성하는 경사프레임과 합성목재 발판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차도.
이하, 본 발명인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계단구조물(10)는 산책로나 등산로 등과 같은 경사진 지면에 고정장착되는 바닥고정부재(20)들과, 상기 바닥고정부재(2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수평프레임(30) 및 경사프레임(40)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0) 및 수평프레임(30) 사이와 경사프레임(40) 및 경사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프레임(50)과,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합성목재 발판(6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계단구조물(10)은 산책로나 등산로가 아닌 일반평지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경사프레임(40)을 제외한 수평프레임(30)의 구성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산책로나 등산로 등과 같은 경사진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바닥고정부재(20)들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경사바(21)와 상기 경사바(21)의 양측 끝단에 고정장착되는 수평바(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고정부재(20)를 구성하는 경사바(21)나 수평바(22)는 일측의 경사바(21)와 대응되게 절단된 후 용접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2와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고정부재(20)들은 내부가 빈 사각형 형상의 경사바(21)와 수평바(22)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 후, 상기 경사바(21)와 수평바(22)의 연결부분에 경사면(23a)과 수평면(23b)을 가지는 보조경사프레임(23)을 삽입장착한 다음, 상기 보조경사프레임(23)의 외면에 마감판(24)을 용접 또는 볼팅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 설명하면, 상기 바닥고정부재(20)는 보조경사프레임(23)의 경사면(23a)과 수평면(23b)에 경사바(21)와 수평바(22)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경사프레임(23)에 마감판(24)을 밀착한 후 상기 마감판(24)과 근접하는 경사바(21)와 수평바(22)에 용접결합하여 바닥고정부재(20)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경사프레임(23)의 경사면은 설치하고자 하는 등산로나 산책로의 경사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마감판(24)은 보조경사프레임(23)에 결합되는 경사바(21)와 수평바(22)의 사이 형상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고정부재(20)들의 외측 방향에는 난간틀(80)들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되, 상기 난간틀(80)은 간격을 두고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난간프레임(81)과, 상기 난간프레임(81)의 상부에 결합되는 난간 연결구(82)와, 상기 난간 연결구(82)에 볼팅 또는 나사 결합되고 관통공(84)에는 로프(85)나 강선이 관통장착되는 난간 지지구(8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난간틀(80)은 등산로나 산책로 등을 오르고 내리는 등반자에게 로프(85)나 강선 등을 제공하여 등반자가 용이하게 등산로나 산책로 등을 등반 또는 하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닥고정부재(20)를 구성하는 수평바(22)의 상면에 장착되는 수평프레임(30)들은 상기 수평바(22)의 상면과 대응하는 수평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다단 절곡형성되면서 외측이 개방되는 프레임 장착홈(31)이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30)은 프레임 장착홈(31)을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경사프레임(40)과 접촉하는 수평프레임(30)의 접촉면(32)에는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경사프레임(40)과 고정결합을 될 수 있도록 결합홈(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3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장착홈(31)의 전·후 끝단으로 고정구(70)가 볼팅 또는 용접결합될 수 있는데 즉, 상기 프레임 장착홈(31)에 장착되는 고정구(70)는 합성목재 발판(60)의 결합과 함께 합성목재 발판(6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수평프레임(3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장착홈(31)의 전·후 끝단에 고정구(70)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의 저면에는 프레임 장착홈(31)에 삽입되는 목재 결합돌기(62)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이 수평프레임(30)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고정구(70)는 볼트뿐만 아니라 나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30)은 도시된 도 4 내지 10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수평프레임(30)은 소정의 길이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는 각관(320)들과, 상기 각관(320)과 각관(320)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각관(330)과,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구(340), 결합 지지구(35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관(320)과 연결각관(330)은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각관들 중 택일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각관(320)과 각관(32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각관(330)은 각관(320)의 내면과 동일하게 외면(33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관(320)의 외면(321)과 동일하게 지지부(332)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각관(330)은 지지부(332)를 기준으로 양측 외면(331)에 상기 각관(320)을 각각 끼움 결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각관(330)은 금속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각관(320)과 연결각관(330)의 고정은 끼움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을 통해서 영구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6은 상기 연결각관(330)의 외면(331)이나 지지부(332)의 양측에 요홈(333)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관(330)에 결합되는 각관(320)의 내면(322)이나 끝단(323)에는 요홈돌기(324)들이 돌출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연결각관(330)에 형성되는 요홈(333)에 상기 각관(320)의 요홈돌기(324)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7은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십자형상의 지지구(340)를 더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구(34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341)와 상기 수평부(341)의 동일선상 전·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면서 끝단(343)이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면(334)을 지지하고 내부에는 각관(320)을 관통하는 볼트, 나사, 고정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36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344)이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부(3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지지구(340)는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전·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끝단(343)이 연결각관(330)을 지지하면서 각관(3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60)와 결합홈(344)이 고정되어 각관(320)과 연결각관(33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60)는 각관(320)의 끝단과 끝단이 일치할 뿐만 아니라 돌출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8은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결합 지지구(350)를 더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 지지구(35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 수평부(351)와, 상기 결합 수평부(351)의 전·후에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353)이 구비되는 결합 수용부(352)와, 상기 결합 수용부(352)에 수용되면서 스프링(353)에 탄발지지되고 끝단이 연결각관(330)의 연통공(335)을 관통한 후 각관(320)에 형성되는 끼움 공(3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 지지구(350)는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결합 수평부(351)의 전·후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354)들이 연결각관(330)의 연통공(335)을 통과한 후 각관(320)의 끼움 공에 결합되어 각관(320)과 연결각관(330)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9는 상기 연결각관(330)의 외면(331)에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면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돌기(336)들을 부착하여 상기 외면(331)에 결합되는 각관(320)의 내면(322)과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0은 상기 각관(320)의 내부 끝단 부분과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는 볼트, 나사, 고정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360)를 통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 지지구(370a, 370b)가 각각 고정결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관(32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 지지구(370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관(320)의 내부에 볼트 또는 용접결합되고, 상기 연결각관(33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 지지구(370b)는 길이를 가지는 " H "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볼트 또는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 지지구(370a, 370b)의 일측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하는 반대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후 너트 고정을 통해 상기 각관(320)과 연결각관(330)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바닥고정부재(20)를 구성하는 경사바(21)의 상면에 장착되는 경사프레임(40)들은 상기 경사바(21)의 상면과 대응하는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프레임 장착홈(41)이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40)은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장착홈(31)을 형성하지 않고 수평이나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30) 또는 경사프레임(40) 끼리 접촉하는 경사프레임(40)의 접촉면(42)에는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수평프레임(30) 또는 경사프레임(40)과 고정결합을 될 수 있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4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장착홈(41)의 전·후 끝단으로 고정구(70)가 볼팅 또는 용접결합될 수 있는데 즉, 상기 프레임 장착홈(41)에 장착되는 고정구(70)는 합성목재 발판(60)의 결합과 함께 합성목재 발판(6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경사프레임(4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장착홈(41)의 전·후 끝단에 고정구(70)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의 저면에는 프레임 장착홈(41)에 삽입되는 목재 결합돌기(62)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이 수평프레임(30)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프레임(40)과 고정구(70)는 볼트뿐만 아니라 나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30) 또는 경사프레임(40)과 경사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프레임(5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수평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30) 또는 경사프레임(40)과 경사프레임(40)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에 개재되는 합성목재 발판(60)들은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에 나사,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에 개재되는 합성목재 발판(60)을 대신하여 철망이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공사각형 형상의 경사바(21)와 수평바(22)를 각각 형성한 후, 상기 경사바(21)와 수평바(22)의 연결부분에 경사면(23a)과 수평면(23b)을 가지는 보조경사프레임(23)을 삽입장착한 다음, 상기 보조경사프레임(23)의 외면에 마감판(24)을 용접 또는 볼팅 결합하여 바닥고정부재(20)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22)의 상면과 대응하는 수평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프레임 장착홈(31)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30)들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바(21)의 상면과 대응하는 경사진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프레임 장착홈(41)이 형성되는 경사프레임(40)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연결프레임(50)들과 합성목재 발판(60)들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계단구조물(10)이 설치되는 등산로나 산책로 등의 지면을 정리한 후, 상기 경사바(21)와 수평바(22)로 구성되는 바닥고정부재(20)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고정부재(20)들의 상면에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을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30) 사이 및 경사프레임(40)과 경사프레임(40) 사이에 연결프레임(50)들을 고정장착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의 맞닿는 면(32, 42)과 경사프레임(40)들이 맞닿는 면(42)에 형성되는 결합홈(33, 43)에는 볼팅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에 합성목재 발판(60)들을 장착한 후 나사, 용접, 리벳으로 고정하면 계단구조물(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산책로나 등산로 등의 비포장 경사로 시설공사에서의 비효율적인 고 비용구조, 난공사로 인한 작업환경의 어려움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효율은 증가하고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단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이동,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은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계단구조물, 20 : 바닥고정부재,
21 : 경사바, 22 : 수평바,
30 : 수평프레임, 31, 41 : 프레임 장착홈,
40 : 경사프레임, 50 : 연결프레임,
60 : 합성목재 발판, 320 : 각관,
321 : 외면, 322 : 내면,
323 : 끝단, 324 : 요홈돌기,
325 : 끼움 공, 330 : 연결각관,
331 : 외면, 332 : 지지부,
333 : 요홈, 334 : 내면,
335 : 연통공, 336 : 밀착돌기,
340 : 지지구, 341 : 수평부,
342 : 전후방 결합부, 343 : 끝단,
344 : 결합홈, 350 : 결합 지지구,
351 : 결합 수평부, 352 : 결합돌기,
360 : 체결부재.

Claims (17)

  1. 계단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장착되고 경사바(21)와 수평바(22)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20)들과,
    상기 수평바(22)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31)이 함몰형성되는 수평프레임(30)들과,
    상기 경사바(21)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합성목재 발판(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41)이 함몰형성되는 경사프레임(40)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30) 사이 또는 경사프레임(40)과 경사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고 나사,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50)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 개재되고 나사, 볼트, 리벳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합성목재 발판(6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2. 계단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장착되고 경사바(21)와 수평바(22)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20)들과,
    상기 수평바(22)의 상면에 장착되는 수평프레임(30)들과,
    상기 경사바(21)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경사프레임(40)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30) 사이 또는 경사프레임(40)과 경사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고 나사,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50)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0)들과 경사프레임(40)들의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 개재되고 나사, 볼트, 리벳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합성목재 발판(6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의 맞닿는 면(32, 42)과 경사프레임(40)들이 맞닿는 면(42)으로 결합홈(33, 4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3, 43)에는 리벳 또는 볼팅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장착홈(31, 41)의 상부 전·후 끝단으로 고정구(70)가 볼팅 또는 용접결합되고,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의 저면에는 프레임 장착홈(31,41)에 삽입되는 목재 결합돌기(6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합성목재 발판(60)이 수평프레임(30)이나 경사프레임(40)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20)는 중공사각형 형상의 경사바(21)와 수평바(22)로 구성한 후, 상기 경사바(21)와 수평바(22)의 연결부분에 경사면(23a)과 수평면(23b)을 가지는 보조경사프레임(23)을 각각 삽입장착한 다음, 상기 보조경사프레임(23)의 외면에 마감판(24)을 용접결합하되,
    상기 마감판(24)은 보조경사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근접하는 경사바(21)와 수평바(22)에 용접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부재(20)의 외측 방향에는 난간틀(80)들이 장착되되,
    상기 난간틀(80)은 간격을 두고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난간프레임(81)과, 상기 난간프레임(81)의 상부에 결합되는 난간 연결구(82)와, 상기 난간 연결구(82)에 볼팅 또는 나사 결합되고 관통공(84)에는 로프(85)나 강선이 관통장착되는 난간 지지구(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 발판(60)들을 대신하여 철망이 상기 수평프레임(30)과 경사프레임(40)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은 두 개 이상의 각관(320)을 결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관(320)과 각관(320)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각관(320)의 내면과 동일하게 외면(33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각관(320)의 외면(321)과 동일하게 지지부(332)가 돌출형성되는 연결각관(330)을 설치한 후 상기 지지부(332)를 기준으로 양측 외면(331)에 상기 각관(320)을 각각 끼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각관(330)의 외면(331)이나 지지부(332)의 양측에 요홈(333)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관(330)에 결합되는 각관(320)의 내면(322)이나 끝단(323)에는 요홈돌기(324)들이 돌출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십자형상의 지지구(340)가 더 장착되되,
    상기 지지구(34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341)와 상기 수평부(341)의 동일선상 전·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면서 끝단(343)이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면(334)을 지지하고 내부에는 각관(320)을 관통하는 볼트, 나사, 고정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36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344)이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부(3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결합 지지구(350)가 더 장착되되,
    상기 결합 지지구(35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 수평부(351)와, 상기 결합 수평부(351)의 전·후에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353)이 구비되는 결합 수용부(352)와, 상기 결합 수용부(352)에 수용되면서 스프링(353)에 탄발지지되고 끝단이 연결각관(330)의 연통공(335)을 관통한 후 각관(320)에 형성되는 끼움 공(3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각관(330)의 외면(331)으로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면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돌기(336)들이 부착되어 결합되는 각관(320)의 내면(322)과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관(320)의 내부 끝단 부분과 상기 연결각관(330)의 내부에는 볼트, 나사, 고정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360)를 통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 지지구(370a, 370b)가 각각 고정결합되되,
    상기 각관(32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 지지구(370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관(320)의 내부에 볼트 또는 용접결합되고, 상기 연결각관(33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 지지구(370b)는 길이를 가지는 " H "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각관(330)의 내부에 볼트 또는 용접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
  14. 삭제
  15. 삭제
  16. 경사바와 수평바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들과, 상기 수평바와 대응하는 수평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경사바와 대응하는 경사진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부 또는 상부 및 전면에는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경사프레임들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연결프레임들 및 합성목재 발판들을 준비하는 단계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면을 정리한 후 경사바와 수평바를 결합하여 바닥고정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고정부재들의 상부에 수평프레임들과 경사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 및 경사프레임과 경사프레임 사이에 연결프레임을 고정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프레임들과 경사프레임들의 상부에 합성목재 발판들을 장착한 후 나사, 용접, 리벳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외측 방향에는 로프나 강선이 수용되는 난간틀들이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17. 삭제
KR1020100070685A 2010-07-21 2010-07-21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685A KR101026430B1 (ko) 2010-07-21 2010-07-21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685A KR101026430B1 (ko) 2010-07-21 2010-07-21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430B1 true KR101026430B1 (ko) 2011-04-07

Family

ID=4404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685A KR101026430B1 (ko) 2010-07-21 2010-07-21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4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62B1 (ko) 2012-03-05 2012-10-26 용두조경개발(주) 보행로 설치용 발판 지지대
KR200478576Y1 (ko) * 2014-12-26 2015-10-22 배용준 핸드레일 연결구
KR20180062131A (ko) * 2016-11-30 2018-06-08 (주)차라도 개방형 조립식 계단
KR102040977B1 (ko) * 2019-01-22 2019-11-06 (주)한영문화재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KR20230008468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고강도 콘크리트 조립식 계단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315A (en) * 1988-06-13 1989-10-24 Champagne Venerand R Frame for supporting stairs or the like
JPH11159095A (ja) * 1997-11-28 1999-06-15 Eidai Co Ltd 階段用踏板の位置決め方法
JP2005256382A (ja) * 2004-03-11 2005-09-22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階段等の側桁の接合構造
KR100662819B1 (ko) * 2006-04-14 2006-12-28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경사면용 조립식 계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315A (en) * 1988-06-13 1989-10-24 Champagne Venerand R Frame for supporting stairs or the like
JPH11159095A (ja) * 1997-11-28 1999-06-15 Eidai Co Ltd 階段用踏板の位置決め方法
JP2005256382A (ja) * 2004-03-11 2005-09-22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階段等の側桁の接合構造
KR100662819B1 (ko) * 2006-04-14 2006-12-28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경사면용 조립식 계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62B1 (ko) 2012-03-05 2012-10-26 용두조경개발(주) 보행로 설치용 발판 지지대
KR200478576Y1 (ko) * 2014-12-26 2015-10-22 배용준 핸드레일 연결구
KR20180062131A (ko) * 2016-11-30 2018-06-08 (주)차라도 개방형 조립식 계단
KR102040977B1 (ko) * 2019-01-22 2019-11-06 (주)한영문화재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KR20230008468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고강도 콘크리트 조립식 계단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430B1 (ko)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7802351B2 (en) Compression post mount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101054261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US9057172B2 (en) Anchoring system
KR20090085188A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2341317B1 (ko) 삽입형 유동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난간 시공방법
KR20150117292A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1135563B1 (ko)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KR101375525B1 (ko)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183081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체결구조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2341897B1 (ko) 케이블 보도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200291501Y1 (ko) 비탈면 점검로
CN210767926U (zh) 安全防护平台
KR102638590B1 (ko) 고강도 콘크리트 조립식 계단 구조물
KR101194062B1 (ko) 보행로 설치용 발판 지지대
CN220285277U (zh) 一种用于电梯井道的操作平台
CN110056208B (zh) 一种快速安装可调的工具式临时楼梯
CN213175493U (zh) 装配式航铝直梯、直梯组件
KR102469121B1 (ko) 탄성클립과 경사도 브라켓이 적용된 데크로드 블록구조체
CN217323154U (zh) 用于爬架下部结构通往塔吊的人行通道
KR101202608B1 (ko) 경사지용 인도 확장장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