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77B1 -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77B1
KR102040977B1 KR1020190007834A KR20190007834A KR102040977B1 KR 102040977 B1 KR102040977 B1 KR 102040977B1 KR 1020190007834 A KR1020190007834 A KR 1020190007834A KR 20190007834 A KR20190007834 A KR 20190007834A KR 102040977 B1 KR102040977 B1 KR 10204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elastic member
pressing
elastic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한영문화재
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영문화재, 유석 filed Critical (주)한영문화재
Priority to KR102019000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는, 상호 분리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고정홀과 가압홀을 구비하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홀에 고정되는 고정단부와, 가압홀에 위치하는 가압단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압축된 상태에 있고, 가압단부가 제1 대상물을 제2 대상물 방향으로 경사 가압한다.

Description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CONSERVING CULTURAL ASSET}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 또는 목조 문화재 보존을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손된 석조 문화재 또는 목조 문화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문화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고궁, 사찰, 서원, 고택 등의 구조물은 주로 석재 및 목재로 이루어져 있다.
석조 문화재는 대부분 야외에 노출되어 있어 물-암석 반응에 의한 자연적인 훼손이 불가피하고, 인간의 활동에 의한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하여 훼손이 가속화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석조 문화재 자체의 하중 등에 의해서 석조 문화재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전체 문화재 중 약 17%에 해당하는 석조 문화재는 대부분 실외에 위치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및 생물학적인 풍화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 목조 문화재는 대부분 육송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화재에 취약하고 풍화작용과 세균, 곰팡이, 곤충 등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석조 문화재의 벽돌 및 벽체 그리고 목조 문화재의 대들보 및 기둥 등이 파손되어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파손된 부분을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은 문화재 보존을 위한 연결부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석재 또는 목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파손된 부분을 상호 연결한다.
종래의 문화재 보존용 연결부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삽입된 석재 또는 목재에서 빠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연결부재가 석재 또는 목재에서 빠지면 이를 제거한 후 다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연결 대상물에 삽입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는, 따른 상호 분리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고정부와 가압홀을 구비하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단부와, 가압홀에 위치하는 가압단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압축된 상태에 있고, 가압단부가 제1 대상물을 제2 대상물 방향으로 경사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고정홀에 해당하고, 고정홀은 탄성부재의 바디가 지지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홀은 고정단부가 삽입되고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는, 상호 분리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2 대상물에 삽입되고 제1 지지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재는 제1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제2 지지부재는 제2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제1 연결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연결수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제2 지지부재를 제1 지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된 대상물의 연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고정부는 고정홀에 해당하고, 고정홀을 통해서 탄성부재를 지지부재의 내부에 삽입해서 가압단부를 가압홀에 삽입하는 단계와, 탄성부재를 수축시킨 후 고정단부를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탄성부재를 경사지게 위치하게 하는 단계와, 제1 대상물에 지지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고, 제2 대상물에 지지부재의 나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압단부는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경사 수축되어서 제1 대상물을 제2 대상물 방향으로 경사 가압한다.
본 발명은 연결 대상물에 삽입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연결장치의 배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연결장치에서 탄성부재가 설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연결장치가 대상물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가 대상물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연결장치(100)의 배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연결장치(100)에서 탄성부재(140)가 설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에서 탄성부재(140)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파손되어 분리된 문화재에 해당하는 석재 구조물 또는 목재 구조물 등에 각각 삽입되어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파손되어 분리된 대상물(도 5의 도면부호 150, 152 참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지지부재(110)와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파손되어 상호 분리된 두 개의 대상물에 각각 삽입되어 대상물을 상호 결합되게 한다. 즉, 지지부재(110)의 일부는 두 개의 대상물 중에서 하나에 삽입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두 개의 대상물 중에서 다른 하나에 삽입된다. 지지부재(110)는 상호 분리된 두 개의 대상물에 미리 형성된 홀(도 5의 151, 153 참조)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내부공간(112)을 구비하는 중공(中空)의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10)의 단면은 원, 타원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0)의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지지부재(110)는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부재(110)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부재(110)가 삽입되는 대상물에 형성된 홀(151, 15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110)의 외면에는 작은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해서 대상물(150, 152)과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10)의 외면을 거칠게 형성하거나 또는 널링(knurling) 등에 의해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110)의 외면에는 고정홀(118) 및 가압홀(122)이 지지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118) 및 가압홀(122)은 지지부재(110)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는 고정홀(118) 및 가압홀(122)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하나씩만 형성될 수 있다.
가압홀(122)을 통해서 탄성부재(140)의 가압단부(142)가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홀(122)의 크기는 탄성부재(140)의 가압단부(142)의 단면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가압단부(142)가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가압홀(122)은 탄성부재(140)의 바디(146)의 직경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140)가 가압홀(122)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고정홀(118)은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탄성부재(1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3 참조). 탄성부재(140)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 고정홀(118)의 직경은 코일 스프링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홀(118)을 통해서 탄성부재(140)를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18)을 형성하는 원의 중심과 가압홀(122)의 중심은 지지부재(110)의 단면 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홀(118)을 통해서 탄성부재(140)를 지지부재(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면 탄성부재(140)의 가압단부(142)가 가압홀(1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고정홀(118)의 일 측에는 슬롯(slot, 120)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20)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홀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정홀(118)의 측면에서 지지부재(110)의 단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고정홀(118)에서 각각의 슬롯(120)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슬롯(120)에는 탄성부재(140)의 고정단부(144)가 삽입되어 이동한다. 즉, 고정홀(118)을 통해서 삽입된 탄성부재(140)는 압축되어 고정단부(144)가 슬롯(120)에 삽입된 후 슬롯(120)의 단부까지 이동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140)는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
슬롯(120)의 폭은 탄성부재(140)의 고정단부(144)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롯(120)을 따라서 고정단부(144)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탄성 가압력을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의 접합면(154)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탄성부재(140)는 코일 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에 해당하는 탄성부재(140)는 바디(146)와, 양 단부에 해당하는 가압단부(142) 및 고정단부(144)를 구비한다.
탄성부재(140)의 바디(146)는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디(146)는 고정홀(118)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 즉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146)의 직경은 고정홀(118)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146)는 고정홀(118)을 통해서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146)의 길이는 지지부재(110)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40)를 고정홀(118)을 통해서 삽입하면 바디(146)의 일부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바디(146)를 압축시켜서 고정단부(144)를 슬롯(120)에 삽입한 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탄성부재(140)를 위치 고정한다.
탄성부재(140)가 도 4와 같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는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도 탄성부재(140)는 압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압단부(142)를 통해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가압단부(142)는 바디(146)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단부(142)의 길이는 고정단부(144)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140)가 도 4와 같이 위치 설정된 경우, 고정단부(144)는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지만, 가압단부(142)는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단부(142)는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110)를 제1 대상물(150) 또는 제2 대상물(152)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면, 가압단부(142)가 대상물(150, 152)에 걸리면서 하향 가압력을 받고, 이로 인해 바디(146)가 수축되어서 가압단부(142)가 지지부재(110)의 내부로 후퇴한다. 수축된 바디(146)는 탄성 가압력을 제공해서 가압단부(142)를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의 접합면(154) 방향으로 경사 가압한다. 이로 인해, 제1 대상물(150)이 제2 대상물(152) 방향으로 가압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단부(144)는 바디(146)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단부(144)의 길이는 가압단부(142)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140)가 도 4와 같이 위치 설정된 경우, 고정단부(144)는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은 대상물(150, 152)의 크기 및 재질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150, 152)이 석재 축조물이고 부피가 큰 경우 탄성부재(140)는 탄성계수가 큰 압축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150, 152)이 목재 구조물이고 부피가 작은 경우 탄성부재(140)는 탄성계수가 작은 압축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에서 탄성부재(140)의 고정단부(144)는 고정홀(118)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고정단부(144)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단부는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 또는 돌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에서 탄성부재(140)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탄성부재(100)의 형상, 구조 및 재질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서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압축 스프링) 이외에 토션 스프링 및 와이어 포밍(wire forming) 그리고 탄성 플라스틱 및 탄성 고무 등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00)의 결합 및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서 연결장치(100)가 대상물(150, 152)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파손 등에 의해서 상호 분리된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장치(100)를 사용한다.
연결장치(100)에 탄성부재(140)를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홀(118)을 통해서 탄성부재(140)를 지지부재(11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가압단부(142)는 가압홀(12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40)의 길이가 지지부재(110)의 폭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3의 상태에서 탄성부재(140)를 가압해서 바디(146)를 수축시켜서 고정단부(144)를 슬롯(120)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단부(144)를 슬롯(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슬롯(120)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도 4와 같이 좌우 각각의 탄성부재(140)가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고, 가압단부(142)도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지지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지지부재(110)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한 가압단부(142)는 지지부재(110)의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즉, 각 단부에 위치하는 가압단부(142)는 대상물(150, 152)에 대한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도 4와 같이, 연결장치(100)의 결합을 완료한 후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에 각각 연결장치(100)를 삽입해서 각 대상물(150, 152)을 상호 연결한다.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에는 연결장치(100)를 삽입하기 위한 홀(151, 153)을 미리 형성한다. 각각의 홀(151, 153)의 길이의 합은 지지부재(110)의 길이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홀(151, 153)에 삽입된 지지부재(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장치(100)의 우측 일부를 제1 대상물(150)에 삽입하고 좌측 일부를 제2 대상물(15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경사지게 돌출된 가압단부(142)는 삽입과정에서 홀(151, 153)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서 지지부재(110)의 내부로 후퇴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140)의 바디(146)가 수축하면서 가압단부(142)가 접합면(154) 방향으로 경사지게 탄성 가압력(도 5의 화살표)을 가하게 된다.
좌우 양측의 가압단부(142)가 각각 접합면(154)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은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은 석재, 목재 또는 금속재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을 상호 연결해서 원래의 상태인 하나로 복구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연결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은 파손된 문화재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연결장치(200)가 대상물(150, 152)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는 제1 지지부재(210)가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양자 사이에 탄성부재(240)를 연결해서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1 대상물(150)에 결합된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대상물(152)에 결합된 제2 지지부재(220)는 접합면(154)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제1 지지부재(210)는 중공의 원통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210)의 직경은 제2 지지부재(220)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210)는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0)의 외주면에는 외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돌기(212)는 제1 대상물(150)에 형성된 홀(15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부재(210)의 외주면에는 관통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4)은 제1 지지부재(210)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한다. 관통공(214)에는 고정수단(230)이 삽입되어 제1 지지부재(210)가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로 탄성력에 의해서 삽입되지 않게 한다.
제1 지지부재(210)의 내부에는 제1 연결수단(216)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연결수단(216)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수단(216)에는 탄성부재(240)의 일단부가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에서 제1 연결수단(216)은 바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1 연결수단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는 제1 연결수단으로서 후크(hook) 형상의 걸림돌기, 제1 지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 등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20)는 중공의 원통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220)의 직경은 제1 지지부재(210)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20)의 내경은 제1 지지부재(210)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210)는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제2 지지부재(220)의 외주면에는 외부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돌기(222)는 제2 대상물(152)에 형성된 홀(153)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에는 제2 연결수단(224)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연결수단(224)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수단(224)에는 탄성부재(240)의 타단부가 걸리게 된다.
탄성부재(240)는 제1 연결수단(216) 및 제2 연결수단(224)에 각각 걸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40)가 원래의 길이에 비해서 신장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40)는 제1 지지부재(210)가 제2 지지부재(22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 지지부재(210)를 제1 대상물(150)에 삽입하고, 제2 지지부재(220)를 제2 대상물(152)에 각각 어느 정도 삽입한 후 고정수단(230)을 관통공(214)에서 제거한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이 작용해서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를 접합면(154) 방향(즉,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대상물(150) 및 제2 대상물(152)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연결장치
110, 210, 220: 지지부재
140, 240: 탄성부재
150, 152: 대상물

Claims (6)

  1. 상호 분리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상기 제1 대상물에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대상물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와 가압홀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가압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단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압축된 상태에 있고, 상기 가압단부가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접하는 접합면 방향으로 경사 가압하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을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고정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구비하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지지부재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지지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접하는 접합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6. 제1항의 연결장치를 이용한 분리된 대상물의 연결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을 통해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삽입해서 상기 가압단부를 상기 가압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킨 후 상기 고정단부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탄성부재를 경사지게 위치하게 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물에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2 대상물에 상기 지지부재의 나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경사 수축되어서 상기 제1 대상물을 상기 제2 대상물 방향으로 경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대상물의 연결방법.
KR1020190007834A 2019-01-22 2019-01-22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KR10204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34A KR102040977B1 (ko) 2019-01-22 2019-01-22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34A KR102040977B1 (ko) 2019-01-22 2019-01-22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977B1 true KR102040977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34A KR102040977B1 (ko) 2019-01-22 2019-01-22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496Y1 (ko) * 2002-01-16 2002-04-26 채찬복 조립식 진열장
KR101026430B1 (ko) * 2010-07-21 2011-04-07 주식회사 보운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496Y1 (ko) * 2002-01-16 2002-04-26 채찬복 조립식 진열장
KR101026430B1 (ko) * 2010-07-21 2011-04-07 주식회사 보운 계단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53887B1 (en) Portable sporting goal framework and net
US20120073094A1 (en) Fastener
KR102040977B1 (ko) 문화재 보존용 연결장치
US20040099339A1 (en) Dowel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RU2000119135A (ru) Вставной дюбель
RU2323460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KR20200120048A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KR102011857B1 (ko) 철근 커플링 장치
US3878012A (en) Device and method for fishing rod repair
EP3193665B1 (en) Shelf frame assembly system and method
EP1176111A3 (en) Wooden spool held together with novel tie rod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between a pair of dies
KR102297800B1 (ko) 모듈가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여 구성된 모듈가구
KR950003583A (ko) 토목 건축용 대[(棧)잔] 접합물에 있어서의 중공 세로대와 가로대의 연결방법
KR101547290B1 (ko) 강구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KR20100005863U (ko) 빨래건조대의 널판
JPH02236509A (ja) 光ファイバ組付方法及び組付装置
GB2150248A (en) Fixing plugs
CN209952241U (zh) 一种便于装卸的积木
KR102573985B1 (ko) 철근커플러
JP6145208B1 (ja) 組立構成物
KR101919809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KR101746489B1 (ko) 조립식 기둥
KR102560130B1 (ko) 철근 커플러
KR102560133B1 (ko) 철근 커플러
KR102031677B1 (ko) 전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