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048A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048A
KR20200120048A KR1020190042424A KR20190042424A KR20200120048A KR 20200120048 A KR20200120048 A KR 20200120048A KR 1020190042424 A KR1020190042424 A KR 1020190042424A KR 20190042424 A KR20190042424 A KR 20190042424A KR 20200120048 A KR20200120048 A KR 20200120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key unit
bridge
coupl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815B1 (ko
Inventor
장성만
이은기
Original Assignee
현대금속산업(주)
장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금속산업(주), 장성만 filed Critical 현대금속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4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커플러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양측에서 삽입되는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도록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Key unit for Steel Connecting coupler}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커플러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양측에서 삽입되는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도록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 및 길이(높이)에 따라 배열되는 형태 및 개수가 결정된다.
이러한 철근은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규격화된 제품으로, 다수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공급되며,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길이 또는 높이에 맞춰 절단하여 다수의 철근을 철사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철사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해야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철근의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철사에 의해 결속된 부위가 약하기 때문에 결합된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작업이 어렵고 위험상황이 발생하며, 많은 인원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철근 이음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이음결합되는 양 철근에 한 쌍의 절개편을 결합하여 이를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이음커플러와 결합커플러의 테이퍼공 내주연에 내입시켜 이음커플러와 결합커플러가 나사 체결되면서 양 철근의 단부를 밀착되도록 하여 이음 결합시킨 철근이 흔들림 없이 이음결합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근의 압축 및 굽힘 대한 강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구조물의 정하중 및 동하중에 대한 변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절개편을 철근에 삽입한 후 이음커플러 및 결합커플러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이음커플러와 결합커플러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작업방법 어렵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개편은 별도의 커플링을 통해 고정하고 있어 철근은 삽입하여 고정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절개편은 이음커플러 및 결합커플러에 결합시 밀착되어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절개편의 수축 및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철근과 함께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1183호(2003.07.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커플러를 통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철근을 흔들림 및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삽입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커플러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철근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확장되며, 삽입된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유지하며, 삽입되는 철근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깨짐)이 발생하도록 열처리하여 철근의 외부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성 및 탄성을 통해 철근의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커플러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수축 또는 확장되어 상기 철근을 고정하는 내입홀이 형성된 키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유닛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절개홈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과, 다수개의 상기 절편이 동심원상에서 원형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편의 외부면은 상기 내입홀에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입홀에는 상기 철근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이 이탈되는 방향은 급격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절편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는 연성을 낮추고 취성을 높여 상기 내입홀에 삽입된 상기 철근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의 일정부분에 깨짐이 발생하도록 설계와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절개홈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따르면, 철근커플러를 통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철근을 흔들림 및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삽입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커플러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철근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확장되며, 삽입된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유지하며, 삽입되는 철근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깨짐)이 발생하도록 열처리하여 철근의 외부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 및 탄성을 통해 철근의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부를 형성하여 철근 삽입시 수축 또는 확장되는 다수개의 절편을 용이하게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꺾임, 절단 등이 임의로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확장판을 설치하여 키유닛의 직경이 철근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여 손쉽게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결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편에 브릿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결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결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커플러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양측에서 삽입되는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도록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철근커플러 내에 결합되어 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키유닛(1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키유닛(100)은 두개의 철근(300)을 연결하는 철근커플러(20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수축 또는 확장되어 상기 철근(300)을 고정하는 내입홀(101)이 형성된다.
이에 앞서 상기 철근커플러(200)는 양단에서 각각 삽입된 상기 철근(3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하우징(210)의 내부에 상기 키유닛(100)과 상기 키유닛(100)을 지지 또는 고정하여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220)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에 중공(211)이 형성되되, 상기 중공(211)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키유닛(100)을 수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도록 외측면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는 경사홀(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211)의 중앙에는 상기 철근(300)을 구획하는 격벽(221)과, 상기 키유닛(100)을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2)로 구성된 연결부(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222)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축 또는 확장을 통해 철근의 삽입 및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하우징(210)에 삽입되어 상기 철근(300)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철근의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고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키유닛(100)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절개홈(111)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110)과,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이 동심원상에서 원형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편(110)은 상기 절개홈(111)에 의해 동일한 크기로 분할되어 각각 이루어지며, 동심원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통형상에 상기 절개홈(1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20)는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이 동심원상에서 원형을 가지도록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절편(110)의 외부면은 상기 내입홀(101)에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경사부(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1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중공에서 길이방향이동시 상기 내입홀을 수축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부(112)는 상기 키유닛(100)이 상기 중공(211)에 설치된 후 상기 탄성부재(222)의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경사홀(212)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내입홀(101)을 수축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중공(211)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이 살아져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입홀(101)의 일면에는 상기 철근(3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모따기 및 라운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확장부(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태의 파이프형상이 돌출되어 이루어져, 내주면에 상기 철근(300)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릿지(120)의 외측 끝단은 원형태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곡부(121)는 끝단이 상기 내입홀(101)의 중심을 향해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절편이 확장 또는 수축될 때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내입홀(101)에는 상기 철근(30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102)는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이 이탈되는 방향은 급격한 각도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102)는 "
Figure pat00001
"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입홀(101)의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
Figure pat00002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300)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고,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철근(300)이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02)는 상기 철근(300)이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이 용이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키유닛(100)에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일면과 상기 철근(300)이 노출되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이 노출되는 타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브릿지(120)가 형성된 타측이 상기 중공(211)에 밀착되어 일정거리 이상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키유닛(100)의 일측이 상기 중공(211)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키유닛(100)의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일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브릿지(120)가 형성된 일측이 상기 중공(211)에 밀착되어 일정거리 이상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키유닛(100)의 일측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원통형태를 가지도록 연결하되, 상기 하우징(210)의 중공에 밀착되어 일정거리 이상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입홀(101)은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고 있어 상기 철근(300)을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내입홀(101)의 일측에는 라운드 또는 모따기 등의 상기 확장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20)가 형성되지 않은 일면은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수축 또는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릿지(120)는 연성을 낮추고 취성을 높여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된 상기 철근(300)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120)의 일정부분에 깨짐(파손)이 발생하도록 설계와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입홀(101)에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면, 다수개의 상기 브릿지(120) 중 상기 절개홈(111)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에서 일정부분 깨지며, 깨진부분이 절단되어 발생하는 유격을 이용하여 상기 절편(110)이 확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브릿지(120)의 설계는 상기 절개홈(111)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절편(110)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폭 또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특정부분에서 깨짐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릿지(120)의 열처리는 상기 브릿지(120)의 재질, 재료 등에 따라 취성을 강하게 하여 상기 철근(300)이 삽입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파손(깨짐)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개홈(111)에 형성된 어느 한 부분에서 일정부분이 깨짐(파손)된 상태에서는 가해지는 외력은 의해 상기 절곡부(121)에 의해 분산시켜 일정부분 깨진 후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커플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300)의 결합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커플러(200) 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커플러(200) 내의 상기 중공(211)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양측에서 상기 철근(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 내의 상기 중공(211)에 상기 키유닛(100), 상기 탄성부재(222), 상기 격벽(221), 상기 탄성부재, 상기 키유닛(100) 순서대로 배치되며, 상기 격벽(221) 및 상기 탄성부재(222)에 의해 양측에 배치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중공(211)의 외측으로 미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브릿지(120)가 상기 중공(211)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220)에 의해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아울러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브릿지(120)가 상기 중공(211)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내입홀(101)은 상기 철근(300)이 삽입될 수 있는 용이한 크기의 직경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에 상기 키유닛(1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커플러(200)의 양측에서 상기 철근(300)을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키유닛(100)의 일측에는 상기 확장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철근(300)이 용이하게 유입되며, 삽입되는 상기 철근에 의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부분을 향해 상기 중공(21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군데에 형성되어 상기 키유닛(100)의 상기 내입홀(101)을 일정 직경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300)의 삽입 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120)의 어느 한 부분이 파손(깨짐)이 되며,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된다.
즉, 상기 브릿지(120)는 열처리를 통해 외력이 가해지면 손쉽게 파손(깨짐)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개홈(111)이 형성된 부분 중 한 군데에서 일정부분이 파손(깨짐)이 발생하여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이 상기 중공(211)의 내주면을 따라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20)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면, 파손된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고 상기 절곡부(121)에 의해 외력을 분산시켜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수축 또는 확장시켜 상기 내입홀(101)의 직경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철근(300)이 삽입된 키유닛(100)은 상기 연결부(220)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시 상기 중공(211)의 상기 경사홀(212)에 의해 상기 절편(110)을 수축시켜 상기 철근(30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철근(300)을 삽입된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중공(211)에 억지로 밀착되어 상기 철근(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양측에 각각 상기 철근(300)을 삽입하여 상기 키유닛(100)에 의해 상기 철근(3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편에 브릿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결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브릿지(120)에는 개방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방부(122)는 다수개의 상기 절개홈(111)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브릿지(12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개방부(122)에 의해 유격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의 수축 또는 확장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절곡부(121)를 통해 연성과 탄성을 크게하여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이 용이하게 수축 또는 확장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121)는 상기 브릿지(120)의 외측 끝단에서 상기 키유닛(100)의 중심부분 방향인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축 및 확장 시 연성 및 탄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브릿지(120)는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내입홀(101)의 수축 또는 확장되어 상기 철근(300)이 용이하게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직경이 변화된다.
또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면에서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타면에 결합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개방부(122)의 유격에 의해 용이하게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며, 상기 브릿지(120)가 형성되지 않는 반대편은 수축 및 확장되는 범위가 더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입홀(101)에는 상기 내입홀(101)이 일정한 직경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판(13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판(130)은 삽입되는 상기 철근(300)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키유닛(100)의 상기 브릿지가 형성된 반대방향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키유닛(100)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입홀(101)이 일정지름 이하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철근(300)과 유사한 직경을 유지하여 상기 철근(3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커플러(200)에 결합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키유닛(1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상기 중공(211)에서 상기 연결부(220)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키유닛(100)의 상기 경사부(112)가 상기 중공(211)의 경사홀(212)에 밀착되어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개방부(122)의 유격에 의해 상기 내입홀(101)이 수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입홀(101)은 상기 확장판(130)을 결합하여 상기 내입홀(101)이 일정 직경이하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되고, 상기 키유닛(100)의 외측면은 상기 중공(211)의 경사홀(212)에 밀착되어 일정거리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연결부(220)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경사부(112)와 상기 경사홀(212)이 밀착되어 항시 수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확장판(130)에 의해 상기 확장판(130)보다 작은 직경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키유닛(100)의 이동을 제안한다.
이렇게 상기 키유닛(100)이 결합된 상기 철근커플러(200)는 양측에서 각각의 상기 철근(300)을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철근(300)을 삽입되면 상기 키유닛(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키유닛(100)의 일측에서 상기 철근(300)을 삽입하면 상기 철근(300)은 상기 확장부(10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내입홀(101)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철근(300)의 삽입 시 삽입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되는 상기 철근(300)의 직경에 맞춰 상기 내입홀(101)이 확장된다.
여기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브릿지(120)의 연성 및 탄성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외주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입홀(101)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된 상기 확장판(130)은 상기 철근(300)에 밀착되어 상기 키유닛(100)의 타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중공(211) 내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철근(300)의 삽입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확장판(130)이 상기 키유닛(10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내입홀(101)이 확장되어 용이하게 상기 철근(300)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300)이 상기 철근커플러(2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확장판(130)이 이탈된 상기 키유닛(100)은 상기 연결부(220)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키유닛(100)은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112)가 상기 중공의 경사홀(212)에 밀착되어 상기 내입홀(101)이 수축되어 상기 철근(30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내입홀(101)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102)는 상기 철근(300)의 삽입이 용이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형상을 통해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된 상기 철근(30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브릿지(120)의 절곡부(121)는 상기 내입홀(101)의 수축 및 확장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파손, 꺾임 등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철근커플러(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삽입된 철근을 제거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키유닛 101: 내입홀 102: 고정돌기
103: 확장부
110: 절편 111: 절개홈 112: 경사부
120: 브릿지 121: 절곡부 122: 개방부
130: 확장판
200: 철근커플러
210: 하우징 211: 중공 212: 경사홀
220: 연결부 221: 격벽 222: 탄성부재
300: 철근

Claims (6)

  1. 두개의 철근(300)을 연결하는 철근커플러(20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수축 또는 확장되어 상기 철근(300)을 고정하는 내입홀(101)이 형성된 키유닛(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유닛(100)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절개홈(111)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110)과,
    다수개의 상기 절편(110)이 동심원상에서 원형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편(110)의 외부면은 상기 내입홀(101)에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경사부(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홀(101)에는 상기 철근(30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102)는 상기 철근(3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이 이탈되는 방향은 급격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20)는 상기 절편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20)는 연성을 낮추고 취성을 높여 상기 내입홀(101)에 삽입된 상기 철근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120)의 일정부분에 깨짐이 발생하도록 설계와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20)에는 다수개의 상기 절개홈(111)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KR1020190042424A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KR10232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4A KR10232481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4A KR10232481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48A true KR20200120048A (ko) 2020-10-21
KR102324815B1 KR102324815B1 (ko) 2021-11-12

Family

ID=7303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424A KR10232481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896B1 (ko) 2021-02-24 2022-03-03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철근 커플러
KR102398169B1 (ko) * 2020-12-07 2022-05-17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뿔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뿔형 키이
KR102398159B1 (ko) * 2020-12-07 2022-05-17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통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통형 키이
WO2022191351A1 (ko) * 2021-03-11 2022-09-15 장성만 원터치 또는 원클릭타입 철근 커플러
WO2023283391A1 (en) * 2021-07-08 2023-01-12 Seung Ho Cha One-touch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101654145B1 (ko)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741178B1 (ko) * 2016-08-12 2017-05-29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101654145B1 (ko)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741178B1 (ko) * 2016-08-12 2017-05-29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이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69B1 (ko) * 2020-12-07 2022-05-17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뿔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뿔형 키이
KR102398159B1 (ko) * 2020-12-07 2022-05-17 허인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통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통형 키이
KR102369896B1 (ko) 2021-02-24 2022-03-03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철근 커플러
WO2022191351A1 (ko) * 2021-03-11 2022-09-15 장성만 원터치 또는 원클릭타입 철근 커플러
WO2023283391A1 (en) * 2021-07-08 2023-01-12 Seung Ho Cha One-touch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815B1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0048A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US7493735B2 (en) Spiral stirrup and steel element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JP6861472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JP6567965B2 (ja) PCa床版の継手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90105609A (ko)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2019441B1 (ko) 철근용 커플러
JP716915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手構造
KR10218690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220916B1 (ko)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JP2002256655A (ja) 鉄筋連結装置および鉄筋連結用スリーブ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187379B1 (ko) 나사 체결식 철근 결속장치
KR102253670B1 (ko)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100691756B1 (ko) 철근 연결구
KR20200114124A (ko) 철근 커플러
JP3631237B1 (ja) 複合構造梁
JP5755969B2 (ja) 荷重支持体と支柱体との接合構造
KR101540344B1 (ko) 부착력 강화 이형철근
KR101768534B1 (ko) 단면 확대보강용 철근앵커, 상기 철근앵커의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KR102359480B1 (ko) 철근의 마디와 리브를 이용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킨 이형 철근용 풀림방지 커플러
JP200700960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部における配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