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332B1 -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332B1
KR101026332B1 KR1020090002585A KR20090002585A KR101026332B1 KR 101026332 B1 KR101026332 B1 KR 101026332B1 KR 1020090002585 A KR1020090002585 A KR 1020090002585A KR 20090002585 A KR20090002585 A KR 20090002585A KR 101026332 B1 KR101026332 B1 KR 10102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ush
bushing
alternator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275A (ko
Inventor
양경포
윤홍석
Original Assignee
윤홍석
양경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석, 양경포 filed Critical 윤홍석
Priority to KR102009000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3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부시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 일측면에 지지되며 스트랩부시가 복원되어 안착되도록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부시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부시안착홈의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스트랩부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시관통부, 및 상기 부시관통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체결되면서 스트랩부시를 상기 부시안착홈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원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수리 및 교환 작업에 있어서, 복잡하고 협소한 엔진룸 공간에도 불구하고 작은 힘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알터네이터 고정용 스트랩의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알터네이터, 스트랩,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Description

스트랩부시 복원장치{Restituting Apparatus of Strap Bush}
본 발명은 스트랩부시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수리 및 교환 작업에 있어서, 복잡하고 협소한 엔진룸 공간에도 불구하고 작은 힘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알터네이터 고정용 스트랩의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전원은 배터리를 사용하나 이 배터리는 충전을 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서서히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사용불능이 된다. 따라서 배터리는 사용할 때마다 가능한 한 신속하게 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충전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면서 자동차의 다른 전장부품에 배터리를 대신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충전장치인데, 이 충전장치 중 하나의 구성을 이루는 것이 알터네이터(Alternator)이다.
알터네이터는 자동차 엔진에 연결된 크랭크 풀리에 의해 V벨트로 구동되며 엔진 회전속도의 약 2배로 회전하게 되는데, 알터네이터는 소형 및 경량으로 출력이 크고, 저속에서도 충전성능이 뛰어나야 되고, 소모부품이 적고 기계적 내구성이 뛰어날 것이 요구되며 고속회전에도 견고하게 차체에 고정되어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알터네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알터네이터가 스트랩에 의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터네이터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 내에 구비된 스테이터(130), 로터(120), 로터축(150), V벨트가 연결되는 풀리(160) 및 다이오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우징(110)에 구비된 브라켓(170)이 스트랩(190)을 매개로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데, 브라켓(170)에는 스트랩(19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180)이 구비되어 있다.
알터네이터는 스트랩(190)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데, 크랭크 풀리로부터 전해지는 진동과, 자동차의 주행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스트랩(19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있다.
스트랩(190)은 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 고정부(199)와, 알터네이터의 브라켓(170)과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고정부(191a, 191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측 브라켓 고정부(191a)에는 알터네이터의 브라켓(170)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197)에 스트랩부시(193)가 압입 결합되어 있고, 타측 브라켓 고정부(191b)에는 스트랩부시(193)와 알터네이터의 브라켓(17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95)와 치합되도록 나사부가 가공된 탭핑홀(185)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부시(193)는 일측 브라켓 고정부(191a)의 체결공(197)에 압입되어 있고 알터네이터와 조립전에는 일측 브라켓 고정부(19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체결볼트(195)의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도 1b와 같이 일측 브라켓 고정부(191a)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알터네이터의 브라켓(170)과 밀착되어 알터네이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랩부시는 알터네이터의 수리나 교환을 위해 알터네이터를 탈거한 후 다시 장착시에는 브라켓 고정부의 내측으로 이미 돌출되어 있어서, 알터네이터와 장착 유격의 부족으로 알터네이터의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이한 알터네이터의 조립을 위해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경우 강제로 해머 등을 이용해 스트랩부시에 하중을 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가 크랙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알터네이터는 자동차 엔진룸의 하측에 조립되므로, 복잡한 다른 자동차 부품들로 인한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서, 별도의 스트랩부시 복원장치가 없는 한 해머나 기타 일반공구로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기에는 작업 공정이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수리 및 교환 작업에 있어서, 복잡하고 협소한 엔진룸 공간에도 불구하고 작은 힘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알터네이터 고정용 스트랩의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 일측면에 지지되며 스트랩부시가 복원되어 안착되도록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부시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부시안착홈의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스트랩부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시관통부, 및 상기 부시관통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체결되면서 스트랩부시를 상기 부시안착홈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원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수리 및 교환 작업에 있어서, 복잡하고 협소한 엔진룸 공간에도 불구하고 작은 힘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알터네이터 고정용 스트랩의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스트랩부시의 복원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c는 스트랩부시의 복원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는, 스트랩(190)의 브라켓 고정부(191a) 일측면에 지지되며 스트랩부시(193)가 복원되어 안착되도록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부시안착홈(215)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210)와, 상기 부시안착홈(215)의 중심부로부 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191a)의 스트랩부시(19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시관통부(230), 및 상기 부시관통부(23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체결되면서 스트랩부시(193)를 상기 부시안착홈(215)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원너트(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는 알터네이터를 탈거한 후 다시 재장착할 때 스트랩(190)의 브라켓 고정부(191a)와 브라켓 고정부(19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트랩부시(193) 사이의 양측에서, 한쪽은 고정지지부(210)가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적은 힘으로 스트랩부시(193)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특징이 있다.
스트랩부시 복원장치의 고정지지부(210)는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에 의해 스트랩부시(193)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알터네이터를 고정하는 스트랩(190)의 브라켓 고정부(191a) 일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지지부(210)는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력에 의해 스트랩부시(193)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안착되도록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부시안착홈(215)이 구비되어 있다.
부시안착홈(215)은 고정지지부(210)의 중심부 내측을 절삭 가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그 내경이 스트랩부시(19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부시관통부(230)는 고정지지부(210)의 중심과 연결되며 브라켓 고정부(191a)의 체결공에 압입되어 있는 스트랩부시(193)를 관통하여 브라켓 고정부(191a)의 타측면에서 복원너트(235)와 체결된다.
즉, 부시안착홈(215)의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원너트(235)와 체결이 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다.
복원너트(235)는 브라켓 고정부(191a)의 스트랩부시(193)를 관통한 부시관통부(230)와 나사결합되는데, 스트랩부시(193)를 고정지지부(210)의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된 부시안착홈(215)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부시관통부(230)와 나사결합되며 회전 체결력에 의해 스트랩부시(193)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력이 스트랩부시(193)에 가해지게 되면, 도 2b와 같이 브라켓 고정부(19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스트랩부시(193)가 도 2c와 같이 고정지지부(210)의 부시안착홈(215)으로 움직이며 밀려 들어가게 되어, 일측 브라켓 고정부(191a)와 타측 브라켓 고정부(191b) 사이에 알터네이터와의 장착 유격을 확보하게 되어 알터네이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지지부(210)에는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시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지지부(210)의 외주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스트랩(190)의 브라켓 고정부(191a) 외주면에 밀착되는 회전방지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방지부(220)는 평판형상이나 삼각면 또는 다각면 형상 등의 플렌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고정핀과 같은 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시 회전방지부(220)가 공회전되지 않게 하는 한, 그 어떠한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시 회전방지부(220)가 브라켓 고정부(191a)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어 고정지지부(210)가 복원너트(235)와 같이 회전 하여 회전 체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지지부(210)는 복원너트(235)의 회전 체결시 공회전을 방지하며 공구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사각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한쪽 손으로는 공구를 고정지지부(210)에 끼워 복원너트(23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른 손으로는 공구를 이용해 고정지지부(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너트(235)를 회전시키면서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트랩부시(193)의 복원 작업시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스트랩부시(193)와 자기력에 의해 고정되어 엔진룸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210)의 부시안착홈(215)에는 자석(240)이 내장되어 스트랩(190)의 브라켓 고정부(191a)에 위치 셋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협소하고 복잡한 엔진룸에서 작업할 때 일단 부시관통부(230)를 스트랩부시(193)에 대충 꽂기만하면 자기력에 의해 엔진룸의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작업이 용이해지며, 특히 자동차의 차종별 특성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고정위치가 수직인 경우에도 스트랩부시 복원장치가 브라켓 고정부에서 떨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수리 및 교환 작업에 있어서, 복잡하고 협소한 엔진룸 공간에도 불구하고 작은 힘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알터네이터 고정용 스트랩의 스트랩부시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알터네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알터네이터가 스트랩에 의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스트랩부시의 복원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c는 스트랩부시의 복원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부시 복원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0: 스트랩 191a, 191b: 브라켓 고정부
193: 스트랩부시 210: 고정지지부
215: 부시안착홈 220: 회전방지부
230: 부시관통부 240: 자석

Claims (4)

  1.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 일측면에 지지되며 스트랩부시가 복원되어 안착되도록 중심부 내측에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부시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
    상기 부시안착홈의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스트랩부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시관통부; 및
    상기 부시관통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체결되면서 스트랩부시를 상기 부시안착홈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원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복원너트의 회전 체결시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주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복원너트의 회전 체결시 공회전을 방지하며 공구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사각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의 부시안착홈에는 작업시 상기 스트랩부시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의 브라켓 고정부에 위치 셋팅이 가능하도록 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KR1020090002585A 2009-01-13 2009-01-13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KR10102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585A KR101026332B1 (ko) 2009-01-13 2009-01-13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585A KR101026332B1 (ko) 2009-01-13 2009-01-13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275A KR20100083275A (ko) 2010-07-22
KR101026332B1 true KR101026332B1 (ko) 2011-03-31

Family

ID=4264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585A KR101026332B1 (ko) 2009-01-13 2009-01-13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561B1 (ko) * 2019-02-01 2019-09-16 주식회사 성진마린 선박용 조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0068A2 (en) 1987-09-29 1989-04-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tting device for vehicle generator
KR20000002419U (ko) * 1998-07-06 2000-02-07 에릭 발리베 차량용 교류발전기
JP2001008398A (ja) 1999-06-18 2001-01-12 Denso Corp ボルト締結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交流発電機
KR200302454Y1 (ko) 1997-12-29 2003-03-3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마운팅러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0068A2 (en) 1987-09-29 1989-04-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tting device for vehicle generator
KR200302454Y1 (ko) 1997-12-29 2003-03-3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마운팅러그.
KR20000002419U (ko) * 1998-07-06 2000-02-07 에릭 발리베 차량용 교류발전기
JP2001008398A (ja) 1999-06-18 2001-01-12 Denso Corp ボルト締結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交流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275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908B2 (en) Generator/motor mounted as an auxiliary power unit of an engine
JP6245367B2 (ja) 打撃工具
KR20150057784A (ko) 벨트 구동형 시동 발전기
US20030127930A1 (en) Generator
KR101026332B1 (ko) 스트랩부시 복원장치
CN111421510A (zh) 电动工具
KR101926874B1 (ko) 모터용 베어링 지지기구
US8836151B2 (en) Starter generator arranged within the flywheel hous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197722A1 (en) Electric motor with a commutator-side rotor bearing
EP1280256A1 (en) Electric machine rotor with crankshaft torsional damper
JP2016097470A (ja) インパクト工具
JP3610651B2 (ja) 回転電機
KR101047817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어셈블리
US20190363604A1 (en) Connection plate for an electric machine
CN216442450U (zh) 电机端盖拆装工具
KR102338309B1 (ko) 하이브리드 변속기 구조
JP2017213617A (ja) 電動工具
JP7229780B2 (ja) インパクト工具
KR101526885B1 (ko) 조정 부재의 풀림 방지 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하는 전동 모터
CN102684382A (zh) 一种汽车空调用电动压缩机的发电机系统
CN102817708A (zh) 一种汽车的发电机机组
JP2007525934A (ja) 電動機を取付けるための方法
KR200155263Y1 (ko) 자동차용 크랭크 샤프트 풀리
CN116619307A (zh) 便携式工作机
KR100258843B1 (ko) 알터네이터의 b+ 단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