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90B1 -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590B1
KR101025590B1 KR1020080105946A KR20080105946A KR101025590B1 KR 101025590 B1 KR101025590 B1 KR 101025590B1 KR 1020080105946 A KR1020080105946 A KR 1020080105946A KR 20080105946 A KR20080105946 A KR 20080105946A KR 101025590 B1 KR101025590 B1 KR 101025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electric vehicle
delete delete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906A (ko
Inventor
이정훈
윤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10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따라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및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외형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충전용 접촉부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되 충전용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충전용 접촉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충전용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충전기, 충전용 커넥터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Battery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은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배터리를 탑재하여 전기 에너지로 차량 내 동력을 이용해 배터리를 자체 충전하였다.
최근에는, 전기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량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충전 효율을 높힐 수 있는 개선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량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힐 수가 있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난된 차량에는 충전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키므로, 범죄 검거에 일조할 수가 있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따라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및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외형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충전용 접촉부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되 충전용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와,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충전용 접촉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상기 충전용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용 접촉부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되고 (+) 단자 핀과 (-) 단자 핀을 포함하여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일측과 배터리의 일측 및 충전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기 차량에 따라 필요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인식하여 충전기로부터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 충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 충전 설정부는 배터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현재 잔류 충전 전원을 출력하는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과,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고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과 통신하되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배터리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출력하는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 및 충전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과 통신하되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에 의해 필요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만큼을 충전용 접촉부에 공급하는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 및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은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통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 및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은 서로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통신은 bluetooth 방식, Wi-Fi 방식, Zigbee 방식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 상태 표시부는 전기 차량에 탑재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모듈 및 CAN 통신 모듈로부터 배터리 상태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현재 잔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기로부터 배터리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되고 있는 충전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기 및 충전용 커넥터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충전 상태 표시부 또는 전기 차량에 탑재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과 통신하여 충전 상태를 관측하는 충전 상태 관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 상태 관측부 및 충전 상태 표시부 또는 충전 상태 관측부 및 BMS 모듈중 어느 하나는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되, 서로 bluetooth 방식, Wi-Fi 방식, Zigbee 방식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충전 상태 관측부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로부터 전기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인증 번호의 코드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인증되지 않은 번호의 코드일 경우에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증되지 않은 번호는 도난된 차량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량 상태를 효율 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힐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난된 차량에는 충전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키므로, 범죄 검거에 일조할 수가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용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기(102), 충전용 커넥터(104)등을 포함한다.
충전기(102)는 전기 차량(101)에 따라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충전용 커넥터(104)는 충전기(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기 차량(101)의 배터리(101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커넥터(104)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 충전용 접촉부(104b), 충전 상태 표시부(104c),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104d)등을 포함한다.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는 소정의 외형을 갖고, 충전기(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차량(101)의 구동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101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충전용 접촉부(104b)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외측에 장착되어 배터리(10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충전용 접촉부(104b)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선단에 장착되고, (+) 단자 핀(104b1)과 (-) 단자 핀(104b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즉, (+) 단자 핀(104b1)은 배터리(101a)의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 단자 핀(104b2)은 배터리(101a)의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때, (+) 단자 핀(104b1) 및 (-) 단자 핀(104b2)은 배터리(101a)의 (+) 단자 및 (-) 단자와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드선 등과 같은 소정의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배터리(101a)의 (+) 단자 및 (-) 단자와 연결될 수도 있다.
충전 상태 표시부(104c)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내측에 장착되되, 충전용 접촉부(10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01a)가 충전될 때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충전 상태 표시부(104c)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모듈(104c1)과 디스플레이 창(104c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모듈(104c1)은 전기 차량(101)에 탑재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101b)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 다.
이때, 디스플레이 창(104c2)은 CAN 통신 모듈(104c1)로부터 배터리(101a) 상태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101a)의 현재 잔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기(102)로부터 배터리(101a)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101a)에 충전되고 있는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104d)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외측에 장착되고 충전용 접촉부(104b)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충전기(102)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충전용 접촉부(104b)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한편,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일측과 배터리(101a)의 일측 및 충전기(102)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기 차량(101)에 따라 필요로 하는 배터리(101a)의 충전 전원을 인식하여 충전기(102)로부터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자동 충전 설정부(1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자동 충전 설정부(106)는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a)과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 및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c)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a)은 배터리(101a)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배터리(101a)의 현재 잔류 충전 전원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은 충전용 커넥터 본체(104a)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고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a)과 통신하되,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a) 을 인식하여 배터리(101a)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a) 및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은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c)은 충전기(10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고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과 통신하되,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에 의해 필요로 하는 배터리(101a)의 충전 전원만큼을 충전용 접촉부(104b)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b) 및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106c)은 서로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무선통신은 bluetooth 방식, Wi-Fi 방식, Zigbee 방식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충전기(102) 및 충전용 커넥터(104)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충전 상태 표시부(104c) 또는 전기 차량(101)에 탑재된 BMS 모듈(101b)과 통신하여 충전 상태를 관측하도록 충전 상태 관측부(1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충전 상태 관측부(108) 및 충전 상태 표시부(104c) 또는 충전 상태 관측부(108) 및 BMS 모듈(101b)중 어느 하나는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되, 서로 bluetooth 방식, Wi-Fi 방식, Zigbee 방식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때, 충전 상태 관측부(108)는 BMS 모듈(101b)로부터 전기 차량(101)에 해당하는 고유인증 번호의 코드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인증되지 않은 번호의 코드일 경우에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104d)의 동작을 오프시키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즉, 충전 상태 관측부(108)는 충전 상태를 관측할 수 있는 관제 센터 또는 충전소 센터일 수가 있고, 충전 상태 관측부(108)를 통해 관측된 인증되지 않은 번호는 도난된 차량 번호로 인식하여 충전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량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힐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도난된 차량에는 충전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키므로, 범죄 검거에 일조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충전용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2 : 충전기
101 : 전기 차량 101a : 배터리
101b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
104 : 충전용 커넥터 104a : 충전용 커넥터 본체
104b : 충전용 접촉부 104b1 : (+) 단자 핀
104b2 : (-) 단자 핀 104c : 충전 상태 표시부
104c1 :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모듈
104c2 : 디스플레이 창
104d :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 106 : 자동 충전 설정부
106a : 제 1 자동 충전 설정 수단
106b : 제 2 자동 충전 설정 수단
106c : 제 3 자동 충전 설정 수단 108 : 충전 상태 관측부

Claims (13)

  1. 전기 차량에 따라 적정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차량의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외형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본체와, 상기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충전용 접촉부와, 상기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충전용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때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전기 차량에 탑재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모듈 및 상기 CAN 통신 모듈로부터 배터리 상태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의 현재 잔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배터리에 필요로 하는 충전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고 있는 충전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와, 상기 충전용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용 접촉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상기 충전용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충전용 커넥터; 및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용 커넥터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 또는 상기 전기 차량에 탑재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충전 상태를 관측하되, 상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모듈로부터 상기 전기 차량에 해당하는 고유인증 번호의 코드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인증되지 않은 번호의 코드일 경우에 상기 충전용 온/오프 스위칭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충전 상태 관측부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되지 않은 번호는 도난된 차량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0080105946A 2008-10-28 2008-10-28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102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46A KR101025590B1 (ko) 2008-10-28 2008-10-28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46A KR101025590B1 (ko) 2008-10-28 2008-10-28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906A KR20100046906A (ko) 2010-05-07
KR101025590B1 true KR101025590B1 (ko) 2011-03-30

Family

ID=4227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946A KR101025590B1 (ko) 2008-10-28 2008-10-28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26B1 (ko) * 2010-08-02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방법
CN103097176B (zh) * 2010-07-09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电动汽车、立式充电器及其充电方法
CN103426247B (zh) * 2013-07-26 2015-10-28 国家电网公司 带有充电操控功能的电动汽车充电枪
KR102614326B1 (ko) * 2021-03-12 2023-12-14 한찬희 충전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트롤부와 커플러가 일체화된 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724A (ja) * 1992-01-29 1993-08-20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状況表示システム
JPH06325830A (ja) * 1993-05-10 1994-11-2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KR100341754B1 (ko) * 1999-10-11 2002-06-24 이계안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724A (ja) * 1992-01-29 1993-08-20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状況表示システム
JPH06325830A (ja) * 1993-05-10 1994-11-2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KR100341754B1 (ko) * 1999-10-11 2002-06-24 이계안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906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125B (zh) 用于运行机动车中的蓄能装置的方法和机动车
CN104600815B (zh) 电动汽车充电系统及充电控制方法
CN103370838B (zh) 转接器及具备转接器的车辆、以及车辆的控制方法
US9024579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EP2660949B1 (en) Re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877296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US10377257B2 (en)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harging system
CN106828171B (zh) 充电桩与电动汽车无线通讯的身份识别系统与方法
CN109562700B (zh) 包括机动车和连接机构的布置结构,机动车和连接机构
CN104205475B (zh) 用于监控电池的方法
KR101025590B1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325135B1 (ko) 차량 배터리용 배터리 셀, 배터리 및 차량
CN105978076A (zh) 一种可移动的电动汽车续航充电装置
CN107258028A (zh) 用于机动车电池的电池单体、电池和机动车
US8401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vehicle battery
TW202126509A (zh) 置換電動載具中的至少一個電池之方法
CN115023872A (zh) 蓄电组的认证方法、蓄电组、充电装置、电动移动体以及电动移动体的控制装置
WO2012132404A1 (ja) 給電装置
KR20180047896A (ko) 전기차량 구동용 외장 배터리 팩 및 이의 사용방법
CN102957179A (zh) 具有无线传输功能的电池模块及其无线控制方法
CN109177765B (zh) 一种电动汽车充电站充电系统控制充电或放电的方法
CN104205555B (zh) 用于电能的存储器以及用于可电驱动的车辆的至少一个存储器的容纳装置
US93938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capable of being driven by an electric motor
CN102616215B (zh) 电动汽车充电装置
US11437836B2 (en)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