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294B1 - 냉각 탈진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탈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294B1
KR101025294B1 KR1020100066938A KR20100066938A KR101025294B1 KR 101025294 B1 KR101025294 B1 KR 101025294B1 KR 1020100066938 A KR1020100066938 A KR 1020100066938A KR 20100066938 A KR20100066938 A KR 20100066938A KR 101025294 B1 KR101025294 B1 KR 10102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water
gas
uni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억
김명순
정형진
정여진
Original Assignee
정재억
정여진
정형진
김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억, 정여진, 정형진, 김명순 filed Critical 정재억
Priority to KR102010006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5Controlling; Monitoring or measuring
    • F23G2900/55006Measuring material flow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각 탈진 장치는, 탈취 및 집진 대상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 가스의 탈취 및 집진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내측으로 상기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에는 상기 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상기 저장된 물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집진부,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물과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연통부,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상태로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제2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저장공간 내의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기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기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내에서 기포로 분사되게 하는 가스 오토마이징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내부 압력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온의 함진 유해가스로부터 분진 및 수용성악취가 99.9% 제거되고, 노즐에 의해 가스가 수중으로 분사되면서 공기방울에 와류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염공기에 포함된 분진, 악취 및 미세먼지의 여과가 용이하며,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는 가스의 충돌판에 충돌하여 기포로 형성되면서 포집효율이 증대되어, 악취, 분진 및 미세먼지를 재차 여과하여 여과효율 및 악취가스의 탈취능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냉각 탈진 장치{Dust removing and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 탈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로, 산업용 보일러, 용해로 또는 용융로 등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기포 상태로서 수중으로 공급하여 냉각 및 탈진이 가능한 냉각 탈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연료를 비롯하여 환경 오염물질인 폐유 및 각종 쓰레기 등을 열원으로 이용하거나 소각시키는 소각로분야, 산업용 보일러분야와 각종 용해로 용융로 분야 등에서는 연소 소각 또는 용해, 용융 시 많은 유해가스와 매연 및 각종 분진이 배출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배기가스 및 매연들은 대기오염을 매우 가속화하기 때문에 생태계 파괴는 물론 인간생활의 여러 분야를 침해한다.
따라서 대기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대기환경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연소 또는 소각, 용해, 용융 시 발생하는 각종 매연이나 분진 유해가스 등을 여과 포집하고 있는데, 기존의 대기오염방지 환경설비들은 비교적 큰 분진 등을 걸러낼 수 있는 반면, 입자가 다소 작은 매연을 비롯하여 기체화된 각종 유해가스 등을 사실상 포집이 불가능하여 실효를 거둘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대기오염 예방에도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특히, 고온의 함진 유해가스는 분진만 발생 되는 것이 아니라 유해 가스류 및 악취도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설비의구성이 복잡 다양해지고 관리상 어려움이 수반되는 것이 현실의 실정이다.
또한,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화학제품 생산 시 각 공정에서는 배기가스가 악취를 발생하게 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860493 호 ‘냉각 탈진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에서는 소각로, 산업용 보일러, 각종 용해로 및 용융로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수중으로 기포 형태로 공급하여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냉각 탈진 장치’는 냉각 및 집진부의 내부에 제1및 제2저장공간이 구비되어 있어, 가스 배기부를 동작시키면 제2저장공간의 압력이 저하되며 제1저장공간의 가스가 제2저장공간의 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스 배기부의 동작 정도에 따라서는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을 연통하는 물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물이 넘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가스 배기부의 동작에 따라서는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을 연통하는 물이 진동을 발생시키고, 물의 진동이 가스 배기부의 블로어의 진동과 동조되면서 제2저장공간내의 구조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소각로, 산업용 보일러, 용해로 또는 용융로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가능한 냉각 탈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는 동안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을 연통하는 물이 진동하는 것을 압력 또는 수위의 측정에 의해 감지하여 물의 진동을 방지하는 냉각 탈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취 및 집진 대상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 가스의 탈취 및 집진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내측으로 상기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에는 상기 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상기 저장된 물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집진부,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물과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연통부,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상태로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제2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저장공간 내의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기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기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내에서 기포로 분사되게 하는 가스 오토마이징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내부 압력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탈취 및 집진 대상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 가스의 탈취 및 집진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내측으로 상기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에는 상기 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상기 저장된 물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집진부,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물과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연통부,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상태로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제2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저장공간 내의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기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기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내에서 기포로 분사되게 하는 가스 오토마이징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물의 수위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는 동안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제1저장 공간과 제2저장 공간을 연통하는 물이 진동하는 것을 압력 또는 수위의 측정에 의해 감지하여 물의 연통을 제어함으로써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물의 진동이 가스 배기부의 블로어의 진동과 동조하여 제2저장 공간내의 구조 및 본 장치로 유입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 설비(예들 들어 용융로, 용해로, 소각로 등)의 내부압력 조정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함진 유해가스로부터 분진 및 수용성악취가 99.9%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는 가스가 충돌판에 충돌하여 기포로 형성되면서 포집효율이 증대되어, 악취, 분진 및 미세먼지를 재차 여과하여 여과효율 및 악취가스의 탈취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탈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집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제2저장공간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d는 제2저장공간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의 상관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집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2저장공간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d는 제2저장공간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의 상관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탈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 탈진 장치(100)는 가스 유입부(110), 물 공급부(120), 냉각 집진부(130), 연통부(160), 가스 오토마이징부(150) 및 가스 배기부(200)를 포함한다.
가스 유입부(110)는 소각로, 산업용 보일러, 용해로 또는 용융로 등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후술하는 냉각 집진부(130)로 공급한다.
가스 유입부(110)는 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후술하는 제1저장공간(131) 내로 120℃ 내지 150℃인 고온의 냉각 및 탈진 대상 가스(이하 ‘가스’로 칭함)가 유입되도록 한다.
가스 유입부(110)는 제1 집진부(111), 제1저장탱크(112) 및 제1순환펌프(113)를 포함한다.
제1 집진부(111)는 외부에서 가스 유입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유해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제1 집진부(111)는 회전 운동을 일으켜 선회류를 형성함으로써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분진을 유해가스에서 분리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집진 장치를 통상적으로 싸이클론 집진기라 한다. 싸이클론 집진기는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집진부(111)의 하부에는 로타리 밸브(114a)와 버터 플라이 밸브(114b)가 설치되어 있다.
제1저장탱크(112)는 후술하는 제1 공급라인(122a)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다.
제1순환펌프(113)는 제1저장탱크(11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제1 집진부(111)로 순환시키고, 제1 집진부(111)에서 순환되었던 물은 집진에 사용된 후, 제1저장탱크(112)로 순환된다.
제1저장탱크(112)로 이동한 분진은 자중에 의해 제1저장탱크(111) 하부로 침전되고, 침전된 분진은 후술하는 슬러지 처리부(180)로 배출되거나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 유입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는 후술하는 냉각 집진부(130)로 이동한다.
물 공급부(120)는 제1저장탱크(112)에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고, 후술하는 냉각 집진부(130)와 제2 집진부(190)의 동작에 필요한 물을 공급한다.
물 공급부(120)는 제1저장탱크(112), 냉각 집진부(130) 및 제2 집진부(19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및 제3 공급라인(122a, 122b, 122c)과 제1, 제2 및 제3 공급라인(122a, 122b, 122c) 상에 설치되어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제2 및 제3 공급밸브(124a, 124b, 124c)를 포함한다.
냉각 집진부(130)는 가스 유입부(110)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내측으로 유입된 후, 가스에 대한 냉각 및 탈진을 수행한다.
냉각 집진부(130)는 내측으로 물이 저장되고 가스를 공급받는 몸체(130a)를 포함한다. 몸체(130a)는 가스 유입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와 물 공급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서로 접촉하며 냉각 및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몸체(130a)의 내부에는 구획벽(140)에 의해 구분되는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이 구비된다.
제1저장공간(131)은 내측으로 가스 유입부(110)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와 물 공급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다. 제1저장공간(131)의 상부측에는 가스 유입부(110)와 연결되는 흡입구(132)가 형성된다.
또한, 제1저장공간(131)의 내측으로는 수조(133), 제1수류판(134), 혼합통(135), 제2수류판(136)이 설치된다.
수조(133)는 제1저장공간(131) 내에 마련되되, 흡입구(132)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면에서 도시한 수조(133)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수조(133)의 형상은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면 충분하다.
제1수류판(134)은 수조(133)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단에 물과 함께 오염된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34a)가 형성되어 있다.
혼합통(135)은 제1배출구(134a)의 하부에 배치된다. 혼합통(135) 내에서는 제1배출구(146a)를 통하여 배출된 물과 오염된 유해가스의 일차적인 강제 혼합이 이루어진다.
제2수류판(136)은 혼합통(135)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단에 제2배출구(136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류판(134), 혼합통(135), 제2수류판(136)이 각각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수류판(134), 혼합통(135), 제2수류판(136)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저장공간(141)은 제1저장공간(131)의 가스를 기포 상태로 공급받아 가스의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저장공간(141)의 상부에는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진 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구(142)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구(142)는 가스 배기부(200)와 연결된다.
제2저장공간(141)의 내측 상부에는 물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판(143)과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망 층으로 된 물방울 제거층(14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연통부(160)는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 내부의 물이 서로 연통하도록 한다. 연통부(160)는 연통관(161), 유량조절밸브(161a)를 포함한다. 연통관(161)은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물이 연통할 수 있도록 한다. 유량조절밸브(161a)는 연통관(161)의 도중에 설치된다. 유량조절밸브(161a)는 연통관(161)의 개도를 조절하여 물의 연통을 단속하거나 연통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61a)의 제어를 위해 압력 센서(162) 및 제어부(164)가 포함된다.
압력 센서(162)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64)로 출력한다.
제어부(164)는 압력 센서(162)에서 출력되는 측정 신호에 맞추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조절하되,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제어한다.
즉, 압력 센서(162)에서 출력되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값이 커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커지고,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값이 작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이때, 제어부(164)는 소정의 압력 범위를 설정하여,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이 설정된 정상 압력 범위보다 작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거나, 정상 압력 범위보다 커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측정된 압력 범위내에서는 밸브의 개도를 일정 상태로 유지한다.
가스 오토마이징부(150)는 제1저장공간(131) 내의 가스를 제2저장공간(141)의 물로 기포로서 분사되게 한다.
가스 오토마이징부(gas automizing)(150)는 노즐(152)과 충돌판(154)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면으로서, 가스 오토마이징부(15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노즐(152)은 제2저장공간(14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1저장공간(131)과 연통하여 제1저장공간(131)의 공기를 제2저장공간(141)으로 분사한다. 노즐(152)의 단부는 가스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저장공간(141)의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노즐(152)은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1저장공간(131) 내의 가스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내측을 이동하여 노즐(152)의 단부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충돌판(154)은 노즐(152)을 통해 가스가 분사될 때 분사되는 가스가 충돌하여 미세한 기포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돌판(154)은 제2저장공간(141)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노즐(152)의 단부 즉, 노즐(152)에서 가스가 분사되는 부분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가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충돌판(154)은, 제1,2차 충돌판(154a,154b)인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차 충돌판(154b)은 1차 충돌판(154a)보다 폭이 크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1차 충돌판(154a)과 2차 충돌판(154b)의 폭이 같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충돌판(154)의 단수도 2단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2차 충돌판(154b)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물 순환부(170)는 제1저장공간(131) 하부의 물을 수조(133)로 펌핑하여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 순환부(170)의 일단은 수조(133)로 유체의 공급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저장공간(131) 하부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 순환부(170)는 몸체(130a) 하부의 유체를 수조(133)로 펌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물 순환부(170)는 제1저장공간(131) 하부의 유체를 수조(133)가 아닌 제1수류판(134) 또는 혼합통(135) 또는 제2수류판(136)으로 펌핑할 수 있다. 물 순환부(170)에 의한 유체의 펌핑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물 순환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밸브를 포함한다.
가스 배기부(200)는 배기구(142)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1저장공간(131)의 내부 압력보다 제2저장공간(141)의 내부 압력이 작아지도록 한다.
가스 배기부(200)는 블로어(202)와 연돌(204)를 포함한다.
블로어(202)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공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력을 발생시킨다. 블로어(202)를 동작시키면, 제2저장공간(141)의 압력 저하에 의해 제1저장공간(131) 내에 저장된 물은 제2저장공간(141) 내부로 상승하여 제2저장공간(141)의 수위가 상승하고, 동시에 노즐(152)을 통해 제1저장공간(131) 내의 가스가 제2저장공간(141) 내로 분사되며 기포로 형성된다.
블로어(202)는 가스 유입부(110)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 설비(소각로, 산업용 보일러, 용해로 또는 용융로 등)와 연동한다. 따라서, 블로어(202)는, 가스 배출 설비의 부하가 증가하면, 가스 유입부(110)로의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블로어(202)의 풍량이 증가하고, 부하가 감소하면 가스 배출량이 감소하여, 블로어(202)의 풍량이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연돌(204)은 블로어(202)를 통해 배기된 제2저장공간(141) 내의 공기를 장치 외부의 소정 방향으로 유도한다.
한편, 제2저장공간(141) 측으로 유입된 유체에 대하여 공급을 진행하는 도중 유체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들이 노즐(152)의 돌출 형성된 부분에 축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152) 측에 축적된 축적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56)이 설치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152)은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을 구획하는 구획벽(140)으로부터 제2저장공간(141) 내로 연장되는 상부 노즐부(152a)와 구획벽(140)으로부터 연장되되 상부 노즐부(152a)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부 노즐부(152a)와 함께 가스가 유동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하부 노즐부(152b)를 포함한다.
가스에 대한 정화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들이 상부 노즐부(152a)의 상부면에 축적될 수 있다. 축적물은 가스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의 제거를 위해 배출관(156)을 사용한다.
배출관(156)은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이 연통하도록 배치되되, 일단은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을 구분하는 구획벽(140)을 관통하여 가스가 분사되는 상부 노즐부(152a)의 단부측으로 향하고 타단은 제1저장공간(131)의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상부 노즐부(152a)의 상부측에 축적된 축적물은 제2저장공간(141)에서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배출관(156)을 통해 제1저장공간(131)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1저장공간(131) 하부의 축적물은 슬러지 처리부(180)로 배출된다.
슬러지 처리부(180)는 구성 요소들에 축적된 축적물을 공급받아 축적물과 물로 분리하여 배출한다.
슬러지 처리부(180)는 제1 저장탱크(112)와 제1저장공간(131)에 각각 연결되어, 제1저장탱크(112)와 제1저장공간(131) 내에 축적된 축적물을 물과 함께 공급받은 후, 물과 축적물을 분리하여 물은 물 순환부(170)로 이동시켜 재순환되도록 하고, 축적물은 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냉각 집진부(130)의 배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 배기부(200)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제2 집진부(190)로 유입된다.
제2 집진부(190)는 제2 집진 본체(192), 물 분사구(194), 제2 순환펌프(196) 및 제2 저장탱크(198)를 포함한다.
제2 집진 본체(19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이고, 제2 집진 본체(192)의 내측 상부에는 물 분사구(194)가 복수개로 설치된다. 물 분사구(194)는 제2 저장탱크(198)의 물을 분사한다.
제2 저장탱크(198)는 제3 공급라인(122c)을 통해 물 공급부(120)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제2 저장탱크(198)의 물은 제2 순환펌프(196)를 통해 물 분사구(194)로 분사된다.
배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제2 집진 본체(192)로 유입된다. 유입된 가스는 물 분사구(194)를 통해 분사된 물과 접촉하며 분진이 제거된다. 분사된 물은 제2 저장탱크(198)에 저장된다. 제2 저장탱크(198)에 저장된 물에서 분진이 침전되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 배기부(200)는 배기구(142)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1저장공간(131)의 내부 압력보다 제2저장공간(141)의 내부 압력이 작아지도록 한다. 제2저장공간(141)의 압력 저하에 의해 제1저장공간(131) 내에 저장된 물이 제2저장공간(141) 내부로 상승하여 제2저장공간(141)의 수위가 상승하고, 동시에 노즐(152)을 통해 제1저장공간(121) 내의 가스가 제2저장공간(141) 내로 배기되면서 기포로 형성된다.
가스 배기부(200)는 블로어(202)과 연돌(204)를 포함한다.
블로어(202)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공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력을 발생시킨다.
연돌(204)은 블로어(202)를 통해 배기된 제2저장공간(141) 내의 공기를 장치 외부의 소정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각 탈진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냉각 집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가스 유입부(110)를 동작시켜 가스를 제1저장공간(131)으로 공급한다. 흡입구(132)를 통하여 유입되는 120℃ 내지 150℃인 고온의 가스는 제1 집진부(111)에 의해 분진이 50~60% 정도 일부 제거된 상태이다. 동시에, 물 공급부(120)도 동작시켜 물을 제1저장공간(131)으로 공급한다.
제1저장공간(131) 상부로 이송된 물은 낙하하여 수조(133)로 공급되어 수조(133)에 물이 차게 된다. 수조(133)에 가득찬 물은 수조(133) 외부로 넘치게 되고, 흡입구(132)를 통하여 인입된 고온의 가스가 물을 가압하여 물과 가스는 함께 하부로 떨어진다.
하부로 떨어진 물과 가스는 제1수류판(134)에 모아져 제1배출구(134a)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물과 가스는 혼합통(135) 내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강제 혼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스에 포함된 분진 또는 악취는 물에 흡수되어 가스는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진다.
혼합통(135) 내에서 강제 혼합이 이루어진 물과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진 가스는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하부로 떨어진다.
하부로 떨어진 물과 가스는 제2수류판(136)에 모아져 제2배출구(136a)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1저장공간(131) 하부에 모이게 된다.
냉각 탈진 장치의 동작 초기 상태에서는 연통관(161) 상의 유량조절밸브(161a)는 완전 개방 상태로 제어되어, 제1저장공간(131)의 물은 제2저장공간(141)으로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은 소정의 수위 상태(예를 들어 충돌판(154)이 물에 잠기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가스 배기부(200)의 블로어(202)를 작동시키면, 제2저장공간(141)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제1저장공간(131)과 기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가스 배기부(20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 압력차에 의해 제1저장공간(131) 내의 물의 수위는 낮아지고 연통관(161)을 통해 물이 제2저장공간(142)으로 이동하면서 제2저장공간(141) 내의 물의 수위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저장공간(131) 내의 기압이 외부보다 낮아지면서 제1저장공간(131) 내의 가스는 노즐(152)을 통해 제2저장공간(141)으로 유동한다. 이때, 노즐(152)을 통과하는 가스기는 유속이 증가한 상태로 제2저장공간(141) 내부의 물로 분사된다.
이때, 가스는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물속에서 기포 상태로 1차 충돌판(154a)에 충돌하면서 분산되고 미세한 기포로 형성된다. 1차 충돌판(154a)에 충돌된 기포는 2차 충돌판(154b)으로 상승하면서 재차 충돌하게 되고 1차 충돌판(154a)에 의해 형성된 기포에 비해 더욱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152)을 통해 분사된 가스는 기포로 와류를 형성하며,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충돌판(154)에 재차 충돌하면서 미세한 기포로 변형되어 유체내로 공급한다. 기포 상태로 공급되는 가스는 냉각 및 탈진 효과는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돌판(154)이 2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충돌판(154)의 설치 단수를 증가시키면 더욱 미세한 기포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냉각 및 탈진 효과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노즐(152)에서는 가스가 약 60㎧이상의 속도로 분사되며 충돌판(154)에 부딪히기 때문에, 가스가 수중에서 세립, 분산. 유영, 탈진, 배출되면서 접촉 효율이 극대화되어, 탈진 효과가 향상된다.
기포는 제2저장공간(141) 내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고, 블로어(202)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구(142)로 배출된 후, 가스 배기부(200)를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관(156)은 제2저장공간(141)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노즐(152) 상에 축적되어 있는 축적물을 제1저장공간(131) 측으로 배출한다. 즉, 충돌판(154)에서 기포가 생성될 때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축적물이 배출관(156)을 통해 제1저장공간(131) 측으로 배출되거나, 제2저장공간(141)의 수위의 상승 및 하강 시 발생되는 흐름에 의해 배출관(156)을 통해 축적물이 제1저장공간(131)의 하부로 이동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면서 냉각 집진부(130)로 유입된 가스에 함유된 분진 및 악취류는 99.9% 제거되며, 25℃ 내지 35℃ 정도로 냉각된다.
제1저장공간(131) 하부의 축적물은 슬러지 처리부(180)로 이동시킨다.
한편, 가스 배기부(200)의 작동과 동시에 물 순환부(170)를 작동시키면, 물 순환부(170)에 의해 제1저장공간(131) 하부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공간(131)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가스 배기부(200)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외기를 유입함으로써, 배출되는 가스가 외기와 혼합시켜 배출가스 온도와 외부 주위공기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므로 가시백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제2 집진 본체(192)로 유입된다. 유입된 가스는 제2 집진 본체(192) 내측을 통과하는 동안 물 분사구(194)를 통해 분사된 물과 접촉하며 잔류하고 있던 분진이 제거된다. 분사된 물은 제2 저장탱크(198)에 저장된다. 제2 저장탱크(198)에 저장된 물에서 분진이 침전되고, 이는 슬러지 처리부(180)로 배출되며, 이후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슬러지 처리부(180)는 제1저장공간(131) 하부와 제1 및 제2 저장탱크(222, 198)에 축적된 축적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축적물과 분리된 물은 물 순환부(170)로 재순환시킨다.
한편, 가스 배기부(200)의 고부하 운전에 의해 제2저장공간(141)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낮아져 제2저장공간(141)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이를 압력 센서(162)에 의해 감지하고, 이를 근거로 제어부(164)는 유량조절밸브(161a)를 제어한다.
압력 센서(162)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64)로 출력한다.
여기서,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제2저장공간(142) 내부 압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162)에서 출력되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값이 커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커지고,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값이 작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넓어지거나 좁아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서로 연동한다면 연동 비율은 변화될 수 있다.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다음과 같은 상관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d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압력과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의 상관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64)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정상 압력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정상 압력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최대값(max)과 최저값(min)을 갖는다.
압력 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이 설정된 정상 압력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압력 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이 설정된 정상 압력 범위보다 작아지면, 제어부(164)는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 사이의 물 유통량을 감소시켜 제1저장공간(131)과 제2저장공간(141)의 물의 연통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압력 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이 설정된 정상 압력 범위보다 커지면, 제어부(164)는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제1저장공간(131)에서 제2저장공간(141)으로의 물 연통량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64)가 설정하는 정상 압력 범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162)에 의해 제2저장공간(141)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설정된 정상 압력과 비교하여, 제어부(164)는 비교 결과에 따라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제2저장공간(141) 내의 물이 넘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진동이 가스 배기부의 블로어의 진동과 동조하여 제2저장공간내의 구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집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집진부(130)는 수위 센서(163) 및 제어부(164)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탈진 장치는 냉각 집진부(130)에 수위 센서(163)가 연결되고, 제어부(164)는 수위 센서(163)의 측정 결과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161a)를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과 연결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 탈진 장치의 냉각 집진부(130)와 동일하므로, 수위 센서(163)와 제어부(164)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저장공간(141)의 내부 일측에는 수위 센서(163)가 배치된다. 수위 센서(163)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164)로 출력한다.
여기서, 수위 센서(163)는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 단위 센서(163a, 163b)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수위 센서(163)는 2개의 단위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수위 센서(163)의 구성의 일예로서 수위 센서(163)를 구성하는 단위 센서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센서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 조절을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측정된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64)는 다음과 같이 유량조절밸브(161a)를 제어한다.
여기서,제어부(164)는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와 음(-)의 상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163)에서 출력되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가 높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작아지고,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가 낮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수위와 (-)의 상관 관계로서 좁아지거나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서로 연동한다면 연동 비율은 변화될 수 있다.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다음과 같은 상관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d는 제2저장공간(142) 내의 수위와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의 상관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어부(164)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정상 수위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정상 수위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최대값(max)과 최저값(min)을 갖는다.
수위 센서(163)에 의해 측정되는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가 설정된 정상 수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제어부(164)는 수위 센서(163)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가 설정된 수위 범위의 최대값보다 작아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를 높이도록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164)는 수위 센서(163)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가 설정된 수위 범위의 최소값보다 커지면 유량조절밸브(161a)의 개도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각 탈진 장치는 수위 센서(163)에 의해 제2저장공간(141) 내의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설정된 정상 수위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제2저장공간(141) 내의 물이 넘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진동이 가스 배기부의 블로어의 진동과 동조하여 제2저장공간내의 구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각 탈진 장치
110: 가스 유입부
120: 물 공급부
130: 냉각 집진부
160: 연통부
170: 물 순환부
180: 슬러지 처리부
190: 제2 집진부
200: 가스 배기부

Claims (13)

  1. 탈취 및 집진 대상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
    가스의 탈취 및 집진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내측으로 상기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에는 상기 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상기 저장된 물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집진부;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물과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연통부;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상태로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제2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저장공간 내의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기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기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내에서 기포로 분사되게 하는 가스 오토마이징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내부 압력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2. 탈취 및 집진 대상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부;
    가스의 탈취 및 집진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내측으로 상기 물 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에는 상기 가스 유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가스와 상기 저장된 물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가스의 냉각 및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 집진부;
    상기 제1저장공간에 저장된 물과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연통부;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상태로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의 내부 압력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제2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저장공간 내의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기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기부의 작동 시 상기 제1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제2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내에서 기포로 분사되게 하는 가스 오토마이징부;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물의 수위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범위 보다 작아지면,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범위 보다 커지면,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냉각 탈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가 상기 내부 압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냉각 탈진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가 설정 수위 범위 보다 작아지면,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수위가 설정 수위 범위 보다 커지면,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냉각 탈진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가 상기 수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냉각 탈진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 집진부는
    상기 흡입구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단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수류판,
    상기 제1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혼합통 및
    상기 혼합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단에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수류판을 더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공간 하부의 물을 상기 수조로 펌핑하는 물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기부는 블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어는 상기 가스 유입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 설비와 연동하는 냉각 탈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오토마이징부는
    상기 제1 저장공간 내의 가스를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저장공간 하부에 배치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충돌하여 미세한 기포로 형성되게 하는 충돌판을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공기의 진행방향에 따라 좁아지는 통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충돌판은 상기 노즐의 단부 상측에 설정 간격으로 다단으로 배치되는 냉각 탈진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즐 측에 축적되는 축적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냉각 탈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상기 제2저장공간 내로 연장되는 상부 노즐부 및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 노즐부의 하부에 일체 결합되며, 상기 상부 노즐부와 함께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하부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상부 노즐부에 축적된 축적물을 상기 제1저장공간 내로 배출하는 냉각 탈진 장치.
KR1020100066938A 2010-07-12 2010-07-12 냉각 탈진 장치 KR10102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38A KR101025294B1 (ko) 2010-07-12 2010-07-12 냉각 탈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38A KR101025294B1 (ko) 2010-07-12 2010-07-12 냉각 탈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294B1 true KR101025294B1 (ko) 2011-03-29

Family

ID=4393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938A KR101025294B1 (ko) 2010-07-12 2010-07-12 냉각 탈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2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423B1 (ko) * 2012-05-16 2012-11-09 정재억 다단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1450730B1 (ko) * 2014-02-06 2014-10-16 정재억 습식 스크러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빙 설비
KR101635935B1 (ko) * 2015-12-14 2016-07-04 정재억 배기가스 처리방법
KR101715168B1 (ko) * 2016-02-26 2017-03-22 정재억 아토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CN108905448A (zh) * 2018-07-26 2018-11-30 芜湖市黄山松工业地坪新材料有限公司 一种建材加工粉料防扬尘设备
JP2020519806A (ja) * 2017-05-12 2020-07-02 パンアジ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拡散手段を有する排気ガス処理装置
KR20230065677A (ko) * 2021-11-05 2023-05-12 이각로 반려동물 사체 처리 및 용융물 제조용 일체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341A (ja) 1998-09-17 2000-03-28 Isuzu Seisakusho:Kk ガス処理装置
KR100729443B1 (ko) 2007-03-02 2007-06-15 정재억 다단 습식집진기
JP2008086994A (ja) 2007-10-29 2008-04-17 Akira Kijihana 湿式排ガス処理装置
KR100860493B1 (ko) 2008-06-09 2008-09-26 정재억 냉각 탈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341A (ja) 1998-09-17 2000-03-28 Isuzu Seisakusho:Kk ガス処理装置
KR100729443B1 (ko) 2007-03-02 2007-06-15 정재억 다단 습식집진기
JP2008086994A (ja) 2007-10-29 2008-04-17 Akira Kijihana 湿式排ガス処理装置
KR100860493B1 (ko) 2008-06-09 2008-09-26 정재억 냉각 탈진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423B1 (ko) * 2012-05-16 2012-11-09 정재억 다단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1450730B1 (ko) * 2014-02-06 2014-10-16 정재억 습식 스크러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빙 설비
KR101635935B1 (ko) * 2015-12-14 2016-07-04 정재억 배기가스 처리방법
KR101715168B1 (ko) * 2016-02-26 2017-03-22 정재억 아토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JP2020519806A (ja) * 2017-05-12 2020-07-02 パンアジ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拡散手段を有する排気ガス処理装置
EP3623594A4 (en) * 2017-05-12 2020-09-30 Panasia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WITH DIFFUSER
CN108905448A (zh) * 2018-07-26 2018-11-30 芜湖市黄山松工业地坪新材料有限公司 一种建材加工粉料防扬尘设备
KR20230065677A (ko) * 2021-11-05 2023-05-12 이각로 반려동물 사체 처리 및 용융물 제조용 일체화 장치
KR102599949B1 (ko) * 2021-11-05 2023-11-10 이각로 반려동물 사체 처리 및 용융물 제조용 일체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294B1 (ko) 냉각 탈진 장치
KR100860493B1 (ko) 냉각 탈진 장치
EP3270058B1 (en)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2784321B1 (en) Vacuum pump with abatement function
KR101414108B1 (ko) 배기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디젤 엔진형 발전기
KR101573292B1 (ko) 일체형 원통 집진설비
US20140366958A1 (en) Powder discharge system
KR102128925B1 (ko) 이차 연소장치가 구비된 소각장치
KR20080071297A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JP2002045640A (ja) ブルースモッグ排除方法及び装置
EP1031791A1 (en) Smoke treatment apparatus and smoke treatment system using smoke treatment apparatus
KR20200100922A (ko) 연기정화장치
JP2005095859A (ja) 空気浄化装置
KR101122909B1 (ko) 냉각 탈진 장치
KR101058257B1 (ko) 아토마이징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탈진장치
EP1146287A1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soot and mist
CN105387471B (zh) 无火焰蓄热式燃烧设备
KR101122672B1 (ko) 냉각탈진장치
JP2005300077A (ja) 循環流動炉
KR100357992B1 (ko) 폐수처리장치
KR101754784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1058321B1 (ko) 아토마이징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탈진장치
JP5947043B2 (ja) 循環流動炉
KR101804883B1 (ko) 폐기물 소각로시스템
JP3041616B1 (ja) 焼却炉用スクラバ―ノズル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