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506B1 -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506B1
KR101024506B1 KR1020080134707A KR20080134707A KR101024506B1 KR 101024506 B1 KR101024506 B1 KR 101024506B1 KR 1020080134707 A KR1020080134707 A KR 1020080134707A KR 20080134707 A KR20080134707 A KR 20080134707A KR 101024506 B1 KR101024506 B1 KR 10102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ileage
information
charg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599A (ko
Inventor
홍용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to KR102008013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5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카드와 연계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계좌에 마일리지가 적립되어 있는 경우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충전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 발급 시 마일리지 카드로 등록하거나 또는 일반 카드를 발급 후에 마일리지 카드로 등록관리하고, 물품 구매를 하기 위하여 마일리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마일리지 카드 계좌에 구매 금액의 일정한 비율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적립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적립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근거로 PL을 생성하여 교통수단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교통 카드 사용 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PL을 기초로 하여 마일리지 카드임을 판단하고 마일리지 카드임이 판단되면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지를 확인하고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마일리지 적립 누적 포인트를 교통 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함으로써 승차 요금 감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마일리지, 충전, 웹 컴퓨터, 발행사 호스트, 단말기, 집계 서버, 충전 시스템, 교통 카드

Description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Automatic Traffic Card System Charging Mileage Points}
본 발명은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교통카드 고유번호 및 마일리지 적립 포인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카드 단말기가 수신한 후 승차 시 교통카드가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판단하고 마일리지 카드인 경우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상기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사용자의 교통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승차 요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통카드 자동충전에 관한 기술이 등록 특허 공보 10-0856050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충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과 데이타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은 웹 컴퓨터(400), 은행 서버(410), 정산 서버(420), HSM(430), BMS(440) 및 버스 단말기(45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460)는 웹 컴퓨터(400)를 통하여 회원 가입 및 자동충전 신청을 하고 웹 컴퓨터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자동충전을 신청하면, 사용자(460)와 관 련된 은행계좌가 은행에 개설되어 있는지 은행 서버(410)에 접속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 계좌가 은행에 개설되어 있으면 웹 컴퓨터(400)는 자동 충전 신청을 완료하고 그러하지 않으면 자동충전 신청을 거부한다. 정산 서버(420)는 HSM(430)를 통해 자동충전 정보를 생성한다. 자동충전 정보는 SAM별 유효기간과 SAM 암호를 포함한다. 정산서버(420)는 생성한 자동 충전 정보를 버스 단말기로 전송한다. 버스 단말기(450)는 사용자(460)가 버스 단말기를 통해 요금을 결제할 때, 정산 서버(420)로부터 수신한 자동충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카드가 버스 카드 자동 충전 신청을 한 카드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이때 버스 단말기(450)는 버스관리 시스템(440)으로부터 PL 및 NL 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대한 자동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L에 등록된 카드에만 충전을 하고 NL에 등록된 카드에는 충전을 거부하는 것이다.
자동충전 신청이 되었고 요금 충전이 필요한 경우 버스 단말기(450)는 일정금액을 사용자 버스카드에 충전해주고 그 자동충전 내역을 기초로 하여 버스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버스 관리 시스템은 버스 단말기(450)로부터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정산 서버로 전송한다. 정산 서버(420)는 자동충전 내역을 기초로 하여 은행에 개설된 사용자 계좌로부터 상기에서 충전 금액만큼을 정산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 예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다운로드부(200)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교통카드 고유번호, 충전 조건 및 충전 금액을 포함하는 충전 요청 정보를 실시간 유 무선으로 수신하고 요금처리부(220)는 버스 승차시 교통 카드를 통한 요금처리를 수행하며, 충전부(210)는 요 금처리부(220)에 의해 교통 요금 처리 시 교통 카드 고유번호를 기초로 현재 요금처리 중인 교통카드에 대한 충전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충전 요청 정보가 존재하면 충전부(210)는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조건 및 충전 금액에 의하여 교통 카드의 충전을 이행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일반 카드의 자동 충전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고객은 자신의 은행 계좌와 카드 정보를 자동 충전 관리 서버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신청한다(S1). 자동충전 관리 서버는 등록된 고객의 충전 요청시 요청 금액에 따라 은행 계좌에서 자동 충전 금액을 자동 충전 예치금 계좌로 이체한다(S2). 다음에는 자동충전 관리 서버는 정상적으로 이체된 계좌를 대상으로 PL을 생성한다(S3).다음에는 자동 충전 관리서버는 PL 정보를 교통 카드 단말기로 전송한다(S4).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는 사용자가 교통 카드 사용시에 수신된 PL 정보를 검색하여 충전 요청 카드인지를 판단한다(S5). 다음에는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는 카드의 테이블을 변경하여 자동 충전이 되도록 설정한다(S6). 끝으로 교통 카드 단말기는 카드에 요청 금액을 충전하여 완료하는 것이다(S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교통 카드 충전 신청을 받아서 은행계좌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에 자동 충전 정보를 버스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버스 단말기를 통하여 요금을 결제할 경우에 사용자의 교통카드에 충전요 금을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항상 사용자의 충전 신청 요구가 있어야 자동 충전이 시스템상에서 이루어지며 충전할 때는 충전 신청을 받아 신청된 정보를 바탕으로 신청자의 은행계좌의 현금을 정상적으로 계좌이체를 완료하게 되면 상기 이체된 금액을 기초로하여 PL을 생성하고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통 카드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충전 신청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충전 잔액 부족으로 인한 현금 지급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현재 다양하게 발급되어 보급한 각종 마일리지 카드에서 적립되는 마일리지 포인트에 대하여는 교통 카드 시스템에서 교통카드 요금으로 충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차 중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충전 잔액의 부족으로 인한 현금 지급의 문제를 보완하고, 현재 소액으로서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마일리지 카드의 적립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교통 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교통 요금을 지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일리지 카드 사용 시마다 적립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 관리하고 있다가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판단하고,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는 적립된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교통 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줌으로써 승객의 이익을 도모하고 현금 지급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 경우에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자동으로 충전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권익을 최대한 보호하고 현금 지급의 경우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현재 가맹점의 단말기나 교통카드 충전시스템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되는 금액의 일정 비율로 적립된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는 소액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으로 인하여 항상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301)에 사용자(306)의 마일리지 서비스 등록은 종래의 충전 요청 서비스 등록에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일리지 서비스 등록은 발행 시에 마일리지 카드로 발급받은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고 일반 카드를 새롭게 마일리지 서비스 대상카드로 요청 등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마일리지 서비스를 등록하면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301)은 등록 정보를 발행사 호스트(302)로 전송한다. 또한,상기 등록 정보를 웹 컴퓨터(307)를 이용하여 마일리지 서비스를 요청 등록한다. 상기에서 마일리지 등록 정보를 수신한 발행사 호스트(302)는 마일리지 카드 database를 구축하고, 사용자(306)가 시내의 여러 장소에 산재 되어 있는 가맹점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 또는 인터넷상에 접속된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를 통하여 거래하는 경우 즉 물품 구매 시 또는 교통 카드 충전시 구매 금액 또는 충전 금액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 적립계좌로 전송받고 상기 마일리지 적립계좌의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기초로 PL을 생성한다. 상기 발행사 호스트(302)에서 생성된 PL 정보를 집계 서버(304)로 전송 저장한다. 상기에서 PL정보는 발행사 호스트(302)에서 버스 단말기(305)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고 집계 서버(304)를 거쳐서 버스 단말기(305)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집계 서버(304)는 지하철 역사나 버스 운송회사 등의 교통 카드 시스템 구성에서 하위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시스템의 일종이다. 상기와 같이 PL 정보를 수신한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 단말기(305)는 사용자(306)가 교통 카드(309) 사용 시 교통수단 단말기(305)의 마일리지 PL 정보를 검색하여 자동 충전 대상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고유 번호를 기초로 하여 검색하고 마일리지 자동 충전 대상 카드임이 확인되면,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이상이면 마일리지 적립 포인트를 충전하지 아니하고 기존 충전 잔액에서 승차 요금을 감액하도록 하며,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카드의 자동 충전 기준금액 테이블을 변경하여 자동충전이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충전 기준 금액 테이블 변경으로 자동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마일리지 포인트의 적립금액을 카드(309)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요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인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직접 PL을 생성하는 경우의 본 발명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사용자(306)는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마일리지 카드를 등록하거나 일반 카드를 발급받은 후 마일리지 서비스를 새롭게 요청 등록하고, 사용자(306)가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 상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구매금액을 지급하거나 교통 카드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을 통한 거래 금액 또는 충전금액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 적립계좌로 전송하고 상기 적립 계좌의 마일리지 포인트 누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PL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생성된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기초로 한 PL 정보를 버스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306)가 교통 카드(309)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교통 카드(309)가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고유번호를 기초로 하여 교통수단 단말기(305)에 수신된 PL 정보에 의하여 확인하고, 마일리지 카드(309)임이 확인되면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마일리지 적립 포인트를 충전하지 아니하고 승차 요금을 감액하고, 충전 후의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는 카드의 자동 충전 기준금액 테이블을 변경하여 자동충전이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충전 기준 금액 테이블 변경으로 자동충전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마일리지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카드(309)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요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는 일실시 예인 도 4의 마일리지 포인트의 자동 충전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마일리지 카드 또는 일반 카드를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마일리지 서비스를 요청 등록하는 단계를 나타낸다(S10). 다음에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를 통하여 물품 구매 시 또는 카드 충전 시마다 상기의 등록된 마일리지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거래 금액 또는 충전금액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 적립계좌에 마일리지 포인트로 누적하여 관리하면서(S20) 상기 마 일리지 포인트를 기초로 하여 PL을 생성하는 단계이다(S30). 다음 단계는 생성된 상기의 PL 정보를 주기적으로 집계 서버(304)로 전송하는 단계이다(S40). 다음 단계는 집계 서버(304)에 전송된 상기 PL 정보를 하위 시스템인 단말기에 각각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50). 다음에는 일반 사용자가 버스에 승차하여 카드를 교통수단 단말기에 접근시키면 상기 카드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카드가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교통수단 단말기에 수신된 PL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S60). 다음에는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상이면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충전하지 아니하고 승차 요금을 감액 처리하고(S70). 상기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는 카드의 자동충전 기준 금액을 변경 설정한다(S90). 다음 단계는 상기와 같이 자동충전 기준금액의 변경 설정이 이루어지면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카드에 충전하여(S100) 승차 요금을 감액하도록 하는 것이다(S110). 또한, 상기 S60 단계에서 마일리지 카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승차 요금을 감액처리하고(S70) 상황을 종료하는 것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인 도 5의 마일리지 포인트의 자동 충전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사용자는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마일리지 카드 또는 일반 카드에 대하여 마일리지 서비스를 요청 등록하여 사용한다(S101). 사용자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308)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 시 또는 카드 충전 시마다 구매금액 또는 충전금액을 지급하면 상기 거래 금액 또는 충전금액의 일정비율이 마일리지 적립계좌로 전송되고 관리된다(S102). 상기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기초로 하여 PL을 생성한다(S103). 상기와 같이 생성된 PL 정보를 교통 수단 단말기(305)로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이다(S104). 다음 단계는 사용자가 교통 요금을 지급하기 위하여 카드를 단말기에 접근시키면 상기 단말기(305)에서 상기 카드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저장된 PL 정보를 이용하여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확인한다(S105). 마일리지 카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승차 요금을 감액 처리하여(S110) 종료하고, 마일리지 카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S106)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상이면 승차 요금을 감액처리하여(S110) 종료하고,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동 충전 기준 금액을 변경 설정하고(S107), 상기와 같이 자동 충전 기준 금액이 변경 설정되면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금액을 자동 충전한다(S108). 그리고 상기 충전 금액에서 요금을 감액하여 (S109) 종료하는 것이다.
도 8은 자동 충전에 관하 상세한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교통 카드를 교통 수단 단말기에 접근시키면 교통 수단 단말기는 카드에 자동 충전을 위한 초기화 명령을 전송한다(S200). 다음에 교통 수단 단말기는 발행사 호스트 또는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SAM으로 자동 충전을 위한 초기화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다. 그 후, 교통 수단 단말기는 카드에 자동충전 명령을 전송한다(S202). 또한, 교통 수단 단말기는 상기의 SAM(Security Access Module)에 자동충전에 관한 인증 여부를 요청한다(S203). 다음 단계는 상기 SAM에서 생성된 자동 충전 거래 내역을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다(S204).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카드가 자동 충전 카드인지를 요청하여 확인한다(S205).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동충전 카드임이 확인되면 교통 수단 단말기는 카드의 잔액을 갱신하여(S206)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은 카드 사용자가 교통 카드 사용 시 마일리지 카드 인지를 판단하고 마일리지 카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에는 교통 수단 단말기의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그동안 마일리지 카드 사용 시마다 적립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금을 자동으로 충전하여 승차 요금을 지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 카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유용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 자동 충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일반 카드의 자동 충전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마일리지 포인트 자동 충전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다른 실시 예인 마일리지 포인트 자동 충전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인 마일리지 포인트 자동 충전 시스템 흐름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인 마일리지 포인트 자동 충전 시스템 흐름도.
도 8은 마일리지 포인트 자동 충전 세부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다운로드부 210 : 충전부 220 : 요금 처리부
301 :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302 : 발행사 호스트
303 : 마일리지 DB 304 : 집계 서버 305 : 단말기
306 : 사용자 307 : 웹 컴퓨터 308 : 사용자 단말기
309 : 교통카드

Claims (7)

  1. 삭제
  2. 사용자가 웹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일리지 카드로 요청 등록하고 등록된 마일리지 카드 정보를 관리하며 마일리지 카드 정보를 발행사 호스트로 전송하는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가 상기 마일리지 카드를 이용하여 거래하고 요금을 지급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마일리지 카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급된 거래 요금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로 적립 관리하여 PL을 생성하는 발행사 호스트와;
    상기 발행사 호스트로부터 유무선으로 생성된 PL 정보를 수신하고 교통 카드 사용시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판단하고, 마일리지 카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 경우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교통 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승차 요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수단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은,
    발행사 호스트로부터 PL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로 상기 PL 정보를 전송하는 집계 서버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교통수단 단말기는,
    카드 사용 시 카드의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이면 교통 요금을 감액하여 종료하는 것을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5. 삭제
  6. 사용자가 마일리지 카드를 이용하여 거래하고 요금을 지급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가 마일리지 카드를 등록하면 상기 등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거래 요금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적립 관리하고, 상기 등록정보와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기초로 하여 PL을 생성하는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과;
    상기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PL 정보를 수신받고 교통 카드 사용 시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판단하고, 마일리지 카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 경우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금액을 교통 카드에 자동으로 충전하여 승차 요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7. 마일리지 카드를 마일리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등록된 마일리지 카드는 사용자가 가맹점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요금 거래 시마다 거래 요금의 일정비율로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적립 관리하면서 상기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와 등록 정보를 기초로 하여 P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생성된 PL 정보를 하위 시스템인 교통수단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카드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하여 카드를 교통수단 단말기에 접근시키면 상기 카드의 고유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카드가 마일리지 카드인지를 수신된 PL 정보를 이용 판단하는 단계와;
    마일리지 카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L 정보를 기초로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여 충전 후의 충전 잔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하인 경우에는 카드의 자동충전 기준 금액을 변경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자동충전 기준금액의 변경 설정이 이루어지면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카드에 충전하는 단계;
    및 승차 요금을 감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카드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방법.
KR1020080134707A 2008-12-26 2008-12-26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02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707A KR101024506B1 (ko) 2008-12-26 2008-12-26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707A KR101024506B1 (ko) 2008-12-26 2008-12-26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99A KR20100076599A (ko) 2010-07-06
KR101024506B1 true KR101024506B1 (ko) 2011-03-31

Family

ID=4263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707A KR101024506B1 (ko) 2008-12-26 2008-12-26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17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펀플웍스 적립금 사용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137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마일리지를 이용한 교통 카드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7144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선불 카드 충전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137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마일리지를 이용한 교통 카드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7144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선불 카드 충전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99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181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бесконтактных платежных карт в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е
KR101511801B1 (ko) 지연된 운송 요금 할당
MXPA03010355A (es) Habilitacion de sistema de dispositivos de cobro de tarifa automaticos que utilizan una red.
JP6689782B2 (ja) トランジット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使用される記憶値カードを提供し、リロードし、兌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700149A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KR100629084B1 (ko) 사은포인트 적립금을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시스템
JP6985664B2 (ja) 料金計算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CN109903401A (zh) 车辆支付管理方法、车载终端及电子设备
JP2002334284A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10044264A (ko) 선불식 카드의 운용 방법
KR101033006B1 (ko) 업무 택시 카드 서비스 시스템
KR101024506B1 (ko)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통 카드 자동 충전 시스템
JP2006053869A (ja) 通行料金支払方法及び通行料金支払プログラム
KR100629789B1 (ko) 주차 포인트 관리용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주차관리 및고객관리방법
JP2004013910A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215419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装置並びに端末装置
RU2666227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платы услуг,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анспортных услуг
JP2004054628A (ja) 電子的価値の積み増し方法、及び電子的価値の処理システム
KR101049557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교통요금 자동 충전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7004406A (ja) 電子マネーシステム
JP200125652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icカード、予約受付システム、予約装置、icカード処理装置、料金収受方法、予約方法、記憶媒体
KR102572349B1 (ko) 가상계좌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110071471A (ko) 포인트를 이용한 교통 요금 자동 할인 또는 자동 충전 시스템
JP7121058B2 (ja) 車両決済支援装置
WO2018217124A1 (ru) Способ оплаты услуг,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анспортных услуг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