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010B1 -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 Google Patents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010B1
KR101024010B1 KR1020080102344A KR20080102344A KR101024010B1 KR 101024010 B1 KR101024010 B1 KR 101024010B1 KR 1020080102344 A KR1020080102344 A KR 1020080102344A KR 20080102344 A KR20080102344 A KR 20080102344A KR 101024010 B1 KR101024010 B1 KR 10102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or
wide
lens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348A (ko
Inventor
윤주복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윤주복
(주)선인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복, (주)선인유니텍 filed Critical 윤주복
Priority to KR102008010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0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4Eyepieces; Magnifying glasses affording a wide-angle view, e.g. through a spy-ho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광각렌즈계를 사용하여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 표시함으로써,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Door Scope)가 제공된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는,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실내에서 확인하기 위한 도어스코프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는 도어스코프 경통;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로 구성되며,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는 광각렌즈계; 및 도어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광각렌즈계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는 표시박스를 포함하되, 광각렌즈계는 도어스코프 경통 길이 범위 내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상하 반전시켜 확대하고, 이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여 직립상으로 변환하며, 직립상은 표시박스의 전면에 결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02344
도어스코프, 광각렌즈계, 영상 확대, 경통, 표시박스

Description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Door scope for displaying enlarged image}
본 발명은 도어스코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광각렌즈를 통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서 확대영상을 표시하는 도어스코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개인주택 또는 사무실 등의 현관 도어에는 방범의 목적으로 도어스코프, 도어폰 또는 비디오폰 등의 도어용 감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용 감시 장치 중에서 대형 아파트나 고급빌라 또는 고급주택 등에는 비디오폰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 비디오폰은 도어 외부의 일측에 주변의 상황을 카메라 등으로 영상신호로 촬영하여 실내의 비디오폰 본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도어 외부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폰의 경우에는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면, 카메라 및 디스플레 이가 작동하여 외부의 상황을 촬영 및 표시하거나 실내에서 방문객과 통화를 위하여 송수화기를 들면 외부의 상황을 촬영 및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디오폰의 경우에는 방문객의 확인을 위하여 통화를 할 수 있고, 방문객 및 주변의 상황을 촬영된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범을 위한 경보 기능, 실내 화재를 경보하는 기능, 실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자기기의 자동 제어기능 등과 이에 따른 해당하는 경찰서나 소방서 또는 관공서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곳으로의 자동 전화걸기 등이 가능한 일반 가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비디오폰과는 달리 도어폰의 경우에는 현관문과 실내 주거공간이 원거리에 있거나 단순히 방문객과 음성으로 통화만을 하거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것이다.
그러나 도어폰과 비디오폰을 설치할 수 없는 주택이거나 사무실 등과 같이 방문객이 잦은 경우 또는 저가형 아파트나 연립 등의 경우에는 도어의 중앙 일측에 방문객이나 외부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도어스코프(door scope)가 장착되어 있고, 이 도어스코프는 직경이 약 8∼10mm 정도이고, 도어 외부에서는 실내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도어의 중앙, 즉 도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즉, 기존의 도어스코프는 광각렌즈(wide-angle lens)를 사용하여 내부에서 외부를 넓게 내다볼 수 있는 1안(眼) 안경을 말한다. 시각은 160ㅀ가 표준이며, 주로 아파트의 현관문에 장치되어 있고, 방문자가 수상할 때에는 문을 열지 않고도 이것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방범용으로 사용하고 있 다.
이러한 도어스코프는 실내거주자가 방문객이나 외부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눈을 도어스코프에 가까이 댄 상태에서만 가능하였다. 즉, 실외에서 초인종을 누르면, 실내에서 도어의 가까운 위치에서 방문객의 신분 및 방문 목적 등을 음성으로 대화를 한 다음에 도어스코프에 눈을 가까이 위치시킨 다음에 외부의 상황 및 방문객을 확인하여야만 했었다.
그러나 도어스코프의 직경이 작아 육안식별이 잘되지 않았으며, 또한 좁은 구멍을 통해 육안식별하기 위해서는 한 눈으로 문에 바짝 붙어서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야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또한, 높낮이가 맞지 않아 어른일 경우에는 허리를 구부리고 어린이일 경우에는 너무 높아 아예 볼 수 없었으며, 좁은 구멍을 통해 외부를 보았으므로 측면은 전혀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스코프가 설치된 실외의 전경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출입문(20)에 실외(10)의 상황을 출입문(20)의 내부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출입문(20)의 소정 높이에 도어스코프(30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도어스코프(30)는 통상적으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하나의 경통 속에 설치하여 빛의 입사, 굴절에 의한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도어스코프(30)는 수개의 렌즈 직경이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부의 광선을 받아들이기 위한 출입문의 외측의 입사공과 입사된 외부의 광선을 실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하는 투시공의 직경이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방문자가 실내로 들여다볼 수는 없으나, 실내의 있는 사람도 실외를 확인하기가 투시공이 작은 관계를 인하여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도어스코프(30)는 렌즈의 굴절률을 크게 하여도 도어의 두께로 인하여 확인자용 투시공의 직경을 확장시키기가 곤란하여 출입문의 외부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일반적안 도어스코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3-0004049호(출원일: 1993년 03월 18일)에는 "방문자 확인용 도어 스코프"라는 명칭의 고안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유도부재를 이용한 도어스코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유도부재를 이용한 도어스코프(30)는, 투시공과 입사공으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이루어진 렌즈체(34)를 구비한 투시경통(31)이 도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투시경통(31)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즉, 렌즈체(34)의 초점을 벗어난 근접한 곳에 광유도부재(35)의 선단이 설치된다.
투시경통(31)이 설치되는 도어(20)의 내측에 투시박스(39)가 형성되는데, 투시박스(39)는 광유도부재(35)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에 광유도부재(35)의 끝단에서 확산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평면형의 반사체(36), 및 상기 반사체(36)에서 반사되는 외부 광원을 확대하는 볼록렌즈(37)를 포함한다. 상기 투시박스(39) 정면에 설치된 볼록렌즈(37)의 표면에는 실내의 빛이 표면에 닿아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투과성 막(38)이 코팅된다.
도어(20)에 투시경통(31)을 설치하고, 도어(20)의 내면에는 상기 투시박스(39)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광원이 투시경통(31)의 렌즈체(24)를 통하여 투시경통(31) 속으로 입사된다.
외부 광원은 렌즈체(34)를 통과함으로써 굴절되고, 이후 렌즈체(34)의 초점을 벗어난 곳에 위치한 광유도부재(35)의 선단으로 입사된다. 이후, 외부 광원은 경사지게 설치된 평면형 반사체(36)에 투시되고, 경사진 각도에 의하여 볼록렌즈(37) 측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외부 광원, 즉 외부의 상황은 반투과성 막(38)이 코팅 처리된 볼록렌즈(37)의 특성으로 인하여 확대되어 실상으로 결상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유도부재를 이용한 도어스코프는, 렌즈체(34)이외에도 광유도부재(35), 반사체(36) 및 반투과성 막(38) 등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도어스코프의 구조가 복잡하며, 광유도부재(35)에 의한 광로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비디오폰이나 도어폰의 경우, 확대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광유도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광각렌즈계를 사용하여,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 표시함으로써,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는,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실내에서 확인하기 위한 도어스코프(Door Scope)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는 도어스코프 경통;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는 광각렌즈계; 및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각렌즈계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는 표시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각렌즈계는 도어 외부에 대한 입사영상을 제공하는 제1 렌즈(L1)와,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제2 내지 제4 렌즈(L2, L3, L4)와, 상기 반전된 영상을 확대하는 제5 렌즈(L5)와, 상기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렌즈(L6, L7)와, 상기 전체 합성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직립상으로 변환하는 제8 렌즈(L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3 렌즈(L3) 및 제4 렌즈(L4)는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기 위해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6 렌즈(L6) 및 제7 렌즈(L7)는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박스는, 20㎝ 이상의 거리에서 실외의 영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8 렌즈(L8)에 의해 직립상으로 변환된 확대영상이 결상되는 제9 렌즈(L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는, 실내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도어스코프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는 도어스코프 경통;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는 광각렌즈계; 및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각렌즈계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는 표시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각렌즈계는, 도어 외부에 대한 입사영상을 제공하는 제1 렌즈(L1);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제2 내지 제4 렌즈(L2, L3, L4); 상기 반전된 영상을 확대하는 제5 렌즈(L5); 상기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렌즈(L6, L7); 상기 전체 합성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직립상으로 변환하는 제8 렌즈(L8); 및 상기 직립상으로 변환된 영상이 상기 표시박스의 전면에 결상되는 제9 렌즈(L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광유도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광각렌즈계를 사용하여,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 표시함으로써,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이 필요한 기존의 비디오폰에 비해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 한 입사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광각렌즈계를 사용함으로써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 표시하는 도어스코프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100)는, 도어스코프 경통(110), 광각렌즈계(120) 및 표시박스(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D1은 도어스코프 경통(110)의 직경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D2는 표시박스(130)의 높이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D3은 도어 외부에 대한 입사영상, 즉 제1 렌즈(L1)의 직경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W2는 도어의 두께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D3은 표시박스(130)의 두께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W1은 도어의 두께와 표시박스의 두께를 합친 도어스코프의 전체 두께를 나타낸다.
도어스코프 경통(110)은 도어(200)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된다. 즉, 도어스코프 경통(110)은 도어(200)의 소정 높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데, 도어스코프 경통(110)의 길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5㎝일 수 있지만, 도어(20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도어스코프 경통(110)의 내부에는 광각렌즈계(120)의 다수의 광각렌즈(L1~L8)가 각각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광각렌즈계(120)는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L1~L9)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110)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한다. 상기 광각렌즈계(120)는 각 렌즈(L1~L9)마다 재질과 굴절률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각렌즈계(120)는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110) 길이 범위 내에서 실외의 피사체(300)에 대응하는 입사영상을 상하 반전시켜 확대하고, 이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여 직립상으로 변환하며, 결국, 상기 직립상은 상기 표시박스(130)의 전면에 결상됨으로써, 실내거주자는 확대된 입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도어폰이 72ㅀ~ 90ㅀ 범위의 영상을 획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는 2㎜ 직경의 핀홀을 통해 60ㅀ 범위의 입사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광각렌즈(L1~L9)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박스(130)는 상기 도어(200)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예를 들면, 20㎝~30㎝ 이상의 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각렌즈계(120)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게 한다. 예를 들면, 표시박스(130)의 결상계는 직경 50㎜ 이상으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고, 실내거주자는 도어스코프(100)에 직접 눈을 접촉시키지 않고, 20㎝~30㎝ 이상의 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표시박스(130)는 약 5㎝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광각렌즈계(120)의 전체 합성 초점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박스(130)는 실내의 빛이 표시박스(13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밀봉되어야 한다.
여기서, 표시박스(130)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도어(200)의 두께가 예를 들면, 4.5㎝ 정도이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의 도어(200)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도어스코프 경통(110) 내의 광각렌즈계(120)를 통해서는 5㎝ 직경의 결상을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만일 도어(200)의 두께가 10㎝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 직경의 확대된 영상을 얻기 위해서, 표시박스(130)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스코프 경통(110)의 길이가 10㎝가 되고, 실내측의 전면에 5㎝ 직경의 렌즈를 통해 입사영상을 결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어(200)의 두께는 5㎝ 미만이고, 이러한 도어(200) 내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도어스코프 경통(110)을 통해서는 5㎝ 직경의 확대된 영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표시박스(130)를 제작하여 상기 도어(200)에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100)는 광각렌즈계(120)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어(200) 내에서 관통 설치된 도어스코프 경통(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별도의 고무 패킹 등의 충격 흡수수단이나 고정 수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100)는 다수의 광각렌즈만을 사용하여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의 도어폰에 비해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기존의 광유도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확대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가 설치된 실내의 전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100)는 도어(200)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실내측에 설치된 표시박스(13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입사영상이 결상되는 제9 렌즈(L9)를 통해 실내거주자가 20㎝ 이상의 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다수의 광각렌즈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계(120)는 제1 내지 제9 렌즈(L1~L9)를 포함하지만,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다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렌즈의 수량 및 결상의 크기는 도어의 두께, 렌즈의 전체 합성초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광각렌즈계(120)의 제1 렌즈(L1)는 실외 입사영상을 제공하는 입사영상 제공용 렌즈로서, 4㎜의 직경을 가지며, 실외측에 대해 2㎜의 직경을 통해 입사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내지 제4 렌즈(L2, L3, L4)는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5 렌즈(L5)는 상기 반전된 영상을 확대하며, 10㎜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제6 및 제7 렌즈(L6, L7)는 상기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8 렌즈(L8)는 상기 전체 합성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직립상으로 변환하며, 제9 렌즈(L9)는 상기 직립상으로 변환된 영상이 상기 표시박스(130)의 전면에 결상되게 한다.
제1 렌즈(L1) 및 제8 렌즈(l8)는 50㎜ 길이 및 12㎜ 직경의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며, 제1 렌즈(L1)부터 제8 렌즈(L8)까지의 길이는 37.69㎜가 된다. 제 8 렌즈(L8)로부터 직립상으로 변환된 입사영상은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110)의 끝단에서 10.29㎜가 되며, 결국 49.78㎜ 직경의 제9 렌즈(L9)를 통해 결상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h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를 예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가 결합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계(120)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스코프 경통(110) 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L1~L8) 및 표시박스(13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9 렌즈(L9)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h에 도시된 제1 내지 제8 렌즈(L1~L8)는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서 그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도어의 두께에 따라 그 수량 또는 간격 등이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렌즈(L3) 및 제4 렌즈(L4)는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기 위해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 렌즈(L6) 및 제7 렌즈(L7)는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h에 도시된 제1 내지 제8 렌즈(L1~L8)에 대한 형상, 두께, 직경, 곡률반경 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50㎜의 확대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실험적으로 선택된 것이므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는 광각렌즈계를 사용하여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여 실내에 표시함으로써, 실내거주자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스코프가 설치된 실외의 전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유도부재를 이용한 도어스코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가 설치된 실내의 전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다수의 광각렌즈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코프의 광각렌즈가 결합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도어스코프 110: 도어스코프 경통
120: 광각렌즈계 130: 표시박스
200: 도어 300: 피사체
L1: 입사영상 제공용 렌즈
L2, L3, L4: 입사영상 상하 반전용 렌즈
L5: 반전영상 확대용 렌즈
L6, L7: 확대영상 축소 및 전체 합성초점 형성용 렌즈
L8: 직립상 변환용 렌즈
L9: 확대영상 결상용 렌즈

Claims (6)

  1.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실내에서 확인하기 위한 도어스코프(Door Scope)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는 도어스코프 경통;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는 광각렌즈계; 및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각렌즈계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는 표시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각렌즈계는 도어 외부에 대한 입사영상을 제공하는 제1 렌즈(L1)와,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제2 내지 제4 렌즈(L2, L3, L4)와, 상기 반전된 영상을 확대하는 제5 렌즈(L5)와, 상기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렌즈(L6, L7)와, 상기 전체 합성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직립상으로 변환하는 제8 렌즈(L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L3) 및 제4 렌즈(L4)는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기 위해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L6) 및 제7 렌즈(L7)는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되며, 그 접합면은 무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박스는, 20㎝ 이상의 거리에서 실외의 영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8 렌즈(L8)에 의해 직립상으로 변환된 확대영상이 결상되는 제9 렌즈(L9)를 포함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6.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실내에서 확인하기 위한 도어스코프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는 도어스코프 경통;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광각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스코프 경통 내에 배치되어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확대하는 광각렌즈계; 및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실내거주자가 실외에 대한 입사영상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각렌즈계로부터 확대된 입사영상이 실내의 전면에 결상되는 표시박스
    를 포함하되, 상기 광각렌즈계는,
    도어 외부에 대한 입사영상을 제공하는 제1 렌즈(L1);
    상기 입사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제2 내지 제4 렌즈(L2, L3, L4);
    상기 반전된 영상을 확대하는 제5 렌즈(L5);
    상기 확대된 영상을 축소시킨 후 전체 합성 초점을 형성하는 제6 및 제7 렌즈(L6, L7);
    상기 전체 합성 초점이 형성된 영상을 직립상으로 변환하는 제8 렌즈(L8); 및
    상기 직립상으로 변환된 영상이 상기 표시박스의 전면에 결상되는 제9 렌즈(L9)
    를 포함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KR1020080102344A 2008-10-20 2008-10-20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KR10102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44A KR101024010B1 (ko) 2008-10-20 2008-10-20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44A KR101024010B1 (ko) 2008-10-20 2008-10-20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48A KR20100043348A (ko) 2010-04-29
KR101024010B1 true KR101024010B1 (ko) 2011-03-29

Family

ID=4221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44A KR101024010B1 (ko) 2008-10-20 2008-10-20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87B1 (ko) * 2013-01-29 2014-08-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잠망경식 외시경장치
KR101454601B1 (ko) * 2013-03-26 2014-11-03 주식회사 코맥스 디지털 틸트 비디오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4654A (en) * 1977-09-22 1979-05-01 Legrand Daniel Louis Optical peephole device
JPS61275817A (ja) 1985-05-31 1986-12-05 Sony Corp 監視装置
JPH1039206A (ja) 1996-07-22 1998-02-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結像レン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4654A (en) * 1977-09-22 1979-05-01 Legrand Daniel Louis Optical peephole device
JPS61275817A (ja) 1985-05-31 1986-12-05 Sony Corp 監視装置
JPH1039206A (ja) 1996-07-22 1998-02-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結像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48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719B1 (ko) 전방위 광학시스템 및 그 전방위 광학시스템을 갖는 전방위 카메라
US20130188943A1 (en) Camera Adapter
TWM246925U (en) Cellular phone with imaging device
KR101024010B1 (ko)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도어스코프
CN101349799B (zh) 宽动态全方位视觉传感器
TW201033719A (en) Camera assembly
CN201034008Y (zh) 防盗门单向可视猫眼
JP2008113396A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玄関子機
US20080068565A1 (en) Micro display device
CN201657200U (zh) 电子猫眼
CN202956818U (zh) 酒店电子猫眼系统
CN202918436U (zh) 3d电子猫眼
CN211666597U (zh) 一种密封性能优异的遮光盖
KR101192863B1 (ko) 반사경에 의해 촬영영역 표시가 가능한 감시 카메라
JP202401409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093648A (ja) インターホン装置の玄関子機
CN203796144U (zh) 一种带移动侦测及拍照的电子猫眼
KR101427287B1 (ko) 잠망경식 외시경장치
US20110032415A1 (en) A Case For A Digital Camera
CN201850972U (zh) 电子猫眼装置
KR200254767Y1 (ko) 광각 도어뷰 장치
CN101206383A (zh) 一种摄像监视灯组
JPS6252521A (ja) ドア−スコ−プ
CN105450996A (zh) 自动启动门铃呼叫的智能猫眼系统
KR960009689Y1 (ko) 방문자 확인용 도어 스코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