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44B1 -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44B1
KR101022344B1 KR1020100053686A KR20100053686A KR101022344B1 KR 101022344 B1 KR101022344 B1 KR 101022344B1 KR 1020100053686 A KR1020100053686 A KR 1020100053686A KR 20100053686 A KR20100053686 A KR 20100053686A KR 101022344 B1 KR101022344 B1 KR 10102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additive
supply unit
recov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광기계
Priority to KR102010005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B28C7/0418Proportioning 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22Weighing predetermined amounts of ingredients, e.g. for consecutive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작업의 편의성 및 제품의 품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구비된 청수공급부로부터 청수가 분사되어 공급됨으로써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부가 자동으로 세척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에 구비되되, 내부에 회수수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의 하부가 축관되게 구비되어 하측의 믹싱연결부에 연결되는 회수수공급부; 및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청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청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축관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단부에 분사노즐부가 구비되는 청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water suppling apparatus of multistep type for concrete mixing plan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간편한 제조를 위해 구비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서 콘크리트 조합물의 혼합 작업이 이루어지는 믹싱부에 물을 공급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아파트 등) 또는 교량, 도로 및 터널공사의 기초자재로서 레디믹스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가 사용되며, 이러한 레디믹스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물, 첨가제 등이 적정비율로 혼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는 배처플랜트(batcher plant)와 같은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에 의해 간편히 제조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는 그 내부에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구성재료에 해당되는 시멘트, 골재, 물, 첨가제 등의 각종 저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구성재료가 혼합되는 믹싱부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 저장부의 구성재료가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량에 따른 최적의 혼합비로 상기 믹싱부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는 이후 믹서트럭이라고 하는 운반차량에 실려 공사현상으로 운반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1)는 그 기본형상을 이루는 본체프레임(3), 입도별로 선별된 골재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골재공급장치(5), 시멘트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시멘트공급장치(7), 물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물공급장치(9) 그리고, 각 공급장치(5, 7, 9)로부터 공급되는 골재, 시멘트 및 물의 혼합을 위한 믹싱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각각의 공급장치(5, 7, 9)에는 골재, 시멘트 및 물이 저장되는 골재저장부(5a), 시멘트저장부(7a) 및 물저장부(9a)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믹싱부(11)는 상기 골재공급장치(5), 상기 시멘트공급장치(7) 및 상기 물공급장치(9)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각 공급장치(5, 7, 9)로부터 공급된 골재, 시멘트 및 물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교반스크류(1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부(11)의 하측에는 믹서트럭(13)이 용이하게 진입 및 진출될 수 있는 차량출입통로(15)가 구비되며,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차량출입통로(15)에 상기 믹서트럭(13)이 위치됨에 따라 상기 믹싱부(11)로부터 혼합되어 제조된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곧바로 상기 믹서트럭(13)에 상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장치(9)의 물저장부(9a)에는 단지 청수만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믹서트럭(13) 또는 플랜트(1) 관련 설비의 세척에 의해 발생되는 회수수도 함께 저장되어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된다.
즉, 상기 회수수에는 시멘트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수수가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됨으로써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에 따른 생산원가가 저감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1)에 있어 상기 물공급장치(9)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종래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1)에 따른 상기 물공급장치(9)는 상기 물저장부(9a)에 청수와 회수수가 함께 저장되어 상기 믹싱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회수수에 포함된 시멘트 등의 잔존물이 상기 물저장부(9a)의 내벽에 점착되어 고착됨으로써 상기 잔존물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의 오염정도 심각해 질 뿐만 아니라 상기 잔존물이 상기 물저장부 하부에 구비된 개폐밸브에 점착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회수수의 잔존물에 따른 물저장부의 오염으로 인해 공급되는 청수 및 회수수의 혼합이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기 어려워 이에 따라 제조되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수공급부가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수수공급부로 청수가 공급되되 상기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 내에서 다각으로 분사되어 공급됨으로써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이 자동 세척되는 작업의 편의성 및 제품의 품질성이 고려된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에 구비되되, 내부에 회수수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의 하부가 축관되게 구비되어 하측의 믹싱연결부에 연결되는 회수수공급부; 및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청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청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축관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단부에 분사노즐부가 구비되는 청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수용부의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안내되어 분사되도록 구배를 가지고 형성된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외벽과 상기 청수공급부의 외벽에는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회수수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청수의 중량이 감지되는 중량감지장치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하단부와 상기 청수공급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각의 중량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밸브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회수수공급부 일측에는 정량의 첨가제를 믹싱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상단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된 첨가제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후면부에 정량조절홀이 구비되는 첨가제공급부와, 상기 첨가제공급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정량조절홀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안정적으로 회수되도록 상면부에 형성된 회수홀에 상단이 확관되게 형성된 첨가제받이부재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첨가제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공급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정량조절홀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받이부재 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동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청수공급부가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청수공급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공급연장부가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수수공급부에 수용된 회수수가 믹싱부로 공급된 이후 상기 청수공급부에 수용된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를 거쳐 상기 믹싱부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에 점착되는 기공급된 회수수의 잔존물이 상기 청수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공급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청수가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측으로 안내되어 분사되도록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내벽측으로 최대한 확대되어 분사되는 청수에 의해 상기 잔존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존물이 내벽 측에 점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중량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중량의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감지장치의 감지 중량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자동개폐밸브의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됨에 아울러 상기 회수수공급부에 대한 별도의 세척작업이 현저히 줄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외벽 및 상기 청수공급부의 외벽에는 각 수용부의 회수수 및 청수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장치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회수수공급부 및 청수공급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중량감지장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믹싱부로 공급되는 회수수 및 청수의 중량이 개별적으로 정확히 조절되어 최적의 콘크리트 혼합비로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첨가제공급장치의 첨가제공급부는 그 후면부에 정량조절홀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첨가제공급부 내부에 수용되는 첨가제가 항상 일정량으로 상기 믹싱부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매번 최적의 콘크리트 혼합비에 따른 우수한 품질의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제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량조절홀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는 상기 정량조절홀에 연결되어 형성된 유동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첨가제공급부의 하측에 구비된 첨가제회수부로 회수되어 재사용되므로 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다단식 물공급장치의 제어 및 첨가제공급장치의 제어는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및 첨가제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수공급부 및 중량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첨가제공급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 및 첨가제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는 물, 시멘트, 자갈, 첨가제를 혼합하여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베처플랜트와 같은 설비를 의미하며,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는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에 의해 제조되어 건축물, 교량, 도로 및 터널공사 등의 기초자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레미콘(remicon)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하 설명될 회수수는 레디믹스 콘크리트 공장에서 각종 설비의 세척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뜻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및 그 관련 설비 또는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작업현장으로 운반하는 믹서트럭 등이 세척됨으로써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여 소정의 정화를 거쳐 상기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물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및 첨가제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수공급부 및 중량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31)는 회수수공급부(51) 및 청수공급부(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수수공급부(51)는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도 1의 1)에 구비되되, 내부에 회수수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51a)의 하부가 축관되게 구비되어 하측의 믹싱연결부(5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수수공급부(51)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형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수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51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외형은 상기 다각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수수는 레디믹스 콘크리트 공장 내 또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 별개로 구비된 회수수저장탱크에 각종 설비의 세척에 의해 발생된 회수수가 저장되고, 상기 회수수저장탱크와 상기 회수수공급부(51)가 공급관으로 연결됨으로써 이와 같이 상기 회수수저장탱크에 저장된 회수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51)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부(51a)의 하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제1수용부(51a)에 수용된 회수수가 그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향으로 축관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하단에는 상기 제1수용부(51a)의 회수수가 믹싱부(91)로 유도되어 공급되도록 관 형상의 믹싱연결부(53)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1수용부(51a)의 회수수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믹싱연결부(53)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51a)의 하부가 하향으로 축관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수용부(51a)의 상부는 개구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상측에 상기 청수공급부(71)가 구비되되 상기 청수공급부(7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부(73)가 상기 제1수용부(51a)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청수공급부(71)는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수가 수용되도록 제2수용부(71a)가 형성됨 아울러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51a)의 내벽측으로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51a)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상기 청수공급부(71)의 단부에 상기 분사노즐부(7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수용부(71a)의 하부는 상기 청수의 자연스러운 하향 유동을 위해 축관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물공급장치는 청수 및 회수수가 저장되어 믹싱부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부가 단지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상기 청수 및 회수수의 공급이 다수회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물공급부의 내벽에는 시멘트와 같은 상기 회수수의 잔존물이 점착되어 상기 잔존물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가 오염되었다. 그러므로, 회수수 및 청수의 공급량이 적절히 조절되어 상기 물공급부로 수용되더라도 상기 물공급부에 점착된 상기 잔존물에 의해 상기 회수수 및 청수의 혼합비가 최초에 설정된 조건과 다르게 됨으로써 이에 따라 제조되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고, 이와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물저장부에 대한 세척작업이 빈번히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보완되기 위해 상기 청수공급부(71)가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상측에 설치된 다단식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청수공급부(71)의 분사노즐부(73)가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제1수용부(51a)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분사노즐부(73)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51a)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1수용부(51a)에 기공급되어 내벽에 점착된 회수수의 잔존물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수공급부(71)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71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외형은 상기 다각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청수는 오염되지 않은 통상의 깨끗한 물을 의미하며,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 구비되는 통상의 청수공급관에 의해 상기 청수공급부로 공급되는 청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71a)의 하부는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가 그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향 유동되도록 하측으로 축관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71a)의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51)로 공급되어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하단에 구비된 믹싱연결부(53)로 유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수공급부의 하단부에는 분사노즐부(73)가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청수공급부의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에 공급될 시 상기 제2수용부의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안내되어 분사되도록 구배를 가지고 형성된 안내면(121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21)가 상기 분사노즐부(73)의 하단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청수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단부의 최외곽에 형성된 분사구(123)로 분사되는 경우 상기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측으로 최대한 확대되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1) 상의 안내면(121a)이 상기 내벽측으로 경사지게 구배가 적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청수는 상기 가이드부내(121)의 안내면(121a)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분사구(123)를 통해 분사됨으로써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을 향해 최대한 확대되어 분사되므로 상기 내벽에 점착된 회수수의 잔존물이 완전히 세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노즐부(131)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분사구(133)가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분사구(133)는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내벽측을 향해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단부의 최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부(131)의 단부 내측에는 분사구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의 최외곽만 상기 다수의 분사구(1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수용부의 청수가 그 자중에 따라 발생되는 수압으로 인해 상기 다수의 분사구(133)로 집중되어 고압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상기 내벽측에 점착된 회수수의 잔존물이 완전히 세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의 최외곽 및 상기 청수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을 통해 상기 분사구(133)로 분사되는 청수는 상기 내벽측으로 최대한 확대되어 분사됨으로써 그 세척범위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외벽과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외벽에는 상기 제1수용부(51a)에 수용된 회수수 및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장치(57, 75)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하단부와 상기 청수공급부(71)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각의 중량감지장치(57, 75)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밸브(59, 79)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중량감지장치(57)는 로드셀과 같은 계량장치로서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외벽에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부(51a)에 수용된 회수수의 중량을 감지하고, 이와 같이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자동개폐밸브(59)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개폐밸브(59)의 선택적인 개폐는 상기 중량감지장치(57)에 따른 감지신호가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자동개폐밸브(59)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외벽에도 상기 로드셀과 같은 계량장치에 해당되는 중량감지장치(75)가 구비되며, 상기 청수공급부(71)에 구비된 상기 중량감지장치(75)도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의 중량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청수공급부(7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자동개폐밸브(79)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수공급부(71)에 구비된 자동개폐밸브(79)의 개방 및 폐쇄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중량감지장치(75)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상기 자동개폐밸브(79)가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된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51a)의 내벽측으로 선택적으로 분사되어 공급되거나 그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내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량이 설정되면 기설정된 회수수 및 청수의 혼합비에 따라 상기 회수수공급부(51) 및 상기 청수공급부(71)에 외부로부터의 회수수 및 청수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회수수 및 청수가 공급될 시에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자동개폐밸브(59)와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자동개폐밸브(79)는 폐쇄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수용부(51a)에 수용되는 회수수의 중량 및 상기 제2수용부(71a)에 수용되는 청수의 중량이 각각의 중량감지장치(57, 75)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확히 감지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회수수의 중량 및 상기 청수의 중량이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각 중량감지장치(57, 75)에 의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회수수 및 청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자동개폐밸브(59)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믹싱연결부(53)를 통해 상기 회수수가 상기 믹싱부(91)로 공급되고, 상기 제1수용부(51a)에 수용된 회수수의 중량변화가 상기 중량감지장치(57)에 의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회수수의 공급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자동개폐밸브(79)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청수가 상기 회수수공급부(5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수수공급부(51)로 공급되는 청수는 상기 분사노즐부(7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내벽측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내벽에 점착된 기공급된 회수수의 잔존물이 상기 청수와 함께 하향 유동되어 상기 믹싱부(91)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물공급장치(31)는 상기 믹싱부(91)로 공급되는 회수수 및 청수의 중량이 상기 회수수공급부(51) 및 청수공급부(71)에 각각 구비된 중량감지장치(57, 75)에 의해 개별적으로 감지되어 이에 따라 회수수 및 청수가 순차적으로 상기 믹싱부(91)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회수수 및 상기 청수의 공급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혼합비의 오차가 최소화되어 최적의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첨가제공급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여기서,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시에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품질을 고려하여 첨가제가 공급되는데, 이는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신장력, 전단력, 압축력 및 방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수수공급부(51) 일측에는 정량의 첨가제를 믹싱부(91)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81)가 더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첨가제공급장치(81)는 첨가제공급부(83)와 첨가제회수부(87)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첨가제공급부(83)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93)의 상단고정부(9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된 첨가제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후면부에 정량조절홀(83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첨가제공급부(83)는 전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로부터 첨가제가 공급되어 내부에 수용되도록 그 상부는 개구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상측에는 상기 첨가제공급부(83)로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저장부(9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첨가제저장부(95)로부터 공급되는 첨가제가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첨가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첨가제공급부(83) 내부에는 레드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량에 적합한 첨가제가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수용되는데 이때, 레드믹스 콘크리트의 반복적인 제작작업에 따라 소정의 누적오차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첨가제저장부(95)에 연결된 공급관(95z)의 자동개폐밸브(도 4의 103)의 오작동으로 상기 첨가제공급부(83)에 일정 이상의 첨가제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후면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첨가제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정량조절홀(8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정량조절홀(83a)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이하 설명될 상기 첨가제회수부(87)의 첨가제받이부재(89) 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동가이드부재(8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하측에는 상기 첨가제회수부(87)가 배치되되, 상기 정량조절홀(83a)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안정적으로 회수되도록 상기 첨가제회수부(87)의 상면부에 형성된 회수홀(87a)에 상단이 확관되게 형성된 첨가제받이부재(89)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상기 정량조절홀(83a)로부터 첨가제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정량조절홀(83a)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는 상기 유동가이드부재(85)를 따라 하향으로 유동되되, 상기 유동가이드부재(85)의 하단은 상기 첨가제회수부(87)의 회수홀(87a)에 연결된 상기 첨가제받이부재(89)의 상단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가이드부재(85)를 따라 유동된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받이부재(89)로 유도되어 상기 첨가제회수부(87)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첨가제회수부(87)의 내부는 회수된 상기 첨가제가 수용되도록 일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첨가제받이부재(89)는 깔대기 형상으로 그 하단이 상기 첨가제회수부(87)의 상면부에 형성된 회수홀(87a)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첨가제공급장치(81)의 첨가제공급부(83)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첨가제의 양이 상기 정량조절홀(83a)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매회 최적의 혼합비로 레디믹스 콘크리트가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되는 첨가제가 낭비없이 효과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어 그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첨가제공급장치(81)에 있어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회전 구동은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후방에 설치된 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공급장치(81)는 상기 지지프레임(93)의 상단고정부(93a)에 상기 첨가제공급부(8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후방에는 상기 상단고정부(93a)에 연결된 구동장치(1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93)과 상기 상단고정부(93a) 간에는 로드셀과 같은 중량감지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첨가제저장부(95)로부터 상기 첨가제공급부(83)로 공급되는 첨가제의 중량을 감지하여 적정량의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공급부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첨가제저장부(95)에 구비되는 공급관(95z)에는 상기 중량감지장치에 따른 감지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밸브(10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공급부(83) 내에 수용되는 첨가제의 중량에 따라 상기 첨가제저장부(95)로부터의 첨가제 공급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공급부(83)에 일정양의 첨가제가 공급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103)가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장치(101)가 작동되어 상기 첨가제공급부(83)가 전측으로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면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공급관(97)을 따라 상기 첨가제는 믹싱부(도 2의 91)로 공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 및 첨가제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05)에 의해 전반적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회수수, 청수 및 첨가제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각종 자동개폐밸브(59, 79, 113, 115) 및 중량감지장치(57, 75)가 상기 제어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05)를 통해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량을 설정하면 이에 따라 회수수 및 청수의 각 공급관(113, 115)에 구비된 자동개폐밸브(109, 111)가 개방됨으로써 회수수공급부(51) 및 청수공급부(71)에 회수수 및 청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수수와 청수가 공급되어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제1수용부와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제2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면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중량감지장치(57)와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중량감지장치(75)가 각각의 중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105)에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회수수와 상기 청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각 공급관(113, 115)의 자동개폐밸브(109, 111)를 폐쇄한다.
이후, 회수수공급부(51)의 하단에 구비된 자동개폐밸브(59)를 개방하여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회수수를 믹싱부로 공급하고, 상기 회수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청수공급부(71)의 하단에 구비된 자동개폐밸브(79)를 개방하여 상기 청수공급부(71)의 청수를 상기 믹싱부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청수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내벽측으로 분사되어 공급됨으로써 상기 회수수공급부(51)의 내벽에 점착된 기공급된 회수수의 잔존물을 세척하면서 상기 믹싱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수 및 상기 청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첨가제공급장치(81)가 작동되는데 상세히, 상기 첨가제저장부(95)의 공급관(95z)에 구비된 자동개폐밸브(103)가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개방되어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공급부(83)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첨가제공급부(83)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첨가제의 중량을 상기 상단고정부(93a)에 구비된 중량감지장치가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05)로 전달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105)에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103)를 차단하여 상기 첨가제의 공급이 중지됨과 아울러 구동장치(101)가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첨가제공급부(83)가 전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첨가제가 상기 믹싱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공급부(83)의 정량조절홀(83a)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첨가제회수부(87)로 회수되는 첨가제는 상기 제어부(105)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첨가제회수부에 구비된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첨가제공급부(83)로 공급됨으로써 재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직접적인 설정에 의해 재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단식의 물공급장치의 작동과 상기 첨가제공급장치의 작동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작업이 효율성을 고려하여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는 상기 회수수공급부(51)를 통한 회수수의 공급 제어 및 상기 청수공급부(71)를 통한 청수의 공급 제어가 상기 제어부(105)를 통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첨가제공급장치에 대한 제어도 상기 제어부에 통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1: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51: 회수수공급부 51a: 제1수용부
53: 믹싱연결부 57, 75: 중량감지장치
59, 79, 103, 111: 자동개폐밸브 71: 청수공급부
71a: 제2수용부 73, 131: 분사노즐부
81: 첨가제공급장치 83: 첨가제공급부
85: 유동가이드부재 87: 첨가제회수부
89: 첨가제받이부재 91: 믹싱부
93: 지지프레임 95: 첨가제저장부
101: 구동장치 105: 제어부
121: 가이드부재 121a: 안내면
123, 133: 분사구

Claims (5)

  1.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에 구비되되, 내부에 회수수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1수용부의 하부가 축관되게 구비되어 하측의 믹싱연결부에 연결되는 회수수공급부; 및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청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청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축관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단부에 분사노즐부가 구비되는 청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수용부의 청수가 상기 제1수용부의 내벽측으로 안내되어 분사되도록 구배를 가지고 형성된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외벽과 상기 청수공급부의 외벽에는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회수수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청수의 중량이 감지되는 중량감지장치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하단부와 상기 청수공급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각의 중량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밸브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공급부 일측에는 정량의 첨가제를 믹싱부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첨가제공급장치는,
    상기 회수수공급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상단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된 첨가제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후면부에 정량조절홀이 구비되는 첨가제공급부와,
    상기 첨가제공급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정량조절홀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안정적으로 회수되도록 상면부에 형성된 회수홀에 상단이 확관되게 형성된 첨가제받이부재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첨가제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정량조절홀로부터 유출되는 첨가제가 상기 첨가제받이부재 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동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KR1020100053686A 2010-06-08 2010-06-08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KR10102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86A KR101022344B1 (ko) 2010-06-08 2010-06-08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86A KR101022344B1 (ko) 2010-06-08 2010-06-08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344B1 true KR101022344B1 (ko) 2011-03-22

Family

ID=4393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686A KR101022344B1 (ko) 2010-06-08 2010-06-08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605A (zh) * 2012-11-14 2013-02-13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搅拌站
CN105415502A (zh) * 2015-11-30 2016-03-23 湖南三一路面机械有限公司 一种搅拌站
KR101929324B1 (ko) 2018-08-06 2018-12-14 허태 중금속 고정제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509A (ja) * 1991-09-24 1993-04-02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50174A (ja) * 1993-08-04 1995-02-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非水溶媒電解質二次電池
KR100642942B1 (ko) 2005-06-20 2006-11-10 유경근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용 믹서의 자동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509A (ja) * 1991-09-24 1993-04-02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50174A (ja) * 1993-08-04 1995-02-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非水溶媒電解質二次電池
KR100642942B1 (ko) 2005-06-20 2006-11-10 유경근 콘크리트 배처 플랜트용 믹서의 자동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605A (zh) * 2012-11-14 2013-02-13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搅拌站
CN105415502A (zh) * 2015-11-30 2016-03-23 湖南三一路面机械有限公司 一种搅拌站
KR101929324B1 (ko) 2018-08-06 2018-12-14 허태 중금속 고정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460B2 (ja) 溶液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22344B1 (ko)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의 다단식 물공급장치
CN108356990B (zh) 一种应用于混凝土拌和站的自动供水系统
KR101849854B1 (ko) 농약 정량 공급기
US20140269153A1 (en) Chemical solutio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N207156152U (zh) 一种混凝土放料系统
RU55676U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становк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оварного бетона и цементно-песчаных растворов (варианты)
CN112376358A (zh) 沥青发泡装置及沥青发泡方法
CN207825209U (zh) 一种盾构废弃泥浆用的混合加料装置
CN107587895B (zh) 一种高浓度放砂、自动化控制的井下采空区的充填系统
JP2004257023A (ja) 土壌混合改良機
JP5893288B2 (ja) ミキサ給水兼洗浄方法
CN111923242B (zh) 再生混凝土制造设备
CN212795412U (zh) 一种多级配建筑混凝土预配装置
JP2010082921A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コンクリートミキサの洗浄方法、及び生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2005335386A (ja) トラックアジテータの付着モルタルをリサイクル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29324B1 (ko) 중금속 고정제 제조장치
CN209737979U (zh) 一种节能预拌混凝土用混料机
CN113235379A (zh) 一种混凝土路面施工修补装置
CN208072408U (zh) 水利工程施工用灌浆装置
CN207825433U (zh) 一种双螺旋挤出机用双螺旋搅拌设备
CN217514251U (zh) 一种混凝土搅拌站
CN220618497U (zh) 砂石料免运输污水处理系统
KR100998197B1 (ko) 염수 제조시간을 단축한 컨트롤장치
KR20090050385A (ko) 이동식 발포 콘크리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