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908B1 -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 Google Patents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908B1
KR101021908B1 KR1020080080532A KR20080080532A KR101021908B1 KR 101021908 B1 KR101021908 B1 KR 101021908B1 KR 1020080080532 A KR1020080080532 A KR 1020080080532A KR 20080080532 A KR20080080532 A KR 20080080532A KR 101021908 B1 KR101021908 B1 KR 10102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annula
insertion member
inserter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884A (ko
Inventor
마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
Priority to KR102008008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9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2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학적으로 가능한 치료 및 예방차원에서 인체의 피하나 근육에 장기 피임을 위한 임플라논(implanon) 또는 금침 등의 삽입부재를 삽입하는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 내에 삽입부재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여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단에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삽입부재를 수용하는 캐뉼러(cannula); 상기 캐뉼러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뉼러와 연통되며, 내측면에 후진구속부를 갖는 본체배럴; 및 전단부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캐뉼러 외부로 밀어내는 푸쉬바(push bar)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배럴의 내부에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해 상기 푸쉬바를 전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한 전진후에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후진 이동이 제한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80532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삽입부재, 캐뉼러, 본체배럴, 전방플런저, 후방플런저

Description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A disposable implanting device}
본 발명은 의학적으로 가능한 치료 및 예방차원에서 인체의 피하나 근육에 장기 피임을 위한 임플라논(implanon) 또는 금침 등의 삽입부재를 삽입하는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체 내에 삽입부재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여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적으로 가능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인체의 피하나 근육에 치료 및 예방 작용을 하는 삽입부재를 삽입한다.
일 예로, 여성 체내에 임플라논(implanon)을 삽입 이식하여 여성 체내의 난소로부터 난자 배출을 억제하는 호르몬을 서서히 방출하고 정자가 자궁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적인 피임효과를 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인체 내에 금침을 삽입 이식하여 금이 가진 약 성분 및 금이 가진 양성전자를 통해 생리순환을 유도하고 오장의 경기순환을 잘 통하게 하며 전 신의 음양조화를 이루게 하여 폐염, 경풍, 진심, 풍병, 신경통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임플라논 또는 금침과 같은 삽입부재를 인체 내에 삽입 이식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상기 임플라논은 주로 인체의 피하를 절개하는 수술을 통해 인체 내에 삽입 이식되기 때문에 이식수술을 받는 사람에게 임플라논 삽입을 위한 피부 절개의 부담감을 줄 수 있고 수술과정을 통한 비용 상승의 부담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금침은 주로 별도의 침구를 통해 인체 내에 삽입 이식되기 때문에 금침의 위생관리가 어려우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침구가 재사용될 경우 재사용에 따른 전염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인체의 피하나 근육에 임플라논 또는 금침 등의 삽입부재 삽입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체 내에 삽입부재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 내에 삽입부재를 삽입한 후에 삽입기의 밀대를 후방으로 당길 경우 전방플런저와 후방플런저 사이에 개재된 파단브릿지가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기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여 삽입기 재사용에 따른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전단에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삽입부재를 수용하는 캐뉼러(cannula); 상기 캐뉼러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뉼러와 연통되며, 내측면에 후진구속부를 갖는 본체배럴; 및 전단부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캐뉼러 외부로 밀어내는 푸쉬바(push bar)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배럴의 내부에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해 상기 푸쉬바를 전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한 전진후에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후진 이동이 제한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가 제공된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구속되는 피구속부를 가지며 상기 푸쉬바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전방플런저(front plunger)와, 상기 전방플런저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후방플런지(rear plunger)와, 상기 전방플런저와 상기 후방플런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플런저와 상기 후방플런저를 연결하며,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상기 전방플런저의 후진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플런저의 강제 후진 이동시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파단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플런저는, 상기 피구속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연결돌기를 갖는 리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플런저는, 상기 파단브릿지를 매개로 상기 리어연결돌기와 연결되는 프론트연결돌기를 갖는 프론트연결부와, 상기 전방플런저를 밀어주도록 상기 프론트연결부의 후단에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단브릿지는 상기 후방플런저의 전진방향과 연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어연결돌기와 상기 프론트연결돌기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플런저는; 상기 리어연결돌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론트연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방플런저의 회전시 상기 전방플런저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배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밀대의 후방부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 게 구비되어, 상기 밀대의 전진을 제한하는 전진방지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상기 밀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배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진구속부와 상기 피구속부의 일 예로서, 상기 후진구속부는 상기 본체배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피구속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후진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턱에 진입시 수축 가능하도록 절개부를 갖는 걸림날개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재는, 임플라논(implanon) 또는 금침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뉼러 내에 미리 장착되거나 낱개로 멸균포장된다.
한편, 상기 캐뉼러의 배출구멍은, 상기 캐뉼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된 마름모 형태가 되도록 상기 캐뉼러의 전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의 후단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전단부를 노출시키도록 'V'자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상기 캐뉼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상기 캐뉼러의 보호 및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에 따르면, 인체의 치료나 피임 등을 위하여 인체 내에 고체형태의 삽입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부재를 인체 내에 삽입할 때 통증이나 흉터 등의 부담감이 경감되며 시술이 간편하다.
둘째, 본 발명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에 따르면, 인체 내에 삽입부재를 삽입한 후에 삽입기의 밀대를 후방으로 재차 당기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삽입기 재사용에 따른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소정의 힘 이상으로 밀대를 당길 경우 전방플런저와 후방플런저 사이에 개재된 파단브릿지가 파단됨으로써 삽입기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며, 사용완료된 삽입기의 식별이나 분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체배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삽입부재의 종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배출구멍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Ⅱ-Ⅱ선 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전방플런저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크게 본체배럴(100)과, 캐뉼러(cannula:200)와,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에는 푸쉬바(3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배럴(100)은 전단이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에 상기 캐뉼러(200)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플런저가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나, 상기 본체배럴(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캐뉼러(200)의 후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배럴(100)이 구비되고, 상기 캐뉼러(200)의 내부는 상기 캐뉼러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내부에는 삽입부재(1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캐뉼러(200)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부재(10)가 배출되는 배출구멍(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Push bar; 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푸쉬바(300)는 상기 삽입부재(10)가 상기 배출구멍(210) 을 통해 상기 캐뉼러(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삽입부재(10)를 외부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삽입부재(10)가 배출되어 인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부재(10)의 배출을 위해 상기 푸쉬바(310)를 전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삽입부재(10)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부에서 전진된 후에는 상기 본체배럴(100)에 의해 후진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전방플런저(front plunger:300) 및 후방플런저(rear plunger:500)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삽입부재(10)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부에서 전진된 후에는 후진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플런지의 후진을 위해 외력을 가하면 외력에 의해 전방플런저(300)와 후방플런저(500) 사이가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전단부는 상기 푸쉬바(310)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후방플런저(500)는 상기 전방플런저(300)를 상기 본체배럴(100)의 전방으로 밀어준다.
상기 전방플런저(300)와 상기 후방플런저(500) 사이에는 파단브릿지(400)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플런저(300)와 상기 후방플런저(500)가 상기 파단브릿지(40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배럴(100) 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파단브릿지(400)는 상기 플런저가 전진된 상태에서 후진을 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 파단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파단브릿지(400)는 상기 전방플런저의 후진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플런저의 강제 후진 이동시 외력에 의 해 파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푸쉬바(310)는 상기 캐뉼러(200) 내에 수용된 삽입부재(10)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부재(10)를 상기 캐뉼러(200) 외부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전방플런저(300)는 상기 푸쉬바(31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플런저의 후진제한을 위한 피구속부(32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방플런저(300)는, 상기 피구속부(320)와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리어연결부(30)는 상기 피구속부(320)의 후단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연결돌기(33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후방플런저(500)는 상기 파단브릿지(400)를 매개로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와 연결되는 프론트연결돌기(511)를 갖는 프론트연결부(510)와, 상기 전방플런저(300)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연결부(510)의 후단에 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배럴(100)의 전방 내측면에는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피구속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피구속부(320)의 후진이동을 제한하는 후진구속부(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가 전진하여 상기 후진구속부(110)에 의해 상기 피구속부(320)가 구속 즉, 잠금됨으로써, 상기 후진구속부(110)가 상기 플런저의 후진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진구속부(110)는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피구속부(320)는, 상기 플런저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후진구속부(110)의 전방으로 수축되면서 진입하 여 상기 후진구속부(110)의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도록, 절개부를 갖는 걸림날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부에서 전진하여 상기 삽입부재(10)가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인체에 삽입되면, 상기 피구속부(320)의 걸림날개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플런저의 후진이동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피구속부(320)가 상기 후진구속부(110)에 진입되어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후진이동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방플런저(300)가 상기 피구속부(320)와 상기 후진구속부(110)의 결합됨에 의해 후진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플런저(500) 즉 실제로 일회용 삽입기를 재사용할 목적으로 상기 밀대(520)를 강제 후진 이동시 상기 파단브릿지(400)가 파단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삽입기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10)는 인체 내에 삽입되어 의학적으로 가능한 치료 및 예방 등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장기적인 피임을 위한 임플라논(implanon:11) 또는 금침(12)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삽입부재(10)들은 상기 캐뉼러(200) 내에 미리 장착(pre-filled)되거나 낱개로 멸균포장되어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사용할 때에 상기 캐뉼러(200)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10) 중 임플라논(11)의 길이(D1)는 대략 45mm 정도이고, 금침(12)의 길이(D2)는 대략 20m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10)의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경우 상기 캐뉼 러(200)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푸쉬바(310)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등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10)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삽입부재(10)의 전단부가 항상 상기 캐뉼러(200)의 배출구멍(210) 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뉼러(200)의 배출구멍(210) 후단에는 상기 삽입부재(10)의 전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V'자 형상의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출구멍(210)은 상기 캐뉼러(200)의 전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캐뉼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멍(210)의 후단에는 상기 배출구멍의 경사각보다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V'자 형상의 홈(211)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10)는 상기 'V'자 형상의 홈(211)을 통해 전단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캐뉼러(200)가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10)의 노출된 전단부가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됨으로써 인체 내에서 삽입부재(10)의 삽입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삽입부재(1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피시술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멍(210)에 형성된 홈(211)은 'V'자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캐뉼러(200)가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상기 캐뉼러(200)의 후단에 구비되는 캐뉼러홀더(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뉼러(200)를 상기 본체배럴(100)의 전단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캐뉼러홀더(250)를 통해 상기 본체배럴(100)의 전단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캐뉼러(200)의 고정력 및 본체배럴(100)과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상기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상기 캐뉼러(200)를 보호하고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캡(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상기 캐뉼러(20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상기 캐뉼러(200)의 날카로운 첨단을 통해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뉼러(200)를 둘러싸도록 상기 캡(27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270)의 내부에는 상기 캐뉼러(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캐뉼러(200)에 대응되는 캐뉼러결합부(27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전방플런저(300)와 파단브릿지(400) 및 후방플런저(50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플런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배럴(100) 내에 구비되며, 푸쉬바(310)와 연결되는 피구속부(320) 및 리어연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바(310)는 상기 캐뉼러(200) 내부에서 전진하면서 상기 삽입부재를 밀어주도록 상기 삽입부재(10)의 후단에 밀착되고, 상기 후방플런저(500)가 전진하여 전방플런저(300)를 전진시킴에 따라 상기 푸쉬바(310)가 상기 삽입부재(10)를 상기 캐뉼러(200)의 배출구멍(210)을 통해 캐뉼러(200)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시킨다.
아울러, 상기 피구속부(320)는 상기 푸쉬바(3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플런저(500)가 전진하여 전방플런저(300)를 전진시킴에 따라 상기 본체배럴(100)의 후진구속부(110)에 걸림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피구속부(320)는 절개부를 갖는 걸림날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진구속부(110)에 진입시 수축되어 전방플런저(300)의 전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구속부(320)는 상기 후진구속부(110)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그 후면이 상기 후진구속부(1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후진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310)는 상기 피구속부(320)와 일체로 형성(도 8의 (a) 참조)될 수도 있고, 상기 피구속부(320)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피구속부(320)의 전단에 매립되어 고정(도 8의 (b) 참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푸쉬바(310)는 상기 피구속부(320)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피구속부(320)와 별도로 스틸 재질 등으로 제조된 후에 상기 피구속부(320)의 전단에 매립방식으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연결부(330)는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전방플런저(3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구속부(320)의 후단에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그 후면에 상기 후방플런저(500)와 파단브릿지(400)를 통해 연결되도록 리어연결돌기(331)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연결부(510)는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후방플런저(5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와 파단브릿지(400)를 통해 연결되는 프론트연결돌기(5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의 전단면은 상기 리어연결부(33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전진과 동시에 상기 전방플런저(300)가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런저의 전진시 파단브릿지(400)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단브릿지(4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런지의 전진시 상기 파단브릿지(400)가 미리 파단되어도 상기 푸쉬바(310)의 전진에 이상이 없는 한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파단브릿지(400)는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전진방향과 연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와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를 후방으로 당길 때의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와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의 파단강도는 상기 파단브릿지(400)의 파단강도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파단브릿지(400)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 계조건은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와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의 파단강도는 상기 파단브릿지(400)의 파단강도보다 크게 되어야 한다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전제된 상태라면 당업자가 상기 파단브릿지(400)와 리어연결돌기(331)와 프론트연결돌기(511)의 형상이나 단면적을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단브릿지(400)를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이동방향과 연직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통해 삽입부재(10)를 인체 내에 삽입한 후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재사용을 목적으로 상기 후방플런저(500)를 후진할 경우 상기 파단브릿지(400)에는 그 길이방향과 연직되는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됨에 따라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파단브릿지(400)가 파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어연결돌기(331)는 상기 리어연결부(330)의 후단면에 후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한쌍이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는 상기 프론트연결부(510)의 전단면에서 상기 플런저의 축선을 따라 또는 상기 축선에 나란하게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파단브릿지(400)는 상기 프론트연결돌기(511)의 측면과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의 측면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연결부(510)에는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프론트연결부(510)의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전달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전달부(512)는 상기 프론트연결부(5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 되되, 상기 리어연결돌기(331)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회전시 상기 회전전달부(512)와 면접촉된 상기 리어연결돌기(331)통해 상기 전방플런저(3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회전시 상기 전방플런저(3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회전시 파단브릿지(400)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대(520)는, 상기 프론트연결부(5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배럴(100) 내에서 전진함으로써 상기 플런저가 전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밀대(520)에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밀대(520)의 전진을 제한하는 전진방지돌출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대(520)의 후단 즉, 상기 본체배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밀대(520)의 후방부 외측면에 전진방지돌출부(550)가 구비됨으로써,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자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기 밀대(520)가 전진되어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대(520)의 외측면에 연접된 상기 전진방지돌출부(550)의 하단부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사용시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해 밀 경우 쉽게 떨어져 상기 밀대(5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대(5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7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배럴(100) 내에 위치되는 상기 밀대(520)의 중앙측 외측면에 상기 본체배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7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밀대(520)가 상기 본체배럴(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링(570)은 내열성을 갖는 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스팀멸균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배럴(100)의 후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flange:12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10)를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시 엄지손가락으로는 상기 밀대(520)의 후면을 밀어주는 한편 검지와 중지손가락이 상기 플랜지(120)에 걸려서 뒤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로 구성된 일회용 삽입기의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미사용시 전진방지돌출부(550)를 통해 후방플런저(500)의 전진이 제한된 상태로 캐뉼러(200)에는 캡(270)이 결합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통해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부재(10)를 삽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캐뉼러(200)로부터 상기 캡(270)을 분리하고, 상기 전진방지돌출부(550)에 힘을 가해 이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캐뉼러(200)를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한 후,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밀대(520)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플런저(500)가 전진함과 동시에 전방플런저(300)가 전진하면서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푸쉬바(310)가 상기 캐뉼러(200)에 수용된 삽입부재(10)를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10)는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피구속부(320)는 상기 본체배럴(100)의 후진구속부(110)에 걸림 결합되어 전방플런저(300)의 후진이동을 제한한다.
이후, 사용자가 인체의 피하나 근육으로부터 상기 캐뉼러(200)를 뺀 다음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제거하면 삽입부재(10)는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된 상태로 지속적인 피임 작용을 하거나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작용을 한다.
한편,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부재(10)를 삽입하고 난 후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재사용하고자 할 목적으로 상기 후방플런저(500)의 밀대(520)를 후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전방플런저(300)는 피구속부(320)와 후진구속부(110)의 결합에 의해 후진이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방플런저(500)만이 후진이동을 함에 따라 파단브릿지(400)가 파단되어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재사용이 방지됨으로써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재사용에 따른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주사기의 작동구조와 유사한 간단한 조작 구조를 통해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손쉽게 삽입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는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후진이동이 제한되기만 하면 일회용 삽입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리어연결부(300) 대신 전술한 후방플런저(500)의 밀대(520)를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피구속부(32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플런저(300)를 전진시켜 푸쉬바(310)로 상기 캐뉼러(200) 내부에 수용된 삽입부재(10)를 캐뉼러(200)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인체 내의 피하나 근육에 삽입부재(10)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피구속부(320)가 상기 본체배럴(100)의 후진구속부(11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방플런저(300)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여 일회용 삽입기를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본체배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삽입부재의 종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배출구멍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전방플런저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삽입부재 100: 본체배럴
110: 후진구속부 120: 플랜지
200: 캐뉼러 210: 배출구멍
211: 배출구멍의 홈 250: 캐뉼러홀더
270: 캡 271: 캐뉼러결합부
300: 전방플런저 310: 푸쉬바
320: 피구속부 330: 리어연결부
331: 리어연결돌기 400: 파단브릿지
500: 후방플런저 510: 프론트연결부
511: 프론트연결돌기 512: 회전전달부
520: 밀대 550: 전진방지돌출부
570: 피스톤링

Claims (11)

  1. 전단에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삽입부재를 수용하는 캐뉼러(cannula);
    상기 캐뉼러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캐뉼러와 연통되며, 내측면에 후진구속부를 갖는 본체배럴; 및
    전단부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캐뉼러 외부로 밀어내는 푸쉬바(push bar)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배럴의 내부에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해 상기 푸쉬바를 전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삽입부재의 배출을 위한 전진후에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후진 이동이 제한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구속되는 피구속부를 가지며 상기 푸쉬바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전방플런저(front plunger)와,
    상기 전방플런저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후방플런저(rear plunger)와,
    상기 전방플런저와 상기 후방플런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플런저와 상기 후방플런저를 연결하며, 상기 후진구속부에 의해 상기 전방플런저의 후진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플런저의 강제 후진 이동시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파단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런저는, 상기 피구속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연결돌기를 갖는 리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플런저는, 상기 파단브릿지를 매개로 상기 리어연결돌기와 연결되는 프론트연결돌기를 갖는 프론트연결부와, 상기 전방플런저를 밀어주도록 상기 프론트연결부의 후단에 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브릿지는 상기 후방플런저의 전진방향과 연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리어연결돌기와 상기 프론트연결돌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런저는; 상기 리어연결돌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론트연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방플런저의 회전시 상기 전방플런저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배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밀대의 후방부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밀대의 전진을 제한하는 전진방지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배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구속부는 상기 본체배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피구속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후진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턱에 진입시 수축 가능하도록 절개부를 갖는 걸림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임플라논(implanon) 또는 금침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뉼러 내에 미리 장착되거나 낱개로 멸균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의 배출구멍은, 상기 캐뉼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된 마름모 형태가 되도록 상기 캐뉼러의 전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의 후단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전단부를 노출시키도록 'V'자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11.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의 미사용시 상기 캐뉼러의 보호 및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KR1020080080532A 2008-08-18 2008-08-18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KR10102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32A KR101021908B1 (ko) 2008-08-18 2008-08-18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32A KR101021908B1 (ko) 2008-08-18 2008-08-18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84A KR20100021884A (ko) 2010-02-26
KR101021908B1 true KR101021908B1 (ko) 2011-03-24

Family

ID=4209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532A KR101021908B1 (ko) 2008-08-18 2008-08-18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74B1 (ko) * 2016-06-27 2016-12-06 류종현 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KR102173408B1 (ko) * 2018-09-21 2020-11-03 오광일 재사용 방지 일회용 주사기
KR102617251B1 (ko) 2022-01-14 2023-12-2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36A (en) * 1991-04-11 1995-04-18 Safe-T-Limited Of Laurel House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KR200219758Y1 (ko) * 2000-11-13 2001-04-02 로쳉치 안전한 피하 주사기
KR200383707Y1 (ko) * 2005-02-15 2005-05-06 박형렬 금사 주입기
KR20050116674A (ko) * 2004-06-08 2005-12-13 윤여생 인체 주입용 금사 및 이것의 주입을 위한 일회용 금사주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36A (en) * 1991-04-11 1995-04-18 Safe-T-Limited Of Laurel House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KR200219758Y1 (ko) * 2000-11-13 2001-04-02 로쳉치 안전한 피하 주사기
KR20050116674A (ko) * 2004-06-08 2005-12-13 윤여생 인체 주입용 금사 및 이것의 주입을 위한 일회용 금사주입기
KR200383707Y1 (ko) * 2005-02-15 2005-05-06 박형렬 금사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84A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314B2 (en) Fastener for fixing a prosthesis, and device for delivering this fastener
US8366726B2 (en) Vessel occlusion clip and application thereof
ES2709219T3 (es) Cánula sin hematomas
US8945086B2 (en) Retrobulbar needle and methods of use
JP3688287B1 (ja) 眼科用インプラントを送達するための装置
US689971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ocular implants
US4994028A (en) Injector for inplanting multiple pellet medicaments
ES2829626T5 (es) Aplicador para insertar un implante
US4846793A (en) Injector for implanting multiple pellet medicaments
CN106110446B (zh) 自动锁定安全针罩及其使用和制造的方法
US7819897B2 (en) Fastener for fixing a prosthesis, and device for delivering this fastener
JP2001524362A (ja) 注射針の導入深さ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SK280601B6 (sk) Injekčné zariadenie na podávanie implantátov
JP2015509778A (ja) 固定プランジャーを有するイン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使用方法
HU220126B (hu) Orvosi eszköz szilárd anyag szövetrétegben vagy az alá történő elhelyezésére, valamint bőr alá történő elhelyezésére
HU216387B (hu) Készülék és eljárás hatóanyagot tartalmazó implantátum beültetésére
KR101845779B1 (ko) 감압신경성형술용 약액주입장치
US20200238067A1 (en) Self-deploying injector for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021908B1 (ko) 재사용 방지 일회용 삽입기
EP3381386B1 (en) Tools for subcutaneous device insertion
AU2016417702A1 (en) A safety housing based implant/ medicament injecting system
US20160175535A1 (en) Methods of performing retrobulbar injections
WO2017019631A1 (en) Subdermal applicator
US20230149635A1 (en) Applicator for Implant Insertion
WO2023086434A2 (en) Applicator for implant inse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