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751B1 -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 Google Patents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751B1
KR101021751B1 KR1020100117043A KR20100117043A KR101021751B1 KR 101021751 B1 KR101021751 B1 KR 101021751B1 KR 1020100117043 A KR1020100117043 A KR 1020100117043A KR 20100117043 A KR20100117043 A KR 20100117043A KR 101021751 B1 KR101021751 B1 KR 10102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front door
wing
do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중우
박성진
원종서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뒤틀림 방지 및 강성향상을 위한 보강철물을 내장하고 있는 현관문으로서, 현관문(100)의 회전을 위한 힌지장치(400)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현관문(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철물(104)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철물(104)은, 제1수평부(1041), 제1수직부(1042), 제2수평부(1043), 제2수직부(1044), 제3수직부(1045), 제1날개형성부(1101), 및 제2날개형성부(1102)를 가지도록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직부(1044)와 제3수직부(1045) 사이의 간격에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가 끼워져 있고; 실내강판(102)의 단부(102a)는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날개부(11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날개부(110)는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게 되어, 외기가 틈(202)을 통해서 회전여유공간(201)으로 유입되는 것부터 차단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보강철물(104)이 연장되어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는 날개부(110)를 형성하고, 보강철물(104)과 실내강판(102) 사이 및 실외강판(103)과 실내강판(102) 사이에 열적 단열이 이루어져 있어, 실내의 열 손실을 차단하고 차가운 외기로 인한 실내강판(102)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Steel Door}
본 발명은 방화기능 및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는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화문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뒤틀림 방지 및 강성향상을 위한 보강철물을 힌지측에 내장하고 있는 현관문에서, 보강철물이 연장되어 문틀과 문짝 사이의 날개부를 형성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을 막아서 힌지장치 설치 측에서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현관문을 이루는 실내강판과 실외강판, 그리고 보강철물 간의 완전한 단열을 구현함으로써 힌지측에서 실내강판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기능 및 소음방지 기능의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현관에 설치되는 현관문은 실내면과 실외면이 모두 보호용 강재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현관문에서 문제가 되는 점 중의 하나는 결로 현상이다. 도 1에는 일측에 힌지장치(400)가 구비되어 힌지장치(400)를 중심으로 실외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단개형 현관문(10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현관문(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의 선 A-A에 의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현관문(100)은, 문짝 본체(101)와, 상기 문짝 본체(101)의 외부를 감싸서 보호하면서 현관문의 표면을 이루는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강판(102)은 현관문(100)의 세대 실내방향 외면을 이루는 강판이고, 상기 실외강판(103)은 현관문(100)의 세대 실외방향 외면을 이루는 강판이다.
한편, 현관문(1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장치(400)가 현관문(100)의 일측에서 문짝 본체(101)에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힌지장치(400)를 감싸도록 ㅁ자 형태로 절곡된 보강철물(104)이 문짝 본체(101)에 내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강철물(104)은 실내강판(102)이나 실외강판(103)보다 강성이 더 우수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현관문(100)에 내장되어 현관문(100)의 강성을 크게 만들므로써,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물론이고 화재발생시에 현관문(100)이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현관문(100)이 방화문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보강철물(104)의 강성 보강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힌지장치(400)가 내장되어 있는 현관문(100)과 힌지측 문틀(200)에는 오목한 회전여유공간(20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회전여유공간(201)의 존재에 의하여 현관문(100)의 문틀 방향 측면과 문틀(200) 사이에는 틈(202)이 존재하게 된다. 틈(202)을 통하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내 방향에서 문틀(200)과 현관문(100)의 실내강판(102) 사이에는 실링부재(203)가 설치되지만, 이러한 실링부재(203)의 설치만으로는 틈(202)과 회전여유공간(20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기에 역부족이다.
또한 이렇게 실링부재(203)를 설치하더라도, 틈(202)을 통해서 유입된 외기는 회전여유공간(201)에 머물게 되며, 회전여유공간(201)에 노출된 실내강판(102)과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강판(102)에 결로를 유발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현관문(100)에서는 회전여유공간(201)에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철물(104)이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 모두에 직접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달, 그리고 보강철물(104)을 통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 간의 열전달로 인하여, 겨울철에는 실내강판(102)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그로 인하여 실내강판(102)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달 및 보강철물(104)을 통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 간의 열전달은 결국 실내의 열을 실외로 빼앗기는 것이므로, 결로현상의 유발 이외에도 불필요한 실내 난방열의 손실이라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현관에 설치되는 현관문에서, 실내강판과 실외강판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하고, 현관문의 힌지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통하여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틈을 통한 외기 유입방지 구성을 구축함에 있어서, 실내,외의 강판보다 강성이 더 크고 열전달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큰 보강철물을 이용하고, 보강철물과 실내강판 간의 접촉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겨울철에 실내강판의 표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실내 난방열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문짝 본체와, 상기 문짝 본체의 외부를 감싸서 보호하면서 현관문의 실내방향 표면을 이루는 실내강판과, 현관문의 실외방향 표면을 이루는 실외강판으로 이루어진 현관문으로서, 현관문의 회전을 위하여 문짝 본체에 내장되는 힌지장치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현관문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철물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철물은, 단열막을 사이에 두고 실내강판과 접하게 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수평부와 연속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실외강판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가 실외강판과 닿은 후 문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단열막을 개재하여 실외강판과 접하는 제2수평부, 상기 제2수평부와 연속되며 다시 실내강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수직부, 상기 제2수직부와 연속되어 있되 제2수직부의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2수직부와 마주하고 형성되는 제3수직부, 상기 제3수직부와 연속된 상태로 상기 실외강판의 위치에서 문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는 제1날개형성부, 및 상기 제1날개형성부의 문틀 방향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나란하게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2날개형성부를 가지도록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직부와 제3수직부 사이의 간격에 단열막을 개재하여 실외강판의 단부가 끼워져 있고; 문틀을 마주하여 실외강판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던 실내강판의 단부는 문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제2날개형성부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실내강판에서 문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를 U자 형태로 절곡되어 마주하는 제1날개형성부와 제2날개형성부가 감싸면서 날개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날개부는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막게 되어, 외기가 틈을 통해서 회전여유공간으로 유입되는 것부터 차단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실내강판과 실외강판으로 감싸진 내부 공간에 구비된 보강철물이 연장되어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막는 날개부를 형성하고, 보강철물과 실내강판사이 및 실외강판과 실내강판 사이에 열적 단열이 이루어져 있어, 실내의 열 손실을 차단하고 차가운 외기로 인한 실내강판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서는, 문짝 본체 내에 내장되는 보강철물의 일부가 문짝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현관문과 문짝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막는 날개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틈을 통한 외기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이면서도 강성도 우수한 재질로 보강철물을 제작하였을 때, 날개부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시켜 실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하면서도 현관문의 강성도 증가시키게 되는 2가지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강철물과 실내강판 사이에는 열전달이 이루어질만한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며 실외강판과 실내강판 간에도 열전달이 이루어질만한 직접적인 접촉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날개부에서 차가운 냉기가 보강철물에 닿더라도 실내강판의 열이 빼앗기지 않으며, 실외강판에 대해서도 실내강판의 열이 실외강판을 통해 빼앗기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동절기의 실내강판 온도 급강하 및 그로 인한 실내강판 표면에서의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실내 난방열의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현관문의 결로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일측에 힌지장치가 구비되어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실외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종래의 현관문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현관문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의 선 A-A에 의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구조의 현관문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 B부분의 단면 사시도로서, 힌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쪽에서 문틀 방향으로 현관문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부에 대한 상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이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과 앞서 살펴본 종래 기술이 서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표시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구조의 현관문(100)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원 B부분 즉, 힌지장치(400)가 내장되어 있는 쪽에서 문틀 방향으로 현관문(100)에 구비된 보강철물(104)과 그에 의해 만들어지는 날개부(110)에 대한 상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구조의 현관문(100)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에 의해 문짝 본체(101)가 보호되며, 힌지장치(400)를 보호하고 현관문(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문짝 본체(101) 내에 보강철물(104)이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0)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어 있으며, 보강철물(104)을 통한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 간의 열전달도 이루어지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보강철물(104)이 연장되어 현관문(100)과 문틀(200)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게 되는 날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00로 표시되어 있는 힌지장치(400)는 현관문(100)이 회전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힌지장치(400)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현관문(100)이 닫힌 상태일 때, 힌지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현관문(100) 부분에는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으로 감싸진 내부 공간에 절곡 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철물(104)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강철물(104)은 힌지장치(400)를 2개면 이상에서 감싸고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철물(104)은 문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문틀(200)과 현관문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게 되는 날개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철물(104)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실내강판(102)과 단열막(30)을 사이에 두고 접하게 되는 제1수평부(1041), 상기 제1수평부(1041)와 연속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실외강판(103)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수직부(1042), 상기 제1수직부(1042)가 실외강판(102)과 닿은 후 문틀(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수평부(1043), 상기 제2수평부(1043)와 연속되며 다시 실내강판(1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수직부(1044), 상기 제2수직부(1044)와 연속되어 있되 제2수직부(1044)의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2수직부(1044)와 마주하고 형성되는 제3수직부(1045), 상기 제3수직부(1045)와 연속된 상태로 상기 실외강판(103)의 위치에서 문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는 제1날개형성부(1101), 및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의 문틀 방향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나란하게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2날개형성부(1102)를 가지도록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평부(1041)는 단열막(30)을 사이에 두고 실내강판(102)과 접하게 되는데, 상기 단열막(30)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수평부(1043)는 실외강판(103)과 접하게 되는데, 이 때, 제2수평부(1043)과 실외강판(103) 사이에도 단열막(30)이 개재된다. 따라서, 보강철물(104)의 강판이 제1수평부(1041), 제1수직부(1042) 및 제2수평부(1043)로 연속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열막(30)도 제1수평부(1041), 제1수직부(1042) 및 제2수평부(1043)의 외면을 감싸면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부(1043)의 문틀(200) 방향 단부에서는 보강철물(104)의 강판이 다시 실내강판(102)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어 제2수직부(1044)를 이룬다. 이 때, 제2수평부(1043)와 접하고 있던 실외강판(103)도 제2수직부(1044)와 마찬가지로 실내강판(102)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다. 따라서 제2수직부(1044)와, 실내강판(1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는 단열막(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제2수직부(1044)는 상기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가 끝나는 부분에서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3수직부(104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3수직부(1045) 역시 단열막(30)을 사이에 두고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와 접하게 된다. 즉, 제2수직부(1044)와 제3수직부(1045)는 그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U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제2수직부(1044)와 제3수직부(1045) 사이의 간격에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가 끼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단열막(30)의 존재에 의해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와, 제2수직부(1044) 및 제3수직부(1045)는 단열된 상태로 접하고 있다.
상기 제3수직부(1045)의 실외강판(103) 방향 단부는 다시 문틀(200)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수평한 상태의 제1날개형성부(1101)를 이루게 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의 문틀 방향 단부에서 다시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마주하여 제2날개형성부(1102)가 형성된다.
이 때, 문틀(200)을 마주하여 실외강판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던 실내강판(102)의 단부(102a)는 문틀(200)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위치한다. 즉, 실내강판(102)에서 문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102a)를 U자 형태로 절곡되어 마주하는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가 감싸면서 날개부(11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현관문(10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110)는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게 되어, 외기가 틈(202)을 통해서 회전여유공간(201)으로 유입되는 것부터 차단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단열막(30)은 계속 연속되어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화재에 대비하여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의 외부를 덮게 되는 상기 단열막(30)은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조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현관문(1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1날개형성부(1101)와 문틀이 접할 때, 단열막(30)이 그사이에 개재되어 단열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의 외부를 덮게 되는 상기 단열막(30)이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제작되지 아니하는 경우는, 화재를 대비하여 단열막(30)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의 외부에는 단열막(30)이 덮이지 않는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 사이의 간격에 실내강판(102)의 단부(102a)가 끼워져 위치할 때, 실내강판(102)의 단부(102a)와, 제1날개형성부(1101) 및 제2날개형성부(1102) 사이에 각각 단열막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내강판(102)과 보강철물(104) 사이에 완전한 단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0)이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현관문(100)이 개방될 때, 상기 날개부(110)는 회전여유공간(201)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날개부(110)가 존재하더라도 현관문(100)의 개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에서 힌지장치(400)가 배치되어 있는 현관문의 측면과 문틀(200) 사이는 틈(202)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보강철물(104)이 연장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고, 이러한 날개부(110)가 틈(202)을 막게 되므로, 종래에 틈(202)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날개부(110)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0)은, 문짝 본체(101) 내에 내장되는 보강철물(104)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보강철물(104)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날개부(110)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이면서도 강성도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철강)로 보강철물(104)을 제작하게 되면, 날개부(110)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현관문(100)의 강성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현관문의 보강과 날개부로 인한 열손실 차단 및 결로 방지, 그리고 소음 차단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강철물(104)이 단순히 현관문(100)의 문짝 본체(101)에 내장되어 현관문의 보강 기능을 발휘할 뿐이었으므로, 보강철물(104)을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단열성능의 발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보강철물(104)을 우수한 재료이면서도 강성도 우수한 재질로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보강철물(104)을 이와 같은 재질로 선택하게 되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의 날개부(110)를 형성하게 되는 효과가 자동적으로 발휘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보강철물(104)과 실내강판(102) 사이에는 열전달이 이루어질만한 직접적인 접촉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며, 실외강판(103)과 실내강판(102) 간에도 열전달이 이루어질만한 직접적인 접촉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날개부(110)에서 차가운 냉기가 보강철물(104)에 닿더라도 실내강판(102)의 열이 빼앗기지 않으며, 실외강판(103)에 대해서도 실내강판(102)의 열이 실외강판(103)을 통해 빼앗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0)에서는 종래의 경우와 같은 동절기의 실내강판(102) 온도 급강하 및 그로 인한 실내강판(102) 표면에서의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실내 난방열의 손실과 소음의 유입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현관문의 개방측 즉, 힌지장치가 설치된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문틀과 현관문 사이의 간격을 막는 또다른 날개부의 구성 및 현관문 내부에 구비되는 개방측 보강철물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100: 현관문
102: 실내강판
103: 실외강판
104: 보강철물
110: 날개부

Claims (1)

  1. 문짝 본체(101)와, 상기 문짝 본체(101)의 외부를 감싸서 보호하면서 현관문의 실내방향 표면을 이루는 실내강판(102)과, 현관문의 실외방향 표면을 이루는 실외강판(103)으로 이루어진 현관문(100)으로서,
    현관문(100)의 회전을 위하여 문짝 본체(101)에 내장되는 힌지장치(400)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현관문(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철물(104)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철물(104)은, 단열막(30)을 사이에 두고 실내강판(102)과 접하게 되는 제1수평부(1041), 상기 제1수평부(1041)와 연속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실외강판(103)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수직부(1042), 상기 제1수직부(1042)가 실외강판(102)과 닿은 후 문틀(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단열막(30)을 개재하여 실외강판(103)과 접하는 제2수평부(1043), 상기 제2수평부(1043)와 연속되며 다시 실내강판(1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수직부(1044), 상기 제2수직부(1044)와 연속되어 있되 제2수직부(1044)의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2수직부(1044)와 마주하고 형성되는 제3수직부(1045), 상기 제3수직부(1045)와 연속된 상태로 상기 실외강판(103)의 위치에서 문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는 제1날개형성부(1101), 및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의 문틀 방향 단부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나란하게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2날개형성부(1102)를 가지도록 절곡된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직부(1044)와 제3수직부(1045) 사이의 간격에 단열막(30)을 개재하여 실외강판(103)의 단부(103a)가 끼워져 있고;
    문틀(200)을 마주하여 실외강판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던 실내강판(102)의 단부(102a)는 문틀(200)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실내강판(102)에서 문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102a)를 U자 형태로 절곡되어 마주하는 제1날개형성부(1101)와 제2날개형성부(1102)가 감싸면서 날개부(11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날개부(110)는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게 되어, 외기가 틈(202)을 통해서 회전여유공간(201)으로 유입되는 것부터 차단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실내강판(102)과 실외강판(103)으로 감싸진 내부 공간에 구비된 보강철물(104)이 연장되어 현관문과 문틀 사이에 존재하는 틈(202)을 막는 날개부(110)를 형성하고, 보강철물(104)과 실내강판(102) 사이 및 실외강판(103)과 실내강판(102) 사이에 열적 단열이 이루어져 있어, 실내의 열 손실을 차단하고 차가운 외기로 인한 실내강판(102)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KR1020100117043A 2010-11-23 2010-11-23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10102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43A KR101021751B1 (ko) 2010-11-23 2010-11-23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43A KR101021751B1 (ko) 2010-11-23 2010-11-23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751B1 true KR101021751B1 (ko) 2011-03-15

Family

ID=4393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043A KR101021751B1 (ko) 2010-11-23 2010-11-23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7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8522A (ja) * 2014-11-19 2016-05-30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KR101883978B1 (ko) * 2017-10-11 2018-07-31 이명현 방화문 변형 방지장치
KR102003836B1 (ko) * 2019-02-14 2019-07-25 (주)대성명품도어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KR102086634B1 (ko) * 2019-05-23 2020-04-24 박곤섭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976U (ja) 1982-08-27 1984-03-02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箱体の扉支持装置
JPS6335989A (ja) 1986-07-31 1988-02-16 株式会社井上冷熱 折畳み式スライデイング扉
JPH0856764A (ja) * 1994-08-25 1996-03-05 Showa Alum Corp 収納ケースにおける扉の取付装置
JP2001173303A (ja) 1999-12-14 2001-06-26 Sharp Corp 扉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976U (ja) 1982-08-27 1984-03-02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箱体の扉支持装置
JPS6335989A (ja) 1986-07-31 1988-02-16 株式会社井上冷熱 折畳み式スライデイング扉
JPH0856764A (ja) * 1994-08-25 1996-03-05 Showa Alum Corp 収納ケースにおける扉の取付装置
JP2001173303A (ja) 1999-12-14 2001-06-26 Sharp Corp 扉開閉機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8522A (ja) * 2014-11-19 2016-05-30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KR101883978B1 (ko) * 2017-10-11 2018-07-31 이명현 방화문 변형 방지장치
WO2019074279A1 (ko) * 2017-10-11 2019-04-18 이명현 방화문 변형 방지장치
KR102003836B1 (ko) * 2019-02-14 2019-07-25 (주)대성명품도어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KR102086634B1 (ko) * 2019-05-23 2020-04-24 박곤섭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101021751B1 (ko)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2004487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384768B1 (ko)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20200079859A (ko) 방화문 장치
KR20190054322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20190048501A (ko) 차열용 방화문
KR20090004416U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RU2562122C2 (ru) Рам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для проемов зданий
KR102034978B1 (ko) 단열 및 결로방지 도어
JP6466649B2 (ja) サッシ構造
KR200340522Y1 (ko) 방화문용 문틀 프레임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JP5344521B2 (ja) 開口部装置
KR101278649B1 (ko) 유리벽체 설치용 샤시 프레임
KR101897928B1 (ko)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20170131961A (ko)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JP5658080B2 (ja) サッシ
KR200448090Y1 (ko)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
KR200287653Y1 (ko) 기밀성이 강화된 철재문
KR101989578B1 (ko) 방화 및 단열 문틀
KR20210004879A (ko) 단열부로 향하는 자외선 차단층을 구비한 커튼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